콘텐츠 바로가기
  • KB인베-컴퍼니케이, 지니너스 투자 결실 '눈앞'

    KB인베-컴퍼니케이, 지니너스 투자 결실 '눈앞'

    ≪이 기사는 09월27일(10:0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바이오 벤처 지니너스의 코스닥시장 기업공개(IPO)가 눈앞으로 다가오면서 이 회사 초기 투자자로 참여한 KB인베스트먼트, 컴퍼니케이파트너스 등 벤처캐피털(VC)들이 회수 성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2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지니너스는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면서 상장 시가총액으로 공모가(2만4700~3만2200원) 상단 기준 3500억원을 제시했다. 지난해 7월 158억원 규모 프리IPO(상장 전 지분투자) 당시 기업가치가 700억원 안팎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1년 새 몸값이 5배 뛴 셈이다. 지니너스는 2018년 문을 연 이후 여러 기관투자가들로부터 250억원의 자금을 조달했다. 가장 많은 자금을 댄 VC는 KB인베스트먼트다. KB인베스트먼트는 2019년 시리즈 A 라운드에 이어 지난해 프리IPO 라운드 때도 베팅하며 총 130억원(공동 운용 포함) 안팎을 지니너스에 투자했다.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와 공동 운용(Co-Gp)하는 'KB-솔리더스 글로벌 헬스케어 펀드'로 지분 약 15%, 지난해 초 결성한 'KB성장지원펀드'로 지분 8%를 보유하고 있다. 지니너스의 기관 주주 중에서는 가장 큰 규모다.공모가 상단을 기준으로 KB인베스트먼트가 가진 지분 23%의 가치는 약 670억원으로 평가된다. 상장 이후 투자금 회수에 나선다면 2~3년 만에 원금 대비 5배 이상의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일부 물량에 대해서는 상장 이후 1개월~1년까지 지분을 매각하지 못하도록 하는 보호예수가 걸려있는 상태다.컴퍼니케이 역시 주요 VC 주주다. '컴퍼니케이 고성장 펀드' '컴퍼니케이 유망서비스펀드' '컴퍼니케이 바이

  • 유전체 진단기업 지니너스, 시가총액 3500억원 제시

    유전체 진단기업 지니너스, 시가총액 3500억원 제시

    ≪이 기사는 09월23일(17:4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정밀의료 유전체 진단 전문기업 지니너스는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시장 입성을 위한 본격적인 공모절차에 착수했다고 23일 밝혔다.지니너스가 이번 상장을 위해 공모하는 주식 수는 200만주로 전량 신주모집이다. 희망 공모가밴드는 2만4700원~3만2200원으로 공모 예정금액은 494억~644억원이다.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은 2700억~3500억원이다.이 회사는 비교기업으로 총 6개사를 선정했다. 국내 상장사는 클리노믹스, 파나진 2곳, 해외 상장사는 이그젝트 사이언스, 베라사이트, 나노 스트링, 나테라 등 4곳이다. 이들의 평균 주가매출비율(PSR) 13.87배를 적용해 주당 평가가액을 4만2911원으로 산정했다. 공모가는 여기에  42.44~24.96% 할인율을 적용해 도출했다. 지니너스는 다음 달 21일부터 22일까지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하고  10월 27~28일 청약을 진행한다. 대신증권과 NH투자증권에서 청약할 수 있다.  11월 중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상장예정주식수는 1086만9315주로 상장 직후 유통물량은 344만9899주(31.74%)다. 조달한 공모자금으로 연구개발 및 시설투자, 해외 시장 개척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지니너스는 삼성서울병원 미래의학연구원 산하 연구소인 삼성유전체연구소에서 개발한 기술을 이전받아 2018년 스핀오프된 기업이다. 설립한지 3년밖에 되지 않은 스타트업이지만 올해 6월 유전체 진단기업 중 최고등급으로 기술성 평가를 통과하며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았다. 지니너스는 2020년 매출 38억 원을 기록하며 2019년 14억 원 대비 175.7% 증가한 모

  • 엔켐, 증권신고서 제출…코스닥 시장 상장 절차 돌입

    엔켐, 증권신고서 제출…코스닥 시장 상장 절차 돌입

    ≪이 기사는 09월17일(10:5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전해액 제조 기업 엔켐이 코스닥 상장을 위해 금융감독원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공모 절차에 착수했다고 16일 밝혔다. 대표 상장주관은 대신증권이, 공동주관은 신한금융투자가 맡았다.2012년 설립된 엔켐은 2차전지의 4대 핵심소재(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 중 하나인 전해액 생산 전문 기업이다. 2차전지 및 EDLC(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용 전해액과 고기능성 전해액 첨가제를 개발, 생산하고 있다. 2차전지용 전해액이 적용되는 여러 전방산업 중 엔켐은 주로 기술 난이도가 높은 전기차용 전해액 생산 및 연구개발에 주력했다. 국내 최초 전기차용 전해액 개발에 성공했고 이를 상용화했다.엔켐은 2차전지용 전해액 제조사 중 세계 최초로 글로벌 주요 배터리 거점인 한국, 미국, 중국, 유럽에 생산 및 영업 체제를 구축했다. 엔켐은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등 글로벌 베터리 업체의 생산 공장과 1시간 이내 거리에 공장을 건설해 전해액을 최단시간 내 최상의 상태로 공급할 수 있게 글로벌 최적 생산 시스템을 구축했다. 2013년 매출액 20억원에서 시작해 2020년엔 매출액 1372억 원을 달성, 해당기간 매출액의 연평균 성장률은 83%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013년 적자에서 2020년 147억원을 달성했다.이번 상장을 통해 226만2625주를 공모한다. 공모예정가는 3만원~3만5000원으로 총 공모금액은 약 678억~792억원 수준이다. 수요예측은 10월 15일~18일 진행되며, 10월 21일~22일 청약을 거쳐 11월 초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엔켐은 이번 IPO를 통해 확보한 공모 자금을 해외 지역별 공장 증설 및 CA

  • 유전체 진단 전문기업 지니너스,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통과

    유전체 진단 전문기업 지니너스,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통과

    ≪이 기사는 09월16일(18:2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정밀의료 유전체 진단 전문기업 지니너스는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고 16일 밝혔다. 지니너스의 상장 주관사는 대신증권이다.  지니너스는 기술특례를 통한 코스닥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6월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기술 평가기관 중 기술신용보증기금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으로부터 각각 ‘AA’, ‘A’ 등급을 받아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다. 이는 동종업계인 유전체 진단기업 중 가장 높은 등급이다. 지니너스는 2018년 삼성서울병원 삼성유전체연구소 박웅양 소장이 설립한 삼성서울병원 스핀오프 기업이다. 바이오인포매틱스 기술 기반의 유전체 분석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연구중심병원 육성연구개발 지원사업을 통해 창업에 성공한 기업들 중 첫번째로 상장에 도전하는 기업이다. 지난 2년 여간 약 250억 원 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한 바 있다. 자체 개발한 바이오인포매틱스 알고리즘과 약 1만 5000건 이상의 한국인 임상-유전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암 정밀의료를 위한 유전체진단 서비스인 ‘캔서스캔(CancerSCAN)’을 상용화했다. 이와 함께 혈액을 이용한 액체생검 진단 서비스 ‘리퀴드스캔(LiquidSCAN)’과 단일세포 분석 서비스 ‘셀리너스(Celinus)’ 등의 분석 플랫폼을 구축해 국내외 병원 및 제약사, 연구진에게 선보이고 있다. 지니너스는 암 조직검사에서부터 싱글셀 분석까지 암 유전자 진단을 위한 모든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해외 파트너사와의 연구협력을 통해

  •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증권신고서 제출…10월 상장 예정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 증권신고서 제출…10월 상장 예정

    ≪이 기사는 09월16일(17:2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친환경 반도체 공정장비 전문기업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이 16일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공모 절차를 본격 추진한다.2005년 설립된 지엔비에스엔지니어링은 친환경 반도체 공정장비 개발과 생산을 주력사업으로 하고 있다. 주요제품은 반도체 공정상 발생한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스크러버’이다. 이 외에 진공펌프 배관의 파우더를 최소화하는 ‘파우더트랩’과 공장 냉각탑 백연을 저감하는 ‘백연저감장치’도 생산하고 있다.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의 스크러버는 반도체뿐 아니라 태양광, 디스플레이, LED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되고 있다. 스크러버 고객사의 70%가 해외 업체로 다양한 산업군의 글로벌 비즈니스 파트너를 확보하고 있다.또한 최근 ESG 경영 확대로 환경을 중시하는 글로벌 트렌드가 형성되면서 지앤비에스엔지니어링의 ‘무폐수 스크러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무폐수 스크러버는 기존 스크러버와 달리 물 사용과 폐수 발생 없이 공정상 유해가스를 처리할 수 있다. 이미 SK하이닉스에 수백여대를 검증받아 국내 일부 반도체 공정상 운영중에 있으며 점차 그 비중이 증가할 전망이다.지앤비에스앤지니어링은 상장 후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로 성장을 주도한다는 전략이다. 최근에는 글로벌 반도체 선도기업 ‘인텔(INTEL)’과 NDA체결하고,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수주를 진행될 예정이다. 국내 소부장 기업 중 인텔에 자체 브랜드로 최초 공급되는 사례다. 한국과 중국시장을 기반으로도 해외시장 확대에 나선다. 가뭄으로

  • 스타와 채팅하는 플랫폼 회사 디어유, 코스닥 상장예심 통과  [마켓인사이트]

    스타와 채팅하는 플랫폼 회사 디어유, 코스닥 상장예심 통과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9월15일(11:3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글로벌 팬 메신저 플랫폼 기업 디어유는 코스닥 상장을 위한예비심사를통과했다고 15일 밝혔다. 상장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2017년 설립된 이 회사는 팬덤기반의 글로벌 팬 메신저 플랫폼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아티스트와 팬이 소통하는 글로벌 팬 메신저 플랫폼 디어유 버블. 스마트 노래방 어플리케이션 에브리싱이 회사의 대표 서비스다. 핵심 플랫폼인 디어유 버블은 아티스트와 팬의 프라이빗 메신저 구독 서비스로 아티스트와 팬 모두가 사용 만족도가 높아 빠르게 시장을 형성하며 성장하고 있다. 디어유 버블은 지난해 출시 후 현재 약 120만 이상의 구독수를 확보하고 있으며, 해외 매출 비중이 70%에 달한다.SM엔터테인먼트, JYP엔터테인먼트, FNC엔터테인먼트, 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 등 21개의 국내 엔터테인먼트 회사와 계약을 맺어 총 49개의 그룹 솔로 아티스트, 202명의 아티스트와 함께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매출은 184억원, 영업이익은 66억원으로 집계됐다. 반기 매출은 지난해 전체 매출액(130억원)을 뛰어넘으며 가파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영업이익률은 36%에 달한다.  디어유는 글로벌 팬 메신저 플랫폼을 시작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영역을 확장해나갈 계획이다. 유명 가수 외에 팬덤층이 두터운 스포츠스타, 배우 등 신규 IP를 지속 영입해 구독수 성장을 촉진하고 매출 증진을 이룬다는 방침이다. 안종오 대표이사는 "강력한 IP를 기반으로, 가상과 현실 초월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

  • 이성제 원준 대표 "한국 넘어 글로벌 No.1 열처리 솔루션 기업될 것"

    이성제 원준 대표 "한국 넘어 글로벌 No.1 열처리 솔루션 기업될 것"

       ≪이 기사는 09월14일(05:5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해외 업체들에 비해 납품실적, 기술력, 연구개발(R&D) 등에서 전혀 뒤쳐지지 않습니다. 국내 열처리 솔루션 업체 매출 규모 1위에서 더 나아가 한국 국가대표 장비회사가 되겠습니다." 코스닥 상장을 앞둔 첨단소재 열처리 솔루션기업 원준의 이성제 대표이사는 "상장 후 해외 시장에 본격 진출해 글로벌 NO.1 열처리 솔루션 업체가 되겠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2008년 설립된 원준은 첨단 소재를 생산하기 위한 필수 공정인 열처리 솔루션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열처리란 원재료에 고온의 열과 특정 가스를 공급해 원하는 특성을 가진 소재를 생산하는 공정이다. 국내 업체 중 2차전지 양극재 생산용 열처리 장비인 RHK(Roller Hearth Kiln) 소성로를 가장 많이 제작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소재 생산 공정에 대한 EPC(설계·조달·시공) 솔루션도 제공하고 있다. 이 대표는 원준이 그동안 일본, 독일 등 해외 업체에 의지하던 열처리 솔루션 시장을 국산화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2차전지 양극재 부문에서는 매출액 면에서 일본 업체와 비등한 수준으로 올라왔다"면서 "작년에는 일본에서 전량 수주했던 2차전지 음극재 열처리 장비를 처음으로 수주하며 시장도 확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원준의 강점으로 전체 인원의 60%에 달하는 R&D 전문 인력을 꼽았다. 그는 "해외 열처리 업체 중 연구개발에 집중하는 곳은 거의 없다"면서 "인지도가 적은 우리 회사로서는 고부가가치 기술을 개발 및 설계해서 부가가치 창출하는게 경

  • 이성제 원준 대표 "한국 넘어 글로벌 No.1 열처리 솔루션 기업될 것"

    이성제 원준 대표 "한국 넘어 글로벌 No.1 열처리 솔루션 기업될 것"

    ≪이 기사는 09월14일(05:5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해외 업체들에 비해 납품실적, 기술력, 연구개발(R&D) 등에서 전혀 뒤쳐지지 않습니다. 국내 열처리 솔루션 업체 매출 규모 1위에서 더 나아가 한국 국가대표 장비회사가 되겠습니다." 코스닥 상장을 앞둔 첨단소재 열처리 솔루션기업 원준의 이성제 대표이사는 "상장 후 해외 시장에 본격 진출해 글로벌 NO.1 열처리 솔루션 업체가 되겠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2008년 설립된 원준은 첨단 소재를 생산하기 위한 필수 공정인 열처리 솔루션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열처리란 원재료에 고온의 열과 특정 가스를 공급해 원하는 특성을 가진 소재를 생산하는 공정이다. 국내 업체 중 2차전지 양극재 생산용 열처리 장비인 RHK(Roller Hearth Kiln) 소성로를 가장 많이 제작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소재 생산 공정에 대한 EPC(설계·조달·시공) 솔루션도 제공하고 있다. 이 대표는 원준이 그동안 일본, 독일 등 해외 업체에 의지하던 열처리 솔루션 시장을 국산화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2차전지 양극재 부문에서는 매출액 면에서 일본 업체와 비등한 수준으로 올라왔다"면서 "작년에는 일본에서 전량 수주했던 2차전지 음극재 열처리 장비를 처음으로 수주하며 시장도 확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원준의 강점으로 전체 인원의 60%에 달하는 R&D 전문 인력을 꼽았다. 그는 "해외 열처리 업체 중 연구개발에 집중하는 곳은 거의 없다"면서 "인지도가 적은 우리 회사로서는 고부가가치 기술을 개발 및 설계해서 부가가치 창출하는게 경쟁력 확보

  • 바이오플러스, 공모 청약 첫날 44.21대 1 경쟁률

    바이오플러스, 공모 청약 첫날 44.21대 1 경쟁률

    ≪이 기사는 09월13일(16:5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생체재료 기반 바이오 기업 바이오플러스가 일반 투자자 대상으로 한 공모주 청약 첫날 44.21대 1의 경쟁률이 나왔다. 상장 주관을 맡은 키움증권은 공모 첫날인 13일 전체 공모 주식 수 35만주에 대해 1547만3500주(7만4035건)가 청약됐다고 밝혔다. 공모가는 3만1500원, 증거금은 2437억원 규모다. 증권업계에서는 둘째날인 14일 청약 신청이 더 많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 8~9일 진행한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1220.15대 1의 양호한 경쟁률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바이오플러스는 고분자 생체재료 기반 의료기기와 바이오 제품 전문 생산 기업이다. 미용성형 제품인 더말필러(Dermal Filleeer)와 유착방지제, 관절조직수복재 등을 주력으로 한다. 현재는 차세대 보툴리눔 톡신, 다이어트 주사제 연구개발 등 바이오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삼고 있다. 윤아영 기자 youngmoney@hankyung.com 

  • '채시라 남편' 김태욱 대표, 코스닥 상장 후 기업가치는? [마켓인사이트]

    '채시라 남편' 김태욱 대표, 코스닥 상장 후 기업가치는?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9월10일(16:5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배우 채시라의 남편이자 가수 출신 기업가 김태욱 대표가 최대주주인 아이패밀리SC가 다음 달 기업공개(IPO)에 나선다. 기업가치로는 공모가 상단 기준 약 2000억원을 제시했다. 김 대표는 구주매출을 통해 45억원을 확보할 전망이다. 아이패밀리는 코스닥 상장을 통해 97만8000주를 공모한다고 10일 공시했다. 공모가는 3만9000~ 4만8000원으로 다음 달 18~19일 일반 청약에 돌입한다.기업가치는 공모가 상단 기준 약 2000억원이다. 지난 6월 거래소에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했을 때 제시했던 4만5700~5만1900원보다 가격을 낮췄다. 김 대표는 구주매출을 통해 공모가 상단 기준 45억 원의 현금을 확보한다. 이번 공모는 신주모집 81만9200주(공모주식의 83.8%)와 구주매출 15만8800주(공모주식의 16.2%)로 이뤄졌다. 김 대표는 9만3300주를 매각한다. 김성현 공동 대표도 6만5500주의 구주매출을 통해 약 31억 원을 현금화할 예정이다. 두 공동 대표의 지난해 연봉(7억원) 5배 이상을 상장으로 벌어들이게 되는 셈이다. 2000년 2월 설립된 이 회사는 아이웨딩네트웍스가 전신이다. 초기 웨딩사업으로 시작했으나 2012년 사명을 바꾸고 색조화장품 기업으로 변신했다. 전체 매출에서 뷰티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90%를 넘는다. 웨딩사업 비중은 10% 미만이다.이 회사는 2016년 색조 메이크업 브랜드 롬앤(rom&)을 런칭해 성공을 거뒀다. 롬앤의 색조 제품은 중화권, 동남아권,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 진출했으며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미국, 러시아, 중동, 유럽 등 20여개 국에 수출되고 있다. 파워 인플루언서와 SNS 마케팅을 적극 활용해

  • '불닭 소스' 에스앤디, 공모가 2만8000원…올해 첫 희망밴드 하단 미만 결정

    '불닭 소스' 에스앤디, 공모가 2만8000원…올해 첫 희망밴드 하단 미만 결정

    ≪이 기사는 09월10일(15:1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붉닭볶음면 소스 제조업체인 에스앤디가 코스닥 상장 공모 가격을 공모희망밴드 하단보다 낮게 결정했다. 올해 들어 공모가가 희망밴드 미만에서 결정된 첫번째 기업이다. 에스앤디는 지난 7~8일 국내외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수요예측에서 336곳의 기관이 참여해 173.11대 1의 경쟁률을 냈다고 9일 공시했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 중 희망밴드(3만~3만2000원) 하단인 3만원 미만을 제시한 곳이 전체의 72.8%에 달했다. 의무보유 확약을 한 기관도 단 한 곳에 불과했다. 주관을 맡은 유진투자증권과 에스앤디는 수요예측 결과와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확정 공모가액을 2만8000원으로 결정했다. 이번 공모가격은 현재 코넥스에서 거래되는 에스앤디의 1주당 가격 3만2000원(9일 종가)보다도 훨씬 낮은 수준이다. 여경목 에스앤디 대표이사는 “최근 침체되고 있는 공모주 시장 상황 등 여러가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시장친화적인 공모가를 확정했다”고 말했다. 유진투자증권 관계자도 "최근 공모가가 높게 형성되는 IPO 시장 상황에서 코넥스에서 코스닥으로 이전 상장하고 있는 기업들에 대한 분위기가 좋지 않은 점을 고려했다"면서 “에스앤디의 공모주 투자 매력이 증가한 만큼 일반 공모청약에 관심이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공모가격이 희망밴드보다 낮게 책정된 것은 올 들어 처음이다. 공모주 흥행 열풍이 불면서 올해 대부분의 공모 기업들이 희망밴드 상단에서 공모가를 결정하거나 초과하기도 했다. 올 들어 희망밴드 하단에서 가격이 결정된 공모

  • 디스플레이장비社 나래나노텍, 코스닥시장 나선다 [마켓인사이트]

    디스플레이장비社 나래나노텍, 코스닥시장 나선다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9월09일(08:2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디스플레이 제조장비를 만드는 나래나노텍이 코스닥시장 상장을 추진한다.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나래나노텍은 최근 한국거래소에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심사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 증시에 입성할 전망이다. 미래에셋증권이 상장 주관을 맡았다.1995년 설립된 나래나노텍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액정표시장치(LCD) 등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데 쓰이는 각종 제조장비를 만들고 있다. 경기 용인에 본사를 두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중국 BOE, 일본 샤프 등을 고객으로 두고 있다. 지난해 영업이익 56억원을 내며 흑자전환했다. 매출은 828억원으로 2019년보다 92.5% 증가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협동로봇부터 의료로봇까지... 로봇 업계에 VC '주목' [마켓인사이트]

    협동로봇부터 의료로봇까지... 로봇 업계에 VC '주목'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9월08일(08:0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로봇업계에 벤처 투자금이 몰리고 있다. 업계 성장세에 힘입어 기업공개(IPO) 시장에서도 로봇 스타트업이 인기다.8일 벤처캐피털(VC) 업계에 따르면 로봇 자동화 솔루션 기업 로보콘은 딥다이브투자파트너스, 무림캐피탈 등으로부터 100억원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올 초 젠티움파트너스로부터 초기(시드) 투자를 받은 뒤 두 번째 기관 투자다. 로보콘은 지난해 11월 문을 연 신생 회사다. 대한제강그룹 계열 대한네트웍스의 로봇 사업부가 분사해 설립됐다. 건설과 철강 분야에서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주력 제품은 철강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로봇 솔루션 '아론'이다. 위험하고 무거운 금속류를 다루는 현장에서 로봇을 활용해 안전성과 품질은 높이고 노동력은 절감하는 효과를 가졌다. 아론은 싱가포르, 영국 등에 수출했고 대만, 이탈리아 기업과도 공급을 협의하고 있다. 협동로봇을 만드는 뉴로메카 역시 지난달 140억원 규모의 시리즈D 투자 라운드를 마무리했다. DSC인베스트먼트, 코오롱인베스트먼트, 더웰스인베스트먼트 등이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2013년 회사 설립 이후 누적 투자금은 410억원이 됐다.이 회사가 2018년 내놓은 내놓은 협동로봇 '인디'는 중소기업들의 제조 공정과 식음료 조리공정에 사용되고 있다. '로봇 팔' 형태의 협동로봇은 인간과 같은 공간에서 작업할 수 있고, 안전펜스 설치 등 별도의 조치가 필요없어 도입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회사가 출시한 인디는 충돌을 감지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 반도체 부품제조사 지오엘리먼트, 10월 코스닥 상장  [마켓인사이트]

    반도체 부품제조사 지오엘리먼트, 10월 코스닥 상장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9월08일(14:5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반도체 부품제조사 지오엘리먼트가 8일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공모 절차에 돌입했다.지오엘리먼트는 이번 상장으로 154만7000주를 공모한다. 희망공모가는 7600~8700원, 총 공모금액은 118억~135억원 규모다. 다음 달 6일~7일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같은 달 12~13일 일반청약을 진행한다.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2005년 설립된 이 회사는 반도체 공정 중 금속 배선 공정에 쓰이는 ALD(원자층 증착)와 PVD(물리적 증착) 공법의 핵심 부품 및 소재를 공급하고 있다. 기술성 평가에서 A, A 등급을 획득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지난해 매출은 132억원, 영업이익 29억원으로 각각 전년대비 38%, 124%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매출은 116억원, 영업이익 39억원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주관사 측은 지오엘리먼트의 기업가치를 795억원으로 평가했다. 유진테크, 테스, 에이피티씨, 주성엔지니어링, 러셀, 원익아이피에스, 피에스케이 등 7개 회사를 비교회사로 선정하고 이들의 평균 주가수익비율(PER) 12.81배를 적용했다. 주당 평가가액은 1만2606원으로 여기에 할인율 39.71~30.99%를 적용해 공모가를 도출했다. 공모가 상단 기준 시가총액은 550억원이다.   신현국 지오엘리먼트 대표이사는 “선도적인 기술력을 기반으로 국내 반도체 박막 증착 시장을 선도하며 독보적 진입장벽을 형성했다”며 “반도체 부품에서 모듈, 소재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하여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 

  • 디스플레이장비社 나래나노텍, 코스닥시장 나선다

    디스플레이장비社 나래나노텍, 코스닥시장 나선다

    디스플레이 제조장비를 만드는 나래나노텍이 코스닥시장 상장을 추진한다.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나래나노텍은 최근 한국거래소에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심사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 증시에 입성할 전망이다. 미래에셋증권이 상장 주관을 맡았다.1995년 설립된 나래나노텍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액정표시장치(LCD) 등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데 쓰이는 각종 제조장비를 만들고 있다. 경기 용인에 본사를 두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중국 BOE, 일본 샤프 등을 고객으로 두고 있다. 지난해 영업이익 56억원을 내며 흑자전환했다. 매출은 828억원으로 2019년보다 92.5% 증가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