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술품 경매사 K옥션, 1월 코스닥 상장…시총 1782억원 도전
미술품 경매회사 케이옥션이 다음 달 코스닥 상장을 추진한다. 케이옥션은 15일 금융감독원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기업공개(IPO)에 돌입했다.케이옥션의 총 공모주식수는 160만주, 제시한 희망 공모가 밴드는 1만7000원~2만원으로 총 공모금액은 약 272~320억 원 규모다. 다음 달 6~7일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12~13일 청약을 거쳐 1월 내 코스닥에 상장할 예정이다. 대표 주관사는 신영증권이다. 2005년 설립된 케이옥션은 2006년 업계 최초로 온라인 경매를 시작한 미술품 경매회사다. 미술품 경매 사업, 미술품 판매 사업, 미술품 중개 사업 등을 하고 있다. 고도화된 미술품 평가 노하우를 기초로 대규모의 미술품 처분과 유동화거래도 진행하고 있다. 2021년 상반기 기준 국내 미술품 경매 시장에서 42%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 회사의 핵심경쟁력은 미술품 관리 플랫폼 ‘케이오피스’이다. 회사 측은 "미술품의 유통, 평가, 감정 관련 정보가 축적된 미술품 종합 관리 시스템"이라며 "미술품 판매를 위한 가격 산정, 미술품의 보관, 회원 관리와 영업관리 등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케이옥션은 크리스티, 소더비, 필립스와 같은 세계 3대 메이저 경매회사 및 해외 주요 갤러리와 상시적으로 거래를 주고받으며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또 자회사들을 통해 잠재력 있는 신진작가 발굴 및 지원, 해외 주요 미술품 소싱 및 거래, 미술품 관련 신규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 회사의 올 1~3분기 매출은 231억원, 영업익은 105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은 242억원으로 전년 306억원보다
-
스튜디오산타클로스,산타클로스빌리지 지분 100%로 확대
코스닥시장 상장사인 스튜디오산타클로스는 10일 종속회사인 산타클로스빌리지의 주식 100만주를 500억원에 취득했다고 공시했다. "리조트사업을 하는 산타클로스빌리지를 통해 신규사업에 진출하기 위한 것"이라고 회사측은 밝혔다.취득금액은 자기자본의 10.01%에 해당한다. 이번 취득으로 스튜디오산타클로스가 보유한 산타클로스빌리지의 지분은 100%(512만주)가 됐다. 풋옵션 등 다른 조건은 없다.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
내츄럴엔도텍,엔도더마 주식 25억여원어치 취득
코스닥시장 상장사인 내츄럴엔도텍은 10일 화장품 제조사인 엔도더마의 주식 25만5992주를 25억5992만원에 취득한다고 공시했다. 종속회사인 엔도더마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유상증자에 참여키로 한 것이다.취득금액은 자기자본의 16.18%에 해당한다. 이번 취득으로 내츄럴엔도텍이 보유한 엔도더마의 지분은 47.18%(94만3509주)가 된다. 취득예정일은 오는 23일이다.마켓인사이트 뉴스룸 insight@hankyung.com
-
초록뱀미디어,후크엔터테인먼트 지분 100%를 440억원에 인수
코스닥시장 상장사 초록뱀미디어가 후크엔터테인먼트의 지분 100%(1만주)를 440억원에 인수했다. 초록뱀미디어 자기자본의 13.89%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권진영 후크엔터테인먼트 대표 등이 보유한 구주를 현금으로 취득하는 방식이다. 이사회 의결일은 9일이고 이날 주식 양수도 계약을 마무리했다. 풋옵션 등 다른 조건은 없다.초록뱀미디어는 이날 공시를 통해 "사업다각화를 통한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공연기획 및 제작, 연예인 매니지먼트 사업을 하고 있는 후크엔터테인먼트의 주식 양수를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이 회사는 앞서 후크엔터테인먼트의 적정가치 산출을 위해 대주회계법인을 통해 외부평가를 실시했다. 대주회계법인은 후크엔터테인먼트 지분 100%의 적정가치를 436억~447억원 수준으로 평가했다.후크엔터테인먼트에는 배우 윤여정, 이서진, 이승기 등과 가수 이선희 등이 소속돼있다.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
셀트리온헬스케어 최대주주,셀트리온홀딩스 외 34명으로 변경
코스닥시장 상장업체 셀트리온헬스케어는 6일 최대주주가 ㈜셀트리온헬스케어홀딩스 외 34명에서 ㈜셀트리온홀딩스 외 34명으로 변경됐다고 공시했다. 최대주주의 소유 주식 수(5906만8101주)와 지분율(38.1%)은 그대로다.회사측은 "셀트리온홀딩스가 셀트리온헬스케어홀딩스를 합병하면서 최대주주가 변경된 것"이라며 "기존에 두 지주회사가 존재하던 셀트리온그룹의 지배구조를 단일화하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
'대박' 말고 '쪽박'만 나오는 코넥스→코스닥 이전 상장
올해 코넥스서 코스닥으로 이전 상장한 기업들이 저조한 청약 경쟁률과 주가 하락으로 울상을 짓고 있다. 이전 상장 기대감에 오른 코넥스 주가와 공모가를 코스닥 상장 과정서 투자자들이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는 평이다. 2일 코넥스에서 코스닥 이전 상장을 진행 중인 툴젠이 공모청약 첫날 25만주 모집에 122만5000주가 신청되며 4.9대 1로 끝났다. 둘째날 청약 신청이 몰리는 것을 감안해도 낮은 수준이다. 툴젠은 기관 투자가들을 대상으로 한 수요예측에서도 29대 1이라는 저조한 경쟁률을 냈다. 올해 IPO시장 수요예측서 역대 최저 경쟁률이다. 이에 공모가격도 공모가 희망밴드(10만~12만원) 하단보다 낮은 7만원으로 결정했다. 여기에 주관을 맡은 한국투자증권에서 자발적으로 3개월간의 풋백옵션(환매청구권)을 걸었다. 풋백옵션은 상장 이후 주가 흐름이 부진하면 주관사가 공모주 투자자로부터 공모가의 90% 가격으로 다시 사준다는 약정이다. 그러나 이런 안정장치에도 공모 첫날 투자자들의 반응은 냉랭했다. IB(투자은행)업계에서는 툴젠이 미국에서 진행 중인 특허 분쟁 리스크에다 바이오 시장 전망에 대한 우려가 겹치면서 투자자들이 냉정하게 평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코넥스 시장서 이전 상장 기대감에 주가가 급등하며 투자자들의 시선과 멀어진 것이 흥행 실패 요인으로 꼽혔다. 툴젠은 이전 상장 기대감에 올 초 10만원 미만이던 주가가 지난 11월 14만8300원까지 올랐다. 비싸진 주가를 근거로 코스닥 희망 공모가밴드를 산정한 셈이다. 그러나 수요예측이 저조한 성과를 내며 2일 기준 코넥스 주가는 9만원까지 떨어졌다. 툴젠 외에도 올해 코넥스서
-
광진윈텍,발전업체 이웰 지분 100%를 90억원에 취득
코스닥에 상장한 자동차 부품 전문업체 광진윈텍은 발전사업 업체인 이웰의 주식 180만주(100%)를 90억원에 취득키로 했다. 취득금액은 자기자본대비 19.9%에 해당한다.회사측은 취득 목적을 "신규 사업 진출을 통한 사업다각화"라고 밝혔다. 현재 이웰의 총 발행주식(190만주)은 회생계획안 인가 전 주식 총수로, 전체 무상 소각 후 신주를 발행해 인수할 예정이다.회생절차를 밟고 있던 이웰은 제주도 서귀포에 있는 회사다. 자본금 규모는 9억5000만원. 이웰은 지난해 매출 10억8200만원, 순손실 30억원을 기록했다.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
신한벤처투자, IPO '바이옵트로' 투자금 회수 마무리
신한벤처투자가 코스닥시장 이전상장에 성공한 인쇄회로기판(PCB) 검사장비 제조기업 바이옵트로의 투자금 회수를 마무리했다. 두 배 이상의 차익을 실현했다.26일 벤처캐피털(VC) 업계에 따르면 신한벤처투자는 갖고 있던 바이옵트로의 지분 약 74만주를 장내매도해 45억원가량을 현금화했다. 주당 단가는 6000원 수준이다. 신한벤처투자는 2018년 코넥스시장에 상장돼 있던 바이옵트로의 전환사채(CB) 20억원어치를 사들인 바 있다. '경기-네오플럭스 슈퍼맨투자조합', '신한-네오플럭스 신산업 투자조합' 2개의 펀드를 통해서다. 당시 이를 통해 지분 약 10.44%를 확보했다.CB는 바이옵트로의 이전상장을 앞두고 지난 7월 전량 보통주로 전환됐다. 전환가액은 2700원이었다. 신한벤처투자는 이번 회수를 통해 투자 원금 대비 약 2.3배의 수익을 거두게 됐다.바이옵트로가 기업공개(IPO) 과정에서 예상보다 저조한 성적을 거두면서 신한벤처투자의 회수 성과도 아쉬움이 남는다는 평가다. 바이옵트로는 IPO 수요예측에서 흥행에 실패하며 공모가를 희망 범위(7500~8500원) 하단인 7500원으로 확정했다. 청약에서도 두 자릿수 경쟁률에 그쳤다. 상장 첫날 14% 하락하는 등 부진을 면치 못했다. 이에 따라 신한벤처투자 역시 빠르게 회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2000년 설립된 바이옵트로는 PCB 검사장비를 만들고 있다. PCB에 부품이 장착되기 전 검사를 통해 단락과 합선의 불량을 판별하는 장비다. PCB는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과 구동을 위해 활용되는 부품이다. 지난해 매출 161억원, 영업이익 30억원을 나타냈다. KB인베스트먼트, 포스코기술투자, BHN인베스트먼트 등의 투자를 받았다.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
[CEO 인터뷰] ‘4번째 이전상장 도전’ 툴젠 “코스닥에선 몸값 10兆 기업 도약”
“더 큰 시장인 코스닥으로 무대를 옮겨 기업가치 10조원 이상 기업으로 성장하겠습니다.”이병화 툴젠 대표(사진)는 22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7년 전 코넥스시장에 상장한 이후 연이은 투자 유치로 몸값 1조원대 기업으로 도약했다”며 이 같이 말했다. 툴젠은 1999년 설립된 바이오업체로 유전자 교정(유전자 가위)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 회사의 유전자 교정기술은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과 식물 등 유전자를 가진 모든 생명체에 적용할 수 있다. 현재 코넥스시장 시가총액 1위인 툴젠은 다음달 코스닥시장으로 이전 상장할 예정이다.툴젠의 코스닥 입성 도전은 이번이 네 번째다. 이 회사는 2015년과 2016년 기술 특례상장을 시도했지만 한국거래소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 2018년에는 유전자 교정 원천 기술 특허권과 관련한 분쟁에 휘말리면서 상장을 철회했다.이 대표는 “과거 세 차례 이전 상장을 시도했을 때보다 유전자 교정 기술의 경쟁력이 한층 강화됐다”고 강조했다. 툴젠은 현재 한국을 비롯해 미국, 중국, 일본 등 9개 국가에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교정에 대한 원천 특허를 등록해놓았다. 기술이전 계약도 이어지고 있다. 몬산토, 써모피셔, 키진을 포함해 지금까지 총 18개 기업과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올 들어 맺은 기술이전 계약만 7건이다. 이 대표는 “유전자 교정기술을 적용한 신약을 개발하려는 기업들은 우리와 기술이전 협상을 하게 될 것”이라며 “특허 수익화 사업이 궤도에 오르면 반도체산업의 퀄컴처럼 플랫폼 기업으로 올라설 수 있다”고 설명했다.툴젠은 특히 유전자 교정을 활용한 신약 개발사업에 기
-
상장 후 254% 뛴 디어유, VC들도 '함박웃음'
코스닥시장 기업공개(IPO)에 성공한 디어유의 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이 회사에 투자한 벤처캐피털(VC)들도 미소짓고 있다. 평가이익이 투자 원금 대비 최대 20배에 달하게 됐다. 17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디어유의 주가는 전날보다 1900원(2.11%) 오른 9만2000원을 기록했다. 상장 첫날 장중 '따상(시초가가 공모가의 2배로 형성된 뒤 상한가)'을 터치하며 28% 상승폭을 기록한 데 이어 이후 주가가 더 올랐다. 이날까지 공모가 대비 254% 높은 주가를 기록하고 있다. '팬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이라는 독특한 사업모델에 최근 증시에 부는 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 열풍까지 겹친 덕이다. 디어유는 청약 과정에서 1500 대 1이 넘는 경쟁률을 기록했고 증거금으로 17조원을 끌어모았다. 시가총액은 1조7572억원으로 JYP(1조9666억원)와 에스엠(1조9930억원)에 육박하는 수준이다.디어유의 높아진 몸값 덕에 VC들은 쏠쏠한 차익을 기대하고 있다. 가장 눈여겨볼 투자자는 SBI인베스트먼트다. 지난 2월 말 디어유가 80억원 규모 투자를 유치할 당시 44억원을 베팅했다. 이를 통해 전환우선주(CPS) 88만 주를 확보했다. 전환가격은 5000원인데, 이날 종가 기준으로 지분가치는 810억원까지 치솟았다. 투자금 회수에 나선다면 원금의 18배 넘는 차익을 기대할 수 있는 셈이다.유니온투자파트너스 역시 투자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개 펀드를 통해 CPS와 보통주를 보유 중이다. 2017년 전환사채(CB) 5억원어치를 사들인 데 이어 올해 초 11억원을 추가로 투자한 바 있다. CB는 지난 3월 전량 보통주로 전환됐다. 각각 전환가격이 4000~5000원 수준임을 고려하면 회수를 통해 투자 원금 대비 20배 가까운 현금을 손에 쥘 전
-
레이저 의료기기 전문기업 레이저옵텍, 하나금투와 대표주관 계약
의료용 레이저 전문기업 레이저옵텍은 지난 15일 하나금융투자와 코스닥 상장을 위한 대표주관사 계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상장 준비에 들어간다고 16일 밝혔다.2000년에 설립된 레이저옵텍은 세계 최초로 건선·백반증 치료에 활용되는 311nm 파장의 고체 UV 레이저 팔라스(PALLAS)를 독자 개발했다. 피코초 레이저인 피콜로(PicoLO) 레이저로 ‘2019 대한민국 기술대상’과 ‘2020 이달의 산업기술상’을 수상했다. 최근에는 큐스위치 엔디야그(Q-switched Nd:YAG) 레이저와 785nm 피코초 레이저가 한 장비에 탑재된 헬리오스785 레이저를 출시했다. 고출력의 785nm 피코초는 세계적으로 전례가 없는 높은 사양이다. 이 장비는 출시와 동시에 유럽의 CE 승인을 받았다. 이창진 레이저옵텍 대표는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안정적인 제품 공급으로 국내 및 아시아 시장에서 높은 신뢰를 쌓아 왔으며, 최근에는 인지도 있는 해외 키 닥터 확보와 글로벌 영업망 구축에 공을 들여 왔다”며 “코스닥 상장 추진과 함께 미국 등 해외 선진시장 공략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한편 레이저옵텍의 대표주관사로 선정된 하나금융투자는 다수의 기술특례 상장을 성공시키는 등 기술 기업의 상장에 특화된 전문성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하나금융투자와 레이저옵텍은 내년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레이저옵텍의 주 매출은 피부미용 레이저 장비이다. 작년 매출액 120억원에서 올해는 50% 이상 성장한 180억 원 이상으로 전망된다.윤아영 기자 youngmoney@hankyung.com
-
기평 탈락했던 이뮨메드, IPO 재도전..내년 코스닥 입성 목표
지난해 기술성 평가에서 탈락해 상장이 무산됐던 이뮨메드가 기업공개(IPO)를 다시 추진한다.1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이뮨메드는 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내년 3월 코스닥 시장에 입성하는 것이 목표다. 2000년 설립된 이 회사는 항바이러스 단백질 ‘hzVSF’로 B형 간염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이 물질은 창업자인 김윤원 한림대 의대 교수가 발견한 것으로 지난 6월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버피랄리맙’이라는 공식 성분명을 부여받았다. 버피랄리맙은 동물시험에서 감염 세포 내 바이러스 이동과 복제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 결과가 나오는 2023년 기술이전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뮨메드는 이 물질로 코로나19 치료제도 개발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와 러시아, 이탈리아에서 임상 2상을 완료했다. 총 63명의 임상 대상자 중 19명에게 가짜약을 투약했을 때 치료 실패율은 15.8%였고 22명에게 버피랄리맙을 투여했을 때 실패율은 9.1%로 나타났다. 이뮨메드는 러시아와 이탈리아에서 진행 중인 임상 결과를 추가로 확보해 글로벌 임상 3상을 추진할 계획이다.지난해 매출은 3억2000만원으로 지난해 4억7000만원 대비 줄었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은 130억원으로 전년(83억원) 대비 늘었다. 상업화에 성공한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이 없어 개발단계가 진행될 수록 적자가 늘어나는 구조다. 기업가치는 5000억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3일 프리 IPO(상장 전 지분투자)를 통해 120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초기 투자자인 SV인베스트먼트(50억원), 멀티에셋자산운용(50억원), UTC인베스트먼트(20억원) 등이 참여했다. 투자
-
롯데, 와디즈 2대주주 된다
롯데지주가 국내 1위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인 와디즈의 2대주주 자리에 오른다. 1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롯데지주는 와디즈가 진행하고 있는 프리IPO(상장 전 지분투자)에 800억원을 투자해 2대주주 지위를 얻는다. 신주와 구주를 섞은 형태로 투자가 이뤄지며 구주 할인율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기존 재무적투자자(FI) 중 일부는 지분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이번 투자에서 와디즈의 기업가치는 투자 후(Post-value) 기준 약 5500억원으로 평가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와디즈는 2019년 300억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를 유치한 데에 이어 지난해 말 KDB산업은행으로부터 100억원 규모의 추가 투자를 받은 바 있다. 와디즈는 내년을 목표로 코스닥시장 기업공개(IPO)를 준비 중이다. 상장 대표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과 신한금융투자다.2012년 설립된 와디즈는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스타트업의 자금 조달, 신규 고객 확보, 홍보·마케팅 등을 돕는 회사다. 그동안 와디즈 크라우드펀딩으로 스타트업들이 끌어모은 자금은 5600억원에 달한다. 최근에는 품질이 우수한 펀딩 제품을 선정해 상시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인 와디즈스토어를 열기도 했다.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
유태준 마인즈랩 대표 "AI로 2년 안에 기업가치 1조 만들 것"
'AI(인공지능)가 발전하게 되면 인간의 일자리가 사라질까. 오히려 인간은 더 창의적인 일에 집중하고, 산과 바다로 여행을 즐기며 살 수 있지 않을까.'유태준 마인즈랩 대표(사진)는 이런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AI 서비스기업인 마인즈랩을 시작했다. 유 대표는 3일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AI의 개발을 통해 인간이 보다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기를 바라며 마인즈랩을 설립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2014년 설립된 마인즈랩은 초기에는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사업을 진행했다. 4년 전부터 본격적으로 AI 개발에 들어가 지난 3월 종합 인공지능을 갖춘 세계 최초 AI인간을 개발했다.마인즈랩은 자체 개발한 40여개 AI엔진과 AI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커넥터(API connector)인 '마음(maum) 오케스트라'로 통합해 맞춤형 AI를 개발해준다. 회사는 인간이 AI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가장 큰 부분인 립싱크 분야에서 글로벌 최고 수준의 자체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현재 AI 고객 상담원, AI 돌보미, AI 경비원, AI 속기사 등 AI인간을 삼성전자, 포스코, 신한은행, 하나은행, 현대해상 등에 공급하고 있다. 유 대표는 "기본 노동과 감정 노동은 AI와 로봇이 대체하면 인간은 AI 연구 같은 창의적인 영역에서 이전보다 1000배쯤 더 많은 일자리를 찾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마인즈랩의 AI는 2년 전 보험회사 콜센터 고객 상담원부터 시작했다. 초반에는 간단한 보조를 맡다가 최근에는 30여분간 상담을 맡으며 실제 상담원을 대체하기 시작했다. 유 대표는 "사람들이 퇴근하는 시간에도 응대가 가능하고, 고객 상담원의 감정 노동 스트레스를 덜어줄 수 있다"면서 "보험 계약 성공률도 인간(40%)
-
디지털금융플랫폼 아이티아이즈, 청약 경쟁률 633.61대 1
코스닥 상장을 추진 중인 아이티아이즈가 지난 1일부터 이틀간 진행한 공모주 청약에서 2조원대의 증거금을 모집했다.상장 주관을 맡은 신한금융투자에 따르면 총 공모주식수 177만7000주의 25%인 44만4250주에 대해 2억8148만1470주의 청약이 접수됐다. 청약 경쟁률은 633.61대 1, 청약 증거금은 약 2조 126억원으로 집계됐다. 아이티아이즈는 앞서 지난달 25일과 26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공모가를 희망가 밴드(1만2500원~1만4300원) 상단인 1만4300원으로 확정했다. 당시 수요예측은 국내외 총 1659개 기관이 참여해 1601.14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회사는 이번 공모를 통해 공모가 기준 약 236억원(신주 93.2% 기준)을 조달한다. 이 자금은 연구개발 및 운영자금 등으로 활용된다. 특히 회사는 금융 신규 사업 개발 및 신규 서비스, 의료 마이데이터 플랫폼 개발, 신기술 개발 및 신사업 확장을 위한 연구개발, 글로벌 시장 진출 본격화 등에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아이티아이즈의 코스닥 상장 예정일은 오는 11일로, 상장 후 시가총액은 공모가 기준 854억원 규모이다. 이성남 아이티아이즈 대표이사는 “상장을 계기로 주력 사업인 디지털 금융 솔루션의 기술력과 서비스를 강화하는 한편, AI·빅데이터 플랫폼, 디지털 헬스케어, B2C 비즈니스 등 신사업을 확대함으로써 회사의 미래 성장 동력을 창출해 나갈 것”이라며 “지속적인 기술 고도화와 적극적인 글로벌 전략을 통해 세계적인 디지털 금융·헬스케어 비즈니스 선도 기업으로 도약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아이티아이즈는 디지털 금융 기반 플랫폼 전문 기업으로 2012년 설립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