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에코프로비엠, 설립 후 첫 공모채 발행 추진 [마켓인사이트]

    에코프로비엠, 설립 후 첫 공모채 발행 추진 [마켓인사이트]

    2차전지 양극재를 만드는 에코프로비엠이 설립 후 첫 공모채를 발행한다. 1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에코프로비엠은 다음달 500억원 규모 회사채 발행을 검토하고 있다. 발행 주관은 NH투자증권과 키움증권이 맡았다. 만기는 1년과 2년으로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 에코프로비엠은 2016년 5월 에코프로의 2차전지 소재 부문이 물적분할해 설립됐다. 사모채를 몇 차례 발행하긴 했지만 공모채 발행은 이번이 처음이다. 신용등급도 이번에 처음 평가받는다. 회사채 시장 활황에 따라 채권 발행이 쉬워진 만큼 자금 조달원을 다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 에코프로비엠은 매년 꾸준히 설비투자를 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16년 말 1006억원(개별 재무제표 기준)이던 총차입금이 지난해 말 1970억원으로 늘었다. 주로 은행 대출로 조달했다. 2019년 유상증자로 1728억원을 조달하기도 했다. 매출과 이익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어 첫 공모채 발행이지만 흥행이 예상된다. 지난해 매출은 8552억원으로 전년보다 38.8%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560억원으로 50.9% 늘었다. 지난해 영업활동으로 창출한 현금은 1270억원에 이른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이 기사는 06월16일(10:3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 에코프로비엠, 설립 후 첫 공모채 발행 추진

    에코프로비엠, 설립 후 첫 공모채 발행 추진

    2차전지 양극재를 만드는 에코프로비엠이 설립 후 첫 공모채를 발행한다. 1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에코프로비엠은 다음달 500억원 규모 회사채 발행을 검토하고 있다. 발행 주관은 NH투자증권과 키움증권이 맡았다. 만기는 1년과 2년으로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 에코프로비엠은 2016년 5월 에코프로의 2차전지 소재 부문이 물적분할해 설립됐다. 사모채를 몇 차례 발행하긴 했지만 공모채 발행은 이번이 처음이다. 신용등급도 이번에 처음 평가받는다. 회사채 시장 활황에 따라 채권 발행이 쉬워진 만큼 자금 조달원을 다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 에코프로비엠은 매년 꾸준히 설비투자를 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16년 말 1006억원(개별 재무제표 기준)이던 총차입금이 지난해 말 1970억원으로 늘었다. 주로 은행 대출로 조달했다. 2019년 유상증자로 1728억원을 조달하기도 했다. 매출과 이익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어 첫 공모채 발행이지만 흥행이 예상된다. 지난해 매출은 8552억원으로 전년보다 38.8%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560억원으로 50.9% 늘었다. 지난해 영업활동으로 창출한 현금은 1270억원에 이른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 건설사 한라, BBB+신용등급에도 회사채 완판 [마켓인사이트]

    한라그룹 건설사 한라가 4년 만에 회사채 발행에 나서 넉넉한 투자금을 확보했다. 신용등급이BBB+ 등급에 불과하지만 공모주 하이일드 펀드의 자금이 몰린 덕분이다. 1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한라가 전날 진행한 300억원 규모 2년 만기 무보증 회사채 수요예측(사전청약)에서 모집 금액의 5배인 1500억원의 청약이 몰렸다. 한라는 회사채 발행 규모를 600억원까지 확대할지 여부를 검토중이다. 당초 희망금리로 제시한 개별민평금리(연 4.45% 가량) 대비 1.5%포인트 이상 낮은 금리에서 모집 물량을 채웠다. 증액을 해도 개별민평금리보다 1.45%포인트 낮은 약 3%가량의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한라는 회사채로 조달한 자금으로 제2금융권 채무를 상환할 계획이다.한라는 2017년 회사채 500억원 발행을 추진했으나 수요예측에서 주문이 50억원에 그치는 대규모 미매각이 발행해 체면을 구겼다. 그러나 이번엔 하이일드펀드를 운용하는 자산운용사들이 대거 채권 투자에 나섰다. 공모주 하이일드 펀드는 전체 자산의 45% 이상을 BBB+ 이하 회사채 또는 코넥스 주식으로 담아야만 공모주 물량의 5%를 우선 배정 받을 수 있다. 하반기에 LG에너지솔루션, 카카오뱅크, 크래프톤 등 공모주 대어들이 줄줄이 기업공개(IPO)를 실시한다.부동산 경기 활황으로 한라의 재무구조가 개선된 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라는 지난해  전년보다 20% 늘어난 1조5653억원의 매출(연결기준)과 967억원 규모 영업이익을 올렸다. 부채비율도 508.3%에서 341.9%로 떨어지면서 신용평가사들은 지난 4월 한라의 신용등급을 BBB에서 BBB+로 상향했다. 이번 회사채 발행은 한화증권과 키움증권이 주

  • 보령LNG터미널 회사채에 1600억원 매수 주문…5년 만에 공모채 발행 성공 [마켓인사이트]

    보령LNG터미널 회사채에 1600억원 매수 주문…5년 만에 공모채 발행 성공 [마켓인사이트]

    보령LNG터미널이 발행하는 회사채에 1600억원의 매수 주문이 들어왔다. 1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보령LNG터미널이 9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하기 위해 이날 기관 투자가를 상대로 진행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1600억원의 매수 주문이 들어왔다. 보령LNG터미널이 2016년 이후 5년 만에 발행하는 이 회사채는 5년 만기에 신용등급은 AA다. 증액 발행은 없다. KB증권과 한국산업은행이 발행 주관을 맡았다. 보령LNG터미널은 2013년 발전소용 천연가스 공급을 위해 GS에너지와 SK E&S가 합작 설립했다. 지분율은 각각 50%다. 지난해 매출은 1454억원, 영업이익은 562억원으로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갖고 있다. 조달한 자금은 전액 채무 상환에 쓴다. 2016년 6월 발행한 1000억원 규모 회사채 만기가 이번에 돌아온다. 차환 후 미상환 회사채 잔액은 3500억원이다. 다음 회사채 만기는 오는 11월 26일며, 2000억원어치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이 기사는 06월14일(17:3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 중견 건설사 한양, 회사채 완판 성공

    중견 건설사 한양이 회사채 투자수요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투자자들의 관심을 사로잡으며 모집금액의 다섯 배가 넘는 매수주문을 받았다.1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한양이 2년물 300억원어치를 발행하기 위해 전날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진행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1620억원의 매수주문이 몰렸다. 공모주 우선배정 혜택을 받는 하이일드펀드 운용사들과 증권사 소매판매(리테일) 등에서 적극적으로 매입 의사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증권과 NH투자증권이 발행 주관을 맡았다.비교적 높은 금리를 앞세워 투자자들의 시선을 끄는 데 성공했다는 분석이다. 한양은 수요예측을 앞두고 이번 회사채 희망금리 범위를 연 3.29~4.29%로 제시했다. 금리가 연 3%가 넘는 회사채를 보기 쉽지 않는 상황임을 고려하면 매력적인 수익률이라는 평가다. 한양의 신용등급은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여덟 번째인 ‘BBB+’다.한양은 투자자들이 낮은 금리로 주문을 내며 매수경쟁을 벌인 데 힘입어 당초 예상보다 자금 조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됐다. 채권 발행금액을 600억원까지 늘리더라도 연 2.9%대 금리로 조달하는 것이 가능할 전망이다. 최인호 상무(CFO) 등 재무 담당자들이 시장 분위기가 좋을 때 희망금리를 넓게 제시하는 전략을 꺼낸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다.한양은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바이오매스 발전사업 투자에 사용할 계획이다. 현재 바이오매스 발전소를 짓고 있는 광양그린에너지 지분 일부를 사들일 예정이다.   임근호/김진성 기자 eigen@hankyung.com 

  • DL에너지, 다음달 1200억원 공모채 발행 계획

    DL에너지, 다음달 1200억원 공모채 발행 계획

    DL에너지(옛 대림에너지)가 다음달 1200억원 규모 공모채를 발행한다. 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DL에너지는 다음달 2년물과 3년물을 각각 150억원과 1050억원 규모로 발행할 계획이다. NH투자증권과 KB증권이 발행을 주관한다. 이번 공모채 발행은 설립 후 세 번째다. 2015년부터 사모채를 발행하던 DL에너지는 2019년에 1000억원 규모로 첫 공모채를 발행했다. 당시 최초 500억원 모집에 4240억원이 몰리며 흥행했다. 지난해 9월 두 번째 공모채 발행 때도 매수 주문이 몰리며 발행 규모를 500억원에서 1000억원으로 늘렸다. DL에너지는 2013년 설립된 대림그룹의 중간지주사다. DL(옛 대림산업)이 지분 70%, 대림(옛 대림코퍼레이션)이 지분 30%를 보유하고 있다. 포승그린파워, 영주파워에코, 포천파워 등을 자회사로 거느리고 있다. 조달한 자금은 운영자금과 기타 투자자금으로 쓸 전망이다. DL에너지는 요르단 풍력 발전, 칠레 태양광 발전, 파키스탄 풍력 발전 등 해외 발전 사업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DL에너지가 2019년 발행한 회사채 만기는 내년 6월에 돌아온다. DL에너지는 지난해 연결 재무제표 기준 1138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전년보다 10.0% 늘었다. 영업이익은 429억원에서 405억원으로 5.6% 줄었다. 작년 말 총차입금은 4523억원, 순차입금은 2776억원이다. 부채비율은 103.4%로 전년(84.0%)보다 높아졌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 한국투자증권, ESG회사채 1500억으로 1.5배 증액 발행

    한국투자증권이 회사채를 기존 1000억원에서 1500억원으로 증액해 발행하기로 했다. 처음 발행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채권이다. 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은 지난달 무보증 회사채 3년 만기물 1000억원 발행을 예정하고 실시한 수요예측에서 총 3800억원의 주문이 몰리자 발행금액을 증액하기로 했다. 한국투자증권의 신용등급은 AA(안정적)으로 우량 등급에 해당하며, 회사채 개별민평 금리는 약 연 1.5% 수준이다. 채권 발행일인 오는 4일 확정되는 이번 발행금리는 이보다 소폭 높은 수준으로 결정될 전망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2월 회사채 28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한 뒤 불과 3개월만에 ESG채권으로 다시 발행에 나섰다. 이번에 회사채로 조달한 자금은 전액 신재생 에너지 관련 사업에 사용된다. 영국과 일본 태양광 프로젝트를 비롯해 독일과 핀란드의 육상 풍력발전소 등에 자금을 투입한다. 올들어 NH투자증권의 지속가능채권 발행을 시작으로 삼성증권과 미래에셋증권, KB증권, 신한금융투자 등이 잇따라 ESG채권을 발행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 보령LNG터미널, 이달 900억원 규모 회사채 발행

    보령LNG터미널, 이달 900억원 규모 회사채 발행

       ≪이 기사는 06월01일(17:0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GS에너지와 SK E&S의 합작회사인 보령LNG터미널이 9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한다. 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보령LNG터미널은 이달 5년 만기 회사채를 공모로 발행할 계획이다. 신용등급은 AA다. KB증권과 한국산업은행을 주관사로 선정했다. 이르면 오는 14일 기관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한다. 발행 목적은 채무 상환이다. 2016년 발행한 1000억원 회사채 만기가 오는 24일 돌아온다. 2014년 발행한 2000억원 규모 회사채 만기도 오는 11월 예정돼 있다. 2013년 설립된 보령LNG터미널은 GS에너진와 SK E&S가 각각 지분을 50%씩 들고 있다. 충남 보령의 영보일반산업단지에 LNG저장탱크 1~4호기를 상업 운전 중이다. 올해 준공을 목표로 5·6호기를 건설 중이다. 배를 통해 액화천연가스(LNG)를 들여와 GS그룹과 SK그룹 계열사에 공급하는 일을 한다.  매출 규모는 크지 않지만 수요처가 정해져 있어 매년 안정적인 실적을 내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1454억원, 영업이익은 56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보다 각각 0.4% 감소, 2.0% 증가한 수치다. 매년 대규모 설비투자를 하면서 채무가 많이 쌓였다. 지난 3월 말 기준 총차입금은 1조3850억원, 여기서 가용 현금을 뺀 순차입금은 1조2204억원이다. 부채비율(부채총계/자본총계)은 588.9%에 이른다. 이자비용이 연 200~300억원에 달해 영업이익의 절반가량은 이자를 내는 데 쓰이고 있다.  지난해 순이익도 262억원으로 영업이익(562억원)의 절반에 그쳤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 동화기업, 회사채 400억원 발행위한 수요예측 성공

    동화기업, 회사채 400억원 발행위한 수요예측 성공

    동화기업이 회사채를 발행을 위한 수요 확보에 성공했다. 동화기업은 목재 전문 기업으로 건축자재, 가구 재료 등을 제조하며 화학, 2차전지 소재기업 등을 자회사로 거느리고 있다. 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전날 동화기업이 무보증 회사채 3년 만기물 400억원 발행을 위해 실시한 수요예측(사전청약)에서 예정금액 이상의 청약을 받았다. 이날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3년 만기 국채 금리가 급등했음에도 무난하게 수요 확보에 성공했다. 동화기업의 신용등급은 A-(안정적)으로, 이번 회사채는 3년 만기 채권 개별민평수익률 산술평균에 0.20%포인트를 가산한 수준까지를 희망금리로 제시했다. 지난달 25일 기준 동화기업 3년물 회사채 개별민평수익률은 연 2.138%수준으로, 같은 A- 등급 회사채 수익률 평균인 연2.49%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조달한 자금은 이달 만기가 도래하는 기존 공모채 차환에 사용할 예정이다. 신용평가사들은 동화기업이 2019년 이후 국내외 법인·공장을 인수하면서 재무부담이 늘어났으나, 오랜 업력과 목재 제품의 수직계열화 된 생산공정에서 나오는 원가경쟁력 등을 감안해 신용도를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동화기업은 보드와 화학, 건장재 등 각종 사업영역에서 국내 1~2위의 시장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동화기업은 1948년에 설립됐으며, 코스닥 상장사다. 태양합성을 비롯해 배터리 소재 기업인 동화일렉트로라이트를 자회사로 거느리고 있고, 이 밖에 동화홀딩스 그룹의 자동차 계열사 엠파크, 미디어 계열사 한국일보와 코리아타임스 등이 주요 계열사다.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 LIG, 사모채로 200억원 조달…만기 회사채 차환 목적

    ≪이 기사는 05월28일(16:1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LIG그룹 지주회사인 LIG가 사모채를 발행해 200억원을 조달했다. 만기 회사채 차환 목적이다. 2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LIG는 이날 200억원 규모 회사채를 사모로 발행했다. 만기는 3년이며, 발행 금리는 연 2.20%다. KB증권과 NH투자증권이 발행을 주관했다. 조달한 자금은 오는 8월 만기가 돌아오는 200억원 규모 회사채를 상환하는 데 쓰인다. 당시 연 3.4%에 발행했던 만큼 이번 차환으로 이자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됐다. LIG는 기업어음(CP) 등 단기성 자금을 조달하다 2019년 처음 3년 만기 사모채를 발행하며 조달 자금의 만기를 늘리고 있다. 작년 말 별도 재무제표 기준 총차입금은 990억원이며, 현금성 자산을 뺀 순차입금은 972억원이다. LIG의 기업 신용등급은 A+다. 작년 별도 매출 349억원, 순이익 282억원을 올렸다. 지분 46.4%를 보유한 자회사 LIG넥스원에서 얻는 지분법 이익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 ‘등급 전망’ 오른 연합자산관리, 회사채 청약에 모집액의 6배 뭉칫돈

    ‘등급 전망’ 오른 연합자산관리, 회사채 청약에 모집액의 6배 뭉칫돈

    ≪이 기사는 05월27일(17:3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신용등급 전망 상향 후 첫 회사채 발행에 나선 연합자산관리가 기관 투자가들로부터 6000억원의 매수 주문을 받았다. 모집액의 6배에 이르는 청약 주문이다. 2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연합자산관리가 10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하기 위해 이날 진행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6000억원의 매수 주문이 들어왔다. 연합자산관리는 최대 1200억원까지 증액 발행을 고려하고 있다. 민평 금리(민간 채권평가사들의 시가평가 평균)보다 0.07%포인트 낮은 수준까지 1600억원의 주문이 들어와, 최대치까지 증액 발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달 4일 발행되는 이 채권은 신용등급 AA에, 만기는 3년이다. SK증권과 삼성증권이 발행 주관을 맡았다. 최근 연합자산관리 신용등급 전망이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오른 것이 폭발적인 매수 수요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IB 업계 관계자는 “부정적 꼬리표를 떼면서 등급 하락 우려를 해소했다”며 “투자자들이 좀 더 편한 마음으로 연합자산관리 회사채에 투자할 수 있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3대 신용평가회사인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NICE신용평가는 지난 한 달 동안 차례대로 연합자산관리에 대한 신용등급 전망을 올렸다. 2019년 5월 한국신용평가가 처음 등급 전망을 내린 지 2년 만이다. 연합자산관리는 부실채권 인수와 기업 구조조정을 위해 2009년 국내 6개 시중은행을 주축으로 설립됐다. 지난해 코로나19 사태가 터지며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지만, 오히려 수익성과 재무 구조를 개선하는 기염을 토했다. 

  • 4년 만에 공모채 발행하는 코오롱인더, 수요예측서 모집액의 5배 모아

    4년 만에 공모채 발행하는 코오롱인더, 수요예측서 모집액의 5배 모아

    ≪이 기사는 05월26일(23:1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코오롱인더스트리가 발행하는 회사채를 사겠다는 기관들의 청약 자금이 3030억원 몰렸다. 모집액의 5배가 넘는 금액이다.  2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코오롱인더스트리가 3년 만기 회사채를 600억원 어치 발행하기 위해 이날 기관 투자가를 상대로 진행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3030억원의 매수 주문이 들어왔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800억원까지 증액 발행을 고려하고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의 공모채 발행은 2017년 5월 이후 4년 만이다. 당시 최초 800억원 모집에 3075억원이 몰려 발행 규모를 1300억원으로 늘렸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신용등급 A로 금리 매력이 높은 편이다.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한 사업 경쟁력도 우수해 회사채 투자 수요를 쉽게 모을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원료 구매 등 운영자금으로 쓸 계획이다.  NH투자증권, KB증권, 한국투자증권이 발행 주관을 맡았다.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 현대건설, 다음달 1200억원 규모 회사채 발행

    현대건설, 다음달 1200억원 규모 회사채 발행

    ≪이 기사는 05월26일(16:5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현대건설이 다음달 12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한다. 2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3년물 600억원, 5년물 600억원, 7년물 300억원 등 총 12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다음달 발행할 예정이다. 신용등급은 AA-다.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최대 3000억원까지 증액 발행할 계획이다. 한국투자증권과 KB증권, 미래에셋증권이 발행을 주관한다. 현대건설의 공모채 발행은 9개월 만이다. 지난해 9월 발행한 회사채에는 최초 2000억원 모집에 8500억원의 매수 주문이 들어오며 흥행했다. 그 결과 최종 발행액은 4100억원으로 2배 넘게 늘었다. 현대차그륩 계열사인 데다, 재무 구조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지난 3월 말 기준 현대건설의 현금성 자산은 별도 재무제표 기준 3조799억원으로 총차입금(1조482억원)을 크게 웃돈다. 이번에 조달하는 자금은 채무 상환에 쓰일 예정이다. 오는 7월과 8월 각각 1500억원 규모 회사채 만기가 돌아온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 지난달 회사채 발행 24조원…빚 늘리는 기업들

    지난달 회사채 발행 24조원…빚 늘리는 기업들

    경기 회복과 금융시장의 풍부한 유동성 등에 힘입어 지난 4월 회사채 발행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공식 집계됐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4월 국내 기업의 주식과 회사채 등 발행 규모가 24조9113억원으로 전월 대비 4927억원(2%)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주식발행 규모가 전월 대비 약 5조8000억원 가량 감소했으나 회사채 발행은 크게 늘어나면서 전체적인 자금조달 규모 상승세를 이끌었다. 회사채 발행 증가세 지속회사채 발행규모는 총 24조6609억원으로 전월(18조3710억원) 대비 6조2899억원(34.2%) 늘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해 시장의 충격이 왔던 작년 같은 달에 비해서도 115.9% 급증했다. 회사채 잔액 기준으로도 일반 회사채 순발행이 이어지며 지난달 말 598조7073억원으로 전월 대비 7조7309억원(1.3%)이 증가했다.일반회사채는 74건에 8조8680억원으로 전월(37건, 3조6420억원) 대비 5조2260억원(143.5%)이 증가했다. SK하이닉스(1조1800억원)와 SK에너지(5000억원) 이마트(6000억원) 한국항공우주산업(5000억원) 등이 대규모 자금을 조달했다. 금융채 역시 14조2615억원으로 전월(13조590억원) 대비 1조2025억원(9.2%) 증가했다.KB증권(5000억원) 롯데카드(4900억원) 신한캐피탈(4500억원) 등의 회사채·여전채 발행이 이어졌고, 신한은행(1조3000억원) 우리은행(1조1800억원) 국민은행(4700억원) 등이 꾸준히 은행채를 발행했다. 자산유동화증권(ABS)은 1조5314억원으로 전월보다 1386억원(8.3%) 감소했다.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의 발행 실적은 7404억원(7건)으로 집계됐다.한산했던 4월 주식발행시장주식 발행은 지난 4월 한 달간 2504억원으로 전월(6조476억원) 대비 5조7972억

  • 롯데글로벌로지스 회사채 수요예측...모집액의 2배 넘는 주문 접수

    롯데글로벌로지스 회사채 수요예측...모집액의 2배 넘는 주문 접수

    4개월 만에 다시 공모채 발행에 나선 롯데글로벌로지스가 수요예측에서 1780억원의 매수 주문을 받았다. 모집액의 2배 넘게 주문을 받았지만, 4배가 넘었던 지난 1월보다는 인기가 덜했다. 2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롯데글로벌로지스가 7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하기 위해 이날 기관 투자가를 상대로 진행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1780억원의 매수 주문이 들어왔다. 400억원을 모집한 3년물에 1000억원, 300억원어치 발행을 계획한 5년물에 780억원의 투자 수요가 모였다. 회사채 신용등급은 A다. 삼성증권과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이 발행 주관을 맡았다. 롯데그룹의 택배회사인 롯데글로벌로지스의 공모채 발행은 지난 1월 말 이후 약 4개월 만이다. 당시 3년물과 5년물(녹색채권)을 1200억원어치 발행했다. 최초 800억원 모집에 3810억원의 매수 주문이 들어와 증액 발행했다. 발행 목적은 시설 투자금 확보였다.이번에 조달한 자금은 채무 상환에 쓰인다. 내년 1월에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가 대상이다. 만기까지 6개월 이상 남았지만, 금리가 오르고 있어 미리 자금 조달에 나섰다. 롯데글로벌로지스 회사채의 민평 금리(민간 채권평가사들의 시가 평가 금리 평균)는 지난 20일 기준 3년물이 연 1.839%, 5년물이 연 2.644%를 기록했다. 지난 1월 발행한 3년물(연 1.688%)과 5년물(연 2.296%) 금리보다 각각 0.151%포인트와 0.348%포인트 올랐다.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