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매도 금지에도 해소물량 적었다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를 시행한 이틀간 쇼트커버링(공매도 주식을 되갚기 위한 주식 매입) 등으로 해소된 공매도 물량이 전체의 5~7%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공매도 금지 조치 이후 국내 증시는 2차전지 관련주 등 공매도 비중이 높았던 종목을 중심으로 급등락했다. 이는 대규모 쇼트커버링이라기보다는 투자심리 개선 등을 노리고 들어왔다가 차익을 실현하고 단기간에 빠져나간 외국인 등의 ‘단타 매매’에 기인한 측면이 더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공매도 전면 금지 첫날인 6일 유가증권시장의 공매도 잔량은 2억5030만여 주였다. 공매도 금지 직전 거래일인 3일(2억6136만여 주)에 비해 4.23% 감소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시장 공매도 잔량은 1억8127만여 주에서 1억7132만여 주로 5.48% 줄었다. 공매도 잔량은 집계 등에 걸리는 시간 때문에 이틀 늦게 공개한다.공매도 금지 이틀째인 7일에도 공매도 잔량은 크게 줄지 않았다. 유가증권시장 공매도 잔량은 2억4683만여 주로 전날보다 1.39% 추가 감소하는 데 그쳤다. 코스닥시장도 1억6792만여 주로 전일보다 1.98% 감소했다. 공매도 통계 봤더니…"2차전지 급등락은 단타族 탓"에코프로비엠 2거래일새 0.5%↓…포스코홀딩스는 되레 14% 늘어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공매도 상위 종목도 지난 6일 공매도 전면 중단 조치가 취해진 뒤 이틀 동안 공매도 잔량이 그다지 줄지 않았다. 유가증권시장 공매도 잔량 1위였던 포스코퓨처엠은 3일 304만257주였던 공매도 잔량이 6일 291만4885주로 떨어진 뒤 7일엔 296만6596주로 소폭 늘었다. 2거래일 새 2.4% 감소하는 데 그친 것이다.○종목별 공매도 잔량 감소도 적어코스닥 공매도 1위
-
하루만에 싸늘…공매도 금지로 널뛰는 증시
‘공매도 전면 금지’ 효과로 폭등한 국내 증시가 하루 만에 큰 폭으로 하락했다. 하루 전 쇼트커버링(공매도 주식을 되갚기 위한 주식 매입)을 위해 주식을 대거 사들인 외국인과 기관이 이번엔 ‘쌍끌이 매도’에 나섰다. 예상치 못한 공매도 금지 조치로 수급 여건이 크게 뒤틀리면서 한동안 증시 변동성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코스피, 하루 만에 2500선 붕괴7일 코스피지수는 2.33% 하락한 2443.96으로 장을 마쳤다. 45일 만에 넘어선 2500선을 하루 만에 다시 내줬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015억원, 3929억원어치를 팔았다. 개인은 4592억원어치를 샀다.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대부분 내림세였다. 전날 급등한 LG에너지솔루션과 포스코홀딩스는 각각 10.23%, 11.02% 하락했다. SK하이닉스(-1.95%), LG화학(-5.57%), 삼성SDI(-7.91%) 종목 등의 하락폭도 컸다.코스닥지수는 1.80% 떨어진 824.37로 마감했다. 코스닥시장에서도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에 나섰다. 시총 상위 종목 중 엘앤에프(-15.29%), 포스코DX(-5.83%), 에코프로비엠(-4.85%) 등 2차전지 종목이 대부분 약세였다. 에코프로만 전날 상한가(29.98%)에 이어 이날 3.74% 뛰었다.코스닥시장에선 한때 하락폭이 커지면서 매도 사이드카(프로그램 매도호가 일시효력 정지)도 발동했다. 전날엔 매수 사이드카가 발동했다.국내 증시 낙폭이 커진 것은 전일 급등한 주가에 따라 차익실현에 나선 매물이 쏟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미국 국채금리와 환율이 동시에 오른 것도 한몫했다.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다. 일본닛케이225지수(-1.34%), 중국 상하이지수(-0.04%) 등 주요 아시아 증시도 이날 동반 하락했다. “실적 좋은 저평가 종목만 생존”증시
-
공매도 금지 첫날, 코스피 134P 급등
공매도를 전면 금지한 첫날 국내 증시 상승폭이 역대 1위를 기록했다. 에코프로, 포스코퓨처엠 등 2차전지주는 줄줄이 가격제한폭까지 폭등했다. 전문가들은 쇼트커버링(공매도 청산을 위한 환매수) 효과가 이어지면서 공매도 상위 종목을 중심으로 국내 증시가 단기적으로 강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 주가 왜곡과 거품, 외국인 이탈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6일 코스피지수는 134.03포인트(5.66%) 오른 2502.37에 마감하며 단숨에 2500선을 탈환했다. 코스닥지수도 57.40포인트(7.34%) 급등한 839.45로 장을 마쳤다. 이날 코스피·코스닥지수 상승폭은 역대 최대였다. 코스닥시장에서는 3년5개월 만에 사이드카(프로그램 매수호가 일시 효력 정지)가 발동됐다.그동안 공매도의 집중 타깃이던 2차전지주가 일제히 급등했다.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은 상한가를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22.76%), 포스코홀딩스(19.18%), SK이노베이션(13.42%) 등도 급등했다. 삼성전자(1.87%), SK하이닉스(5.72%), 현대자동차(2.60%) 등 시가총액 상위주도 상승했다.이날 코스피지수 상승률은 일본(2.37%), 대만(0.68%) 등 다른 아시아 증시보다 월등히 높았다. 전날 금융위원회가 내년 상반기 말까지 공매도를 전면 금지하기로 한 조치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이날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7115억원어치, 코스닥시장에서 4702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상당수는 기존 공매도 포지션을 청산하기 위한 쇼트커버링 물량으로 추정된다.전문가들은 중장기적으로 외국인 이탈 등 부정적 영향을 우려했다. 세계적 투자전문가 짐 로저스 로저스홀딩스 회장은 이날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
-
한 달간 12% 떨어진 코스닥…G20 중 수익률 꼴찌
지난달 코스닥지수 수익률이 주요 20개국(G20) 주가지수 중 최하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전기차 수요 둔화 등으로 2차전지 관련주가 급락하는 등 각종 악재가 반영되면서다.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지수는 한 달간 12.48% 하락했다. G20 국가의 24개 주가지수 중에서 최대 낙폭이다. 튀르키예의 BIST100지수는 8.52% 하락하며 23위였다. 코스피지수는 7.59% 하락하며 22위를 기록했다.주요국 증시에서 러시아 RTS지수(8.07%)는 한 달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그 뒤를 3.97% 오른 아르헨티나 메르발(MERVAL)지수, 0.97% 하락한 이탈리아 FTSEMIB지수가 차지했다. 이어 브라질 보베스파(BOVESPA)지수(-1.03%), 중국 선전종합지수(-1.44%), 미국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1.48%) 순이었다.달러 환산 기준으로 봐도 국내 증시의 낙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KB증권이 코스피·코스닥지수의 10월 낙폭을 달러 환산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코스피지수는 4.4%, 코스닥지수는 7.95% 떨어졌다. 같은 기간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0.67%,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2.72%, 유로스톡스50지수는 0.35% 하락했다. G20에 포함되지 않지만 이스라엘의 TA125지수도 지난달 하마스와의 전쟁 와중에도 달러 환산 시 10월 한 달 7.8% 떨어진 데 그쳤다. 코스닥지수보다 오히려 선방했다.2차전지주 약세가 이어지면서 코스닥지수가 급락한 것으로 분석된다. 코스닥시장 시가총액 1, 2위를 차지하는 2차전지주인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는 지난달 각각 16.5%, 24.7% 하락했다. 글로벌 전기차 수요 둔화 등을 반영해 2차전지 업체들이 내년 전망을 잇달아 보수적으로 수정한 게 영향을 미쳤다.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하고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외국인에게 불리한 투
-
美 Fed, 기준금리 2회 연속 동결
미국 중앙은행(Fed)이 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어 연 5.25~5.50%인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최근 미국 국채 금리 상승으로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이 줄어들면서 지난 9월에 이어 2회 연속 기준금리를 그대로 유지했다.Fed는 정책결정문에서 “가계와 기업에 대한 긴축적인 금융 및 신용 여건이 경제활동과 고용, 인플레이션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제롬 파월 Fed 의장도 기자회견에서 “최근 몇 달간 장기 채권 금리가 올라 금융 여건이 긴축적으로 변했다”며 국채 금리 상승이 통화정책 결정에 영향을 줬음을 인정했다.당초 금리를 동결하되 추가 인상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하는 ‘매파적 동결’(hawkish pause)을 예상했던 시장은 파월 의장의 이런 발언을 ‘비둘기파적 전환’(dovish pivot)으로 받아들였다. 이날 S&P500지수(1.05%)와 나스닥지수(1.64%)는 급등하며 상승 마감했다. 2일 코스피지수는 1.81% 올랐고, 코스닥지수는 4.55% 급등했다. 코스닥지수가 4% 넘게 상승한 것은 올 들어 처음이다. 원·달러 환율은 석 달 만에 가장 큰 하락폭(17원10전)을 나타내며 1342원90전에 마감했다.워싱턴=정인설 특파원
-
수요예측 돌입한 에코프로머티리얼즈, 2차전지株 급락에 투심 돌변
에코프로그룹의 전구체 생산 자회사인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수요예측에 돌입했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상장을 본격화하던 때와 지금의 IPO시장 분위기는 상반된다. SGI서울보증보험이 청약을 철회한 뒤에는 ‘묻지마 청약’ 기조에서 신중론이 힘을 얻고 있다.3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지난 30일부터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하고 있다. 고금리 우려 속에서도 에코프로머티리얼즈에 대한 기관투자자의 관심은 여전하다. 하지만 일부는 주식시장의 하락세와 CNGR 등 중국 전구체 기업에 비해 고평가됐다는 점을 들어 신중론을 펼치고 있다.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공모 후 시가총액은 희망 공모가 범위 기준 2조5700억~3조1200억원으로 지난달 공모를 마친 두산로보틱스(1조6853억원)보다 규모가 크다. IB업계에서는 고금리로 상장을 철회한 서울보증보험 이후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들어서는 대규모 IPO라는 점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희망 공모 희망 범위는 3만6200원~4만4000원 사이로 5240억~6369억원을 공모한다.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지난 11일 공모가 희망 범위의 상단을 4만6000원에서 4만4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IB업계 관계자는 “전구체를 생산하는 2차전지 기업들의 시가총액이 하락하면서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공모가격도 이에 맞춰 하향했다”고 말했다.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비교기업인 포스코퓨처엠과 엘앤에프 등 2차전지 기업은 지난 11일 공모가 하향 조정 당시와 비교해 더 하락한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배터리 생산설비 과잉과 전기차 시장 성장률 둔화 등이 하락의 원인으로 꼽
-
KT·HD현대·현대차…"4분기 실적 기대 이상"
국내외 증시 변동성이 커지면서 저평가된 실적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3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27일 기준 코스피지수의 12개월 선행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84배로 집계됐다. 최근 10년(2013년 10월 31일~2023년 10월 27일) 평균인 0.96배를 밑돈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시가총액 합산액이 자본총계 합산액보다 감소했다는 의미다.전문가들은 증시 단기 하락으로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매력이 높아져 저점 매수를 고려할 시점이라고 분석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실적 전망치가 있는 상장사 239곳 중 4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상장사는 146곳으로 집계됐다. 이 중 최근 한 달 사이 영업이익 전망치가 상향된 기업은 43곳에 그쳤다. 4분기 영업이익 전망치가 가장 높아진 기업은 KT로 최근 한 달간 13.6% 상향됐다. 3분기는 노조 임금 협상 등으로 시장 예상보다 저조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4분기는 선반영 비용 덕분에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분석됐다. 2위는 HD현대로 4분기 영업이익 전망치가 8.6% 올랐다. 국제 유가 상승세로 정유사업 부문 실적이 개선되고 있다는 평가다. 현대차도 4분기 영업이익 전망치가 한 달 사이 6.7% 상향됐다.박연주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자동차는 대기 수요가 많아 경기 둔화 폭이 크지 않다면 견조한 실적이 이어지면서 주가도 안정적인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했다.이 밖에 미래에셋증권(5.8%), HD현대일렉트릭(7.8%), 현대건설(4.8%), 기아(4.6%) 등도 최근 실적 전망치가 상향된 주요 기업으로 꼽혔다.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선행 PBR 0.8배는 코로나19로 증시에 단기 충격이 온 2019년을 제외할 경우 최저 수준&rdquo
-
개미, 레버리지 ETF에 8000억 뭉칫돈
국내 증시에 대한 국내외 증권사의 부정적 전망이 이어지는 가운데 개인투자자들은 코스피·코스닥지수를 두 배로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최근 한 달 동안에만 8000억원어치 가까이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동 전쟁 확산, 미국 고금리 등 악재에도 국내 증시 반등에 베팅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국내 증시가 추가 약세를 보이면 손실폭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30일 한국거래소와 코스콤에 따르면 지난 1개월(9월 27일~10월 30일) 사이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ETF는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였다. 코스닥150지수를 두 배로 추종하는 상품으로 개인은 이 ETF를 4048억원어치 순매수했다. 2위는 코스피200지수를 두 배로 추종하는 ‘KODEX 레버리지’로 순매수액은 3746억원이었다.코스피200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KODEX 200’과 코스닥150지수를 추종하는 ‘KODEX 코스닥150’이 그 뒤를 이었다. 개인투자자들은 한 달간 KODEX 200과 KODEX 코스닥150을 각각 935억원, 363억원어치 순매수했다.증시 하락에도 코스피와 코스닥지수 상승에 베팅하는 상품들이 개인 순매수 상위권을 싹쓸이한 셈이다. 하지만 이 기간 코스피200지수는 5.49%, 코스닥150지수는 8.67% 하락했다.국내외 증권사들은 최근 국내 증시에 대해 다소 보수적인 의견을 내놓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한국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 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낮췄고, 씨티증권은 “4분기 2300선을 지키기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을 내놨다. 국내 증권사들 역시 눈높이를 낮춰야 한다고 분석했다.한 증권사 관계자는 “보수적인 투자를 추천하는 증권사와 달리 여전히 공격적인 투자를 선
-
2300선 버티는 코스피…증권가선 "지금이 살 시기"
변동성이 큰 국내 증시서 저평가된 실적주가 주목받고 있다. 4분기 실적이 예상보다 좋아지면 단기 급락한 만큼 주가 상승의 여지가 있어 저점매수해야한다는 설명이다. 3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27일 기준 코스피지수의 12개월 선행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84배로 집계됐다. 최근 10년(2013년 10월31일~2023년 10월27일) 평균인 0.96배를 밑도는 수치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들의 시가총액 합산액이 자본총계 합산액보다 작아져 증시가 저평가됐다는 의미다.전문가들은 증시가 추가 하락할 우려는 여전히 있지만, 단기 하락으로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매력은 충분해졌다고 분석하고 있다.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선행 PBR 0.8배는 코로나19로 증시에 단기 충격이 왔던 2019년을 제외할 경우 최저 수준”이라며 “업황과 실적이 좋은 업종 위주로 주식 비중을 늘리는 전략이 유효하다”고 했다.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실적 전망치가 존재하는 239개 상장사 가운데 4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상장사는 146개, 이 중에서 최근 1개월 사이 영업이익 전망치가 상향된 기업은 43개에 불과했다.KT는 4분기 영업이익 전망치가 최근 1개월 사이 13.6% 상향돼 주요 업체 중에서는 가장 상향 폭이 컸다. 3분기 영업이익은 노조 임금협상, 서비스 구입비 조기 반영 등으로 저조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4분기는 선반영 비용 덕분에 비교적 호조를 보일 것이란 분석이다.이어 HD현대의 4분기 영업이익 전망치가 8.6% 오르며 2위에 올랐다. 국제 유가 상승세로 정유사업 부문 실적이 개선되고 있고, 3분기 부진했던 선박 계열사들의 실적도 4분기 회복할 것이란 기대
-
"그래도 증시는 오를 거야"…한 달 간 개미들 돈 몰린 곳이
국내 증시에 대한 국내외 증권업계의 부정적 전망이 이어지는 가운데 개인투자자들의 믿음은 깨지지 않고 있다. 개인들은 지난 한 달 동안에만 9000억원이 넘는 코스피·코스닥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를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30일 한국거래소와 코스콤에 따르면 지난 1개월(9월 27일~10월30일) 사이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ETF는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였다. 코스닥150 지수를 2배로 추종하는 상품으로 개인들은 이 ETF를 4048억원어치 순매수했다. 2위는 코스피200 지수를 2배로 추종하는 'KODEX 레버리지'로 순매수액은 3746억원이었다. 코스피200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KODEX 200'과 코스닥150 지수를 추종하는 'KODEX 코스닥150'이 그 뒤를 이었다. 개인투자자들은 한달간 KODEX200와 KODEX 코스닥150을 각각 935억원, 363억원 순매수했다. 4개 상품의 순매수액만 9092억원이었다.이 기간 코스피200지수는 5.49%, 코스닥150지수는 8.67% 하락했다. 증시 하락에도 코스피와 코스닥 상승에 '베팅'하는 상품들이 개인 순매수 상위권을 싹쓸이 한 셈이다. 증권업계의 시각과는 반대되는 움직임이라는 분석이다. 국내외 증권사들은 최근 국내증시에 대해 다소 보수적인 의견을 내놓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한국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 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낮췄고, 시티증권은 "4분기 2300선을 지키기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을 내놨다. 국내 증권사들 역시 눈높이를 낮춰야한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증권사 관계자는 "현금보유량을 늘리고 보수적인 투자를 추천하는 증권사 입장과 달리 여전히 공격적인 투자를 선호하는 개인투자자들이 많다"며 &quo
-
가자지구 지상전이 호재?…유가 내리고 아시아 증시 강세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를 상대로 지상전을 본격 개시한 다음날 급등하던 국제유가가 하락세로 전환했다. 전면전이 아닌 제한적인 지상군 투입인 데다 아직까지 뚜렷한 확전 징후가 포착되지 않아서다. 30일 싱가포르 국제상품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12월물은 전 거래일보다 1% 이상 하락하며 배럴당 85달러 이하로 거래됐다.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에 대한 지상전을 개시하기전인 27일엔 WTI 12월물은 전일보다 2.8% 상승한 85.54달러(뉴욕상품거래소 기준)로 마감했다. 같은날 브렌트유 12월물 가격도 2.9% 오른 배럴당 90.48달러로 거래를 마쳤으나 이날 90달러 이하로 떨어졌다.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증시도 차분한 모습을 보였다. 이날 코스피는 0.34%, 코스닥지수는 1.15% 각각 올랐다. 오후 2시20분 기준으로 중국 상하이 지수(0.24%)와 선전 증시(1.51%)도 상승세를 유지했다.이스라엘군은 가자지구 지상전을 시작한 지 사흘 만에 가자지구 북부 일부를 장악했다. 또 전투기를 동원해 하마스의 지휘소와 미사일 발사대 등 450여곳을 공습했다. 로이터통신은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 북부에 있는 중심도시인 가자시티를 포위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다니엘 하가리 이스라엘군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밤사이 가자지구 진입 병력을 늘려 하마스 무장대원 수십 명을 사살했다"며 "가자지구 북부에서 계속 전투를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스라엘군은 가자지구 남부에서도 하마스와 총격전을 벌여 지하터널에서 나오는 다수의 하마스 무장대원을 사살했다. 하마스가 통치하는 가자지구 보건부는 이번 전쟁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전날 7703명
-
코스피 2300 붕괴…연초 수준 돌아갔다
코스피지수가 외국인투자자 대량 매도 속에 10개월 만에 2300선이 붕괴됐다.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다시 연 5%에 다가선 가운데 중동 전쟁 확산 우려, 국내 반도체·2차전지 실적에 대한 실망 등 대내외 악재가 쏟아진 데 따른 것이다. 전문가들은 투자심리가 크게 악화해 국내 증시가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26일 코스피지수는 64.09포인트(2.71%) 급락한 2299.08에 마감했다. 올해 최대 낙폭이다. 코스피지수가 2300선 밑으로 내려간 것은 올해 1월 6일(2289.97) 후 10개월 만이다. 코스닥지수도 26.99포인트(3.50%) 하락한 743.85로 장을 마쳤다. 올해 1월 31일(740.49) 후 9개월 만에 740선으로 밀려났다.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이날 4790억원어치를 순매도하며 하락세를 주도했다. 삼성전자(-1.91%), SK하이닉스(-5.88%), LG화학(-6.99%), 삼성SDI(-5.05%), 포스코퓨처엠(-8.94%) 등 반도체 및 2차전지 관련 종목의 낙폭이 특히 컸다. 유가증권시장에선 하락 종목이 836개로 상승 종목(81개)의 10배를 넘었다.전날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0.12%포인트 올라 연 4.979%로 5%에 육박하고, 구글이 9% 폭락하면서 나스닥지수가 2.43% 하락 마감한 게 투자심리에 악영향을 줬다. 전날 LG에너지솔루션이 내년 매출 증가 둔화 가능성을 밝히고 이날 SK하이닉스가 예상치보다 낮은 실적을 발표하자 관련주가 급락했다.일본 닛케이225지수(-2.14%), 홍콩 항셍지수(-0.24%)도 약세를 보였지만 한국보다는 낙폭이 훨씬 작았다.증시 급락 영향으로 원·달러 환율은 이날 10원30전 상승한 1360원에 마감했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0.06%포인트 뛴 연 4.104%를 나타냈다.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2100선까지 내려갔던 지난해 9월 패닉 셀링(공포
-
美금리 뛰고 실적 악화에 '패닉셀링'…외국인 나흘간 1.2조원 매도
코스피지수가 연이은 악재에 휘청거리며 올 1월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지난 8월 1일 연중 고점(2667.07)과 비교하면 13.7%나 하락했다.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다시 연 5%대에 근접하면서 외국인 투자심리가 악화한 데다 국내 산업의 기둥인 반도체·배터리 업황 전망도 어두워지면서다. 전문가들은 다음달 있을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결정과 미국 경제지표 발표 등이 변수가 될 것이라고 했다. ○美 국채 금리 연 5% 근접하자 ‘패닉’26일 코스피지수는 2.17% 하락한 2299.08, 코스닥지수는 3.50% 하락한 743.85에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지수 하락폭은 3월 14일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당시(-2.56%)보다 커 올해 최대 낙폭 기록을 경신했다.두 지수 모두 연초 수준으로 되돌아가면서 연중 상승분을 대부분 뱉어냈다. 올해 들어 코스피지수는 2차전지주 상승과 반도체 업황 개선 전망으로 연초부터 7월 말까지 18.2% 올랐다. 그러나 9월부터 줄곧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차전지주 투자심리가 꺾인 데다 중동 정세 불안, 미국 국채 금리 상승 등 악재가 불거지면서다.미국 채권 금리가 상승하고 환율까지 뛰면서 외국인은 국내 증시를 떠나고 있다. 외국인은 4거래일간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2331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정명지 삼성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최근 국내외 증시는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오르내리는 데 따라 급등락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며 “최근 시장 불안이 커지면서 패닉셀링이 나와 지수가 더욱 하락한 면도 있다”고 했다. ○2차전지·반도체 업황도 침울국내 증시의 주축을 이루는 2차전지 업체들의 실적 전망이 부진해 주가가 줄하락한 점도 이날 증시
-
반도체·2차전지 달리자…4일 만에 웃은 코스피
국내 증시가 외국인과 기관투자가 유입으로 4거래일 만에 상승했다. 엔비디아발(發) 반도체 훈풍, 포스코퓨처엠 깜짝 실적 등이 증시에 호재로 작용했다.24일 코스피지수는 1.12% 오른 2383.51로 마감했다. 지난 18일 이후 4거래일 만에 오름세로 장을 마쳤다. 개인투자자와 기관투자가가 각각 714억원, 354억원어치를 샀고, 외국인 투자자가 1543억원어치를 팔았다.코스닥지수는 2.77% 오른 784.86으로 장을 마쳤다. 5거래일 만의 상승세다. 반도체와 2차전지 업종이 증시 상승을 이끌었다. 이날 포스코퓨처엠은 전기차 배터리소재 양·음극재 판매 확대로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힘입어 포스코퓨처엠은 1.16% 상승한 30만5000원으로 마감했다. 포스코홀딩스(4.64%)는 8거래일 만에 상승 전환했다.세계 1위 그래픽처리장치(GPU) 업체인 엔비디아가 23일(현지시간) 5거래일 만에 반등한 것도 호재로 작용했다. PC용 중앙처리장치(CPU)를 개발 중이라는 소식에 주가가 3.84% 뛰었다. 엔비디아 관련주로 꼽히는 SK하이닉스(2.26%)를 비롯해 하나마이크론(15.20%), 이수페타시스(8.52%), HPSP(5.38%), 한미반도체(5.78%) 등이 이날 일제히 올랐다.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현대차(-1.40%), 기아(-1.08%) 등을 제외하고 모두 상승 마감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유럽 최대 벤처캐피털(VC)과 바이오의약품 개발·생산 지원 파트너십을 체결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5.43% 올랐다. 연일 하락하던 네이버와 카카오도 이날 4%가량 뛰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코스피, 코스닥은 장 초반 반대매매 출회에 하락한 뒤 저가 매수세 유입이 확대되며 강세 전환했다”며 “개인, 외국인, 기관의 손바뀜에 따라 변동성이 커
-
코스피 2400 붕괴…美 국채 16년 만에 年 5% 돌파
글로벌 채권 금리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가 2007년 이후 처음으로 연 5%를 돌파했다. 중동 전쟁 확산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고금리 공포마저 커지면서 코스피지수는 7개월 만에 2400선이 무너졌다.20일 코스피지수는 전일 대비 40.80포인트(-1.69%) 떨어진 2375.0에 장을 마쳤다. 장 중에는 2364.01까지 내렸다. 코스피지수가 2400선을 내준 것은 지난 3월 21일(2388.35) 이후 약 7개월 만이다. 코스닥지수도 전일 대비 14.79포인트(-1.89%) 하락한 769.25로 마감했다.삼성전자(-1.01%), LG에너지솔루션(-3.54%)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이 대부분 약세를 보였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전체 종목(930개)의 81%인 760개 종목, 코스닥시장에서는 전체(1612개)의 80%인 1297개 종목이 하락했다. 증시 낙폭이 커지면서 미수거래 관련 반대매매는 지난 19일 5257억원으로 치솟으며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고금리 공포가 증시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전날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뉴욕 경제클럽 간담회에서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너무 높다”고 언급한 게 매파적 발언으로 해석되면서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한때 연 5.001%까지 올랐다. 이 금리가 연 5%를 넘어선 것은 2007년 7월 이후 16년 만이다.아시아 증시도 일제히 약세를 나타냈다.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0.54%, 홍콩 항셍지수는 0.72% 하락했다.이날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0.037%포인트 내린 연 4.033%에 장을 마쳤다.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5.0원 내린 1352원40전에 마감했다.전문가들은 국내 증시 약세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 국채 금리 추가 상승 등에 따라 2300선이 붕괴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형렬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