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00원 공포' 벗어난 환율…숨죽이던 코스피도 반등
미국 인플레이션 둔화에 따른 기준금리 인하 기대로 미국 증시가 강세를 보인 가운데 국내 증시도 반등했다. 원·달러 환율은 한 달여 만에 1350원 밑으로 떨어지며 진정세를 보였다.1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24원10전 하락(원화 가치 상승)한 1345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3월 26일(1339원50전) 후 약 50일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하루 낙폭도 지난해 12월 14일 24원50전 하락(1319원90전→1295원40전)한 후 가장 컸다. 지난달 16일 장중 한때 1400원까지 뛰면서 종가가 1394원50전으로 오른 것을 감안하면 한 달 새 50원이나 떨어진 것이다. 전날 휴일에 따른 서울 외환시장 휴장으로 이틀간 하락 요인이 반영됐다는 해석도 나온다.국고채 금리도 일제히 하락(채권 가격 상승)했다. 이날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연 3.375%에 마감했다. 전 거래일보다 0.079%포인트 떨어졌다. 5년 만기 금리는 0.081%포인트 내린 연 3.408%였다. 1~2년 만기와 10~50년 만기 등도 금리가 내렸다.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가 짙던 코스피지수도 상승세를 보였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83% 오른 2753.0으로 마감했다. 오전 장중 전 거래일 대비 1.58% 상승해 2773.46까지 오름폭을 확대했지만 개인들의 매도세가 나타나면서 초반 강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262억원, 5983억원어치 순매수에 나섰고 개인투자자는 9655억원 규모의 매물을 쏟아냈다.업종별로는 인공지능(AI) 관련주와 보험주가 강세였다. SK하이닉스는 4.16% 오른 19만3000원에 거래를 마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외국인이 3241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보험주는 삼성화재가 9.96%
-
美CPI 앞두고 숨죽인 증시…외국인은 수출주로 피신
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계속된 ‘눈치 장세’에서 기관은 밸류업 관련주를, 외국인은 수출주를 주로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밸류업 정책과 수출이 CPI 장세 이후에도 호재로 작용할 것이란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14일 코스피지수는 0.11% 상승한 2730.34에 마감했다. 지난 7일 2.16% 오르며 2734.36까지 상승한 뒤 5거래일째 횡보 장세를 보였다. 국내 증시 휴장일인 15일 예정된 미국 CPI 발표를 앞두고 시장 주체들이 관망을 택한 까닭이다.기관들은 이 기간에 밸류업 관련주를 주로 사들였다. 14일 기관 순매수 1위는 219억원어치를 매수한 현대해상이었다. 밸류업 기대에 이날 1분기 4773억원의 순이익을 내는 깜짝 실적까지 겹치면서 주가가 전일 대비 9.44% 급등했다.최근 5거래일(8~14일)로 범위를 넓히면 지난 8일 상장한 HD현대마린솔루션을 제외한 기관 순매수 상위 10개 종목에 KB금융(713억원·2위), 하나금융지주(272억원·10위) 등 금융주가 이름을 올렸다. 밸류업 정책이 나온 이후 자사주를 매입했거나 계획을 발표한 셀트리온(536억원·5위), 엔씨소프트(368억원·7위), 고려아연(341억원·8위), SK스퀘어(297억원·9위)도 기관이 대거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윤석열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강도 높은 관련 정책을 시사하고 금융감독원장이 미국으로 투자설명회를 떠나는 등 밸류업 기대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외국인은 이 기간 수출 비중이 높은 제조기업에 주로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14일 4월 수출물가지수가 3월보다 4.1% 상승하며 4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고 발표했다. 수출품의 가격이 상승했
-
HD현대마린솔루션 상장 첫날 90% 급등..외국인 매도공세도 뚫었다
올해 상반기 기업공개(IPO) 최대어인 HD현대마린솔루션이 유가증권시장 상장 첫날 ‘따블(공모가 2배 상승)’에 가까운 상승률을 기록했다. 시가총액 ‘조단위’ 기업이 상장 첫날 90% 이상 수익률을 기록한 건 두산로보틱스(97%) 이후 8개월 만이다.HD현대마린솔루션은 상장 첫날 공모가 8만3400원 대비 96.52% 상승한 16만39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시가총액은 3조7071억원에서 7조285억원으로 치솟았다. 이날 HD현대마린솔루션의 거래대금은 2조1000억원으로 코스피 전체 거래대금(10조원)의 20%에 달했다.HD현대마린솔루션은 장 초반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공세에 주춤했다. HD현대마린솔루션의 유통가능물량은 전체 주식 수의 19.23%인 454만6273주(3791억원)이다. 이 가운데 상장일 매각 가능한 물량 중 43.05%(195만7267주)는 외국인 기관투자가들이 보유하고 있다.장 초반 개인 및 해외 기관 투자가들의 매도 물량이 나오면서 상승률이 40%대에 머물렀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상장 직후 약 1198억원을 처분하며 단기 차익 실현에 나섰다. 하지만 오후부터 국내 기관 투자가들이 매수에 나서면서 장중 한때 99.16% 상승률로 16만6100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국내 기관은 이날 1723억원을 매수했다.국내 투자자들은 상장 후 HD현대마린솔루션이 코스피200에 편입돼 패시브 펀드 자금이 유입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 HD현대마린솔루션의 수요예측에 참여한 국내 기관투자가 중 92.1%가 15일 이상 의무보유하겠다는 의무보유확약을 맺은 점도 긍정적으로 해석했다.HD현대마린솔루션이 상장에 성공하면서 케이뱅크(3조~4조원)와 시프트업(2조~3조원), SGI서울보증(2조~3조원), DN솔루션즈(3조~4조원) 등 ‘조단위’ 기업들이 유가증권시
-
1분기 '깜짝 실적' 쏟아진 코스피…제조업 재고 줄며 상승랠리 기대
주요 상장사들이 올해 1분기 시장 예상보다 좋은 실적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가에서는 제조업 재고가 빠르게 줄고 3분기까지 실적 개선이 이어지면서 코스피지수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다.29일 BNK투자증권에 따르면 이날까지 1분기 실적을 발표한 코스피200 상장사 46곳 중 28곳(60.9%)이 시장 전망치를 5% 이상 웃도는 실적(어닝서프라이즈)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분기 최고 영업이익을 올린 기아를 비롯해 SK하이닉스와 LG이노텍 등이 호실적을 거뒀다. 시장 전망치를 5% 이상 밑돈(어닝쇼크) 곳은 한화솔루션, 현대로템 등 9곳(19.6%)에 불과했다. 이런 추세라면 2021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어닝서프라이즈 비율이 60%를 넘어설 것으로 관측된다.시장에서는 1분기 코스피200 상장사의 영업이익이 58조~60조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년 전(35조원)보다 23조~25조원 늘어난 수치다. 코스피200 상장사의 분기 영업이익이 60조원을 넘어서는 건 2022년 2분기(71조원) 이후 처음이다.전문가들은 제조업의 재고가 줄어드는 것에 주목하고 있다. 재고가 감소하고 1년 뒤 코스피지수가 평균 15.89% 올랐다는 점 때문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분기 산업 재고는 2조3252억원어치 줄어들었다. 2020년 3분기(-6547억원)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김성노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산업 특성상 재고 감소는 실적 개선과 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며 “올해 3분기까지 국내 상장사의 실적이 좋아지면서 증시를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전효성 기자
-
재고감소에 줄잇는 어닝서프라이즈…3분기까지 실적 랠리
1분기 실적 시즌이 진행 중인 가운데 주요 상장사의 호실적이 이어지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올해 3분기까지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실적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제조업 재고가 빠르게 줄고 있어 국내 증시의 기초 체력(펀더멘탈)이 한층 견고해질 것이란 전망이다. 29일 BNK투자증권에 따르면 이날까지 1분기 실적을 발표한 코스피200 상장사 46곳 중 28곳(60.9%)이 시장 전망치를 5% 이상 웃도는 실적(어닝서프라이즈)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분기 최고 영업이익을 기록한 기아를 비롯해 SK하이닉스와 LG이노텍 등이 호실적을 거뒀다. 시장 전망치를 5% 이상 하회(어닝쇼크)한 곳은 한화솔루션과 현대로템 등 9곳(19.6%)에 불과했다. 아직 실적 발표가 남은 기업이 많지만 현재 수준의 어닝서프라이즈 비율이 유지될 경우 2021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어닝서프라이즈 비율이 60%를 넘어서게 된다. 시장에서는 올해 1분기 코스피200 상장사의 영업이익이 58조~60조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년 전(35조원)보다 23조~25조원 늘어난 수치다. 코스피200 상장사의 분기 영업이익이 60조원을 넘어서는 건 지난 2022년 2분기(71조원)이후 처음이다. 재고 감소가 이어지고 있는 부분도 긍정적인 대목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산업 재고는 2조3252억원 어치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재고가 감소한 것은 지난 2020년 3분기(-6547억원) 이후 처음, 조 단위로 줄어든 것은 지난 2013년 2분기(-1조3424억원) 이후 약 10년만이다. 재고 감소는 중장기적으로 주가 지수 상승과 연관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 2009년 이후 산업 재고가 감소한 것은 모두 6개 분기였다. 재고 감소 후 1년 뒤 코스피 지
-
"코스피 2600선 지지…조선·바이오에 주목"
코스피지수가 2600선에서 횡보하고 있다. 지정학적 분쟁과 환율 등 증시 악재가 해소되며 지지선을 확인했다는 평가가 많다. 증권가에선 실적 개선 기대가 큰 조선과 반도체, 헬스케어 업종이 올해 주도주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했다.고환율·중동분쟁 리스크코스피지수는 23일 0.24% 떨어진 2623.02에 마감했다. 지난 22일 1% 이상 오른 데 이어 2600선을 지켰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78원30전에 거래를 마쳤다. 16일 1394원50전으로 고점을 찍고 이날까지 1.12% 떨어졌다. 이란과 이스라엘 간 분쟁이 잦아들며 증시가 바닥을 다지고 있다는 게 증권가의 분석이다.시장에선 당분간 증시가 급락할 가능성은 작다고 보고 있다. 한·미·일 재무장관이 17일 외환시장 개입 가능성을 시사하는 구두 개입에 나서면서 환율이 진정세로 접어들었기 때문이다.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주춤해진 것도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서 서부텍사스원유(WTI) 선물 가격은 5일 배럴당 86.10달러에서 이날 82.22달러로 하락했다. 구리 선물 가격 역시 19일 파운드당 4.5달러를 찍은 뒤 이날 4.4달러로 떨어지며 상승세가 주춤해졌다. 이경수 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국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늦춰진다는 이유로 증시가 하락했으나 단기 조정에 그칠 것”이라며 “글로벌 경기가 기대 이상으로 좋기 때문에 금리 인하 기조가 흔들리지 않는 이상 외국인 자금이 다시 국내 증시로 들어올 것”이라고 예상했다.이제 실적 주도주 찾아라전문가들은 환율과 유가, 전쟁 등 대외적 요인보다 업종별 기업 실적에 주목하라고 조언한다. 올해 국내 상
-
코스피 2600선 바닥 확인…지금 사두면 돈 버는 종목은?
코스피 지수가 2600선에서 횡보하고 있다. 고환율과 지정학적 분쟁 등 증시를 둘러싼 악재들이 해소될 조짐이 보이고, 기업 실적 전망치도 개선되며 지지선을 확인했다는 평가다. 증권가에서는 실적 개선 기대감이 높은 조선과 반도체, 헬스케어 업종이 올해 주도주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고환율・중동분쟁 리스크 해소코스피 지수가 23일 0.24% 떨어진 2623.02에 마감했다. 코스피 지수는 지난 22일 1% 이상 오르며 2600선을 회복했고, 이날도 약보합에 마감하며 2600선을 지켜내는데 성공했다.고환율과 지정학적 분쟁 위험(리스크)이 완화되며 해소되며 증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완화된 결과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78원30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16일 1394원50전으로 고점을 찍고 이날까지 1.12% 떨어졌다. 환율이 오름세를 보이면 외국인은 환차손 우려로 한국 증시에 들어오는 걸 꺼리고, 떨어지면 그 반대가 된다.증권가 전문가들은 올 2분기 환율의 추가 급등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전망하고 있다. 한·미·일 재무장관이 지난 17일 외환시장 개입 가능성을 시사하는 구두 개입에 나서면서 환율이 진정세로 접어들었고, 최근 환율 상승의 주요 배경 중 하나였던 중동 지역에서의 긴장감도 완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주원 대신증권 연구원은 "통화정책 관련 불확실성 완화가 환율 하락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주춤해진 것도 긍정적이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 배럴당 가격은 지난 5일 86.10달러에서 이날 82.22달러까지 하락했다. 구리 선물 1파운드당 가격 역시 지
-
환율 뛸 때가 매수 적기?…1년 뒤 코스피 항상 올랐다
중동 정세 불안으로 원·달러 환율이 고공 행진하자 코스피지수가 연일 급등락하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과거 사례를 보면 이렇게 환율 급등으로 증시가 조정받을 때 투자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이득이 됐다는 분석이 나왔다.22일 원·달러 환율은 직전 거래일 대비 3원 하락한 1379원20전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16일 1394원50전으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한 후 최근에도 1380원대를 넘나들고 있다. 환율 영향으로 코스피지수는 이달 들어 이날까지 4.2% 하락했다.외국인은 지난주(4월 15~19일) 유가증권시장에서 4519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직전 2주(4월 1~12일) 동안은 3조3404억원어치를 순매수했지만 16일 환율이 연중 최고치를 기록하고 중동 정세 불안, 유가 급등까지 겹치자 투자 심리가 악화했다는 분석이다.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론 환율 급등이 오히려 ‘저점 매수’할 기회라고 조언했다. 과거 환율이 1400원대를 넘긴 시기를 보면 1년 뒤 지수가 반등했기 때문이다.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외환위기가 온 1997년 12월 원·달러 환율은 1964원80전까지 치솟았다. 코스피지수는 1997년 12월 말 전년 대비 반토막 난 376.31을 기록했다. 그러나 1998년 말에는 562.46으로 49.4% 반등했다.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 10월에도 원·달러 환율은 1400원을 재차 넘겼다. 코스피지수는 2008년 9월 말 1448.06에서 10월 24일 938.75로 35.1% 급락했다. 1년 뒤인 2009년 10월 말에는 1580.69까지 회복했다. 2022년 10월 원·달러 환율이 1430원대로 치솟을 때도 코스피지수는 9월 13일 2449.54에서 10월 13일 2162.87로 밀렸다. 1년 뒤인 2023년 10월 13일엔 2456.15까지 올라왔다.강현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한국과 같은
-
"환율 1400원 찍으면 코스피는…" 과거 사례 봤더니
중동 정세 불안과 유가 급등으로 원·달러 환율이 급등락하면서 코스피지수도 널뛰기하고 있다. 증시가 불안해지며 투자자들이 자금을 빼는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환율 급등이 오히려 매수할 기회라는 조언이 나오고 있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이날 오후 달러당 1379원대에서 거래 중이다. 지난 16일 1394원50전으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한 후 최근 1380원대를 넘나들고 있다. 코스피지수는 환율이 급등하면서 이달 들어 지난 19일까지 5.63% 하락했다. 환율이 급등하면서 외국인은 국내 증시에서 자금을 빼고 있다. 지난주(4월15~19일)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4519억원 어치를 순매도했다. 직전 2주(4월1~12일) 동안 외국인은 3조3404억원 어치를 순매수했지만 지난 16일 환율이 연중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투자 심리가 급격히 악화했다. 이스라엘-이란 분쟁이 격화한 것도 외국인이 자금을 빼는 요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보면 환율 급등이 오히려 '저점 매수'할 기회라는 조언하고 있다. 과거 환율이 1400원대를 넘긴 시기를 보면 1년 뒤엔 지수가 반등했기 때문이다.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외환위기가 온 1997년 12월 원·달러 환율은 1964원80전까지 치솟았다. 경제 위기가 닥치면서 코스피지수는 1997년 12월 말 전년대비 반토막난 376.31을 기록했다. 그러나 1998년 말에는 562.46까지 49.4% 반등했다.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 10월에도 원·달러 환율은 1400원을 재차 넘겼다. 환율이 급등하면서 코스피지수는 10월24일 938.75까지 밀렸으나 1년 뒤인 2009년 10월 말에는 1580.69까지 회복했다. 2022년 미국 기준금리 급등으로 환율이 치
-
딜로이트 안진, 상장유지자문센터 출범…"기업 체질개선 지원"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이 상장유지자문센터를 출범한다고 22일 밝혔다.딜로이트안진 상장유지자문센터는 기업의 상장유지 종합 자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회계, 세무, 포렌직, 기업회생 등 구조조정 등 각 분야에서 IR과 기업지배구조개선 경험이 있는 전문가 40여명으로 구성했다. 상장폐지사유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단계에 대해 기업의 대응 방안을 자문할 예정이다. 감사범위제한, 회계처리위반 등의 사유로 감사의견이 변경된 경우 회계자문서비스와 재감사 대응을 지원한다. 횡령·배임이 주요 사유인 경우엔 부정조사(포렌직)를 수행하거나 법무법인과 연계한 자문을 진행한다.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의견 변형이나 경영투명성과 관련된 경우 내부회계관리제도 강화 방안을 제시한다. 계속기업 불확실성 등 재무구조악화에 의한 경우 재무구조개선계획 수립과 실질적인 이행방안 자문을 수행할 계획이다. 딜로인트안진 산하 각종 자문서비스도 협업한다. 기업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도록 딜로이트 산하 홍보마케팅 기업 PR게이트가 IR과 PR을 지원하는 식이다. 기업의 지배구조개선이 필요한 경우엔 딜로이트 기업지배구조개선센터가 협력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23사업연도 12월 결산 상장사 중 상장폐지사유가 발생한 기업은 55사로 전년도(39사) 대비 41% 증가했다. 글로벌 경기침체 영향을 받아 계속기업 존속능력 불확실성과 범위제한 등을 사유로 감사의견 거절을 받은 기업들이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장준호 딜로이트안진 상장유지자문센터장은 “최근 기업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상장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시장에서
-
밸류업 효과…코스피 현금배당 3.3% 증가
한국거래소는 올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현금배당액이 전년 대비 3.3% 늘어난 27조4525억원이라고 17일 밝혔다. 주주환원을 강화하라는 투자자의 기대에 상장사들이 배당 증가로 화답했다는 분석이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 799개 가운데 558개가 현금배당을 했다. 배당법인 한 곳당 평균 배당액은 492억원이었다.상장사들의 배당 총액은 2020년 33조1638억원으로 사상 최대액을 기록한 뒤 2021년과 2022년 감소했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행동주의펀드를 중심으로 주주환원을 강화하라는 요구가 커졌고 올해 금융당국도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도입하기로 하면서 배당액이 다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주가 대비 배당금 수준을 보여주는 시가배당률은 평균 2.72%로 최근 5년 내 최고치였다. 평균 시가배당률은 2019~2021년 사이 2.2~2.3% 수준이었으나 작년 2.70%로 오른 뒤 올해 2.72%로 소폭 더 올랐다. 업종별로 보면 통신업종이 평균 시가배당률이 3.71%로 가장 높았고 이어 금융업(3.64%), 전기가스업(3.36%) 순서였다.코스닥시장은 올해 총 배당액이 2조527억원으로 전년 대비 5.7% 감소했다. 평균 시가배당률은 1.97%로 2016년 후 최고치였다.배태웅 기자
-
"이럴 땐 공포에 베팅"…겁없는 개미들 '12%' 수익 찍었다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불안과 미국 금리 인하 불확실성에 국내 증시가 널뛰면서 변동성을 이기는 틈새 투자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증시가 출렁일수록 수익률이 높아지는 변동성지수(VIX) 상장지수펀드(ETF)가 단기 투자처로 유망하다는 분석이 나온다.17일 코스피지수는 0.98% 내린 2584.18으로 장을 마쳤다. 코스피지수가 2600선 밑으로 내려앉은 것은 지난 2월 7일 이후 두 달 여 만이다. 고환율·고유가 영향으로 외국인은 이날에만 1796억원어치를 팔아치우면서 국내 증시가 출렁이고 있다.이런 가운데 공격적인 성향의 투자자들은 공포에 베팅하는 VIX 관련 ETF·상장지수증권(ETN)으로 높은 수익률을 내고 있다. VIX는 S&P500지수 선물옵션 상품의 30일간 변동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나타내는 지수로 월가의 ‘공포지수’라고도 불린다. VIX가 최근 한 달간 28.4% 급등함에 따라 VIX를 1.5배 추종하는 ETF인 ‘프로셰어즈 울트라 VIX 단기선물 ETF(UVXY)’는 같은 기간 12.94%의 수익률을 냈다.국내 증시에서는 ‘신한 S&P500 VIX S/T 선물 ETN’과 ‘삼성 S&P500 VIX S/T 선물 ETN’ 등 VIX 관련 상품이 각각 12.04%, 11.8%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월가에서는 VIX가 더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VIX와 관련된 옵션 거래량이 2018년 2월 이후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며 "현재 18 수준인 VIX 지수가 20~25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베팅이 많았다"고 전했다.다만 VIX 상품은 선물에 투자하고 있어 오랜 기간 투자하면 롤오버(선물 재매수) 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에 단
-
'밸류업' 기대에 부응한 상장사들, 올해 코스피 현금배당액 3.3% 늘어
올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들의 현금배당액이 전년대비 3.3% 늘어났다. 주가 대비 배당 수준을 나타내는 시가배당률도 최근 5년내 최고치였다. 주주환원을 강화하라는 투자자들의 기대에 상장사들이 배당 증가로 화답했다는 분석이다. 다만 채권 금리가 급등하면서 평균 배당률은 국채 금리에 못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의 지난해 현금배당액은 전년도에 비해 3.3% 증가한 27조4525억원으로 집계됐다. 상장사 799개 가운데 558개가 현금배당을 실시했으며, 배당법인 1개사당 평균 배당액은 492억원이었다.상장사들의 배당 총액만 보면 2020년 33조1638억원으로 사상 최대액을 기록한 후 2021년 28조6107억원, 2022년 26조5854억원으로 감소 추세였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행동주의펀드를 중심으로 주주환원을 강화하라는 요구가 커졌고 올해 금융당국도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도입키로 하면서 배당액이 다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주가 대비 배당금 수준을 보여주는 시가배당률은 평균 2.72%로 최근 5년간 최고치였다. 평균 시가배당률은 2019~2021년 사이 2.2~2.3% 수준이었으나 작년 2.70%로 오른 뒤 올해 2.72%로 소폭 더 올랐다. 업종별로 보면 통신업종이 평균 시가배당률이 3.71%로 가장 높았고 이어 금융업(3.64%), 전기가스업(3.36%) 순서였다.다만 수익률만 보면 주식 시가배당률이 국채 수익률보다 떨어졌다. 작년 1년만기 국채 수익률은 평균 3.53%로 유가증권시장 평균 시가배당률인 2.72%를 웃돌았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1년만기 국채 평균 수익률이 2021년 0.92% 수준에서 최근 2년 사이 급등한 영향이다. 코스닥시장의 경우 작년 총 배당액이 2
-
외국인 "하락" vs 개미 "상승"…또 거꾸로 베팅
국내 증시를 두고 개인투자자와 외국인 투자자 간 시각이 정반대로 엇갈리고 있다. 얼마 전까지도 국내 주식을 쓸어 담던 외국인은 코스피지수 하락에 베팅했다. 개인은 코스피지수가 상승할 때 수익을 내는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로 갈아탔다.15일 코스콤 ETF체크에 따르면 최근 1주일간(4월 5~12일) 외국인 투자자가 가장 많이 순매수한 ETF는 ‘KODEX 200선물인버스2X’였다. 순매수 규모는 665억원으로, 코스피200지수 하락분의 두 배만큼 수익을 내는 상품이다. 순매수를 이어오던 외국인 투자자가 국내 증시의 단기 조정을 전망한다는 신호로 해석된다.개인은 정반대로 지수 상승에 베팅하고 있다. 같은 기간 개인투자자는 코스피200지수를 두 배로 추종하는 ‘KODEX 레버리지’를 652억원어치 사들였다. 개인투자자 순매수 1위다. 개인들은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도 646억원 규모로 순매수했다. 코스닥150지수를 두 배로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품이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보다 늦어지는 데다 중동 지역의 확전 우려로 국내 증시가 당분간 약세를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 이어지는데도 공격적인 매수에 나선 것이다.수익률은 외국인 투자자가 앞섰다. 이 기간 외국인 투자자가 매수한 ‘KODEX 200선물인버스2X’는 2.72% 오른 반면 개인투자자가 베팅한 ‘KODEX 레버리지’는 2.59% 하락했다. 개인투자자는 코스피지수가 떨어진 이날도 ‘KODEX 레버리지’를 466억원 이상 순매수했다.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은 남아 있다”며 “리스크가 해소된 이후 증시에 접근하는 전략이 유효하다”고 조언했다.이지효 기자
-
또 거꾸로 간다…국내 증시 두고 외국인 '하락' 개인 '상승' 베팅
국내 증시를 두고 개인 투자자와 외국인 투자자 간 시각이 정반대로 엇갈리고 있다. 얼마 전까지도 국내 주식을 쓸어 담던 외국인은 코스피 지수 하락에 베팅했다. 반면 개인은 코스피 지수가 상승할 때 수익을 내는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로 갈아탔다. 15일 코스콤 ETF체크에 따르면 최근 1주일 간(4월 5일~4월 12일) 외국인 투자자가 가장 많이 순매수한 ETF는 'KODEX 200선물인버스2X'였다. 순매수 규모는 665억원으로, 코스피200 지수 하락 분의 2배 만큼 수익을 내는 상품이다. 순매수를 이어오던 외국인 투자자가 향후 국내 증시를 비관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반면 개인은 정반대로 증시 상승에 베팅하고 있다. 같은 기간 개인 투자자는 코스피200 지수를 2배로 추종하는 'KODEX 레버리지'를 652억원 어치 사들였다. 개인 투자자 순매수 1위다. 개인들은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도 646억원 규모로 순매수했다. 코스닥150 지수를 2배로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품이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보다 늦어질 것이라는 전망에 더해 중동 지역의 확전 우려로 국내 증시가 당분간 약세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서도 공격적인 매수에 나선 것이다.수익률은 외국인 투자자가 앞섰다. 이 기간 외국인 투자자가 매수한 'KODEX 200선물인버스2X'는 2.72% 오른 반면 개인 투자자가 베팅한 'KODEX 레버리지'는 2.59% 하락했다. 개인 투자자는 코스피 지수가 하락한 이날도 'KODEX 레버리지'를 466억원 이상 순매수했다.증권 업계에서는 보수적인 의견을 내놓고 있다.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중동 상황이 확전으로 번질 가능성은 낮으나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