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코스닥 연초 질주에…개미, ETF 팔아 차익실현
연초 코스피·코스닥지수가 강세를 보이자 개인투자자가 지수형 상장지수펀드(ETF)를 통해 단기 차익 실현에 나서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등 증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짙어지자 지수가 우상향할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일부터 이날까지 개인투자자가 가장 많이 순매도한 ETF는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 2위는 ‘KODEX 레버리지’였다. 이 기간 개인은 두 ETF를 각각 2290억원, 1850억원어치 팔아치웠다. 두 ETF는 국내 증시 대표 지수인 코스피200, 코스닥150의 하루 수익률을 두 배로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품이다. 연초 국내 증시가 다른 국가 대비 강세를 보여 저가 매수에 나선 투자자가 대거 차익 실현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는 연초 이후 이날까지 15.39%, KODEX 레버리지는 9.16% 올랐다. 연초 개인이 순매도한 주요 ETF 3~5위도 모두 증시 대표 지수형 ETF였다. 순매도액 3위는 ‘KODEX 200’(330억원)이 차지했고 이어 ‘KODEX 코스닥150’(290억원), ‘TIGER 200’(190억원) 순이었다.반면 연초 주춤한 미국 증시에서는 개인 순매수가 이어지고 있다. 개인은 연초 이후 이날까지 ‘TIGER 미국S&P500’을 2021억원어치, ‘TIGER 미국나스닥100’을 1040억원어치 사들였다. TIGER 미국S&P500은 연초 이후 0.94%, TIGER 미국나스닥100은 1.71% 빠졌다. 이외에도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930억원), ‘KODEX 미국S&P500TR’(900억원), ‘KODEX 미국나스닥100TR’(690억원)에 자금이 몰렸다.국내 주식형 ETF들이 연초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개인투자자는 해외 주식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
빚투 늘고 외국인 컴백…K증시 '예상밖' 선두질주
지난해 전 세계 주요 주가지수 중 하락률 1, 2위였던 코스닥지수와 코스피지수가 올해 초반 나란히 상승률 1, 2위를 기록하는 반전 드라마를 쓰고 있다.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 ‘역대급 저평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인식에 매수세가 몰리고 있지만,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맞아 다시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일본 중국 떨어질 때 나홀로 상승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들어 코스피지수는 5.17%, 코스닥지수는 6.86% 상승했다. 미국 중국 일본 대만 등 글로벌 34개국 대표지수 중 수익률 2위와 1위에 올랐다.같은 기간 미국 S&P500지수는 1.96% 오르는 데 그쳤고 상하이종합지수와 닛케이225지수는 각각 3.28%, 3.62% 하락했다. 글로벌 증시 활황 속에 나홀로 약세를 보인 지난해와는 정반대 분위기다.지난해 하반기부터 매도 폭탄을 쏟아내던 외국인 투자자는 올 들어 유가증권시장에서 8296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상승장을 이끌었다. 연기금과 개인도 각각 1조4396억원, 1조2665억원어치를 사들이며 힘을 보탰다.국내 증시의 밸류에이션이 바닥을 찍었다는 인식에 저가 매수를 노린 투자자가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반등에도 불구하고 현재 코스피지수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역사적 저점인 8배 수준에 머물고 있다.지난 10년 동안 코스피지수의 12개월 선행 PER은 평균 10배 수준이었다. 9배 밑으로 떨어진 건 2008년 금융위기(7.8배), 2018년 미·중 무역분쟁(8.5배), 2020년 코로나19 확산(7.9배) 등 세 번뿐이다.강대권 라이프자산운용 대표는 “정치적 혼란으로 국내 증시가 글로벌 대비 과도하게 하락한 측면이 있다”며 “환율이 안정되면
-
계엄에 놀랐나…외국인, 국장서 3조6480억원 팔아치웠다
갑작스러운 비상계엄 발표와 해제가 일어난 지난달 국내 증시와 채권시장 양쪽에서 외국인들의 자금 이탈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지난달 국내 상장주 3조6480억원어치를 팔아치운 것으로 집계됐다. 상장채권도 2조원 이상 순회수했다. 국내 정세 불확실성과 강달러 현상 등이 겹친 영향으로 분석된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달 국내 상장주 3조6480억원어치를 순매도해 5개월 연속 순매도 흐름을 지속했다.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선 3조9770억원을 순매도했고, 코스닥에선 3280억원 만큼 순매수했다. 이에 따라 지난달 말 기준 외국인이 보유 중인 국내 상장주식 규모는 전월대비 약 20조원 감소한 673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국내 상장주 전체 시가총액에서 외국인의 상장주식 보유 비중은 27.0%로 2023년 11월(26.9%) 이후 13개월 만에 최저치를 냈다. 같은 기간 외국인은 국내 상장채권을 2조3810억원어치 순회수했다. 5개월만의 순회수 전환이다. 통안채 4000억원어치를 순투자한 반면 국채는 3조2000억원어치 순회수했다. 잔존만기별 순회수 규모는 1년 미만 채권(4조2000억원어치 순회수)이 가장 컸다. 만기가 5년 이상인 채권은 2000억원어치 순회수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말 기준 외국인의 상장채권 보유액은 268조2000억원이었다. 상장잔액의 10.4% 수준이다.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
'틱톡 퇴출'에 美 MZ 반발?…中 샤오훙수 '어부지리'
중국 짧은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대안으로 ‘중국판 인스타그램’으로 불리는 레드노트(샤오훙수)가 급부상하고 있다. 미국 내 틱톡 금지법 발효를 앞두고 이른바 틱톡 난민이 대거 샤오훙수로 이동하고 있어서다.16일 중국 주요 매체에 따르면 샤오훙수는 이번주 미국 앱 스토어 다운로드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다운로드 수가 200% 이상 뛴 데다 전주 대비 194% 급증했다. 최근 이틀간 신규 가입자가 70만 명에 달했다.샤오훙수가 인기를 얻은 데는 미국 정부의 틱톡 금지법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의회는 지난해 4월 국가 안보 등을 이유로 틱톡 금지법을 통과시켰다.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는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이달 19일부터 틱톡을 금지하는 법의 시행을 정지해 달라는 가처분 신청을 미국 연방대법원에 제기했다. 업계에선 연방대법원이 틱톡의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 있다.전문가들은 미국 이용자들이 틱톡 대안으로 샤오훙수를 선택한 것은 미국 정부에 대한 반발 심리로 해석한다. 틱톡을 생활화하던 미국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갑작스러운 틱톡 금지에 항의하는 의미로 중국 플랫폼을 찾고 있다는 설명이다.베이징=김은정 특파원
-
변동성 커진 국내외 증시…개미 돈싸들고 '안전 주차'
개인투자자들의 증시 투자 자금이 머니마켓펀드(MMF), 단기 채권형 펀드 등 이른바 ‘파킹’형 상품으로 피신하고 있다. 국내 정치 불안 등 각종 악재가 겹치면서 증시 조정 위험이 커졌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개미, 안전자산으로 피신15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전일 기준 국내 증시의 투자자 예탁금은 53조7690억원이다. 올해 첫 거래일(57조583억원) 대비 3조2893억원 줄었다. 지난달 초부터 첫 거래일까지는 4조7614억원 늘었는데 최근 보름 동안 이 금액이 대부분 빠진 것이다. 투자자 예탁금은 언제든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돈이기 때문에 ‘증시 대기 자금’으로 불린다. 연초 효과를 기대하고 증시에 들어온 자금이 다시 빠져나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서학개미 열풍도 잦아들었다. 기술주 조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나스닥지수는 지난 6일부터 최근까지 4.13% 하락했다.반면 비교적 안정적인 투자처로는 자금이 몰리고 있다. 지난해 말 86조8449억원이었던 종합자산관리계좌(CMA) 잔액은 이달 13일 기준 87조3027억원으로 증가했다. CMA는 자유롭게 입출금이 가능하며 하루만 예치해도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다.MMF 상장지수펀드(ETF)에도 자금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개인투자자들은 올해 들어 ‘KODEX 머니마켓액티브’를 259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이 ETF는 지난 한 달 동안 전체 ETF 자금 유입 순위 3위에 올랐다. 또 다른 MMF ETF인 ‘RISE 머니마켓액티브’ ‘PLUS 머니마켓액티브’에도 각각 329억원, 9억원이 순유입됐다. MMF는 만기 1년 이내의 기업어음과 양도성예금증서 등에 투자하는 초단기 상품으로, 수시로 돈을 넣고 뺄 수 있어
-
달리는 코스피…'환율 고점·실적 바닥론' 힘 실렸다
새해 들어 국내 증시가 ‘환골탈태’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미국 증시 조정과 삼성전자의 저조한 실적에도 코스피지수는 4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2500선을 회복했다. 환율 안정에 따른 외국인 매수 유입, 실적 반등 기대, 미국 관세 정책 완화 가능성 등이 투자심리를 되살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 코스피 4거래일 연속 상승세…5% 올라8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16% 오른 2521.05에 마감했다. 지난 3일부터 4거래일 연속 오름세다. 지난해 9.6% 떨어진 코스피지수는 4거래일 만에 5.07% 반등했다. 특히 전날 나스닥지수가 1.89% 떨어지고 이 영향으로 8일 대만 일본 등의 증시가 약세를 보인 데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4분기 ‘어닝 쇼크’까지 발표됐음에도 1% 이상 반등하는 저력을 보였다.전문가들은 국내 증시가 지난해와 확 달라진 이유를 환율 안정과 곧 출범할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정책 완화 기대, 기업 실적 바닥론 등에서 찾았다. 우선 원·달러 환율 상승세가 주춤하면서 지난해 국내 주식을 내다 팔던 외국인의 매수세가 되살아나고 있다. 연말 1472원을 넘어선 원·달러 환율은 이날 1455원 선까지 내려왔다. 환율 고점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자 환차익과 저점 매수를 노린 외국인이 다시 국내로 향했다는 분석이다. 이진우 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지난해와 결정적으로 달라진 점은 환율 고점 인식이 생긴 것”이라며 “이를 계기로 외국인 수급에 숨통이 트이고 있다”고 짚었다.지난달에만 유가증권시장에서 3조5844억원어치를 팔아치운 외국인은 올해 들어 6660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큰 규모는 아니지만 유동성이 부족한 국내 증시 상황에서 외
-
'수익률 꼴찌'의 반전…K증시, 새해 개장하자 깜짝 상승
지난해 ‘글로벌 수익률 꼴찌’라는 굴욕을 겪은 한국 증시가 새해 초반 반전 기록을 쓰고 있다. 중국 일본 등 주변국 증시가 주춤한 가운데 나홀로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글로벌 증시의 고평가 논란 속에 ‘K증시가 가장 싸다’는 인식이 퍼진 데다 미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상승, ‘CES 2025’ 개막 등이 호재로 작용하며 국내 수출주가 일제히 고공행진하고 있다. 韓 증시 본격 ‘반등’하나6일 미국 중국 일본 대만 등 글로벌 33개 증권시장 주요 지수의 올해(1월 1~6일) 상승률을 비교한 결과 코스닥지수가 1등을 차지했다. 올 들어 5.86% 뛰었다. 지난해 코스닥지수 수익률은 -22%였다. 2위는 코스피지수가 차지했다. 올 들어 3.54% 올랐다. 튀르키예 비스트100지수(2.20%), 미국 나스닥지수(1.61%)와 S&P500지수(1.03%) 등을 훌쩍 뛰어넘은 수익률이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4.32%), 일본 닛케이225지수(-1.47%) 등은 오히려 뒷걸음질 쳤다.이날 코스피지수는 1.91% 상승한 2488.64에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 투자자가 3762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지수를 견인했다. 작년 12월 PMI(49.3)가 2개월 연속 전월 대비 상승하자 외국인이 저가 매수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온다. PMI는 한국 수출의 대표적인 선행지표다. 강대석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PMI가 회복하면서 국내 제조업 경기와 수출도 반등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7일(현지시간) 개막하는 CES 2025를 앞두고 인공지능(AI) 반도체 업황을 향한 기대가 커지는 것도 영향을 줬다. 수출주면서 엔비디아의 밸류체인(가치사슬) 대표주인 SK하이닉스는 이날 9.84% 급등한 19만9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올 들어 14.89% 올랐다. 싸다는 게 최대 매력운
-
새해 달리는 코스닥…외국인, 소부장·배터리 '줍줍'
고환율, 국내 정치 불안 등의 요인이 겹쳐 휘청이던 코스피·코스닥지수가 3일 모처럼 나란히 반등했다. 코스닥지수는 새해 들어 2거래일만 따지면 주요국 증시 지수 중 상승률 1위를 달렸다. 최근 국내 주요 종목이 저평가됐다는 인식이 커진 데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이날 윤석열 대통령 체포를 시도하자 국내 정치 불안이 곧 해소될 것이란 전망으로 매수세가 유입됐다. ○저가 매력 韓 증시 오래간만에 반등이날 코스피지수는 1.79% 오른 2441.92에 마감했다. 최근 6거래일 만의 오름세다. 코스닥지수는 2.79% 급등하며 장을 마쳤다. 지수 상승을 이끈 건 외국인이었다. 이날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2845억원, 코스닥시장에서 1430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2차전지, 반도체, 바이오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이 모처럼 힘을 냈다. 이날 LG에너지솔루션은 2.89% 상승했고 포스코홀딩스(3.6%), SK이노베이션(7.21%), 에코프로비엠(7.11%) 등도 강세였다. 한국 증시는 이날 주요국 증시보다 뜨거웠다. 대만 자취안지수와 홍콩 항셍지수는 각각 0.33%, 0.7% 오르는 데 그쳤다. 전날 미국 S&P500지수는 새해 첫 거래일에 0.22% 하락하며 마감했다.올해 증시를 개장한 국가만 비교하면 코스닥지수는 최근 2거래일간 4.08% 뛰어 미국 인도 영국 독일 프랑스 이스라엘 중국 대만 등 주요국 대표 지수 중 가장 상승률이 높았다. 지난해 코스닥지수가 21.74% 하락해 주요국 중 꼴찌를 한 것과 대비된다.전문가들은 한국 증시 저평가가 심화하자 연초 저가 매수를 노린 자금이 유입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코스피지수의 12개월 후행 주가순자산비율(PBR)은 전날 기준 0.87배에 불과했다. 상장사들의 시가총액 합산액이 장부가 합산액에도 못
-
"올해 국장에 투자하면…" 30억 부자들에게 물었더니
고액 자산가들은 올해 코스피지수 약 5% 상승을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올 2~3분기를 국내 주식을 매수할 적기로 내다봤다. 2일 삼성증권에 따르면 이 증권사에 맡긴 자산이 30억원 이상인 SNI 이용자 341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 자산가들은 올해 코스피지수가 평균 5.2%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SNI는 삼성증권의 고액 자산가 전담 브랜드다. 올해 코스피지수가 10% 이상 오를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약 51%였다. 지난해 응답률(약 80%)에 비해 낮아졌다. 국내 주식 매수 적기로는 38.5%가 2분기를, 30.4%는 3분기를 점찍었다. 1분기(20.5%), 4분기(10.6%)를 고른 이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자산가들은 국내 증시보다는 미국 증시의 상승 가능성이 더 클 것이라고 봤다. 미국 S&P500과 나스닥의 올해 상승률을 11.3%, 11.7%로 전망했다. 전체 응답자의 80% 이상이 두 지수가 각각 10% 이상 오를 것이라고 답했다. 30% 이상 뛸 것이라고 기대한 응답자도 5.3%, 3.5%씩 나왔다. 다만 환율이 미국 증시 투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 응답자 41%가 “환율 전망이 어려워 미국 주식 투자가 까다롭다"고 했다. 투자 유망 업종으로는 응답자의 38.2%가 인공지능(AI)·반도체를 꼽았다. 지난해(50.6%)에 비해 선택 비중이 줄었다. 대신 제약·바이오·헬스케어가 유망하다는 응답률은 작년 1.7%에서 올해 22.5%로 크게 올랐다. 방산·로봇(13.5%), 이차전지(6.2%), 자동차(5.1%), 미디어·콘텐츠·엔터테인먼트(4.5%) 등이 뒤를 이었다. 경기 방어주 성격인 인터넷·게임주, 면세·유통·화장품주를 가장 유망하다고 본 이들은 각각 3.9%씩에 그쳤다. 자산가들 중
-
밸류업으로 시작했지만…끝내 2400 못 지킨 코스피
올해 국내 증시 마지막 개장일인 30일 코스피지수가 2400선을 내주고 마감했다. 장중 내내 강세를 보이다가 막판 대규모 외국인 매도 물량에 급락했다. 반도체 겨울 논란, 정치적 불확실성 등으로 최악의 부진을 겪은 국내 증시가 마지막까지 투자자를 허탈하게 했다. 남들 오를 때 10% 떨어진 코스피이날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22% 하락한 2399.49로 거래를 마쳤다. 장중 2430 부근까지 반등하며 저점을 사수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오후 들어서며 외국인이 매도세로 전환했고 장 막판 동시호가에서 2400선을 내줬다. 올 한 해 코스피지수는 9.63% 하락했고 코스닥지수는 21.74% 폭락했다. 미국 S&P500지수가 25.18%, 나스닥종합지수가 31.38% 급등(지난 27일 기준)한 것과 대조적이다.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같은 기간 19.22% 올랐다.올 한 해 국내 증시는 유독 부침을 겪었다. 수급 측면에서는 외국인이 냉·온탕을 극단적으로 오간 영향을 받았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외국인이 유가증권시장에서 반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인 22조7981억원어치를 순매수했지만 하반기 들어 돌변해 20조3943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그 중심엔 반도체가 있었다. 외국인은 상반기에 삼성전자 주식을 8조원어치 이상 사들인 뒤 하반기에는 18조원어치를 팔았다. 이 영향으로 삼성전자 주가는 하반기 34.8% 낙폭을 기록했다. 개인, 삼성전자에서 ‘평균 23%’ 손해불안한 흐름 속에서 개인 투자자와 외국인 투자자의 수익률 격차는 크게 벌어졌다. 투자 주체별로 올해 순매수 상위 10개 종목의 평균 매수가를 산출해 30일 종가와 비교한 결과 개인은 평균 17.13%의 손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개인은 올해 반도체와 2차전지 종목을
-
한국 증시, 미국과 디커플링 심화…올해 시총 254조 증발
국내 증시 부진이 이어지면서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증시와의 탈동조화(디커플링)가 심화하고 있다. 올 들어 미국 나스닥지수가 33.37% 오르는 동안 코스닥지수는 23.15% 내렸다.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지수는 올해 34개국 40개 대표 지수 중 가장 부진한 성적을 냈다. 지난 1월 2일 866.57이던 코스닥지수는 이달 27일 665.97로 23.15% 밀렸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는 2655.28에서 2404.77로 9.43% 떨어졌다.올 들어 미국 증시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것과 대조적이다. 같은 기간 나스닥지수 상승률은 33.37%, S&P500지수는 26.58%에 달한다. 국내 증시는 다른 아시아 국가에 비해서도 온도차가 크다. 일본 닛케이225지수(20.37%), 중국 상하이종합지수(14.26%), 홍콩 항셍지수(17.82%)는 같은 기간 상승세가 뚜렷하다.이 기간 국내 증시에선 시가총액이 253조9320억원 증발한 것으로 집계됐다. 27일 유가증권시장 시총은 1966조9570억원으로 작년 마지막 거래일(2126조3720억원) 대비 159조4150억원 줄었다. 코스닥시장 시총은 지난해 말 429조3910억원에서 333조8740억원으로 94조5170억원 쪼그라들었다.국내 시총 1위인 삼성전자 영향이 컸다. 1월 2일 7만9600원이던 삼성전자 주가는 이달 27일 5만3700원으로 내렸다. 같은 기간 시총은 148조510억원 깎였다. 올해 국내 증시 시총 감소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삼성전자 주가 부진에 삼성그룹 시총이 국내 증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낮아졌다. 국내 증시에 상장된 삼성그룹 22개 종목(우선주 포함) 합산 시총은 26일 기준 548조4413억원으로 지난해 말 709조6920억원에 비해 약 161조2500억원(22.7%) 줄었다.삼성그룹 시총이 증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7.57%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유가증권
-
비트코인부터 金까지 글로벌 '에브리싱 랠리'…코스피만 '-8%' 굴욕
‘달러가 오르면 금값은 내린다.’ ‘안전자산이 오르면 위험자산은 내린다.’지난 수십 년간 재테크 시장에서 통용되던 전통적 논리가 무너진 한 해였다. 안전자산인 금과 위험자산인 비트코인, 미국 주식이 동반 랠리를 펼치고 달러 가치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등 ‘에브리싱 랠리’가 펼쳐졌다. 하지만 한국 주식은 오히려 투자자에게 8% 넘는 손해를 안겼다.비트코인·金·달러 동반 랠리23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올초 4만~5만달러 수준을 횡보하던 비트코인은 지난 5일 사상 처음으로 10만달러를 넘겼다. 이달 19일 기준 비트코인의 올해 상승률은 129.67%에 달했다.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이 큰 영향을 미쳤다. 트럼프 당선인은 선거 기간 내내 가상자산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규제를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미국 행정부는 비트코인을 전략적으로 비축하겠다고 약속했다. 홍춘욱 프리즘투자자문 대표는 “트럼프 행정부가 펼칠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워낙 크다 보니 트럼프의 작은 발언에도 글로벌 자금이 몰려드는 상태”라고 말했다.수익률 2위는 금(24.87%) 현물이 차지했다. 금과 달러는 지난 10년간 역의 상관관계를 기록해왔다. 금 등 원자재는 대부분 달러로 거래되기 때문에 달러 가치가 절하하면 달러로 표시된 원자재 가격은 상승한다. 그러나 올해는 미국의 강한 경제에 힘입어 달러인덱스가 6% 상승하는 동안 금도 크게 올랐다. 금의 구조적 수요가 많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미국이 러시아를 상대로 달러 자산을 무기화하자 신흥국 중앙은행은 달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금을 대량으로 사들였다. 중동 갈등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韓-美 증시 수익률 격차 24년 만에 최대로 벌어져
올해 미국·한국 양국 증시 대표 지수의 수익률 차이가 24년 만에 최대 수준까지 벌어졌다. 올해 미국 증시 강세가 두드러진 반면 국내 증시는 반도체 업황 둔화, 기업 이익 전망치 하향 등으로 주요국 중에서도 상승률 하위권을 기록하면서다.23일 한국거래소와 인베스팅닷컴 등에 따르면 미국 S&P500지수와 코스피지수의 올해 수익률(지난해 말 대비 최근 거래일 종가 비교) 격차는 32.3%포인트로 집계됐다. ‘닷컴 버블’이 무너지며 글로벌 증시가 약세를 보인 2000년(40.7%포인트) 후 최대치다. 2000년 당시 S&P500지수가 10.13% 하락하는 동안 코스피지수는 50.91% 떨어졌다. 당시에는 글로벌 증시가 전반적으로 침체를 보인 가운데 한국이 상대적으로 더 떨어졌다면 올해는 주요국 중에서 한국만 하락했다는 게 달라진 점이다.인베스팅닷컴이 제공하는 주요 33개국 43개 증시 지수 가운데 코스피지수 등락률은 올해 들어 -8.03%로 37위에 머물렀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12.68%), 대만 자취안지수(25.54%), 인도 센섹스지수(8.58%), 일본 닛케이225(17.06%) 등 아시아 주요 국가만 놓고 비교하면 코스피지수가 꼴찌다.지난해까지 5년간 코스피지수와 미국 S&P500지수는 동조화 경향을 보였다. 2020년 S&P500지수가 16.3% 오르자 코스피지수는 30.8% 뛰었고, 2022년 미국이 기준금리를 급격히 인상하자 S&P500지수는 19.4%, 코스피지수는 24.9% 빠졌다. 지난해에도 S&P500지수가 24.2% 상승하자 코스피지수는 18.7% 올랐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워 양국 증시의 탈동조화는 내년에 더 두드러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국내 주요 기업의 이익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는 점도 우려
-
올해 재테크 승자는…비트코인·金·美주식
올해 재테크 시장의 최대 승자는 비트코인, 금, 미국 주식 투자자였다. 비트코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가상자산 육성 의지를 밝힌 데 힘입어 올해 주요 17개 자산군 중 가장 두각을 나타냈다. 미국 증시도 글로벌 유동성을 빨아들이며 1년 내내 랠리를 펼쳤다.23일 한국경제신문과 NH투자증권이 18개 주요 자산군별 올해 투자 수익률(1월 1일~12월 19일)을 집계한 결과 비트코인이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올해 129.67% 급등했다.다음으로 높은 수익률을 올린 것은 금이었다. 영국 런던귀금속거래소(LBMA)에서 거래되는 금 현물은 올해 들어 24.87% 올랐다. 신흥국 중앙은행들이 앞다퉈 금을 사들인 데다 주요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기대까지 겹쳐 고공행진을 벌였다. 금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며 지난 10년간 공고하던 ‘달러가 오르면 금값은 내린다’는 공식도 깨졌다.미국 S&P500지수는 올해 들어 23.0% 뛰었다. 이른바 ‘매그니피센트7’(아마존 구글 애플 메타 테슬라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을 중심으로 한 대형 기술주가 활황을 주도했다.이들 자산군 외에도 올해는 글로벌 유동성을 바탕으로 주요 시장 가격이 동반 강세를 나타내는 ‘에브리싱 랠리’가 펼쳐졌다. 일본 증시(15.99%)와 유럽 증시(7.91%)도 비교적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고 중국 증시 역시 막대한 경기부양책에 힘입어 13.28% 올랐다. 서울 강남구 아파트는 평균 7.17% 상승했다.하지만 18개 주요 자산군 중 원유(미국 서부텍사스원유·WTI)와 글로벌 리츠(S&P글로벌리츠), 한국 주식(코스피지수) 등 3개는 하락세였다. 코스피지수는 올 들어 8.26% 하락하며 가장 저조한 성적을 내는 굴욕을 겪었
-
코스피 장중 2400 붕괴…동시다발 악재 쏟아져
코스피지수가 8거래일 만에 장중 2400선 밑으로 내려앉았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하 속도 조절, 원·달러 환율 고공행진, 마이크론테크놀로지 주가 급락,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가능성, 미국 증시 선물·옵션 만기일 도래에 따른 경계감 고조 등 미국발 악재가 연일 국내 증시를 짓누르는 형국이다.20일 코스피지수는 1.30% 하락한 2404.15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지수는 2.35% 급락한 668.31에 거래를 마감했다. 외국인이 이날 국내 증시에서 9070억원어치를 팔며 하락세를 주도했다.우울한 금요일…외국인 9070억 팔았다美 기준금리 인하 속도조절에…강달러·반도체 시황 악화 부담20일 증시가 장중 2400선 밑으로 주저앉은 것은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속도 조절에 따른 충격파가 여전한 가운데 미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위기감, 고환율, 반도체 업황 우려 등 복합 악재가 한꺼번에 작용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외국인 투자자의 수급이 돌아서긴 어렵지만 최근 심리적 저항선으로 여겨지는 2400선에서 하락과 반등이 반복되는 장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전날 급등한 미 국채 금리와 달러 인덱스는 이날도 오름세를 지속했다.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연 4.56%, 달러 인덱스는 108.5선까지 상승하는 등 글로벌 금융시장은 쉽사리 진정되지 못했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미국 경기가 생각보다 더 견조하다는 것이 드러나자 달러화가 더욱 강해질 거라는 믿음이 커지고 있다”며 “국내 증시에 투자하는 외국인에게는 부담”이라고 말했다.외국인은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8230억원, 코스닥시장에서 840억원 등 총 9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