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분기 실적 시즌 돌입한 美증시…"시그니쳐뱅크 등 '깜짝 실적' 전망"
미국 증시가 3분기 실적 시즌에 돌입한 가운데 금리 인상 등의 여파로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깜짝 실적’을 보일 수 있는 기업을 저점 매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16일(현지시간) CNBC는 3분기 실적 발표를 앞둔 미국 상장기업 가운데 애널리스트들의 ‘매수’ 의견 비중이 70% 이상인 기업을 추려 소개했다.시그니쳐뱅크는 분석에 참여한 모든 애널리스트들이 매수 의견을 냈다. 잭스이쿼티리서치에 따르면 시그니처뱅크의 3분기 주당순이익(EPS)은 5.41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9.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전문가들은 시그니처 뱅크의 주가가 평균 목표치보다 약 63% 급등할 것으로 예상했다. 시그니처 뱅크는 미국 뉴욕에 위치한 소형 은행으로, 올해 주가는 55% 하락했다. 웰스파고는 지난달 시그니처 뱅크에 대해 “국내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은행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알래스카에어그룹도 애널리스트 중 84.6%가 매수의견을 낸 3분기 추천 종목으로 꼽혔다. 3분기 EPS는 2.39달러로 지난해에 비해 62.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잭스이쿼티리서치는 “최근 4개 분기 동안 증권사들의 EPS 예상치를 상회한 항공사”라고 설명했다.생명과학과 환경 및 응용 솔루션 플랫폼을 보유한 미국 기업 다나허에 대해서는 분석가 10명 중 7명이 ‘매수’ 의견을 제시했다. 분석가들은 다나허의 주가가 16일 종가(253.71달러) 기준 약 28%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CNBC는 이외에도 △프롤로지스 △인터랙티브브로커 △실버게이트캐피털 △리시아모터스 등을 저점 매수가 유리한 종목이라고 소개했다.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
-
마스크 벗고 희비 엇갈리는 '엔터주'…하이브 울고 SM·JYP 웃고
국내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이 올 3분기 실적 발표를 앞둔 가운데 주가 희비가 크게 엇갈리고 있다. 영업이익 증가가 예상되는 JYP엔터테인먼트와 SM 주가가 선방하는 가운데 하이브는 매출 핵심인 방탄소년단(BTS)의 이탈로 이익 하락이 예상되며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17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JYP와 SM의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각각 274억원, 253억원으로 집계됐다. 각각 전년대비 50.5%, 79.4%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면서 해외 공연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소속 아이돌 그룹의 앨범 판매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서다.반면 하이브의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10.2% 감소한 589억원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BTS의 단체활동 중단으로 앨범 판매량이 급감하면서 영업이익 전망치도 함께 줄어들었다.주가도 이러한 실적 전망을 따라가고 있다. 올해 하반기가 시작된 7월1일 이후 SM과 JYP는 각각 11.3%, 19.5% 상승했다. 특히 SM은 이수만 SM 총괄프로듀서와 관련한 지배구조 문제가 해결되면서 주가 하방 압력이 사라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SM은 지난 14일 SM은 이 총괄프로듀서의 개인회사 라이크기획과 맺어온 프로듀싱 라이선스 계약을 조기종료하겠다고 밝혔다.박성국 교보증권 연구원은 “SM은 라이크기획에 별도 매출의 최대 6%를 인세로 지급해 수익성에 영향을 미쳤다”며 “계약종료로 실적개선뿐만 아니라 불투명한 지배구조 등 동종 기업 대비 주가가 할인받던 요소들도 정상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반면 하이브는 올 하반기에만 주가가 17.8% 빠지면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달 하나증권을 비롯해 5개 증권사는 하이브의 목표주가
-
"어닝쇼크가 더 낫다" … OO만이 인플레 해결사인 이유 [정인설의 워싱턴나우]
세계 각국이 고환율과 고물가, 고금리로 인한 3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강달러로 인해 달러표시 부채가 많은 나라들은 금방이라도 쓰러질 것 같습니다. 고유가 때문에 생필품도 구하지 못하고 있는 나라들도 부지기수입니다.금리 급등 후폭풍으로 전체 대출 중 변동금리 비율이 높아 이자도 제대로 내지 못하는 국가들도 너무 많습니다. 이미 국제통화기금(IMF)에 지원을 요청한 나라들이 급속히 늘고 있습니다. 결국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의 인플레이션이 끝나야 이런 고통도 종지부를 찍을 수 있습니다. 과연 그렇다면 인플레이션은 언제쯤 꼬리를 확 내릴까요. 정점을 찍고 급전직하했으면 좋겠지만 필사적으로 버티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미 중앙은행(Fed)을 비롯한 각국의 중앙은행들의 긴축 속도는 잦아들지 않고 있습니다. IMF 연차총회에선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기 전까지 이런 흐름이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 했습니다. 혹자는 경기침체가 본격화해야 인플레 정국이 막을 내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성장률이 급락하고 실업률이 급등해야 인플레와의 싸움이 끝날 것이란 예상입니다.지난주가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로 시작된 인플레 주간이었다면 이번주는 경기침체가 화두가 될 전망입니다. 미국 기업의 실적이나 생산 및 부동산 지표 등에서 침체의 그림자가 배여 있을 것입니다. Fed의 경기전망도 장밋빛이 아닐 가능성이 큽니다. 큰 행사를 끝낸 중국도 낮은 3분기 성장률을 보며 현실을 직시할 공산이 큽니다. 여전히 불안한 영국은 더 불안한 인플레이션 성적표를 받아들어야 할 지 모르겟습니다. '고성장'에서 '고품질
-
"상장사들, 올해 역성장할 수도"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에 기업들의 하반기 실적 전망치가 크게 하향 조정되면서 올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들의 영업이익이 역성장할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16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세 곳 이상이 실적 전망을 제시한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180곳의 올해 연간 매출 전망치는 2474조2257억원, 영업이익 예상치는 205조8487억원이다. 작년보다 매출은 19.6%, 영업이익은 0.4% 많은 수치다.문제는 연간 영업이익 전망치가 계속 낮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3개월 전만 하더라도 연간 영업이익 예상치는 222조5629억원이었으나 1개월 전 216조4515억원으로, 이달에는 205조원대로 급감했다.삼성전자가 지난 7일 어닝쇼크 수준의 잠정 실적을 발표한 것을 필두로 상장사들의 3, 4분기 실적 추정치가 대폭 하향 조정됐다. 원자재 가격이 급등한 데다 금리가 오르면서 소비가 둔화하고, 기업의 이자 비용 부담이 늘었다.3분기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165곳의 영업이익 추정치는 44조8577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18.8% 줄어들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3개월 전 추정치보다는 16.4%, 1개월 전보다는 9.8% 낮아진 것이다. 삼성전자(-31.7%) SK하이닉스(-45.3%)를 비롯해 삼성증권(-42.7%) 등 증권주, SK아이이테크놀로지(-96.8%) 등의 영업이익 전망치가 크게 낮아졌다.서형교 기자
-
삼성전자 3분기 '어닝쇼크'
올해 3분기 삼성전자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0% 넘게 감소하는 ‘어닝쇼크’를 기록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소비 위축과 경기 침체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삼성전자는 올 3분기 매출이 76조원, 영업이익은 10조8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밝혔다.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이 2.7% 늘어 역대 3분기 기준 최대를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31.7% 감소했다. 삼성전자 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줄어든 것은 2019년 4분기 이후 2년9개월 만이다. 시장 컨센서스(증권사 평균 추정치)인 11조8683억원도 크게 밑돌았다.글로벌 경기 침체 여파로 주력인 반도체를 비롯해 스마트폰, TV 등 세트 부문 수요가 줄어든 게 실적 부진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삼성전자 영업이익의 70%를 차지하는 반도체(DS) 부문이 주춤한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 많다. 증권가에서는 DS 부문 영업이익을 5조~6조원 수준으로 추정했다. 전년 동기(10조600억원)보다 40% 넘게 줄어든 수준이다.LG전자도 이날 3분기 매출이 21조1714억원, 영업이익은 7466억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같은 기간 제너럴모터스(GM) 리콜 충당비를 반영하기 전(1조768억원)과 비교해 30.7% 감소했다.4분기 전망 역시 불투명하다. 한 전자업계 고위 관계자는 “재고가 쌓이는 와중에 원자재·물류비까지 증가하면서 업계 전반에 ‘역대급’ 위기가 찾아오고 있다”며 “4분기는 물론이고 내년 초까지 쉽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정지은/황정수 기자
-
[속보]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이익 10.8조원…'컨센서스 하회'
삼성전자가 2022년 3분기 잠정실적을 공개했다. 잠정 매출은 76조원, 영업이익은 10조8000억원이다. 증권사 컨센서스인 매출 78조3062억원, 영업이익 11조8683억원에 못 미치는 수치다.전년 동기 대비해선 매출은 2.73%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31.73% 감소했다. 2분기 대비해선 매출 1.55%, 영업이익 23.4% 감소했다.D램, 낸드플래시 가격 하락으로 반도체사업부문의 3분기 실적이 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 아이폰 14 출시 효과로 디스플레이는 선방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스마트폰 등을 담당하는 MX사업부는 폴더블폰 등의 판매가 늘면서 긍정적인 실적을 거둔 것으로 전해졌다.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
신한금융, 3년 만에 '리딩뱅크' 올라서나
4대 금융지주가 올해 3분기 실적 발표를 앞둔 가운데 신한금융이 3년 만에 ‘리딩뱅크(1등 금융지주)’ 탈환을 눈앞에 두고 있다. 신한금융은 2019년을 끝으로 KB금융에 당기순이익 1위 자리를 내줬다. 올해는 신한은행이 순이자마진(NIM) 확대 속에 성장세를 이어가는 데다 신한투자증권의 사옥 매각도 실적 개선에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하나금융과 우리금융의 3위 싸움도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신한銀 실적 호조…자산 매각 효과도6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신한금융의 3분기 순이익 전망치는 1조4373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3분기보다 28.8% 증가한 수치다. KB금융은 지난해 동기보다 1.99% 줄어든 1조2723억원의 순익을 올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신한금융의 순이익 예상치가 KB금융보다 1650억원 더 많다.올해 2분기까지는 KB금융이 2조7566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해 신한금융(2조7208억원)에 358억원 앞섰다. 하지만 3분기 순이익 전망치를 반영하면 신한금융이 4조1581억원으로 KB금융(4조289억원)을 1292억원 차이로 제치고 1위 금융지주 자리에 오르게 된다.신한금융의 실적 개선은 신한은행이 이끌고 있다. 지난 4월 유치한 48조원 규모의 서울시금고 효과를 톡톡히 봤다는 평가가 나온다. 예금금리 인상으로 주요 은행 요구불예금 등 저원가성 예금이 이탈했는데도 신한은행은 시금고를 통해 자금을 확보하면서 3분기 핵심 수익성 지표인 NIM이 전 분기보다 0.09%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증권업계에선 보고 있다. 신한은행은 2분기에도 8200억원의 순익을 올리면서 맞수인 국민은행(7491억원)을 제쳤다. 신한투자증권 서울 여의도 사옥 매각 차익 3220억원이 3분기 신한금융 순익에 반영될 예정이어
-
금리 급등에…월가 IB도 '덜덜'
월스트리트 대형 투자은행들의 3분기 실적에 제동이 걸렸다. 전방위로 확산된 인플레이션과 미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돼서다. 기업금융(IB) 수수료가 직격탄을 맞고 있다.13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마크 메이슨 씨티그룹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한 콘퍼런스에 참석해 “기업금융 부문에서 3분기 들어 수수료 수입이 5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JP모간체이스는 투자자들이 발을 빼면서 투자은행의 수수료가 반토막 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앤디 사퍼스테인 모건스탠리 공동대표는 “여름 내내 기업금융 시장이 잠잠했다”며 “언젠가 시장이 다시 안정되고 투자자들이 거래하겠지만, 곧 안정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기업금융 시장의 부진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 것이다.앞서 지난 12일 외신들은 골드만삭스가 업무 능력 평가에서 하위 성적을 기록한 직원 수백 명을 감원할 것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다만 증시 변동성이 커지며 주식 트레이딩 부문의 실적은 나쁘지 않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JP모간은 3분기 트레이딩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브라이언 모니한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최고경영자(CEO)는 “일반적으로 트레이딩 매출은 2분기에 비해 3분기에 9~10% 감소하지만 올 3분기 매출은 2분기 대비 한 자릿수 초반 감소율을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노유정 기자
-
월가 은행들에 부는 금리인상 여파…"IB 실적 직격탄"
월스트리트의 대형 투자은행들의 3분기 실적에 제동이 걸렸다. 전방위로 확산된 인플레이션과 미 중앙은행(Fed)의 잇따른 기준금리 인상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기업부문(IB) 수수료가 직격탄을 맞고 있어서다.13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마크 메이슨 씨티그룹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한 컨퍼런스에 참석해 “기업금융 부문에서 3분기 들어 수수료 수입이 5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JP모간체이스는 투자자들이 발을 빼면서 투자은행의 수수료가 반토막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앤디 사퍼스테인 모건스탠리 공동대표는 “여름 내내 기업금융 시장이 잠잠했다”며 “언젠가 시장이 다시 안정되고 투자자들이 거래를 하겠지만 시장 안정이 임박한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기업금융 시장의 부진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 것이다.앞서 지난 12일 외신들은 골드만삭스가 업무 능력평가에서 하위 성적을 기록한 직원 수백명을 감원할 것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중단했던 조치를 복원했다. 증시 부진으로 월가에도 한파가 불자 비용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내놓았다는 해석이다.다만 증시 변동성이 커지며 주식 트레이딩 부문의 실적은 나쁘지 않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JP모간은 3분기 트레이딩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브라이언 모니한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최고경영자(CEO)는 “일반적으로 트레이딩 매출은 2분기에 비해 3분기에 9~10% 감소하지만올해 3분기 매출은 2분기 대비 한 자릿수 초반 감소율을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
-
손실 대폭 늘어난 게임스톱, 시간외거래서 급등…왜?
대표적 ‘밈 주식’인 게임스톱이 부진한 실적에도 시간외거래에서 주가가 11% 급등했다. 암호화폐거래소 FTX와 협력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호재였다.7일(현지시간) 비디오게임 소매업체 게임스톱은 올 2분기(5~7월) 매출이 11억3600만달러(약 1조5693억원)로 전년 같은 기간(11억8300만달러)보다 3.97% 감소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순손실은 6160만달러에서 1억870만달러로 대폭 확대됐다.2분기 말 기준 재고는 7억3480만달러로 5억9640만달러였던 전년 동기 대비 23.21% 늘었다. 게임스톱 측은 “공급망 문제에 대처하고 소비자 수요를 맞추기 위해 적절한 재고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게임스톱은 신사업으로 NFT(대체불가능토큰) 시장에 뛰어들었다. 지난 7월 NFT 장터 시범서비스를 선보였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디지털 지갑을 연결해 NFT를 사고팔 수 있다.FTX와의 협력도 신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라는 설명이다. 게임스톱은 이날 FTX와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발표하며 “더 많은 게임스톱 이용자에게 FTX의 커뮤니티와 디지털 자산 시장을 소개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소개했다. 또 “FTX와 e커머스, 마케팅 분야에서 협업하고 일부 매장에서 FTX 기프트 카드도 판매할 예정”이라고 했다.게임스톱 주가는 이날 장 마감 후 시간외거래에서 11.65% 뛰었다. 부진한 실적에도 FTX와의 협력 소식에 매수세가 몰렸다는 분석이다. 게임스톱 주가는 올 들어 7일까지 37.08% 떨어졌다.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
게임스톱, 실적 부진에도 시간외 주가 11% 뛴 이유는?
‘밈 주식’의 대표인 비디오게임 소매업체 게임스톱이 부진한 실적을 냈는데도 시간외 거래에서 주가가 11% 급등했다. 가상화폐 거래소 FTX와 협력하기로 했다는 소식 때문이다.7일(현지시간) 게임스톱은 2분기(5~7월) 매출이 11억3600만달러(약 1조5693억원)로 전년 같은 기간(11억8300만달러)보다 3.97% 감소했다고 밝혔다. 순손실은 같은 기간 6160만달러에서 1억870만달러로 대폭 확대됐다.2분기 말 기준 재고는 7억3480만달러로 5억9640만달러였던 전년 동기 대비 23.21% 늘었다. 게임스톱 측은 “공급망 문제에 대처하고 소비자 수요를 맞추기 위해 적절한 재고 수준을 유지하기로 것”이라고 설명했다.게임스톱은 신사업으로 대체불가능토큰(NFT) 시장에 뛰어든 상태다. 지난 7월 베타 테스트를 위해 대중에 공개되는 NFT 장터를 출범했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디지털 지갑을 연결해 NFT를 사고 팔 수 있다.FTX와의 협력도 신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라는 설명이다. 게임스톱은 이날 FTX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하며 “더 많은 게임스톱 고객들에게 FTX의 커뮤니티와 디지털 자산 시장을 소개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소개했다. 또한 “FTX와 새로운 e커머스와 마케팅 관련 협업 외에도 일부 매장에서 FTX 기프트 카드를 판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게임스톱 주가는 이날 장 마감 후 시간외거래에서 11.65% 뛰었다. 부진한 실적에도 FTX와의 협력 소식에 매수심리가 쏠렸다는 분석이다. 게임스톱 주가는 올 들어 7일까지 37.08% 떨어졌다.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
믿을 건 너밖에 없다…실적대비 여전히 싼 ‘자동차株’
자동차주의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주가가 저평가돼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자동차 업종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기업을 찾는 게 약세장 속 투자법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한다.30일 'KODEX 자동차 상장지수펀드(ETF)'는 3.48% 상승한 1만8725원에 마감했다. 이 ETF 구성 종목인 현대차(3.71%), 기아(3.35%), 현대모비스(3.39%),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4.65%) 등 자동차 관련주가 상승한 덕분이다. 해당 ETF는 지난달 초 대비 7.9% 상승했다. 현대차의 올해 주가수익비율(PER) 예상치는 6.1배로 1개월 전(6.3배)보다 오히려 낮아졌다. 기아의 PER 예상치도 4.9배로 1개월 전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인 5.1배보다 낮다. 부품주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의 PER 예상치도 6.7배로 1개월 전(8.9배)보다 하향 조정됐다. 모두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들 평균(약 10배)을 밑돈다. 실적이 개선될 것이란 전망이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수준) 매력을 높였다. 현대차의 올해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10조1562억원이다. 1개월 전(10조1447억원), 3개월 전(8조2857억원) 보다 높아졌다. 기아와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영업이익 전망치도 같은 기간 상향 조정됐다. 유지웅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차의 경우 올해 하반기부터 싼타페 하이브리드의 알라바마 공장 양산이 이뤄질 예정”이라며 “올해 3분기 예상 영업이익은 2조8000억원으로 연초 이후 3회 연속 컨센서스를 상회할 전망”이라고 했다.설태현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유가증권시장 기준 2002년 이후 지금까지 5번의 약세장에서 저평가 매력이 높은 기업들의 상대성과가 우수했다”며 “자동차 업종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
'깜짝 실적'도 내성 생긴다?…주가 상승률 뚝
글로벌 경기둔화 여파로 3분기부터 상장사 실적이 본격적으로 둔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 어느 때보다 실적이 견고한 기업에 투자자의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다. 전문가들은 지난 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를 기록할 확률이 높은 기업에 주목하라고 조언했다. 지난 2분기 깜짝 실적에 이어 3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도 지속적으로 상향되고 있는 기업은 포스코케미칼과 에코프로비엠, 셀트리온헬스케어, 동성화인텍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깜짝실적 길어지면 되레 주가 부진”24일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2012년 1분기~올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컨센서스 대비 5% 이상 상회)를 기록했던 기업의 연평균 주가 상승률은 7.8%를 나타냈다. 상장사 전체 주가 상승률(5.0%)을 웃돈 수치다. 깜짝 실적이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뜻이다.특히 2개 분기 연속 어닝 서프라이즈를 낸 기업의 연평균 주가 상승률은 12.8%에 달했다. 어닝 서프라이즈를 처음 기록한 기업(6.4%)의 두 배 수준이다.깜짝 실적이 길어지면 되레 주가 상승률은 꺾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닝 서프라이즈를 3개 분기 연속 기록한 기업의 주가 상승률은 7.8%에 불과했다. 연속 4회 이상의 경우는 4.5%로 오히려 벤치마크 수익률을 밑돌았다.어닝 서프라이즈 기간이 길어질수록 실적 피크아웃에 대한 우려가 커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 철강업종이 대표적 예다. 2020년 1분기부터 8개 분기 연속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지만 네 번째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지난해 1분기부터는 오히려 부진한 주가 흐름을 보였다.유명간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3분기부터 국내 상장사 실적이 꺾일 것으로 예
-
깜짝 실적 행진도 길어지면 주가에 악영향…2개분기 연속 서프라이즈 예상 기업은?
3분기부터 상장사의 실적이 본격적으로 둔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어느때보다 실적이 견고한 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이 기대되는 기업 가운데서도 두 번 연속 깜짝 실적을 기록한 기업의 주가 성적표가 가장 좋다는 분석이 나왔다. 반면 3회 연속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기업의 주가는 오히려 부진한 흐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할 확률이 높은 기업은 포스코케미칼과 에코프로비엠, 셀트리온헬스케어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4회 연속 '깜짝 실적' 기업, 주가 부진"24일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2012년 1분기~올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컨센서스 대비 5% 이상 상회)를 기록했던 기업의 연평균 주가 상승률은 7.8%를 기록했다. 벤치마크 상승률(5.0%)을 웃돈 수치다. 깜짝 실적이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뜻이다. 특히 2회 연속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기업의 연평균 수익률은 12.8%을 기록했다.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기업군 가운데 가장 높은 수익률이다. 어닝 서프라이즈를 처음 기록한 기업의 연평균 수익률(6.4%)의 두 배 수준이다. 그러나 어닝 서프라이즈를 세 번 연속 기록한 기업의 주가 상승률은 7.8%에 불과했다. 연속 4회 이상 언이서프라이즈를 기록한 기업의 연평균 수익률(4.5%)은 오히려 벤치마크 수익률을 하회했다. 어닝 서프라이즈 기간이 길어질수록 실적 피크아웃에 대한 우려가 커지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 철강업종이 대표적인 예다. 2020년 1분기부터 8개 분기 연속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지만 4번째 어닝 서프
-
원자재값 들썩거리자…종합상사株 '껑충'
종합상사주가 상승세를 타고 있다. 유럽이 에너지 위기에 대비해 천연가스 및 석탄 수요를 늘리자 주춤하던 원자재 가격이 오른 데 따른 영향이다. 증권가에선 종합상사의 실적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고 있다.23일 유가증권시장 하락세에도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전날 대비 1.7% 올랐다. 지난달 저점 대비 58.3% 상승했다. LX인터내셔널(4.1%), 현대코퍼레이션(6%) 등 다른 종합상사주도 이날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22일(현지시간) 미국의 9월 인도분 천연가스 가격은 전일 대비 5.6% 올라 MMBTU(백만Btu)당 9.834달러를 기록했다. 14년 만의 최고치다. 석탄 가격도 오름세다. 호주 뉴캐슬의 국제원자재거래소(ICE)에서 석탄 가격은 t당 446달러로 거래를 마감했다. 러시아가 유럽으로 향하는 가스 송출을 통제하자 유럽 국가들이 에너지 위기에 대비하기 위해 천연가스 및 석탄 수요를 늘린 영향이다.종합상사는 원자재 가격 상승의 수혜주로 꼽힌다. 해외에 가스전, 유전, 광산 등을 보유하고 있어서다.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세도 종합상사에 호재다. 박민주 한양증권 연구원은 “통상 종합상사는 트레이딩 수수료를 달러로 받는다”며 “환율이 오르면 매출, 영업이익도 자연스럽게 높아지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트레이딩은 기업 간 거래를 중개하고 일정 비율의 수수료를 받는 사업이다.증권가에선 종합상사의 영업이익 예상치를 상향 조정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올해 영업이익 예상치 컨센서스(증권사 예상치 평균)는 9425억원으로 1개월 전(9200억원), 3개월 전(7707억원)보다 높아졌다.최세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