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코프로 급등에 증권가도 '당혹'…요즘 '뭉칫돈' 몰리는 곳
2차전지 소재주들의 상승세가 무섭다. 에코프로 형제와 포스코 계열사들의 급등이 하반기에도 이어지자 증권업계조차 당혹해하는 눈치다. 다만 개별종목 투자 리스크를 우려하는 투자자들이 많아지면서, 분산투자가 가능한 상장지수펀드(ETF)에 '뭉칫돈'이 몰리고 있다. 또 단기 급등과 별개로 국내 기업의 기술차별성, 시장 성장세, 미중 갈등 등을 근거로 산업전체에 대해 투자하고 싶은 투자자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ETF마다 종목 구성, 비중, 보수, 장단점 등이 다른 만큼 자신만의 투자전략에 맞는 ETF를 선별하라고 조언한다. ○'압축 투자'하는 소재 ETF 2종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 상장된 배터리 소재분야 ETF는 'TIGER 2차전지 소재Fn' 'KODEX 2차전지 핵심소재10 Fn' 'SOL 2차전지 소부장' 3개다. 이날 상장하자마자 순자산 1000억원을 넘긴 TIGER 2차전지소재Fn은 주요 기업에 집중하는 ETF다. 18개 종목으로 구성돼 있지만 대형 기업의 비중이 높다. 에코프로가 ETF 자산의 5분의 1(20%)을 차지한다. POSCO홀딩스 15%, 에코프로비엠 14%, 포스코퓨처엠 13%, LG화학 13%다. 양극재 분야 수직계열화를 이룬 대형 기업들의 비중이 75%에 달한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2.8%), SKC(2.1%), 더블유시피(1.8%) 등에 대한 비중은 상대적으로 작다. 하반기에도 투심이 에코프로 등 주요 기업에 집중된다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란 설명이다.미래에셋자산운용 관계자는 "기존에 출시된 2차전지 ETF의 경우 에코프로 등의 비중이 작은만큼 투자자들의 불만이 컸다"며 "주요 2차전지 소재에 집중하는 ETF를 내놓게 됐다”
-
증시개선, 채권시장 활성화에…상반기 펀드 순자산 71조 증가
올해 상반기 증시 개선과 채권시장 활성화 등으로 펀드 시장 순자산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주식형 펀드에서는 자금 순유출이 계속되고 있었다. 12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기준 전체 펀드 순자산은 924조1000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71조8000억원(8.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혼합채권형을 제외한 전체 유형에서 순자산이 증가했다. 주식형과 채권형, MMF(머니마켓펀드), 대체투자형(부동산·특별자산) 등이다.주식형 펀드의 경우 코스피를 포함 일본, 미국 등의 증시가 오르면서 펀드의 평가액이 크게 올랐다는 분석이다. 6개월 사이 14조3000억원이 늘어나 총 순자산은 105조7000억원이었다. 다만 투자자들이 펀드를 얼마나 사고팔았느냐를 볼 수 있는 자금 순유출 통계를 보면 1조7000억원이 빠져나간 것으로 확인됐다. 채권형 펀드의 경우 채권 시장이 지난해 말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화 됐고, 높은 금리가 유지되면서 시장 활성화가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6개월 사이 7조6000억원의 순자산 증가가 나타나 총 순자산은 124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단기 금융펀드인 MMF는 비슷한 이유로 순자산이 32조3000억원 늘어났다. 총 순자산은 189조900억원에 달했다. 부동산·특별자산은 해외 부동산 시장의 부진 등과 함께 성장세가 소폭 둔화했으나, 순자산이 작년말 대비 각각 8조원, 7조2000억원 증가하며 성장 흐름을 지속했다.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
-
에코프로, 공모채 시장 데뷔…회사채 시장서도 2차전지 ‘열풍’
장중 주가 100만원을 넘기며 ‘황제주’ 반열에 오른 에코프로가 공모채 시장에 데뷔한다. LG에너지솔루션‧에코프로 등 2차전지 관련 기업들이 회사채 시장에서 자금 조달에 속도를 내고 있는 분위기다.1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에코프로는 오는 17일 1000억원어치 회사채 수요예측을 연다. 1년6개월물 500억원, 2년물 500억원 규모다. 흥행 여부에 따라 2000억원까지 증액이 가능하다. 신한투자증권, KB증권, NH투자증권이 주관사를 맡았다. 에코프로는 2차전지의 핵심 소재인 양극재를 생산하는 에코프로비엠 등을 자회사로 둔 지주회사다.이번 에코프로 회사채의 신용등급은 ‘A-급’으로 매겨질 전망이다. 당초 한국신용평가가 에코프로 회사채에 대해 BBB+급의 신용도를 책정하면서 회사채 발행이 불투명했다. 하지만 한국기업평가와 나이스신용평가가 A-급의 신용도를 확정하면서 회사채 발행을 최종 확정한 것으로 관측된다.2차전지 관련 기업들이 회사채 시장에서 연일 흥행에 성공하면서 에코프로도 자금조달을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유망 2차전지 기업에 대한 기관투자가의 투자 수요가 폭발하고 있어서다. 2차전지 기업들도 투자 확대를 위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공모채 시장을 활용하고 있는 모습이다.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달 29일 1조원 규모 회사채를 찍었다. 당초 5000억원 규모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4조7200억원의 주문이 몰리면서 발행 규모를 늘렸다. 이번 LG에너지솔루션 회사채 수요예측에 몰린 금액은 2012년 공모 회사채 수요예측 제도 도입 이후 최고치다. 포스코퓨처엠도 지난 4월 한국형 녹색 채권을 통해 자금을 조달했다. 총 3000억원 규모로, 원래 계획했던 1500억
-
인도 증시, 사상 최고치 돌파…ETF 담아볼까
센섹스지수가 최근 65,000선을 넘어서는 등 인도 증시가 고공행진하고 있다. 기업들의 빠른 성장세와 정부의 경제친화적 정책, 미·중 갈등의 반사이익 등에 힘입은 결과다. 개인투자자들은 국내에서 인도 주식을 살 수 없지만 다양한 상장지수펀드(ETF)를 활용해 인도 증시에 투자할 수 있다. 전체 증시 투자하는 ETF국제통화기금(IMF)은 인도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5.9%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5년간 연평균 6.1%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다. 샌딥 라오 레비리지셰어즈 애널리스트는 “인도의 GDP 증가율이 대다수 신흥국 및 아시아 국가를 앞지를 것”이라고 말했다.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만큼 대표 시장지수를 추종하는 ETF에 투자해도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다양한 종목에 투자하기 때문에 리스크 분산 차원에서도 효과적이다.인도 증시를 대표하는 지수는 센섹스와 니프티50이다. 인도 증시의 대형 우량주 50개를 모아놓은 니프티50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은 국내에도 상장돼 있다. ‘KOSEF 인도Nifty50(합성)’ ‘TIGER 인도니프티50레버리지(합성)’ 등이 대표적이다. 센섹스지수를 추종하는 ETF로는 홍콩에 상장된 ‘아이셰어즈 코어 S&P BSE 센섹스 인디아’(02836) 등이 있다.글로벌 지수사업자들이 만든 인도지수를 추종하는 상품도 많다. MSCI 인도지수에 투자하는 ‘아이셰어즈 MSCI 인디아’(INDA US)는 미국에, ‘아이셰어즈 MSCI 인디아 UCITS’(IIND LN)는 영국에 상장돼 있다. FTSE 인도지수에 투자하는 ‘프랭클린 FTSE 인디아 UCITS’(FRIN LN·영국)도 있다.‘디렉시온 데일리 MSCI 인디아 불 2X’(INDL US·미국),
-
中 대도시 주택 매물 쏟아진다
중국 대도시에서 주택 매물이 급증하고 있다. 코로나19 통제 기간 억눌린 이사·결혼 등이 증가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시장에 매물이 쏟아지면서 주택 가격이 하락하고 부동산 시장이 장기 침체에 빠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29일(현지시간) 중국 부동산 연구기관인 E하우스 차이나연구소에 따르면 상하이·베이징·광저우 등 중국 13개 주요 도시의 지난 5월 기존주택 매물은 지난해 12월 대비 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이는 82%, 우한은 72% 늘었다.WSJ는 이 같은 주택 매물 증가를 “코로나19 팬데믹 통제 기간 이후 중국 경제가 정상화되고 있다는 신호”라고 평가했다. 중국인들이 지난 2년여간 제로코로나 통제로 미뤄왔던 결혼, 출산, 이사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주택을 팔고 있다는 설명이다.문제는 매물이 한꺼번에 시장에 나오면서 가격이 떨어지고 거래가 줄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 부동산업체 센타라인 프로퍼티에 따르면 5월 상하이 주택 거래 건수는 3월(2만4000건)에 비해 36% 감소한 1만5300건으로 집계됐다. 일각에서는 상하이가 주택 거래량 급감으로 인해 다시 주택가격이 떨어지는 ‘죽음의 나선’에 빠졌다는 분석도 나온다.수요 측면에서도 상황은 좋지 않다. 중국 주요 대도시 인구가 지난해부터 감소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대도시를 중심으로 저출생 현상이 심화하고 있는 데다 외국인들도 빠져나간 결과다. 노무라의 이코노미스트들은 중국의 4대 부동산 시장으로 꼽히는 상하이, 베이징, 선전, 광저우의 수요 수준이 우려스럽다고 했다.이런 부동산 시장 분위기는 설문조사에서도 나타난다. 중국 인민은행이 30일 발표한 올해 2분기 예금자 설문조사에 따르면
-
"LGU+ 2분기 실적 기대 이상"
LG유플러스의 올해 2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 이상일 것이란 증권가의 전망이 나온다. 배당금 상향도 예상되며 “단기적으로 주가 상승 모멘텀(동력)이 마련되고 있다”는 분석이 있다.2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LG유플러스의 2분기 추정 영업이익은 2794억원이다. 지난해 2분기 대비 12.48% 늘어난 수치다. 이동전화와 서비스 매출이 증가하는 데 비해 마케팅 비용, 유무형 감가상각비는 늘지 않아 이익이 확대되고 있다는 설명이다.지난해 주당 250원이던 중간 배당금이 300원으로 오를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김홍식 하나증권 연구원은 “2분기에 우수한 실적을 기록했을 것이란 추정이 나오고 있고, 주당배당금(DPS)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주가 수준이 과도하게 낮다는 시장의 평가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이 중간 배당락일(배당받을 권리가 없어진 날)이었던 LG유플러스는 4.04% 하락한 1만690원에 마감했다.하반기 전기차 충전 서비스 사업에 진출하기로 하면서 신사업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LG유플러스는 하반기 전기차 충전 서비스 ‘볼트업’을 출시할 예정이다. 앱을 통해 전기차 충전시설 자리를 예약·결제하는 서비스다.전기차 충전사업은 LG유플러스가 지금까지 내놓은 신사업 중 가장 유망하다는 분석이 있다. 전기차 충전 서비스는 고성장이 예상되지만 아직 선도 사업자가 없어서다.성상훈 기자
-
"LG유플러스, 전기차 충전 사업이 주가 모멘텀"
LG유플러스의 올해 2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 이상일 것이란 증권가의 전망이 나온다. 배당금 상향도 예상되며 “단기적으로 주가 상승 모멘텀(동력)이 마련되고 있다”는 분석이 있다. 2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LG유플러스의 올 2분기 추정 영업이익은 2794억원이다. 지난해 2분기 대비 12.48% 늘어난 수치다. 이동전화와 서비스 매출액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마케팅 비용, 유무형 감가상각비는 늘지 않아 이익이 확대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주당 250원이었던 중간 배당금이 300원으로 상승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김홍식 하나증권 연구원은 “올 2분기에 우수한 실적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고, 주당 배당금(DPS)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주가 수준이 과도하게 낮다는 시장의 평가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이 중간 배당락일(배당받을 권리가 없어진 날)이었던 LG유플러스는 4.04% 하락한 1만690원에 마감했다. 하반기 전기차 충전 서비스 사업에 진출하기로 하면서 신사업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LG 유플러스는 올해 하반기 전기차 충전 서비스 ‘볼트’를 출시할
-
쪼그라든 부실대출 시장…美기업들 '錢錢긍긍'
1조4000억달러(약 1800조원) 규모의 담보부대출채권(CLO) 시장이 위축되며 미국 기업들이 자금난에 허덕이고 있다.파이낸셜타임스(FT)는 21일 “월스트리트의 1조4000억달러 규모 부실등급 대출 시장이 둔화하면서 더 많은 이자를 내거나 차입 계획을 포기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고 했다.FT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 전력회사인 PG&E는 지난달 대출 만기 연장에 실패했다. 치과 서비스 제공업체인 하트랜드덴털, 소프트웨어 서비스 회사인 인터넷브랜드는 대출 만기를 갱신하는 대신 이자를 더 내고 투자자 보호조치를 강화하는 부담을 안았다.이들 기업이 대출 연장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해당 대출 채권을 담보로 발행되는 CLO 시장 규모가 줄어들고 있어서다. CLO는 저신용 기업들의 대출채권을 담보로 찍어낸 증권이다. 은행이 기업에 대출해준 후 발행하는 대출채권을 묶어 자산유동화회사(SPC)에 양도하면 SPC는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을 받아 CLO를 발행한다. 이 과정에서 SPC는 CLO를 위험 등급에 따라 분류한다. 하위 등급일수록 부실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그만큼 수익률이 높다. 2008년 금융위기를 촉발한 서브프라임모기지 기반 부채담보증권(CDO)과 유동화 구조가 같다.CLO는 금융위기가 터진 후 급격히 쪼그라들었으나 2011년부터 저금리 기간이 이어지며 점차 부활했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다시 금리를 연 5%대로 올리면서 CLO 시장은 위축되고 있다. 저신용 회사들의 이자비용이 늘고 수익이 감소하자 하위 등급 CLO의 부실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김인엽 기자
-
힘 못쓰는 韓 기술주…카카오 2년새 60% 하락
미국 빅테크 주가가 ‘고공행진’하는 사이 국내 대표 기술기업 주가는 오히려 뒷걸음질치고 있다. 실적과 성장성의 차이가 엇갈린 주가 흐름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설명이다.카카오 주가는 2년 사이(2021년 6월 14일~2023년 6월 13일) 60.42% 하락했다. 2년 전 14만2500원이던 주가는 13일 기준 5만6400원까지 떨어졌다. 국내 대표 빅테크 기업의 성장성을 믿고 장기 투자했다면 원금의 반도 건지지 못하게 된 셈이다. 네이버도 마찬가지다. 같은 기간 38만7000원에서 20만1000원으로 48.06% 떨어졌다. 이 기간 애플은 40.86%, 테슬라는 21.3% 올랐다. 엔비디아는 119.11% 상승했다. 인플레이션과 고금리 등 증시를 둘러싼 환경은 한·미 양국 모두 좋지 않다. 그럼에도 미국 빅테크 기업은 뛰어난 실적을 바탕으로 불리한 상황을 극복하고 있다는 평가다.카카오의 연간 영업이익은 2020년 4559억원에서 지난해 5803억원으로 27.28% 증가했다. 네이버는 같은 기간 1조2153억원에서 1조3047억원으로 21.8% 늘었다.같은 기간 애플은 80.18%(662억8800만달러→1194억3700만달러), 테슬라는 601.79%(19억5100만달러→136억9200만달러), 엔비디아는 76.2%(121억4300만달러→213억9700만달러)의 영업이익 증가율을 기록했다. 한 펀드매니저는 “네이버와 카카오는 매출 대부분이 국내에서 나오지만 해외 빅테크는 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실적 증가율이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며 “이대로라면 주가 차이가 더 벌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제조업 기반의 국내 빅테크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반도체 가격 상승세가 예상되며 주가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2년 전 8만500원이던 삼성전자는 올초 5만원대로 떨어졌다가 이날 7만
-
美빅테크 주가 날아갈 때, 네이버·카카오는 '주춤'…왜?
미국 빅테크 주가가 '고공행진'하는 사이 국내 대표 기술 기업들의 주가는 오히려 뒷걸음질 치고 있다. 실적과 성장성의 차이가 주가상승률의 차이로 이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카카오의 주가는 2년 사이(2021년 6월 14일~2023년 6월13일) 60.42% 하락했다. 14만2500원이던 주가는 이날 기준 5만6400원까지 떨어졌다. 국내 대표 빅테크 기업의 성장성을 믿고 연단위 장기투자에 나섰던 투자자라면 오히려 원금의 반도 건지지 못한 셈이다. 네이버도 마찬가지다. 38만7000원이던 주가는 20만1000원으로 하락했다. 2년 사이 48.06% 떨어졌다. 이 기간 애플은 40.86%, 테슬라는 21.3% 올랐다. 엔비디아의 경우 119.11% 상승했다. 인플레이션, 고금리, 경기침체 등 좋지 않은 거시경제 및 증시 상황에서도 미국 빅테크 기업들은 중장기 상승세를 보여준 셈이다. 주식을 상장한 국가, 자금 수급문제 등이 주가차이의 원인으로 언급되지만 전문가들은 "가장 중요한건 결국 실적과 성장성"이라고 지적한다. '기업이 얼마나 돈을 버느냐'는 본질적인 부분에서 차이가 났다는 설명이다. 실제 지난 2020년 영업이익 4559억원을 기록한 카카오는 지난해 5803억을 벌어들였다. 2년간 27.28% 성장했다. 네이버는 영업이익이 2020년 1조 2153억원에서 지난해 1조3047억원으로 2년간 21.8% 늘어났다. 같은기간 애플은 80.18%(662억8800만 달러→1194억 3700만 달러), 테슬라 601.79%(19억5100만 달러→136억9200만 달러), 엔비디아 76.2%(121억4300만달러→213억9700만달러) 영업이익이 늘어났다. 한 펀드매니저는 "네이버와 카카오의 경우 국내 내수를 대상으로 하는 반면, 해외 빅테크들의 경
-
다음 K테마는 무엇이냐…"엔터·식품·의료기기 주목"
올 들어 증시가 배터리와 반도체 등 일부 테마를 중심으로 순환매 조짐을 보이면서 하반기 주가를 주도할 ‘K테마’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증권가에선 수출을 통해 실적 ‘퀀텀 점프’가 기대되는 엔터테인먼트, 식품, 의료기기 등 산업을 추천하고 있다. 반면 게임과 미디어 등 콘텐츠 분야에선 다소 보수적인 전망이 고개를 들고 있다. 유튜브 타고 세계로 확산하는 K팝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엔터테인먼트 4사(하이브, JYP, 에스엠, 와이지엔터테인먼트)의 시가총액은 올해 초 12조810억원에서 지난 5일 기준 19조6158억원으로 62% 증가했다. 이런 단기 주가 급등에도 미래에셋증권과 한화투자증권 등 증권사들은 투자 비중을 확대하라는 의견을 내고 있다. K팝 팬 수와 1인당 소비지출이 함께 늘면서 앞으로도 실적이 더 증가할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엔터 4사의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 합산액은 지난해보다 3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유튜브 쇼츠, 틱톡 등 글로벌 동영상 플랫폼이 부상하면서 K팝이 지역, 언어, 비용 등에 얽매이지 않고 전방위로 확산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박수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에스파와 르세라핌 등 걸그룹은 초동(앨범 발매 후 1주일간 판매량)에서만 각각 170만 장, 126만 장의 앨범을 팔았다”며 “해외 매출 비중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고 설명했다.식품과 의료기기 산업도 과거 수출과 주가가 동반 급등했던 화장품 산업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평가다. 농심은 라면 수출 증가세에 힘입어 올해 해외 매출 비중이 5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의료기기 분야에서는 임플란트와
-
그린 에너지株 '엇갈린 시선'
‘그린산업’ 투자를 놓고 증권가의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2차전지 분야는 과열을 우려하는 목소리와 함께 목표주가 하향이 잇따르고 있다. 반면 태양광, 풍력,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는 긍정적인 전망이 지속되고 있다.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2차전지 소재 기업들에 대한 투자의견이 속속 하향 조정되고 있다. 천보(-7.58%),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15.3%), 솔루스첨단소재(-2.2%) 등은 1개월 전에 비해 평균 목표주가가 줄줄이 떨어졌다.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에 대해서는 ‘매도’ 혹은 ‘중립’ 투자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이달 발행된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 리포트는 총 22개로, 이 중 12개가 부정적인 투자의견이 포함됐다.2차전지 소재 기업에 대한 증권가 보고서에는 대부분 ‘밸류에이션 과열’이라는 단어를 담고 있다. 정재헌 DB투자증권 연구원은 “프리미엄은 타당하지만 과도한 기대가 반영되고 있다”고 말했다.반면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해서는 긍정적인 평가가 주류다. 2차전지 산업이 보여줬던 성장세를 신재생에너지 분야가 재현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태양광 업체인 한화솔루션은 1개월 사이 증권사 평균 목표주가가 9.55% 상향됐다. 풍력 관련주인 씨에스윈드 역시 1.45% 올라갔다. SK오션플랜트, 동국S&C 등도 증권사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증권사들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방지법(IRA)’과 관련한 세부지침이 하나둘씩 확정되면서 이르면 올 하반기나 내년 상반기부터 법안의 효과가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IRA 법안에 맞춰 미국 각지에서 그린 에너지 제조업 증설 계획이 발표되고 있어 국내 업체들의 수혜가 예상
-
2차전지 '과열'·신재생에너지 '유망'…증권가의 엇갈린 전망
그린 산업 투자에 대한 증권가의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2차전지 분야에 대해서는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과열을 우려하는 목소리와 함께 보수적인 투자의견이 제시되고있다. 반면 태양광, 풍력, 수소 등 다른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전망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증권업계는 최근 2차전지 소재 분야 기업들에 대한 목표주가를 낮추거나 투자의견을 조정하고 있다. 천보(-7.58%)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15.3%), 솔루스첨단소재(-2.2%) 등은 1개월전에 비해 증권사 평균 목표주가가 하향됐다.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에 대해서는 '매도' 혹은 '중립' 투자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투자의견을 조정하지 않는 증권가의 특성상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이달 발행된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에 대한 리포트는 총 22개인데, 이중 12개가 부정적인 투자의견을 내놨다. 2차전지 소재 분야에 대한 리포트들에는 대부분 '벨류에이션 과열'이라는 단어가 포함됐다. 배터리 부문 성장을 인정하면서도 공통적으로 산업성장세 둔화, 중국 신규 업체들의 등장, 공급 과잉 등의 문제를 리스크로 꼽았다. 정재헌 DB투자증권 연구원은 "프리미엄은 타당하지만 과도한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해서는 유리한 사업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나온다. 앞서 2차전지 산업이 보여줬던 성장세를 신재생에너지 분야가 재현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태양광 업체인 한화솔루션은 1개월 사이 증권사 평균 목표주가가 9.55% 상향됐다. 풍력 관련주인 씨에스윈드도 1.45% 올라갔다. SK오션플랜트, 동국 S&C 등
-
ESG 펀드, 채권형 돈 몰리는데…주식형은 썰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펀드 중 채권형과 주식형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채권형은 자금 유입액이 크게 늘고 있는 반면 주식형에서는 지속적으로 돈이 빠져나가고 있다.2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 들어 ESG 채권형 펀드 20개에 총 5440억원의 자금이 순유입됐다. 올해 초 1조6048억원이던 설정액은 전날 기준 2조1488억원으로 불어났다. 한국투자크레딧포커스ESG(3334억원), 하이한국투자e단기채 ESG(1248억원), 하이ALL바른ESG채권(131억원) 등에서 큰 폭의 자금 유입이 나타났다.기관들의 수요가 강해진 결과라는 분석이다. 올 들어 ESG 투자에 대한 기관 내부의 지침 및 기준이 강화되면서 자금이 몰리고 있다. 한 연기금 관계자는 “기관들이 ESG 요소가 강한 투자처를 적극적으로 찾고 있는 상황에서 ESG 채권형 펀드에 자금이 몰리는 것 같다”고 말했다. 채권 금리 하락으로 펀드 수익률이 개선될 것이란 기대도 자금 유입이 늘어난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채권 금리가 내리면 가격은 올라간다.반면 ESG 주식형 펀드에서는 순유출이 나타나고 있다. 올 들어서만 총 1528억원이 순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설정액은 약 5개월 사이 1조6835억원에서 1조5307억원으로 줄어들었다. 마이다스책임투자(-845억원), 삼성유럽ESG(-200억원), 슈로더글로벌지속가능성장주(-136억원) 등에서 자금이 빠져나갔다.주식형 펀드는 채권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인투자자 비중이 높다. 개인투자자는 펀드에 ESG 요소가 얼마나 잘 반영됐는지보다 수익률에 더 관심을 둔다는 설명이다. ESG 주식형 펀드 54개의 평균 수익률은 13.71%로 같은 기간 코스피 상승률인 15.36%에 못 미쳤다.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상당수의
-
타깃·이마트 이익 반토막…글로벌 유통株 '수난시대'
슈퍼마켓·대형마트 등을 운영하는 글로벌 기업들의 주가가 실적 부진으로 하락세다. 고물가에 경기 침체로 인한 소비 감소까지 겹치면서다.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대한 기대가 컸던 중국 대형마트들도 주가 하락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24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미국 대형 유통사인 타깃의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은 10억1000만달러(약 1조3305억원)였다. 전년 동기 대비 52% 줄었다. 주당순이익은 2.19달러로 시장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보다 40% 적었다. 주가는 지난 1개월 사이 10.24% 떨어졌다.또 다른 유통 공룡인 월마트도 상황은 비슷하다. 월마트의 1분기 순이익은 16억7000만달러로 지난해 1분기 대비 18.7% 감소했다. 월마트 주가는 1개월간 2.91% 하락했다.미국 대형 유통업체들은 시장의 예상보다 가격 전가력이 강하지 않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비용 상승을 소비자들에게 전가해도 판매가 줄지 않으면 실적은 유지될 수 있다. 하지만 올해는 소비 침체로 인해 가격탄력성(가격 변동 대비 소비 변동폭)이 커지면서 제품가격 상승이 그대로 이익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한국과 일본의 대표 대형 유통업체들도 같은 이유로 실적 부진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이마트의 1분기 영업이익은 13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0% 넘게 감소했다. 증권사들의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600억~700억원대였다. 순이익은 99% 줄어든 27억원이었다. 주가는 지난 1개월간 10.6% 떨어졌다. 남성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외형 성장을 위한 모멘텀(동력)이 보이지 않아 실적 반전이 쉽지 않을 전망”이라고 말했다.일본 이온몰의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 줄었다. 지난 1개월 사이 주가가 2%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