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금리인하·삼성전자 실적 기대감에…코스피 연고점 경신
미국 금리 인하가 임박했다는 전망과 삼성전자의 어닝서프라이즈(깜짝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맞물리면서 코스피 지수가 연중 최고점을 경신했다.4일 코스피 지수는 1.11% 오른 2824.94에 장을 마쳤다. 2022년 1월 21일(2834.29) 이후 2년 5개월여 만에 종가기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달 20일 기록한 장중 연고점(2812.62)도 10거래일 만에 경신했다.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와 기관 투자가는 각각 3211억원, 1조1108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특히 외국인은 코스피200 선물을 1조8478억원을 사들였다. 개인 투자자는 1조4123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미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하 시계가 빨라지는 것이 아니냐는 기대감이 커진 영향이다. 늘어난 미 신규 실업급여 청구 건수, 컨센서스(추정치 평균)를 밑도는 6월 민간 고용 증가세 등을 두고 미 증권가는 미국의 경기가 둔화하기 시작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 영향으로 전날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와 S&P500지수는 각각 0.51%, 0.88% 상승해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5일 발표되는 삼성전자의 2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도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세를 불렀다.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의 어닝 서프라이즈를 점치고 있다. 이날 외국인과 기관은 전기·전자 업종을 각각 4916억원, 7176억원어치 사들였다. 이 영향으로 이날 삼성전자는 3.42% 상승한 8만460원에 거래를 마쳤다.전날 정부가 발표한 자본시장 선진화 대책 영향으로 KB금융(1.78%), 신한지주(2.74%) 등도 52주 신고가를 갈아치웠다.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5일 미 증시가 휴장하는 만큼 이날 발표될 삼성전자의 어닝 서프라이즈 여부가 하반기 투자자들의 위험선호 심리에
-
"곧 삼성전자 시대 온다"…'10만전자' 외치는 증권가
삼성전자의 2분기 잠정 실적 발표가 다가오면서 상장사 실적에 증권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반도체주 선전으로 전반적인 호실적이 예상되면서 하반기 증시 지수도 우상향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상장사 217곳의 2분기 영업이익 예상치 합산액은 55조1580억원으로 예상됐다. 3개월 전 51조8310억원과 비교하면 6.41% 상향된 금액이다. 작년 2분기 합산액인 31조4083억원과 비교하면 75.6% 늘어났다.증권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오는 5일 가장 먼저 2분기 실적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증권사들이 예상한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 평균치는 8조2488억원의 집계됐다. 증권사 실적 전망치도 최근 3개월 동안 18.5%나 상향됐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에 납품하는 메모리 반도체 생산이 급증한데다 기존 D램 시중 가격도 덩달아 올랐기 때문이다.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DDR4 8기가비트(Gb) 칩의 가격은 작년 말 0.9달러 수준에서 최근 1.89달러 수준까지 올랐다. AI 가속기에 탑재되는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가 많아지면서 DDR4, DDR5 등의 공급이 부족해진 여파다. 트렌드포스는 "삼성전자가 HBM 제품 제조에 더 많은 생산력을 할당했기 때문에 공급이 타이트해졌다"고 했다. 현대차증권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2분기 D램 매출 중 HBM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0% 내외일 것으로 예상된다.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의 호실적을 바탕으로 목표주가를 일찌감치 올려잡고 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최근 삼성전자 목표주가를 제시한 10개 증권사 중 8곳이 목표주가를 10만원 이상으로 제시했다. 주가에 큰 영향을 줄 엔비디아 HBM 납품 역시 올해 중으로 해결될 것으로 예
-
대기업 총수 주식 평가액 2.6조↓…카카오 김범수, 24% 줄어
국내 대기업 총수 46명의 올해 2분기 주식 재산이 2조원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차전지 대표주들이 포진한 에코프로그룹의 이동채 전 회장과 주가가 연중 최저치를 경신 중인 카카오의 김범수 CA협의체 공동의장 감소폭이 컸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변함없이 보유 주식 평가액 1위를 지켰다.기업분석 전문업체 한국CXO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의 ‘2분기 주요 그룹 총수 주식평가액 변동 조사 결과’를 4일 발표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88개 대기업 집단 중 6월 말 기준 주식 평가액이 1000억원을 넘는 총수 46명이 대상이다. 2분기 증감 수치는 지난 3월 29일과 6월 28일의 종가를 비교했다.총수들 주식 재산은 3월 말 68조5096억원에서 지난달 말 65조8542억원으로 2조6554억원 감소했다. 3조4997억원이 늘었던 1분기와 대조적 흐름이다. 46명 중 20명은 주식 평가액이 올랐지만, 나머지 26명의 감소폭이 컸다.보유 주식 가치 하락률이 가장 높은 인물은 에코프로그룹의 이동채 전 회장이다. 이 전 회장의 2분기 말 주식 재산은 2조3592억원이다. 1분기 말 대비 28.8% 하락했다. 2차전지 업황 악화가 영향을 미쳤다. 김범수 카카오 CA협의체 공동의장도 3개월 사이 주식 평가액이 5조6738억원에서 4조2973억원으로 24.3% 줄었다. 카카오는 지난 2일 올들어 최저 종가(4만원)를 기록했다. 방준혁 넷마블 이사회 의장(-13.5%), 권혁운 IS지주 회장(-13.2%)은 뒤를 이었다.주식 재산 증가율 1위는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이다. 그의 주식 평가액은 1분기 말 8378억원에 불과했지만, 3개월 만에 1조3541억원으로 불어났다. 증가율은 61.6%에 달한다. 고(故) 조석래 효성그룹 명예회장의 주식 상속이 영향을 끼쳤다. 두산그룹의
-
직원 연봉만 50조…삼성전자·현대車 '400조 낙수효과'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한국의 간판 기업인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가 지난해에만 400조원에 육박하는 '낙수효과'를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사로부터 300조원어치 제품을 사들이고, 39만명에 달하는 임직원에게 50조원 넘는 연봉을 지급한 결과다. 두 회사가 직간접적으로 고용·소비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3일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가 발표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보면 두 회사의 지난해 경제가치분배액 합계는 383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378조1000억원)에 비해 1.5%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다. 두 회사는 현재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표한 곳 가운데 가장 경제가치분배액 1,2위다.경제가치분배액은 기업이 벌어들인 수익에서 이해관계자에게 직간접적으로 배분한 금액으로 낙수효과와 같은 의미다. 제품구매(협력사), 인건비(임직원), 세금(정부), 배당(주주), 이자비용(채권자), 사회공헌비(지역사회) 등으로 구성된다.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의 경제가치분배액은 각각 270조1000억원, 113조6000억원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실적이 나빠지면서 경제가치분배액이 2022년에 비해 4.0%(11조3000억원) 감소했다. 반면 현대차는 사상 최대 실적을 앞세워 경제가치분배액이 사상 처음 100조원을 돌파했다. 2022년에 비해서는 17.4%(16조9000억원) 불었다.두 회사의 경제가치분배액은 국내외를 합친 금액이다. 국내 비중은 70~80%로 추산된다. 삼성전자의 경우 세부적으로 보면 구매비용이 212조8000억원으로 가장 컸다. 인건비(38조원), 배당금(9조8000억원), 세금(8조2000원), 이자비용(9000억원), 사회공헌비(4000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현대차 세부적으로 보면 구매비용이 93조2050억원으로 가장 컸다. 인건비(12조780억
-
외국인 '역대급 매수'에도…대만증시 30% 뛸 때, 코스피는 5% 올라
한국 증시에 들어온 해외 투자금이 상반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하지만 코스피지수 상승률은 일본, 대만 등 주변국 증시 대비 크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시장에서 정부의 기업 밸류업 관련 주식과 인공지능(AI)에 올라탄 반도체 주식을 쓸어 담았다. 반면 개인투자자는 국내 주식을 대거 팔아치우고 미국과 일본 증시로 떠나면서 지수 상승에 찬물을 끼얹었다. 외인 자금 57% 반도체에 집중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은 올해 상반기 유가증권시장에서 22조7981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1998년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후 사상 최대다. 직전 기록인 2009년(11조9832억원)의 약 2배에 달하는 규모다. 외국인은 최근 한 달간 1조5524억원어치를 사들이는 등 매수세를 이어가고 있다.외국인의 역대급 ‘바이 코리아’ 배경에는 AI 산업을 중심으로 한 반도체 슈퍼사이클이 있다. 외국인은 올 상반기 삼성전자(우선주 포함)를 9조1427억원어치 순매수했다. SK하이닉스(3조8039억원)까지 합치면 전체 순매수 금액의 57%를 ‘반도체 투톱’에 썼다.외국인 매수세에 힘입어 SK하이닉스 주가는 올 들어서만 67.14% 오르는 등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이세철 씨티글로벌마켓증권 글로벌테크 리서치헤드는 “SK하이닉스는 AI 반도체에 필수적인 고대역폭메모리(HBM) 기술에서 앞서며 글로벌 시장의 주도권을 잡았다”면서 목표주가를 35만원까지 올렸다.정부가 추진하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도 해외 자금을 끌어들이고 있다. 외국인은 상반기 현대차(3조4541억원), 삼성물산(1조3202억원), KB금융(6065억원) 등 주가순자산비율(PBR) 1배 미만인 저평가 종목을 집중 매수했다. 목대
-
"무차입 경영 바뀐다?"…여의도에 나타난 삼성전자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벌레 한 마리가 우물 물을 흐린다.”1997년 어느 날. 당시 삼성전자 살림살이를 맡고 있던 최도석 경영지원실 전무는 한 정부 인사로부터 이 같은 말을 듣고 큰 충격을 받았다. 외환위기로 자금난을 겪던 삼성전자는 당시에 1조원 규모의 회사채 발행을 타진했다. 하지만 정부는 삼성전자를 '벌레'로 취급할 만큼 무시했다고 한다. 2005년 5월 당시 최도석 삼성카드 부회장은 성균관대 최고경영자 특강에서 이 같은 비화를 공개해 주목을 받았다.그는 강연에서 “외환위기 때 은행에 자금을 빌리러 갔다가 거절당해 울면서 나온 적이 한 두 번이 아니었다”며 "그 수모를 겪은 뒤 ‘다시는 은행에 가지 않겠다’고 다짐했다"고 했다. 실제로 그 직후에 삼성전자는 '무차입 경영'을 이어갔다. 여러 전략적 배경도 깔려있지만, 외환위기 때 겪은 수모도 무차입 경영의 배경이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은행·자본시장과 거리를 뒀던 삼성전자의 재무전략이 요즘 변화할 조짐이 포착된다.27일 산업은행에 따르면 이 은행은 반도체 산업에 국고채 금리 수준의 저금리 대출을 할 수 있도록 17조원 규모의 반도체 설비투자 특별 프로그램을 신설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도 관련한 대출에 관심을 가지고 조건 등을 문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대출을 받을 계획은 없다는 입장이다. 대출과 함께 자본시장에서도 삼성전자가 등장했다. 최근 삼성전자 자금조달 작업을 총괄하는 조직인 재경팀 임직원들이 국내외 증권사 관계자와 만나 회사채와 글로벌본드(외화 조달을 위해 해외에서 발행하는 채권) 발행 여건을 점검했다. 삼성전자는 2001년 10월에 국내 회사채 시
-
[단독] 반도체 실탄 확보 나선 삼성·하이닉스…"AI칩 전쟁서 승리할 것"
정부와 산업은행이 지난달 17조원 규모의 ‘반도체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만지작거릴 때만 해도 말이 많았다. 반도체업계 ‘큰손’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이 자금을 쓸 정도로 한도가 풀릴지, 시장 조달 금리보다 어느 정도 쌀지 반신반의하는 분위기가 적지 않았다. 하지만 산은의 저리 대출이 연 3.5%로 금리 경쟁력이 높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대출 한도와 금리 수준을 타진하고 나섰다. ○하이닉스, 저리 대출로 첨단반도체 투자SK하이닉스는 산은에서 최대 3조원을 조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SK하이닉스는 인공지능(AI)용 메모리 반도체인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엔비디아에 독점 공급하며 AI 반도체 시장의 강자로 떠올랐다. 물꼬가 터진 만큼 글로벌 AI 전쟁의 승자 지위를 얻기 위해선 추가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2위 AI가속기 업체 AMD 등에서도 납품 요청이 밀려들고 있어서다. 야당까지 나서 반도체산업 지원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는 만큼 ‘물 들어올 때 노를 젓겠다’는 판단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올해 1분기 말 기준 SK하이닉스의 현금 보유액(단기금융상품 포함)은 8조2000억원이다. 치열한 경쟁을 위해선 연간 10조원에 달하는 시설 투자액이 필요하다. 업계 관계자는 “SK하이닉스가 금융회사 등에서 25조원을 차입한 상황을 감안하면 저리 정책금융은 가물에 단비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SK하이닉스는 산은에서 빌린 자금을 첨단 반도체 투자에 사용할 방침이다. SK하이닉스는 경기 용인에서 120조원 이상을 투자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사업을 추진 중이다. 미국 인디애나에서도 40억달러(약 5조3000억원)
-
[단독] 반도체 저리대출 17조 내달 가동…産銀, 기업들과 한도·금리 논의
정부가 반도체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17조원 규모의 저리 대출 프로그램을 다음달부터 가동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은 반도체 설비 투자를 위해 산업은행 대출을 활용하는 방안을 산은과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대출 신청 여부는) 아직 확정된 바 없다”는 입장이다. SK하이닉스는 3조원가량의 대출을 신청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국내 반도체기업들이 산은의 저리 대출을 기반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치열한 글로벌 반도체 전쟁에서 승기를 잡을지 주목된다.기획재정부는 26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반도체 생태계 종합지원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원활한 투자 자금 조달을 위해 시중 최저 수준 금리로 17조원 규모의 대출을 해주는 게 핵심이다. 대상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회사), 제조시설 등 반도체 전 분야에서 국내에 새롭게 투자하려는 기업이다.대기업은 산은 일반대출 대비 0.8~1.0%포인트, 중소·중견기업은 1.2~1.5%포인트 낮은 우대 금리로 설비·연구개발(R&D) 투자 등 신규 시설자금을 지원받는다.삼성전자는 반도체 투자에 쓸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최근 산은에 대출 한도 및 금리 등을 타진했다. 산은은 정부의 반도체 지원 방침에 따라 최대 5조원가량을 공급할 수 있다는 방침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SK하이닉스는 산은에서 최대 3조원을 대출받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SK하이닉스가 저리로 자금을 조달하면 SK그룹 전체의 사업구조 재편에도 큰 역할을 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금리는 이날 기획재정부 등 관계 부처가 공동으로 발표한 반도체 생태계 종합지원 방안에 담긴
-
"SK하이닉스 더 간다" vs "삼성전자가 낫다"
서울 여의도 증권가에서 ‘반도체 투톱’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 전망을 놓고 격론이 벌어졌다. SK하이닉스의 강세를 예상하는 쪽에선 올해 인공지능(AI) 메모리반도체 시장에서 독주가 이어져 주가가 35만원을 넘어설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반면 삼성전자 진영에선 하반기 엔비디아의 품질 테스트만 통과하면 한 방에 흐름이 뒤집힐 것이라고 주장한다. ○SK하이닉스 목표가 35만원 등장SK하이닉스는 26일 유가증권시장에서 5.33% 오른 23만7000원에 마감했다. 지난 20일 기록한 종가기준 사상 최고가(23만7500원)에 근접했다. 올해 상승률은 67.49%에 달한다.반면 삼성전자는 이날 0.62% 오르는 데 그쳤다. 올해 상승률은 3.57%에 불과하다. 늘 비슷한 주가 흐름을 보이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탈동조화’는 고대역폭메모리(HBM)에서 발생했다.SK하이닉스는 글로벌 AI 산업의 선두주자 엔비디아가 제조하는 AI 연산용 그래픽처리장치(GPU)에 들어가는 HBM 반도체를 가장 큰 비중으로 공급한다. HBM은 데이터 저장 용량이 크고 처리 속도는 일반 D램과 비교해 열 배 이상 빠르다. 하반기 엔비디아가 내놓는 AI 가속기 블랙웰(B200)에는 SK하이닉스의 5세대 HBM 제품인 HBM3E 8개가 장착될 전망이다.여의도 증권가에선 SK하이닉스의 우위가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삼성전자의 HBM3E 시장 침투가 예상보다 늦어지는 데다 SK하이닉스가 사실상 글로벌 독점 체제를 유지하며 세대 전환에 따른 판매가격 상승효과까지 누리고 있기 때문이다. HBM의 영업이익률은 40%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씨티글로벌마켓증권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기존 31만원에서 35만원으로 올린다고 밝혔다.
-
"35만닉스 간다" 들썩…SK하이닉스 목표주가 '껑충' 뛰었다
SK하이닉스가 35만원까지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인공지능(AI) 반도체에 필수인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 증가로 2분기 영업이익만 5조7000억원에 달할 것이란 분석이다.투자은행(IB) 씨티글로벌마켓증권은 26일 보고서를 통해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기존 31만원에서 35만원으로 올린다고 밝혔다. 시가총액 기준으로 이날보다 49.0%(약 84조원) 늘어난 254조원까지 불어날 것이라는 관측이다.씨티는 “강력한 HBM3E 수요 증가와 견고한 eSSD 수요에 힘입어 2분기 시장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5조7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둘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내 증권사 추정치 평균인 약 4조9000억원보다 16.3% 많은 수치다. 국내 증권사 중에선 DB금융투자가 30만원으로 가장 높은 목표주가를 제시했다.씨티는 “SK하이닉스는 HBM3E(5세대 제품) 기술에서 앞서며 글로벌 HBM 시장의 주도권을 잡았다”며 “올해 전체 HBM 판매량 중 HBM3E이 50%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가 제조하는 AI 연산용 그래픽처리장치(GPU)에 들어가는 HBM 반도체를 가장 큰 비중으로 공급한다. 삼성전자의 HBM3E 시장 침투가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SK하이닉스가 독과점 효과를 누릴 것이란 분석이다.씨티는 또 낸드플래시를 생산하는 자회사 솔리다임이 턴어라운드하면서 실적에 날개를 달 것으로 봤다. SK하이닉스는 2021년 인텔에서 낸드 사업부(현 솔리다임)를 90억달러(약 10조원)에 인수했다. 한때 애물단지 취급을 받았지만, 데이터센터 저장장치를 HDD(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서 QLC SSD로 바꾸려는 기업들의 수요가 늘면서 이익이 개선되고 있다.외국계 IB들은 국내 증권사보다
-
"SK하이닉스 더 간다" vs "삼성전자가 역전"…여의도 '들썩' [최만수의 스톡네비게이션]
“엔비디아 탄 SK하이닉스의 강세냐, 글로벌 최강자 삼성전자의 반등이냐.”최근 서울 여의도 증권가에선 '반도체 투톱'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 전망을 놓고 격론이 벌어지고 있다. SK하이닉스의 강세에 거는 쪽에선 “올해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유지할 것”이라며 “30만원 돌파도 시간문제”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반면 삼성전자 쪽에선 “하반기 엔비디아의 품질 테스트만 통과하면 한방에 흐름이 뒤집힐 것”이라고 주장한다.현재까지 주가 흐름만 보면 SK하이닉스의 압승이다. SK하이닉스는 연일 신고가를 경신 중인데, 삼성전자는 4월 초 9만원 고지 탈환을 넘보다가 미끄러져 7만~8만원 사이를 횡보하고 있다.SK하이닉스는 25일 유가증권시장에서 0.9% 오른 22만5000원에 마감했다. 올해 상승률만 59%에 달한다. 시가총액은 지난달 27일 처음으로 150조원을 넘어선 뒤, 이날 163조8005억원까지 불어났다. 현대자동차그룹 12개 상장사 전체 시총 합산액을 뛰어넘어 무서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여의도 증권가에선 SK하이닉스의 우위가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 좀 더 우세하다. 후발주자인 삼성전자의HBM3E(5세대 제품) 시장 침투가 예상보다 늦어지고 있는 데다, SK가 사실상 글로벌 독점 체제를 유지하면서 세대 전환에 따른 판가 상승효과까지 누리고 있기 때문이다. HBM의 영업이익률은 40%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SK하이닉스는 그 다음 6세대인 HBM4의 양산 시점을 내년으로 앞당겨 후발주자들과 기술 격차를 유지한다는 전략이다.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SK하이닉스의 세계 HBM 시장점유율이 올해 39%에서 2026년 50%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
-
SK하이닉스 4%대 급락…시장 주도주 바뀌나
인공지능(AI), 식음료, 화장품주 등의 랠리가 이어지는 가운데 증권가에선 과열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전히 AI 관련주의 중장기 상승세를 점치는 전망이 우세하지만 일각에선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수준) 격차가 커진 만큼 소외주를 돌아봐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화학, 디스플레이, 조선 등 저평가 산업을 눈여겨봐야 한다고 조언했다.고점 우려에 조정받은 대장주들SK하이닉스는 24일 유가증권시장에서 4.7% 급락한 22만3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4월 25일(-5.12%) 후 약 두 달 만의 최대 낙폭이다. 외국인은 이날 SK하이닉스를 3021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유가증권시장 전체 외국인 순매도 규모(3871억원)의 78%를 차지했다.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HBM) 핵심 협력사인 한미반도체도 이날 2.72% 하락한 17만5400원에 마감했다.SK하이닉스의 하락은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엔비디아가 조정받은 여파로 해석된다. 엔비디아는 이달 21일 3.22% 내린 126.5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3.54% 떨어진 데 이은 2거래일 연속 조정이다. 엔비디아와 함께 AI 랠리를 펼친 마이크론테크놀로지와 브로드컴도 하락했다. 마이크론은 최근 2거래일간 9.1%, 브로드컴은 최근 3거래일 동안 9.3% 떨어졌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에 대해 “그동안 급등해온 S&P500은 AI 테마를 빼놓고 보면 완만한 하락장”이라며 “AI에 대한 투자심리가 악화하면 시장 불안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새 주도주 나올 것…대안 찾기 분주미국 증시에 이어 한국 시장에서도 주도주가 조정을 받자 급격히 높아진 밸류에이션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그동안 일부 종목에만 매수세가 쏠리는 장세를 보이면서 주도주
-
"노력한 만큼 곱하기 수익…투자는 경제적 자유 얻는 지름길"
“최근 삼성전자의 외국인 매수가 눈에 띄게 늘었어요. 전고점을 돌파한다면 코스닥시장의 반도체 밸류체인(가치사슬) 종목도 확 뜰 것 같아요.”“순환 경기 구조에서 이전 사이클을 뚫지 못한 전례가 없으니 코스피지수는 더 오를 가능성이 있겠네요.”지난 20일 서울 여의도동 타임폴리오자산운용 사무실에 모인 대학생 여섯 명의 대화는 현역 펀드매니저들의 운용 회의를 방불케 했다. ‘한국형 헤지펀드 명가’로 알려진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의 모의주식투자대회 ‘로드 투 펀드매니저’에서 운용능력 평가 A+ 등급을 받은 이들이다.이 대회는 소속 대학, 학회, 학점 등 스펙(조건)을 모두 가린 채로 대학생들이 투자 실력만으로 진검승부를 벌인다. 타임폴리오에서 채용연계형 인턴 기회를 받을 수 있는 A+ 등급은 단순히 수익률만으론 얻을 수 없다. 참신한 시각을 담은 포트폴리오로 투자의 질 또한 증명해야 한다. 급등 테마주 몇 개에 ‘몰빵’해 운 좋게 높은 수익을 낸 이들은 제외되는 식이다. 대회 우수 참가자들을 만나 각자의 투자 전략을 들어봤다. 스펙 대신 ‘실전형 투자’국내 자산운용사들의 펀드매니저는 이른바 ‘SKY’(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주식 동아리 출신이 주류다. 하지만 이날 자리에 모인 대학생 중 이른바 ‘SKY’ 출신은 여섯 명 중 두 명뿐이었다.다들 교과서가 아니라 실전에서 잔뼈가 굵었다. 투자 전략도 제각각이다. 정연빈 씨는 코로나19로 증시가 폭락한 이후 개인투자자들이 대거 유입된 2020년 3월에 처음 주식을 시작했다. “개미들이 할 수 있는 실수는 전부 다 해본 것 같아요. 이미 오른 종목을 뇌동매매했다가
-
'갓비디아'가 찜한 TSMC·하이닉스
엔비디아의 가치사슬에 속하는지가 반도체 기업 간 희비를 가르고 있다. 엔비디아 칩을 양산하는 TSMC와 엔비디아에 인공지능(AI)용 메모리 반도체를 공급하는 SK하이닉스는 질주하는 반면 엔비디아의 ‘품질 인증’을 통과하지 못한 삼성전자는 AI 랠리에서 소외되고 있다.19일 컴퍼니마켓캡에 따르면 전날 TSMC 시가총액은 9320억달러(약 1287조원)로 세계 8위를 기록했다. 벅셔해서웨이(9위·8890억달러), 일라이릴리(10위·8472억달러), 브로드컴(11위·8390억달러) 등 쟁쟁한 글로벌 기업을 제치고 아시아 기업 가운데 유일하게 시총 ‘톱10’에 들었다.TSMC는 올 들어 주가가 65% 오르며 시총이 500조원 이상 불었다. 삼성전자 시총(485조원)보다 많다. 엔비디아에 AI 반도체인 고대역폭메모리(HBM)를 공급하는 SK하이닉스 시총도 연초 103조6675억원에서 지난 19일 종가 기준 171조805억원으로 65% 급증했다.반도체업계에서 TSMC와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의 ‘오른팔’과 ‘왼팔’로 불린다. 엔비디아의 AI 가속기는 그래픽처리장치(GPU)에 HBM을 붙여 만드는데, TSMC는 엔비디아가 설계한 GPU를 양산하는 것은 물론이고 GPU와 HBM을 한데 묶는 패키징도 전담한다. SK하이닉스는 4세대 HBM인 HBM3를 엔비디아에 독점 공급하고 있다.반면 글로벌 1위 메모리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는 올해 주가가 2.01% 상승하는 데 그쳤다. 엔비디아 납품 통과가 지연되면서 AI 반도체 경쟁에서 뒤처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에 5세대 HBM인 HBM3E를 공급하기 위해 ‘퀄 테스트’(품질 검증)를 받고 있다.HBM은 AI 가속기에 들어가기 때문에 이 시장의 90%를 장악한 엔비디아의 낙점을 받는 게 관
-
엔비디아가 '찜' 했더니…TSMC·SK하이닉스 '승승장구'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시장의 제왕으로 등극하면서 엔비디아 가치사슬에 속하는 지 여부가 반도체 기업들의 희비를 가르고 있다. 엔비디아 칩을 양산하는 TSMC와 AI용 메모리 반도체를 공급하는 SK하이닉스는 질주하는 반면, 엔비디아의 ‘품질인증’을 통과하지 못한 삼성전자는 AI 랠리에서 소외되고 있다.19일 컴퍼니마켓캡에 따르면 전날 TSMC의 시가총액은 9320억달러(약 1287조원)로 세계 8위를 기록했다. 벅셔해서웨이(9위·8890억달러), 일라이릴리(10위·8472억달러)·브로드컴(11위·8390억달러) 등 쟁쟁한 글로벌 기업들을 제치고 아시아 기업으로 유일하게 시총 ‘톱 10’에 들었다.TSMC는 올해 들어 주가가 65% 오르며 시총이 500조원 이상 불어났다. 삼성전자 시총(485조원)보다 많은 규모다. 엔비디아에 AI 반도체인 고대역폭메모리(HBM)를 공급하는 SK하이닉스 시총도 연초 103조6675억원에서 171조805억원(19일 종가)으로 65% 급증했다.반도체 업계에서 TSMC와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의 ‘오른팔’과 ‘왼팔’로 불린다. 엔비디아의 AI가속기는 그래픽처리장치(GPU)에 HBM을 붙여 만드는데, TSMC는 엔비디아가 설계한 GPU를 양산하는 것은 물론 GPU와 HBM을 한데 묶는 패키징 작업도 전담한다. SK하이닉스는 4세대 HBM인 HBM3를 엔비디아에 독점 공급하고 있다.반면 삼성전자는 글로벌 1위 메모리 반도체 기업임에도 올해 주가가 2.14% 오르는 데 그쳤다. 엔비디아 납품 통과가 지연되면서 AI 반도체 경쟁에서 뒤처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 탓이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에 5세대 HBM인 HBM3E를 공급하기 위해 '퀄 테스트'(품질 검증)를 받고 있다.삼성전자 주가는 엔비디아 납품 진행 소식에



![직원 연봉만 50조…삼성전자·현대車 '400조 낙수효과' [김익환의 컴퍼니워치]](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AA.36607400.3.jpg)

!["무차입 경영 바뀐다?"…여의도에 나타난 삼성전자 [김익환의 컴퍼니워치]](https://img.hankyung.com/photo/202406/01.37161916.3.jpg)
![[단독] 반도체 실탄 확보 나선 삼성·하이닉스…"AI칩 전쟁서 승리할 것"](https://img.hankyung.com/photo/202406/AA.37161891.3.jpg)
![[단독] 반도체 저리대출 17조 내달 가동…産銀, 기업들과 한도·금리 논의](https://img.hankyung.com/photo/202406/02.34117662.3.jpg)


!["SK하이닉스 더 간다" vs "삼성전자가 역전"…여의도 '들썩' [최만수의 스톡네비게이션]](https://img.hankyung.com/photo/202406/02.37154458.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