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연금 7년 후 '밑빠진 독'…자산 팔아야 연금지급 가능
윤석열 정부가 연금개혁에 실패하면 2030년부터 국민연금이 주식 등 보유 자산을 팔아야 연금 지급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1988년 설립된 뒤 처음으로 연금지급액이 보험료 수입을 넘어서면서다. 국내 자본시장의 ‘연못 속 고래’인 국민연금이 주식 순매도에 착수하면 주가 급락으로 수익률이 떨어지고, 연금 고갈 시기가 더욱 앞당겨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29일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에 따르면 국민연금의 기금운용수익을 제외한 순수 연금수지(연금보험료-연금지급액)가 적자로 돌아서는 시점은 2030년으로 추정된다. 기금 규모가 줄어드는 전체 수지 적자 시점인 2041년보다 11년 앞서 연금 지출이 수입을 넘어서는 변곡점이 온다는 의미다. 이 경우 국민연금은 기금운용자산을 현금화해 보험료를 충당해야 한다.2018년 4차 재정추계에 따르면 국민 연금이 기금 운용으로 충당해야 하는 연금수지 적자액은 2030년 1조4480억원에서 2035년 25조4660억원, 2040년 67조로 빠르게 늘어난다. 다음달 발표되는 5차 재정추계 최종 결과에서는 적자액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의 7%에 달하는 주식을 보유한 국민연금이 매년 규모를 늘려 순매도에 나서면 주가가 급락하고 국민연금의 실현 수익률은 점점 더 낮아져 연금 고갈 시기가 앞당겨질 전망이다. 이미 지난 27일 5차 재정추계에서 연금 고갈 시기는 저출산·고령화 등 여파에 따라 기존 2057년에서 2055년으로 2년 당겨졌다.그럼에도 정부는 국민연금이 자산 매도에 나섰을 때 수익률에 미칠 영향을 재정추계에 반영하지 않고 있다. 전병목 국민연금 재정추계전문위원장은 “재정 추계에 활용된 수익률(연 4.5%)은 기금
-
7년 뒤 투자자산 헐어 쓸 판인데…5년 앞만 내다보는 '기금운용'
국민연금이 운용자산을 헐어 연금을 지급해야 하는 ‘연금수지 변곡점’에 대 비해야 한다는 것은 2013년과 2018년 재정계산 당시에도 제도 개선 방안으 로 논의된 내용이다. 이 시점이 불과 7 년 앞(2030년)으로 다가오는 동안 정부 가 한 일은 전무한 수준이다. 향후 75년 간 연금이 지속 가능하기 위한 장기 자 산배분 계획을 짜는 캐나다연금투자위 원회(CPPIB) 등 글로벌 연기금과 달리 국민연금의 자산운용 ‘시계(視界)’는 5년에 불과하다.○연금재정 감안한 계획 無29일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국민연 금은 2027년까지의 자산배분 계획만 을 갖고 있다. 현행 제도상 국민연금은 매년 향후 5년간의 목표수익률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국내외 주식·채권·대체 투자 비율 등을 정하는 중기 자산배분 과 1년 단위의 단기 자산배분 계획만 수 립한다. 올해 5월 2028년까지의 자산배 분 계획을 세워도 연금 지급액이 보험 료 수입을 넘어서는 2030년 상황을 담 지 못하는 셈이다.2013년 제3차 재정계산 당시 정부는 “기금 규모의 단계별 자산운용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적시했다. 5년 뒤인 2018년에 도 “적어도 10년 이상에 걸친 장기 자산 배분 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했 다. 이후 문재인 정부는 2021년 5월 국 민연금의 자산배분 시계를 10년 이상 으로 늘려 연금 재정 변화 등을 감안한 장기 자산배분 계획인 기준포트폴리오 를 연내 도입하겠다고 밝혔지만 논의를 연기하다 새 정부에 공을 넘겼다.그간 5년 단위로만 계획을 짜다 보니 국민연금의 자산배분 계획에는 언젠 가 자산을 팔아야 한다는 개념도 희박 했다. 자본시장 관계자는 “국민연금
-
국회 연금특위 '진통'…결국 '개혁안' 결론 못내
국민연금의 개혁 방안 마련 과정에서 국회 논의가 진통을 겪고 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의 민간자문위원회는 지난 27일과 28일 이틀간 끝장토론을 벌였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민간자문위 관계자는 29일 “국민연금 보험료율 인상과 소득대체율(생애 평균 소득 대비 국민연금 수령액 비율)에 대한 위원 간 의견이 크게 엇갈렸다”고 말했다. 토론에서는 소득대체율이 쟁점으로 떠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2028년 40%로 조정되는 소득대체율과 관련해 일부 위원은 소득대체율은 그대로 두고 보험료율만 인상하는 안을 제시했다. 다른 위원들은 보험료율 인상과 함께 소득대체율도 일정 부분올리자는 주장을 내놨다.보험료율을 높이면 국민연금 기금에 들어오는 돈이 늘어나지만, 소득대체율까지 인상하면 지급액도 같이 증가해 국민연금 개혁 효과가 반감된다. 일부 위원은 소득대체율을 45% 이상으로 올려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회의에서는 또 2033년 기준 65세로 늦춰지는 연금 수급 개시 연령(현재 63세, 5년마다 1세씩 연장)을 2033년 이후에도 5년마다 1세씩 추가로 높이는 방안을 놓고 토론이 벌어졌다.국회 연금특위는 본격적인 국민연금 개혁안 논의에 앞서 민간자문위를 통해 대략적인 국민연금 개혁안을 보고 받을 예정이었다. 민간자문위 안이 연금특위 논의의 초안이 되는 셈이다. 이에 따라 민간자문위는 연금과 관련된 각계 전문가로 구성됐다. 이날 민간자문위가 단일안 마련에 실패하면서 전문가들 사이에도 상당한 이견이 있음이 표출됐다. 민간자문위는 애초 이번주까지 국회 연금특위에 연금개혁안을 보고할 예정이었지만, 일정을 1주일 미루기로 했다.설지연 기
-
文정부가 미룬 연금개혁 후폭풍…보험료율 2배 올려야 고갈 막아
2018년 이후 5년 만에 나온 5차 국민연금 재정추계 결과는 역대 정부가 표를 의식해 연금개혁을 차일피일 미룬 대가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저출산·고령화가 어제오늘 일이 아닌데도 연금개혁은 2007년을 끝으로 전무했다. 특히 문재인 정부는 출산율이 사상 최초로 1명 아래로 떨어진 2018년 4차 재정추계를 통해 연금 고갈 시점이 빨라진다는 결과를 받아쥐고도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며 개혁을 미뤘다. 그 결과 연금 고갈을 막기 위해 치러야 할 비용(보험료)은 더 높아졌다. ‘연금 생존’에 필요한 보험료↑27일 국민연금 재정추계전문위원회에 따르면 연금개혁이 늦어지면서 국민연금의 지속가능성(재정목표)을 보장하기 위한 보험료율은 4차 재정계산 때보다 1.66~1.84%포인트 높아졌다. 지난 정부에서 연금개혁을 미룬 ‘비용’인 셈이다.예컨대 추계기간인 70년 후(2093년)까지 국민연금기금의 적립배율(기금 적립액÷당해연도 총지출)을 1배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보험료율은 17.86%로 4차 계산 때의 16.02%보다 1.84%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연금개혁에 성공해 재정추계 2년 뒤(4차 땐 2020년, 5차 땐 2025년)부터 보험료율을 인상한다고 가정했을 때 수치다. 보험료율 인상이 미뤄지면 적립배율을 1배로 유지하기 위한 보험료율도 올라간다. 만약 재정추계 10년 뒤(4차 땐 2030년, 5차 땐 2035년)부터 보험료율을 올린다면 내야 하는 보험료율은 4차 때 17.95%에서 5차 때 20.73%로 뛴다.그나마 적립배율 1배는 가장 손쉬운 목표다. 목표 수준을 높이면 보험료 부담은 더 커진다. 가령 추계기간 내내 국민연금 기금 수지(수입-지출)가 적자로 돌아서지 않도록 하는 데 필요한 보험료율(재
-
개혁 미룬 대가…국민연금 고갈 2년 빨라졌다
국민연금 기금이 2055년 고갈될 것이라는 공식 전망이 나왔다. 5년 전 계산했을 때는 2057년이었는데 2년 더 빨라졌다. 저출산·고령화 추세가 지속되는 데다 지난 정부가 연금개혁을 미룬 결과다.국민연금 재정추계전문위원회는 27일 ‘제5차 국민연금 재정추계’(대상 기간 2023~2093년) 결과를 공개했다. 2018년 4차 재정추계 이후 5년 만이다.5차 재정추계에 따르면 현행 ‘보험료율 9%, 소득대체율 40%, 65세부터 연금 수급’ 조건을 유지할 경우 국민연금 기금은 2040년 1755조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41년 적자 전환하는 데 이어 2055년엔 완전 고갈된다. 4차 재정추계 때와 비교하면 기금 수지가 적자 전환하는 시점은 1년, 기금 고갈 시점은 2년 앞당겨졌다.세계적으로 유례없이 빠른 저출산과 고령화가 핵심 원인이다. 출산율은 4차 재정추계 당시 1.27명이었지만 올해 전망치는 0.73명이다. 2050년 이후 가정치도 4차 계산 때 1.38명에서 5차 때는 1.21명으로 떨어졌다. 반면 기대수명은 2023년 84.3세에서 2070년 91.2세로 늘어났다. 4차 재정추계 때보다 0.4~0.7세 높아졌다. 연금을 낼 사람은 줄어드는데 받을 사람은 증가하는 것이다.향후 70년간 실질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4차 때 1.1%에서 5차 때는 0.7%로 낮아졌다. 이스란 보건복지부 연금정책국장은 “인구와 경제 두 제도 변수가 모두 국민연금 재정을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이에 따라 추계 기간 기금이 적자 전환하지 않게 하는 데 필요한 보험료율은 4차 18.20%에서 5차 19.57%로 1.37%포인트 높아졌다. 현재 9%인 보험료율을 두 배 이상으로 높여야 적자를 면할 수 있다는 것이다.정부는 오는 3월 5차 추계를 공개하려고 했지만 연금개
-
국민연금 '시한부 운명' 2년 앞당겨졌다…이대로 가다간 소멸
국민의 노후자금인 국민연금기금의 고갈 예상 시점이 2057년에서 2055년으로 2년 앞당겨졌다. 유례없는 저출산 추세 속에 0.7명대로 떨어진 출산율이 국민연금의 시한부 운명을 앞당겼다. 9%인 보험료율을 20%까지 높이지 않고선 국민연금의 소멸을 막을 수 없다는 ‘경고장’이다.국민연금 재정추계전문위원회(추계위)는 2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민연금 재정추계 시산 결과를 발표했다. 정부는 2003년부터 5년마다 향후 70년간의 국민연금기금 추이를 예측하고 있다. 이번 추계는 2018년 4차 재정계산에 이은 5번째 결과물이다. 정부는 연금개혁 논의를 가속화하기 위해 3월 예정된 최종발표에 앞서 인구·경제 변수의 중위값을 가정한 시산 결과를 내놨다.시산 결과 9% 보험료율과 40% 소득대체율, 65세부터 수급 개시 등 현행 제도가 유지될 경우 국민연금은 2040년 1755조원으로 정점을 찍은뒤 이듬해부터 적자로 전환해 2055년 완전히 고갈될 전망이다. 5년 전 4차 재정계산 당시 2041년이던 기금 정점은 1년 빨라지고, 완전 고갈 시점도 2년이 당겨졌다.전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인 저출산·고령화 추세와 우리 경제의 성장 둔화
-
국민연금, 자산배분 방식 바꾼다…초장기 포트폴리오 도입 시동
국민연금이 초장기 포트폴리오 산정 작업을 추진한다. 재정 추계와 맞춰 기금운용 자산 배분 체계를 새로 설정하겠다는 취지다. 자산군별로 칸막이를 낮춰 이전보다 유연한 운용을 통해 운용 수익률을 끌어올릴 계획이다.2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 기금 운용발전 전문위원회(기발위)는 최근 회의를 열고 기준(레퍼런스) 포트폴리오 추진 방식을 논의했다. 국민연금 기발위는 제5차 국민연금 재정계산을 짜기 위해 꾸려진 재정계산위원회의 산하 기구다. 정부가 오는 10월까지 국회에 제출해야 하는 국민연금 종합 운영계획을 마련할 때까지 투자전략, 제도 개선 등 기금운용 방향을 논의한다.기준 포트폴리오는 국민연금의 전략적·전술적 자산 배분의 지침이 되는 자산배분안이다. 국민연금은 2021년 기준 포트폴리오를 추진했으나 다른 현안에 밀려 도입되지 못했다. 기준 포트폴리오가 도입되면 기존 전략·전술 등 2단계 자산 배분 방식에서 3단계로 늘어난다. 연금은 장기 투자자로 먼 미래를 내다보고 자산 배분에 나서야 하지만 그간 국민연금은 5년·1년 단위로만 자산 배분을 계획해 장기 전망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다.기발위에 참석하는 한 관계자는 “기준 포트폴리오를 기존대로 20년 시계로 가져갈 것인지, 70년 단위 장기 시계로 가져갈 것인지 논의 중”이라며 “조금씩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 합의해나가고 있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2단계→3단계 배분으로 전문성 보강 국민연금 기발위는 비전문가가 국민연금 자산 배분을 짜는 방식에서 벗어나 체계적으로 자산 배분에 나설 수 있도록 종전 2단계에서 3단계 장기 포트폴리오 마련을 목
-
국민연금 '러브콜'에 전주 사무소 연 프랭클린템플턴…글로벌 운용사 잇따르나
1조4000억원달러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는 글로벌 대형 자산 운용사인 프랭클린템플턴이 올해 상반기 국민연금 기금운운용본부가 위치한 전주에 연락사무소를 연다. 글로벌 운용사의 전주 사무소 유치는 국민연금과 현지 소통 창구를 마련해 협력을 강화하고 운용역의 역량을 키우겠다는 김태현 신임 이사장의 취임 후 중점사업 중 하나였다.업계에선 글로벌 자산운용사 및 사모펀드(PEF), 투자은행(IB) 등 국민연금과 네트워크를 강화하려는 대형 하우스들이 프랭클린템플턴에 이어 전주로 진출할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12일 국민연금에 따르면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과 제니 존슨 프랭클린템플턴 회장은 이 날 만나 세계 경제와 금융시장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 자리에서 프랭클린템플턴은 올해 상반기 중 공단 본부가 위치한 전라북도 전주에 연락사무소를 개소할 계획을 밝혔다. 글로벌 자산운용사가 전주에 진출한 첫 사례다.프랭클린템플턴 연락사무소는 시장·현황 조사 등의 업무를 비롯해 공단과 관련된 업무 연락을 전담하게 된다. 국민연금은 "이번 연락사무소 개소로 전북 지역의 금융산업 및 지역사회 발전에 공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국민연금은 2001년부터 프랭클린템플턴에 위탁운용을 시작했다. 현재 주식, 채권, 사모, 부동산, 인프라 등 다양한 자산에 위탁운용하고 있다.프랭클린템플턴은 올해 설립 75주년을 맞은 세계적인 자산 운용사다. 30여개 국가에서 1300여 명의 운용 전문인력이 주식, 채권, 사모, 부동산, 인프라 등의 자산군에 총 1조4000억 달러(USD)를 운용하고 있다.글로벌 PEF와 자산운용사의 전주 사무소 개소는 지난해 9월 부임한 김태현 이사장의 핵심 추
-
국민연금 개혁 속도 높인다…재정추계 앞당겨 이달 발표
보건복지부가 9일 “국민연금 재정추계(장기 재정전망) 결과를 이달 중 공개하겠다”고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당초 오는 3월로 예정됐던 재정추계 발표 시점을 두 달 앞당겨 국민연금 개혁에 속도를 내겠다는 것이다.현행법상 국민연금 재정추계는 5년마다 계산해 3월 말까지 공개해야 한다. 정부가 발표 시점을 앞당기기로 한 것은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의 연금개혁 논의를 촉진하기 위해서다. 이기일 복지부 1차관은 브리핑에서 “국회 연금특위가 이달 중 민간 전문가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라며 “(국민연금 재정추계) 결과를 특위에 제공해 재정 계산 내용이 방안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복지부는 국회 연금특위의 개혁 방안과 국민 의견 수렴 내용을 반영해 오는 10월 국회에 국민연금 제도 개선과 기초연금 연계 방안 등을 담은 종합운영계획을 제출할 예정이다.윤 대통령도 이날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대한민국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3대 개혁을 미룰 수 없다”며 “속도감 있게 개혁 과제를 추진해달라”고 주문했다.복지부는 2004년 일본의 연금개혁 사례 등 해외 사례를 참고해 국민연금 개혁 방안을 마련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차관은 “일본은 2004년 13.934%였던 연금보험률을 2017년 18.3%까지 올리면서 매년 0.354%포인트씩 점진적으로 높이는 방법을 택했다”며 “국민 경제에 피해가 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인상한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이 기대수명과 출산율에 따라 연금을 조정하는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하고 정년 연장과 연금개혁을 동시에 추진했다는 점도 언급했다. 이 같은 내용은 한국의 연금개혁안에도
-
高물가에 지급액 갈수록 늘어…'국민연금 고갈' 3년 앞당겨질 듯
국민연금 재정이 겹악재를 맞고 있다. 세계 최고 속도의 고령화로 재정 구조가 악화하는 가운데 고물가 여파로 지급액도 가파르게 늘게 됐다. 지난해 5%대 고물가가 올해 국민연금 급여액 인상으로 고스란히 이어지면서 연금 고갈 시기가 더 앞당겨질 전망이다. 국민연금 개혁이 시급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고물가 여파로 수급액도 치솟아정부는 국민연금법에 따라 5년마다 국민연금의 장기 재정수지를 계산하는 재정계산제도(재정 추계)를 시행하고 있다. 국민연금 재정 고갈 시기는 추계마다 앞당겨지고 있다. 2013년 추계 당시 ‘2060년 고갈’로 전망됐지만, 2018년 추계에서는 ‘2057년 고갈’로 3년이나 빨라졌다. 지난해에 이은 고물가 추세가 지속되면 고갈 시기는 더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지난해 고물가 돌입 전에도 고갈 시기가 애초 전망인 2057년에서 2~3년 더 당겨질 것이라는 예상이 지속적으로 나왔다.국민연금 재정에 영향을 미치는 물가변동률 등 거시경제 변수는 이전 추계 때보다 악화하고 있다. 국민연금 지급액은 물가에 연동돼 결정된다. 직전 추계 당시 전년도인 2017년의 물가인상률은 1.9%였다. 2016년 1.0%, 2015년 0.7%에 그치면서 연금 지급액은 소폭 증가에 머물렀다.2021년 물가가 전년 대비 2.0%포인트 뛴 2.5%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전년의 두 배 이상인 5.1%에 달하면서 올해 연금 지급액도 치솟았다. 지출이 급증한 만큼 곧 이뤄질 5차 재정추계에서는 기금 고갈 시점이 더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연금 수급자가 600만 명을 넘어가는 상황에서 수급액 증가는 재정 안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고
-
인플레 직격탄 맞은 국민연금 재정
올해 국민연금 지급액이 5.1% 인상된다. 지난해 고물가 여파에 따른 24년 만의 최대 인상폭이다. 지급액이 급증하면서 국민연금 재정이 타격받을 전망이다. 연간 물가상승률 2.0% 안팎의 저물가를 전제로 삼은 과거 추계 대비 연금 고갈 시기가 앞당겨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보건복지부가 8일 행정예고한 ‘국민연금 재평가율 및 연금액 조정’ 고시 개정안에 따르면 올해 국민연금 지급액 인상률은 지난해(2.5%) 대비 2.6%포인트 오른 5.1%다. 1999년(7.5% 인상) 후 최대 인상폭이다. 이번 인상률은 지난해 물가상승률(5.1%)을 그대로 반영했다. 국민연금 지급액은 매년 전년도 물가상승률을 고려해 복지부 산하 국민연금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결정한다.이번 인상으로 노령연금 523만 명, 유족연금 92만 명, 장애연금 7만 명 등 총 622만 명의 수급자가 이달 25일 지급분부터 혜택을 받는다. 수급 연령에 도달하지 않은 인원까지 포함한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는 2022년 9월 기준 2222만 명이다.올해 지급해야 할 연금액은 지난해보다 약 1조6800억원 더 필요한 것으로 추산된다. 올해 연금 수급자 인원을 지난해와 같다고 가정하고 인상률 5.1%를 반영하면 지급액(반환일시금 제외)은 작년 32조8888억원에서 올해 34조5661억원으로 증가한다.지급액이 늘면서 기존 재정추계에서 2057년으로 예상한 국민연금 고갈 시기도 앞당겨질 전망이다. 정부는 이르면 다음달 5차 추계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2018년 4차 추계 당시에는 2021~2088년 연간 평균 물가상승률을 2.0%로 가정했다.물가는 올해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여파로 3.5%(정부 전망) 오르는 등 상당 기간 고공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곽용희 기자
-
국민연금·외국인, 불닭볶음면에 꽂혔다
국민연금과 외국인이 삼양식품 주식을 쓸어담고 있다. 대표 상품 불닭볶음면의 가파른 수출 성장세와 원가 하락으로 인한 이익 개선 가능성에 주목했다는 분석이다.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연기금은 최근 한 달간 삼양식품 주식 190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국민연금의 삼양식품 지분율은 지난 2일 기준 10.12%를 기록했다. 작년 하반기부터 꾸준히 지분율이 늘고 있다. 지난해 8월 29일 8.38%였던 국민연금 지분율은 지난달 20일 9.51%로 증가했다. 외국인도 순매수 행렬에 동참했다. 최근 한 달간 외국인 투자자는 삼양식품 주식 190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지난달 초 8%대 초반이었던 외국인 지분율은 현재 10%다.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작년 삼양식품 매출은 2021년보다 42.3% 증가한 9142억원, 영업이익은 52.4% 늘어난 998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실적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불닭볶음면이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다. 장지혜 DS투자증권 연구원은 “불닭볶음면 챌린지가 인기를 끌고, BTS 멤버의 불닭볶음면 먹방(먹는 방송)이 화제를 모으며 신규 소비자가 유입됐다”고 설명했다.실적 전망도 밝다.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각각 1조440억원, 1240억원이다. 원가 부담이 완화되는 점도 긍정적이다. 라면의 주원료인 소맥 및 팜유 선물가격은 작년 3분기부터 안정을 찾고 있다. 치솟던 물류비용도 하향 곡선을 그렸다. 이에 지난해 3분기 10% 밑으로 떨어졌던 영업이익률은 4분기에 다시 11%를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매력도 높은 편이다. 삼양식품의 주가수익비율(PER)은 9.13배다. 식품업종 평균 PER(15.02배)보다 낮다.
-
'증시 큰손' 국민연금의 선택은 리오프닝株
국내 증시 ‘큰손’으로 꼽히는 국민연금공단이 최근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업종 종목을 집중적으로 담으며 포트폴리오를 조정했다. 중국 내 방역 기준이 완화되고, 국내 리오프닝 관련 업종 주가가 강세를 나타내는 것을 고려한 조치로 분석된다. 반면 조선·태양광 관련주 일부와 반도체 소재주는 지분율을 줄였다. 리오프닝株 사들인 국민연금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국민연금공단은 최근 호텔신라, 하나투어, 제주항공 등 리오프닝주의 비중을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공단은 지난달 호텔신라 주식 121만3654주를 사들였다. 보유 지분율은 7.58%에서 10.67%로 3.09%포인트 증가했다.국민연금공단은 항공주와 여행주도 대거 사들였다. 국민연금공단은 지난달 하나투어 주식을 24만5121주(1.53%), 진에어는 38만1089주(0.73%), 제주항공은 87만8494주(1.14%)를 사들였다. 화장품·소비재 관련주에서는 아모레G를 166만2475주(2.01%), 아모레퍼시픽을 58만4880주(1.01%) 추가 매수했다. 삼양식품(1.13%), GS리테일(1.03%), 오리온홀딩스(1.00%) 등도 보유 지분율을 늘렸다.중국이 방역지침을 완화하면서 리오프닝 관련 업종 실적이 개선된 것을 반영한 포트폴리오 조정으로 분석된다.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2020년 이후 3년 동안 단절됐던 국가 간 이동이 정책적으로 완전히 가능해지면서 중국인 관광객은 올해 1분기 회복될 전망”이라고 말했다.지난해 주가가 부진했지만 올해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종목도 지분율을 높였다. 국민연금은 지난해 11~12월에 걸쳐 대한유화 주식을 21만6168주(3.33%) 사들였다. 대한유화는 지난해 상반기 에틸렌 시장의 과잉 공급으로 주가가 36% 넘게 빠졌
-
국민연금 10월까지 51조 손실…수익률 -5.29%
국민연금이 올해 10월 말까지 5.29% 손실을 기록했다. 전달(-7.06%)보다 손실폭을 다소 줄였지만 글로벌 금융시장 약세 국면 속 저조한 성적을 이어갔다.30일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올해 10월 말 기준 -5.29%의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손실금액으로는 51조원 규모에 달한다. 자산별 수익률(금액가중수익률 기준)은 국내주식 -20.45%, 해외주식 -4.84%, 국내채권 -8.21%로 집계됐다. 대체투자와 해외채권은 각각 15.64%, 4.74%의 수익률로 비교적 선방했다. 지난 9월 말 누적 수익률(-7.06%)보단 1.77%포인트(p) 상승했으나 여전히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다.국내외 주식시장이 급락하며 주식 수익률이 크게 나빠졌다. 국내 주식시장인 코스피는 올해 들어 10월 말까지 22.97% 하락했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의 한국 제외 전세계지수(ACWI ex-Korea)는 같은 기간 달러 기준으로 20.34% 빠졌다. 해외주식 수익률이 국내주식보다 비교적 선방한 것은 원·달러 환율이 올해 19.72%% 상승했기 때문이다.채권금리도 크게 올라 수익률 하락으로 이어졌다. 국고채 3년물은 올해 들어 10월까지 238.7bp(1bp=0.01p) 상승했고 10년물은 199.2bp 올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속된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p 인상)에 따른 결과다.국민연금이 설정한 벤치마크(기준 수익률) 대비론 원화 기준 국내주식에서 0.85%p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 국내 채권과 해외 채권에서도 각각 0.02%p, 0.52%p 더 높은 성과를 기록했다. 다만 해외 주식에서는 -0.49p로 저조했다.국민연금은 "국내와 해외주식은 각국의 통화 긴축 기조와 이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 러시아 전쟁 장기화 등 국내외 증시 불안 요인이 지속돼 운용수익률이 하락했다"며 &q
-
국민연금, 수탁위 확 바뀐다…9명 중 최대 7명 교체
국민연금이 주주권 행사를 다루는 수탁자책임 전문위원회(수탁위) 인적 구성을 변경하는 작업에 나섰다. 기금운용 최고의사결정기구인 기금운용위원회(기금위)는 가입자 대표별로 복수의 후보를 추천받아 상근 전문위원 3명을 위촉한다. 비상근 전문위원들도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어 수탁위를 구성하는 9명 중 최대 7명이 바뀌는 큰 변화를 맞게 된다. 3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2기 전문위원회 구성을 위해 최근 사전 설명회를 열고 사용자, 근로자, 지역가입자 단체 12곳에서 복수의 후보를 추천받고 있다. 내년 2월 임기가 만료되는 상근 전문위원 3명을 뽑기 위한 절차다. 가입자 단체들은 내년 1월 6일까지 상근 전문위원 후보군을 추려 복지부에 전달할 계획이다. 이중 기금위 위원장인 복지부 장관이 직무 적합성을 따져 3명을 위촉하게 된다.상근 전문위원뿐만 아니라 비상근 전문위원들도 임기 종료를 앞두고 있어 수탁위의 인적 구성이 크게 뒤바뀌게 될 전망이다. 수탁위는 상근 전문위원 3명, 비상근 전문위원 6명으로 구성된다. 비상근 위원 6명 가운데 4명도 이번에 상근 위원과 함께 임기를 마친다. 복지부는 상근 전문위원 후보군을 접수 받은 뒤 비상근 전문위원에 대한 가입자 단체 추천을 받을 계획이다. 수탁위 위원들이 가입자 단체에서 재추천을 받으면 연임을 할 수 있지만, 업계는 정부가 바뀐 만큼 새로운 인사로 교체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연임이 한 명도 이뤄지지 않는다면 수탁위를 구성하는 9명 중 최대 7명이 바뀌게 된다. 수탁위 이외에 투자정책, 위험관리·성과보상 등 2개 전문위원회 소속 민간 전문가들도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어 복지부가 연임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