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빗썸코리아 IPO 시동…복잡한 지배구조가 최대 걸림돌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코리아가 이달 실적 발표 이후 기업공개(IPO) 절차에 돌입한다. 비트코인이 지난 1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상장을 승인한 데 이어 가격이 급등하면서 상장 적기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증권업계에서는 빗썸의 명확하지 않은 지배구조를 해결하는 데 상당한 시일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빗썸코리아의 대표 주관사인 삼성증권은 이달 사업보고서가 나온 뒤 실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지난해 10월 빗썸코리아는 삼성증권과 IPO 주관 계약을 연장하기로 하면서 IPO 의지를 다졌다. 빗썸코리아는 지난 2020년 코스닥 시장 상장에 도전했으나 가상자산에 대한 명확한 규제나 회계기준이 없다는 등의 이유로 중도 포기했다. 이후 가상화폐 거래가 뜸해지면서 2022년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각각 68%, 79% 하락한 3201억원, 1634억원을 기록해 상장에 나서지 못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 비트코인 가격이 140%대 상승하면서 상장 절차에 탄력이 붙고 있다. 빗썸코리아와 업비트 제휴사인 케이뱅크 등의 장외주식 가격은 지난 한 달 동안 각각 47%, 90%씩 뛰었다. 빗썸의 기업공개를 위해선 지배구조 투명성 확보가 최우선 과제로 지목된다. 빗썸은 과거 비덴트와 경영권 분쟁을 겪는 등 관계사와 이해관계가 얽혀있어 지배구조가 명확하지 않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빗썸코리아의 최대주주는 지분의 74%를 보유한 빗썸홀딩스다. 지주사인 빗썸홀딩스의 최대주주는 이정훈 전 의장이다. 이 전 의장은 비상장사 DAA(30%), BTHMB홀딩스(10%), 기타(25%) 등을 통해 빗썸홀딩스를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빗썸홀
-
올해 케이뱅크·HD현대마린솔루션 IPO 주목…"영구채·RCPS 활용도↑"[마켓인사이트 출범 12주년]
올해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을 기업으로는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가 꼽혔다.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 전문매체인 마켓인사이트가 6일 투자은행(IB)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복수 응답 가능)의 11.4%가 케이뱅크를 꼽았다. 지난해 상장에 도전했다가 공모 흥행에 실패해 철회한 곳이다. 올해 다시 주관사를 선정하고 연내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그 뒤로 HD현대마린솔루션이 응답자의 8.9%로부터 표를 얻었다.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상장 예비 심사를 통과하고 증권신고서 제출을 앞두고 있다. 올해 상장을 공식화한 기업 가운데 최대어 후보로 꼽히는 곳이다.흑자 전환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는 컬리와 CJ그룹의 경영승계 이슈와 맞물려 있는 CJ올리브영에도 관심이 쏠렸다. 아직 IPO를 공식화하지 않았지만, 언제든 증시 입성을 꾀할 유력한 후보로 꼽혔다.이 밖에 LG CNS, SK에코플랜트 등 대기업 계열사 IPO와 웹툰엔터테인먼트, 야놀자 등 미국 상장을 추진하는 곳들에 주목하고 있다는 응답도 나왔다.이번 조사에서 토스 운영사 비바리퍼블리카(16.5%)와 에이피알(12.7%)은 많은 답변을 받았다. 다만 비바리퍼블리카는 올해 수익성을 강화한 뒤 내년 IPO를 준비하고 있다. 에이피알은 지난달 27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을 마무리했다.올해 IPO 건수는 지난해보다 늘어날 것이란 답변이 주를 이뤘다. 응답자의 38.9%는 건수가 5~10% 늘어날 것으로, 25.9%는 10% 이상 늘어날 것이라 답변했다. 반면 IPO 건수가 줄어들 것이란 답변은 응답자의 7.4%에 그쳤다. 지난해 전반적인 주식시장 침체로 IPO 시기를 미룬 기업들이 올해 주식시장 회복세 및 공모주 시장 호조세를 발판 삼아 다시 상장 작업에
-
[단독] '삼프로TV' 상장 불발…거래소 상장위 '미승인'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을 통해 우회상장을 추진한 삼프로TV 운영사 이브로드캐스팅이 기업공개(IPO) 미승인 통보를 받았다. 사업모델의 지속성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 미승인의 가장 큰 원인이다. 대표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 맡았다. 2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한국거래소는 이날 상장위원회를 열고 이브로드캐스팅 상장 미승인 결정을 냈다. 김동환 이브로드캐스팅 대표가 상장위원회에 출석해 상장 필요성에 대해 의견을 피력했으나 위원들의 결정을 되돌리지는 못했다. 지난해 7월 한국거래소에 상장 심사를 청구한 지 약 7개월 만에 나온 결정이다. 삼프로TV는 NH스팩25호를 흡수 합병하는 방식으로 기업가치 2400억원에 코스닥 상장을 시도했다. 하지만 한국거래소는 삼프로TV의 사업모델이 매출과 영업이익을 꾸준히 낼 수 있을 정도로 확실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했다. 거래소가 세무 플랫폼 삼쩜삼에 대해 미승인을 낸 이유와 유사하다. 당시 거래소는 국세청 등이 무료 환급 서비스 개시로 삼쩜삼의 사업모델이 위협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거래소 측은 삼프로TV가 꾸준히 성장할 수 있을지에 대해 우려를 나타낸 것으로 전해졌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주식투자 열풍으로 삼프로TV 구독자가 늘고 매출과 영업이익이 늘었으나 최근에는 정체되고 있다. 삼프로TV 지난해 매출은 167억원, 영업이익은 73억원이다. 광고 외에 이렇다 할 수익모델이 없다는 점도 걸림돌이 됐다. 유튜브와 아프리카TV와 같은 플랫폼 사업자가 아닌 채널 운영자가 구독자 수를 바탕으로 상장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도 컸다. 삼프로TV 구독자는 237만명으로 같은 경제 유튜버인 슈카월드(304만명)
-
실적 꺾였는데…오상헬스케어, 공모가 33% 올린 2만원 확정
체외 진단 전문기업 오상헬스케어가 공모가격을 2만원으로 확정했다. 희망 가격 범위 상단보다 무려 33% 높은 수준으로 2007년 이후 최대 상향 폭을 기록했다. 회사 실적이 작년 하반기부터 올해 부진에 빠진 상황에서도 IPO 호황 분위기를 타고 공모가를 대폭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오상헬스케어는 지난 21일부터 27일까지 진행한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993.2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고 29일 밝혔다.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국내외 2007개 기관이 참여했는데, 99.6%에 해당하는 1999곳이 희망 가격 범위(1만3000~1만5000원) 상단보다 높은 가격으로 주문을 넣었다. 공모가격 2만원 이상의 가격을 적어낸 기관도 85.4%(1716개)에 달했다.다만 참여 기관 가운데 상장 이후 일정 기간 주식을 보유하겠다는 의무 보유 확약을 내건 곳은 2.7%(55곳)에 불과했다.주관사 관계자는 “최근 제약·바이오 기업의 IPO 공모에 참여가 다소 부진한 가운데서도 오상헬스케어의 사업 경쟁력과 잠재력을 높이 평가한 많은 기관이 이번 수요예측에 참여했다”고 말했다.공모가가 희망 가격 상단보다 높게 결정되면서 공모금액은 198억원,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은 2821억원으로 각각 높아졌다.1996년 설립된 이 회사는 생화학 진단, 분자 진단, 면역 진단 등 다각화한 체외 진단 사업을 펼치는 곳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진단기기 매출이 증가하면서 외형 확장에 성공했다.팬데믹이 끝난 뒤 2021년 실적이 부진했으나 이후 반등에 성공했다. 작년 3분기까지 별도 기준 매출 3369억원, 영업이익 928억원을 올렸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28.9%, 영업이익은 81.1% 증가했다.다만 작년 하반기부터 적자를 기록
-
LS家의 자회사 상장 경쟁...LS그룹 계열분리 포석?
LS그룹의 주요 자회사들이 줄줄이 기업공개(IPO)에 나섰다. 지난해 말 LS전선의 자회사 LS머트리얼즈가 상장한 데 이어 올해는 ㈜LS 자회사 LS이링크와 LS MnM(구 니꼬동제련) 등이 상장을 준비 중이다. LS그룹 계열사의 줄상장은 계열분리를 염두에 둔 작업이라는 평가가 많다.2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LS MnM은 내부적으로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검토 중이다. LS MnM은 2022년 JKL파트너스를 대상으로 교환사채(EB)를 발행하면서 2027년까지 IPO에 나선다는 계약을 맺었다.하지만 최근 증시에 IPO 열풍이 불면서 LS MnM 상장을 서둘러야 한다는 공감대가 그룹 내부에 퍼지고 있다. LS머트리얼즈가 상장한 데 이어 올해 LS이링크는 IPO 주관사를 선정하는 등 증시 입성을 서두르고 있다. 이밖에 LS전선과 미국 전선회사 슈페리어에식스, LS엠트론 등 다른 LS그룹 계열사도 IPO 후보군으로 꼽힌다. 증권업계 전문가들은 LS그룹의 자회사를 줄줄이 상장하는 배경으로 계열분리를 꼽는다.LS는 사촌경영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구태회(셋째), 구평회(넷째), 구두회(다섯째) 등 삼형제의 자녀들이 각각 회사를 맡아 경영하고 있다. 2대까지는 세 형제의 장남이 9년씩 번갈아 가면서 LS그룹의 회장직을 맡았다. 현재는 고 구두회 예스코 명예회장의 장남 구자은 회장(사진)이 3대 회장직을 맡아 경영하고 있다.구 회장이 임기를 마치면서 LS그룹 2세대 경영은 막을 내린다. LS그룹 내부에서도 구 회장이 회장직에서 물러나는 오는 2030년에 맞춰 계열분리가 이뤄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LS그룹은 LG그룹에서 LIG, LX, LF, 아워홈 등 함께 계열 분리된 전례가 있다. 계열분리는 자회사를 상장한 뒤 사촌 간 지분스왑이나 매각 등
-
사상 최대 펀드 조성한 유럽 대표 PEF "IPO 시장 부활 조짐"
유럽 최대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EQT가 창립 이래 최대 규모의 바이아웃 펀드를 조성했다. 주요국 금리 인하 기대감이 확산하면서 기업공개(IPO) 시장이 부활하고 있다는 징조라는 분석이 나온다.EQT는 27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내고 자사의 10차 플래그십(대표) 펀드 EQT X의 약정 금액이 220억유로(약 32조원)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초기 목표액 200억유로를 넘어서는 결과로, 조달액은 1994년 창립 이래 최대 규모다. 2021년 4월 마감된 9차 펀드 조성액(156억유로)과 비교하면 40% 많은 수준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사모 시장 데이터 추적 회사인 프레킨은 유럽 전체 PEF 중 역대 세 번째로 큰 규모라고 추정했다. EQT가 이런 성과를 내는 데는 2년 넘는 시간이 걸렸다. EQT가 2022년 초 펀드 결성에 착수한 뒤부터 각국 중앙은행이 긴축 사이클을 밟기 시작하면서 신규 펀드에 대한 투자 심리가 대폭 악화한 탓이다.대형 기관투자자들이 투자를 꺼리자 EQT는 개인투자자들을 공략했다. 전체 투자금의 10%가 부유한 개인들에게서 나왔다. 수잔 도노회 최고사업책임자(CCO)는 “지난 18개월 또는 그보다 긴 시간 동안 자금 조달 환경이 열악해졌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EQT는 탄탄한 스토리와 장기 투자 성과, 훌륭한 유동성 공급자(LP)들에 의해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기관 중에서도 미 최대 연기금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CalPERS), 뉴욕시 교사퇴직기금 등이 펀드 조성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미국 중앙은행(Fed) 등이 연내 금리 인하 시그널을 보내면서 투자 환경은 한층 개선되고 있는 모양새다. EQT의 PEF 부문 책임자인 페르 프랑젠은 펀드 클로징 전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뷰에
-
中 패스트패션 쉬인, 뉴욕 대신 런던 IPO 추진
초저가 패스트 패션 업체 쉬인이 뉴욕 대신 런던에서 IPO할 계획이다. 중국-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2023년 11월에 뉴욕 증시에 IPO를 신청했지만 미국내 인권 관련 조사 등 조사가 강화되면서 이를 피하기 위해 런던에서 기업 공개하는 것을 고려중이다. 지난 2월 공화당 상원의원 마르코 루비오는 쉬인이 IPO를 신청하면서 불충분한 정보를 제출했다고 비난하면서 회사가 정보공개를 강화하지 않을 경우 미국내 자금 조달을 허가하지 말도록 SEC에 촉구했다. 미국 하원의 초당파 의원 22명으로 구성된 그룹은 쉬인이 신장 자치구에서 강제 노동과 저임금 노동을 이용하고 있다는 주장을 SEC가 조사할 것을 촉구하는 서한을 제출하기도 했다. 최근 일부 기업들이 떠나면서 어려움을 겪어온 런던 증권거래소에 쉬인이 상장할 경우 활력을 불어 넣을 것으로 예상된다. 초저가 의류 판매로 가장 잘 알려진 쉬인은 800억~900억 달러(106조~120조원)의 가치 평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런던 증시에 상장할 경우 사상 최대 규모의 IPO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달 초, 이전 FTSE-100 회사인 독일 여행사 투이사는 유동성을 높이고 소유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해 런던 상장을 포기하고 프랑크푸르트로 옮겼다. 작년 8월에는 런던에서 IPO할 것으로 예상됐던 영국 거대 기술기업 ARM 홀딩스(ARM) 가 런던 대신 나스닥에서 IPO를 한 것도 영국 증시에 타격이 됐다. 아일랜드 최고의 두 회사인 건축자재 판매업체인 CRH와 골판지 포장업체 스머핏카파도 런던 증시를 벗어나 뉴욕 증권거래소로 옮겼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
케이엔알시스템 IPO 청약에 증거금 8조원 몰려...경쟁률 2267대 1
글로벌 유압 로봇시스템 전문 기업 케이엔알시스템이 일반 청약에서 8조원이 넘는 뭉칫돈을 모았다.케이엔알시스템이 26일~27일 이틀 동안 일반투자자 대상으로 공모주 청약을 받은 결과, 경쟁률은 2266.7대 1로 집계됐다.공동 대표 주관사인 NH투자증권에 약 32만건, DB금융투자에 약 13만6000건 등 총 45만6000건의 주문이 들어왔다. 청약자는 균등배정 주식으로 추첨에 따라 0~1주를 받게 된다. 청약 증거금은 약 8조480억원이 모였다.케이엔알시스템은 앞선 수요예측에서 경쟁률 873.2대 1을 기록한 바 있다. 최종 공모가는 공모 희망 범위(9000~1만1000원) 상단을 초과한 1만3500원으로 확정했다. 공모가 기준 공모 금액은 284억원, 예상 시가총액은 1467억원이다.이 회사는 유압을 동력원으로 하는 다양한 로봇 기술을 개발해온 기업이다. 2000년 기계·로봇 공학 박사 세 명이 창업했다. 유압 로봇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을 실제와 동일한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테스트하는 시험 장비 사업과 이를 활용해 전문적인 시험 평가를 진행해 데이터를 납품하는 사업도 하고 있다.주관사 관계자는 “케이엔알시스템의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고 많은 투자자가 적극적으로 청약에 참여했다”며 “성공적인 수요예측에 이어 일반청약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이며 다시 한번 케이엔알시스템의 경쟁력을 증명했다”고 말했다.이번 상장으로 조달하는 자금은 본사 생산능력 보완, 유압 로봇 기술 고도화, 글로벌 프로젝트 운영자금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유압 로봇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겠다는 목표다.김명한 케이엔알시스템 대표는 “수요예측에 이어 공모 청약에서도
-
IPO 광풍에 공모시장 망가지는데...증권사들 '돈방석'
공모주 열기가 지속되면서 증권사들이 짭짤한 인수수수료 수입을 올리고 있다. 수요예측 흥행으로 공모가를 높이면서 인수금액이 늘어난 데다 성과 보수를 추가로 받으면서 인수수수료 총액이 불어났다.다만 IPO(기업공개) 기업이 공모가를 과도하게 높이려는 걸 자제시켜야 하는 주관사가 수수료 욕심에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단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IPO 기업 11곳, 인수수수료로 133억원 지급2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올해 IPO 수요예측 마무리한 11곳(스팩 제외)의 주관을 맡은 증권사들의 인수수수료 수입은 약 133억원으로 집계됐다. 최초 증권신고서 제출 당시 기재한 공모가 하단 기준 예상 인수수수료(72억원)와 비교해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모든 기업이 IPO 수요예측에서 줄줄이 흥행해 공모가를 희망 범위 상단보다 높게 결정한 결과다. 공모가 상향으로 전체 공모 금액이 늘어난 데다 그에 대한 공로로 공모 금액에 0.5~1% 수준에 해당하는 성과 보수를 추가로 받았다.IPO 기업이 증권사에 지급한 수수료 규모를 살펴보면 에이피알은 애초 예상한 16억원(공모가 밴드 하단 기준)에서 34억원으로, 현대힘스는 6억5000만원에서 22억원으로 금액이 커졌다. 이 밖에 이닉스 16억원, 케이엔알시스템 13억원 등이었다. 증권사 입장에선 다수의 증권사가 수수료를 나눠 갖는 대형 공모주보다 중소형 공모주가 알짜 수익원이 됐다.작년 공모 금액 4212억원 규모의 두산로보틱스 대표 주관을 맡은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은 각각 12억6360만원을 인수수수료로 받았다. 전체 인수수수료는 46억8000만원이었지만, 대표 주관사 외에 공동주관사 및 인수회사 등 총 9곳이 거래에 참여해 수수료를 나
-
작년 IPO '대어' 없었다…첫날 평균 종가 수익률 '72%'
작년 기업공개(IPO) 종목은 상장일 종가 수익률이 평균 72%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IPO 건수는 82건으로 전년대비 17.1% 늘었다. '대어'가 없는 채 중소형 IPO가 주를 이룬 까닭에 공모금액은 전년대비 78.8% 줄었다. 작년 IPO 82건…중소형 위주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IPO 기업은 82개사로 2022년(70개사) 대비 17.1% 늘었다. 100억~500억원 규모 중소형 기업이 62개사로 전체의 75.6%를 차지했다. 1000억∼1조원 규모 대형 IPO는 4개사에 그쳤다, 1조원 이상 '초대형' IPO는 없었다.공모금액은 2022년 15조6000억원에서 지난해 3조3000억원으로 78.8% 줄었다. 2022년엔 LG에너지솔루션이 12조7000억원 규모로 IPO를 한 영향이다. LG에너지솔루션을 제외하면 작년 공모금액은 전년대비 1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지난해 수요예측 참여기관 수는 1507개사로 전년(976개사) 대비 54.4% 늘었다. 같은 기간 수요예측 경쟁률도 836대 1에서 925대 1로 10.6% 높아졌다. 수요예측 시 희망범위 상단을 초과해 공모가가 확정된 비중은 74.4%로 전년(54.2%)보다 20.2%포인트 높아졌다. 기관투자자 배정물량 중 의무보유 확약 비율은 22.7%에서 26.4%로 3.7%포인트 늘었다. 지난해 기관투자자 배정은 운용사(펀드) 56.8%, 외국인 11.1%, 기타 20.6%, 연기금·은행 7.8% 등으로 집계됐다.청약 경쟁률은 934대 1로 전년(775대 1) 대비 20.7% 상승했다. 작년 평균 IPO 첫날 종가 수익률 72%공모가 대비 상장일 시초가 수익률은 전년 30%에서 지난해 82%로 52%포인트 올랐다. 종가 수익률은 28%에서 72%로 각각 52%포인트, 44%포인트 올랐다.지난해 상장일에 공모가격을 밑돈 기업은 13개사로 전체의 16%였다. 상장 후 연말을 기준으로 공모가 이하에 거
-
연대 휴학하고 사업 도전…'8000억 주식부자' 등극한 30대 창업가
김병훈 에이피알 대표(35·사진)가 상장 첫날 1조원 주식 부자 리스트에 이름을 올랐다. 30대 주식 부자 순위에서는 1위를 차지했다. 40대를 포함해도 구광모 LG 회장(2조5800억원)과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 대표(1조4500억원) 다음으로 보유주식 지분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에이피알은 상장 첫날 개장 직후 공모가(25만원) 대비 87%까지 오른 46만7500원까지 치솟았다가 31만7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 대표는 에이피알 지분 248만4854주(32.77%)를 가지고 있는 최대주주다. 김 대표의 지분 가치 평가액은 한때 1조원대까지 올랐다가 7889억원에 거래를 마쳤다. 에이피알은 연세대 경영학과를 휴학한 김 대표와 이주광 전 대표(36) 창업한 패션·뷰티기업이다. 2014년 중국에서 한국 화장품 붐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대학을 휴학한 뒤 사업에 집중했다. APR(Advanced People’s Real life)이란 사명에는 소비자에게 더 나은 삶을 위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뜻을 담았다.김 대표는 과거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창업 히스토리를 말했다. 김 대표는 연세대 경영에 입학해 미국으로 교환학생을 다녀온 이후 창업 길로 나섰다. 김 대표는 “경영학과라고 해서 창업하는 곳인 줄 알고 입학했더니 회계와 재무만 배워서 그만뒀다”고 말했다.데이팅앱을 출시하면서 처음 사업에 뛰어들었으나 큰 성공 거두지 못했다. 중국에서 한국 화장품 붐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화장품 브랜드 에이프릴을 시작했다. 저자극 스킨케어 화장품을 내놓으면서 시장의 관심을 사로잡았다.2020년 코로나19 확산 거치면서 중국의 한국 화장품 수요가 많이 감소했으나 에이피알은 이런 타격에서 벗어
-
금감원, IPO 기업가치 산출 내부기준 도입 논의…파두 사태 막을까
금융당국이 기업공개(IPO)에 나서는 기업들의 몸값을 산출하는 내부 기준을 도입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지난해 고평가 논란을 빚은 파두 사태 이후 기업가치 '뻥튀기'를 막기 위해서다. 하지만 기업가치를 평가하기 어려운 첨단기업들이 늘어나는 만큼 단일한 '내부 기준'을 마련하는 데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있다. 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증권사, 자산운용사, 학계, 유관 기관투자가를 비롯한 주요 이해관계자와 만나 IPO 주관업무 혁신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진행했다. 1월 첫 만남을 가진 데 이은 두 번째 모임이다. 추가 회의를 거쳐 최종안을 오는 3~4월에 내놓는다. TF는 파두 상장 직후 불거진 IPO 주관에 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출범했다. 재무 공시를 강화하는 방안과 IPO 수수료 체제를 개편하는 내용 등을 논의했다. 여기에 기업가치 산정 방식에 대한 내부 기준을 만드는 방안도 논의됐다.주관사별로 내부적으로 IPO 기업의 기업가치를 산정하는 기준을 만들어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내부 통제를 강화하겠단 취지다. 내부 기준과 다른 방식으로 기업가치를 산정할 때는 내부 별도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하며 해당 내용을 증권신고서에 기재하는 방식이다.하지만 IB 업계에서는 해당 방안의 실효성에 의문을 품고 있다. IPO를 원하는 기업의 업종이 점차 다양해지고 성장 단계가 각기 다른 기업들이 증시 입성을 두드리는 상황에서 단일 기준은 구시대적이라는 비판이 나온다.현재 IPO 기업의 기업가치 산정 지표로는 주가수익비율(PER), 주가매출비율(PSR), 매출 대비 기업가치(EV/매출) 등을 주로 쓴다. 다른 기업가치 산정 방식을 선택할 때는 금융당국
-
케이뱅크, 상장주관사로 NH투자증권·KB증권·BofA 선정
국내 1호 인터넷은행 케이뱅크가 기업공개(IPO) 추진을 위해 상장주관사를 선정하고 본격적인 상장 작업에 다시 착수했다. 케이뱅크는 NH투자증권과 KB증권,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를 상장주관사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케이뱅크는 지난달 18일 이사회에서 IPO를 의결하고 연내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을 목표로 기업공개 절차에 돌입했다. 지난달 주요 증권사들에 입찰제안서(RFP)를 발송하고, 각 증권사의 제안을 거쳐 주관사를 선정했다. 이번에 상장대표주관사로 선정된 3개 증권사는 케이뱅크와 인터넷은행 업종에 대한 높은 이해, 대형 IPO 주관 경험 등을 높게 평가받았다. NH투자증권은 다수의 대형 IPO 대표주관 경험이 있고, 지난 2022년 케이뱅크 상장대표주관사를 맡아 케이뱅크 사업 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KB증권은 국내 금융업 전반에 대한 이해가 풍부하고, 그간 IPO 주관 경험을 통해 인터넷은행 업종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는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5대 글로벌 투자은행(IB) 중 한 곳인 BofA는 각국 국부펀드와 연기금 등 글로벌 핵심 투자자들에 대한 차별적 네트워크와 세일즈 역량을 갖췄다. 지난 2021년 7월 케이뱅크가 인터넷은행 역대 최대인 1조2500억원의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할 때 주관사를 맡아 성공적으로 증자를 마친 바 있다. 케이뱅크는 이들 3개사와 최종 주관계약을 체결하고 기업 실사를 거쳐 상반기 안에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할 계획이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인터넷은행에 대한 이해도풍부한 관련경험 등을 기준으로 상장주관사를 선정했다”며 가 “고객과 이해관계자 모두 함께 성장하는 기
-
'AI 반도체 설계' 퓨리오사AI, IPO 주관사 선정 작업 착수
인공지능(AI) 반도체 설계(팹리스) 회사인 퓨리오사AI가 본격적인 상장 작업에 착수했다.2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퓨리오사AI는 전날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대신증권 등 국내 주요 증권사 7곳에 상장 주관사 선정을 위한 입찰 제안요청서(RFP)를 보냈다.3월 중순 입찰제안서를 받아 같은 달 말에 주관사 선정 작업을 마무리할 예정이다.이 회사는 2017년 AMD, 인텔, 삼성전자 출신의 백준호 대표가 설립한 AI반도체 팹리스 스타트업이다. 백 대표를 중심으로 삼성전자, 퀄컴, AMD 출신 반도체 전문가와 KAIST 박사 등 20여 명이 구성원으로 합류했다.AI 반도체는 AI가 수많은 데이터를 학습하는 연산 과정을 초고속, 초전력으로 실행하는 특화된 비메모리 반도체다. AI의 핵심 두뇌에 해당한다.퓨리오사AI는 지난해 1세대 AI 반도체 ‘워보이’ 양산에 성공해 주요 고객사에 납품을 시작했다. 올해 2세대 AI 반도체인 ‘레니게이드’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퓨리오사AI는 작년 8월부터 시리즈C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당초 기업가치 1조원을 목표로 1500억원을 모집하려 했으나 절반 수준의 투자금만 확보하며 유니콘 대열에 합류하는 데에는 실패했다. 올해 상반기 내에 추가로 투자금을 유치하겠단 계획이다. 현재까지 누적 투자금은 약 1600억원이다.IB 업계에선 퓨리오사AI의 상장 시 기업가치가 3조원 안팎으로 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팹리스 스타트업은 최근 수년간 유망 투자처로 주목받은 대표적 업종이다. 작년 팹리스 기업 파두가 코스닥 시장에 1조5000억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으며 상장한 뒤 유망 기업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졌다.팹리스 중에서도 AI 반도체
-
현대차 인도법인, 연내 상장 채비...주관사 씨티·JP·HSBC 선정
현대자동차가 인도법인(HMIL)의 인도 증시 기업공개(IPO)를 위한 주관사를 선정했다. 이르면 연내 인도 증시에 상장 작업을 마무리하겠단 계획이다.2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는 인도법인의 인도 증시 상장을 위한 주관사로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 JP모간, HSBC 등 3곳을 상장 주관사로 선정했다.당초 유력한 후보로 여겨지던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 JP모간에 이어 HSBC가 추가됐다.2월 초 복수의 외국계 증권사를 대상으로 인도 증시 상장 자문을 위한 프레젠테이션을 가진 지 약 보름만이다.그룹 차원에서 인도법인을 연내 인도 증시에 상장하겠단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인도 IPO 시장이 호조세를 보인 만큼 적기를 놓치지 않겠단 것이다.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해 인도의 IPO를 비롯한 주식 발행 시장에서 조달된 자금 규모는 약 270억달러(약 36조원)에 달했다. 30년 만에 처음으로 홍콩을 넘어서 세계 4위 시장이 됐다.해당 법인은 현대차가 지난 1996년 설립한 곳이다. 인도 첸나이에 현대차 제1·2공장이 있으며 아난타푸르에는 기아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현대차와 기아는 인도에서 지난 25년간 인도에서 약 900만대를 판매했다.인도 법인의 목표 기업가치는 250억~300억 달러(약 33조3400억∼40조 원)로 추산됐다. 공모 규모는 최소 30억 달러(약 4조 원)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계획대로 이뤄지면 인도 증시 역대 최대 규모의 공모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IPO로 확보하는 자금은 인도 시장 공략에 사용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현대차는 인도에 향후 10년간 5조원이 넘는 금액을 투자하기로 했다.최석철 기자 dols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