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아모센스, "차세대 전장 및 IoT 토털 솔루션으로 미래 산업 주도"

    아모센스, "차세대 전장 및 IoT 토털 솔루션으로 미래 산업 주도"

    ≪이 기사는 06월07일(13:1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코스닥 상장에 나선 아모센스가 7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상장 이후 사업 전략과 비전을 발표했다.이날 행사에서 김인응 아모센스 대표는 “무선충전 차폐 시트 등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향후 차세대 전장 분야와 각종 사물인터넷(IoT) 솔루션 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라며 “첨단 소재 기반의 신사업 발굴을 목적으로 연구개발에 투자해 4차산업 시대에 필요한 모듈과 기기 분야의 글로벌 리더가 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아모센스는 차세대 전장 및 사물인터넷(IoT) 토털 솔루션 전문 기업이다. 글로벌 최초로 무선충전 차폐 시트를 개발했다. 원천 기술 및 무선주파수(RF) 설계 기술을 포함한 소재 분야부터 차세대 전장 및 IoT까지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특히 자율주행과 친환경 자동차에 필요한 핵심 모듈 및 정밀센서, 초광대역(UWB, Ultra-wideband)과 RF 기술 기반의 센서와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을 추진하는 아모센스는 최근 3개년 매출액의 20% 이상을 첨단 소재 기술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또한 지난 3월 말 기준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등록은 총 1116건으로 특허 경영을 통한 기술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다. 사내 연구인력도 111명으로 전체의 38%에 이른다.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오는 2023년에는 매출액 2448억원과 299억원의 영업이익을 전망하고 있다.RF 및 소재 부문은 아모센스의 원천 기술이다. 초박형 자성나노 차폐 시트 기술과 무선충전 모듈 설계 기술은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했다. 특히 자성나노 차폐 시트

  • 바이오기업 파멥신, 유·무상증자 동시 추진

    바이오기업 파멥신, 유·무상증자 동시 추진

    코스닥 바이오기업 파멥신이 590억원 규모 유상증자에 나선다. 기존 주주를 대상으로 공짜 신주를 발행하는 무상증자도 동시에 진행한다.파멥신은 지난 4일 이사회를 열고 주주 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59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하기로 결정했다. 오는 8월17일 신주 630만주를 발행할 예정이다. 신주 발행 예정가격은 한 주당 9370원으로 지난 4일 종가(1만3500원)보다 30.5% 낮다. 증자로 마련한 자금은 임상시험과 연구개발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미래에셋증권과 KB증권이 증자 주관을 맡았다.이 회사는 유상증자 직후인 9월 초 주주들을 상대로 무상증자도 실시하기로 했다. 보유 주식 한 주당 신주 0.25주를 발행할 계획이다. 총 513만5757주가 추가로 발행된다. 유상증자로 받은 신주 역시 무상증자 적용대상에 포함된다.파멥신은 2008년 설립된 바이오기업으로 면역항암제 등을 개발하고 있다. 2018년 기술성장기업으로 인정받아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지난 1분기 매출 5000만원, 영업손실 81억원을 기록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코스닥 이전상장’ 라온테크, 수요예측 경쟁률 1526대1

    ‘코스닥 이전상장’ 라온테크, 수요예측 경쟁률 1526대1

    코스닥 이전상장을 진행 중인 라온테크가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진행한 수요예측에서 1500 대 1이 넘는 경쟁률을 기록했다. 라온테크는 지난 5월31일부터 6월1일까지 진행한 기관 대상 수요예측 결과 1526.2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 1444곳 중 94.5%가 공모가격 희망범위(1만2800~1만5800원) 최상단을 초과한 가격으로 매수주문을 넣었다. 이 같은 결과를 반영해 라온테크는 공모가격을 1만8000원으로 확정했다.라온테크는 2000년 설립된 로봇 자동화시스템 전문기업이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패널, 의약품 제조공장 등에서 제품과 부품 등을 옮기는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이 회사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으로부터 ‘진공환경에서 웨이퍼를 이송하는 로봇과 모듈 제조’ 기술에 대해 A등급을 받으며 기술특례 상장요건을 충족시켰다. 지난해 매출 105억원, 영업이익 17억원을 기록했다. 흥행 속에 기관 수요예측을 마친 라온테크는 오는 7~8일 일반 투자자들을 상대로 청약을 진행한다. 상장 예정일은 오는 17일이다. KB증권이 상장 주관을 맡고 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포레스트파트너스, 제주맥주 투자금 일부 회수

    포레스트파트너스, 제주맥주 투자금 일부 회수

    포레스트파트너스가 코스닥 기업공개(IPO)에 성공한 제주맥주 투자금 일부 엑시트(회수)에 나섰다. 이미 투자 원금 넘는 금액을 현금화했다.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포레스트파트너스는 제주맥주 상장 첫날 지분 112만주를 주당 4876원에 장내매도했다. 이에따라 약 55억원을 확보하게 됐다. 포레스트파트너스의 제주맥주 지분율은 3.71%로 낮아졌다. 남은 지분을 비슷한 단가로 모두 처분한다면 최종적으로 156억원가량을 회수할 수 있다.포레스트파트너스는 상장 후 보호예수를 확약하지 않은 물량을 모두 처분하면서 본격적인 엑시트에 시동을 걸었다는 평가다. 나머지 보유 지분 208만주 중 112만주에는 1개월, 96만주에는 3개월 보호예수를 확약했다. 앞서 2016년 '에프피파인트리1호'라는 블라인드펀드를 통해 제주맥주에 40억원을 투자했다. 엑시트가 순조롭게 마무리된다면 투자 5년 만에 4배가량의 수익을 거두게 되는 셈이다.수제맥주 업계 최초 상장에 성공한 제주맥주는 일반 공모청약에서 1748 대 1의 경쟁률을 거두며 흥행했다. 공모가는 3200원이었다. 상장 첫날 49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 코스닥 상장 앞둔 엘비루셈, 기관 투자자 수요예측 1419대 1

    코스닥 상장 앞둔 엘비루셈, 기관 투자자 수요예측 1419대 1

    글로벌 반도체 패키징 전문 기업인 엘비루셈이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요예측에서 141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공모가는 희망공모가 밴드 최상단인 1만4000원으로 확정됐다. 31일 엘비루셈은 지난 26일과 27일 양일간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 수요예측에서 총 1596개 기관이 참여했다고 공시했다. 기관 투자자들은 전체 공모 물량 600만주 중 75%인 450만주를 가져가게 됐다. 수요예측 참여 기관 중 99.81%(미제시 2.13% 포함)가 희망공모가 밴드(1만2000원~1만4000원) 상단 이상으로 공모가를 적어냈다. 엘비루셈 측은 시장상황 등을 고려해 공모가를 1만4000원으로 결정했다. 공모가를 기준으로 한 공모 총액은 840억원, 시가총액은 3444억원이다. 기관투자자들 중 의무보유 확약을 신청한 비중은 4.13%(66건)다.  신현창 엘비루셈 대표는 “많은 기관들이 당사의 비전에 공감해 주시고 수요예측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신 데 대해 감사드린다”며 "상장 이후에도 시장의 긍정적인 변화와 성장 속에서 엘비루셈의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늘려갈 것"이라고 밝혔다.엘비루셈은 6월 2~3일 남은 물량인 150만주에 대해 일반 투자자 대상 청약을 받는다. 대표주관사인 한국투자증권이 105만주, 공동 주관사인 KB증권이 45만주에 대해 청약을 진행한다. 6월 11일 상장할 예정이다.엘비루셈은 지난 2004년 설립된 디스플레이 구동 반도체 및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 후공정 패키징 전문 기업이다. 방열, 2Metal과 같은 다양한 COF 공정 솔루션 및 패키징 일괄 서비스 구축, 전력반도체 용도의 차별화된 씬(Thin) 웨이퍼 가공 솔루션 등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기술력을

  • 지아이이노베이션, 올해만 1300억원 투자유치…상장 앞두고 몸값 '점프'

    지아이이노베이션, 올해만 1300억원 투자유치…상장 앞두고 몸값 '점프'

    바이오업체 지아이이노베이션이 연이은 투자 유치를 통해 몸값을 높이고 있다. SK㈜와 유한양행, 아이마켓코리아, 제넥신 등으로부터 1300억원을 조달하는 과정에서 6000억원 이상의 기업가치를 인정 받았다. 준비가 한창인 기업공개(IPO)에도 청신호가 켜졌다는 평가다.지아이이노베이션은 지난 28일 이사회를 열고 아주IB투자 등을 상대로 한 855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다음달 11일 한 주당 3만6200원에 보통주 236만3256주를 새로 발행하기로 했다. 해당 신주는 발행 후 1년간 보호예수된다. 이 회사는 이번 증자로 확보한 자금은 연구개발 등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이다.지난 26일 SK㈜와 제넥신으로부터 148억원을 투자받는다는 내용을 발표한 지 이틀 만에 추가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앞서 유한양행(3월 100억원)과 아이마켓코리아(4월 200억원)를 상대로 한 유상증자까지 합하면 올 들어 조달한 자금만 1303억원에 달한다. 투자 유치과정에서 몸값도 올라갔다. 다음달 발행하는 신주 가격으로 추산한 지아이이노베이션 지분 100%의 가치는 약 6760억원이다. 5531억원으로 인정받았던 직전 투자 유치 때보다 1200억원 이상 높은 수준이다.지아이이노베이션은 2017년 설립된 바이오업체로 융합단백질을 활용한 신약 개발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면역항암제와 비알콜성지방간염 치료물질 등을 개발하고 있다. 이 회사는 2019년 중국 10대 혁신신약 기업인 ‘심시어’와 주력 파이프라인인 면역항암제 ‘GI-101’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맺었다. 신약 개발에 성공하면 최대 9000억원을 받게 된다. 올 들어선 한국 식약처로부터 GI-101에 대한 1·2상 임상시험 계획을 허가 받았다. 아직 심사 중인 미국 식품

  • 씨케이앤비, 스팩 합병 통해 코스닥 상장

    씨케이앤비, 스팩 합병 통해 코스닥 상장

    소프트웨어업체 씨케이앤비가 스팩(SPAC·기업인수목적회사)과 합병해 코스닥시장에 상장한다.NH스팩13호는 지난 27일 이사회를 열고 씨케이앤비와 합병하기로 결정했다. 오는 10월 합병을 완료할 계획이다. 스팩과 합병한 씨케이앤비는 11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기로 했다.씨케이앤비는 2007년 설립된 소프트웨어업체로 제품의 위·변조 방지, 정품 인증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애경산업 등 800여개 기업을 고객으로 두고 있다. 지난해 매출 60억원, 영업이익 11억원을 기록했다.씨케이앤비는 올 들어 9번째로 스팩과 합병을 추진하는 기업이다. 지난해(22곳)에 이어 비상장사가 꾸준히 스팩과의 합병을 통한 우회상장에 나서고 있다는 평가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AR기업 최초 상장하는 맥스트, 7월 증시 입성

    AR기업 최초 상장하는 맥스트, 7월 증시 입성

    증강현실(AR) 전문기업 맥스트가 오는 7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다. 국내 AR 기업 중 처음으로 국내 증시에 발을 들일 전망이다. 맥스트는 27일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상장 절차에 돌입했다. 희망 공모가 범위는 1만3000~1만6000원이다. 공모가 최상단 기준 공모 규모는 160억원이다. 이 회사는 6월21~21일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을 실시한 뒤 6월28~29일 일반 청약을 진행해 투자자 모집을 완료할 계획이다. 상장 예정시기는 7월 초다. 하나금융투자가 대표 주관을 맡고 있다.맥스트는 2010년 설립된 AR 기업이다. AR 개발 플랫폼을 국내 최초로 상용화하고 세계 50개국 1만2000여 개발사에 배포했다. 지금까지 6000여개 AR 관련 앱이 맥스트의 플랫폼을 통해 출시됐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대기업과도 산업용 AR 솔루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부터는 중소기업용 AR 솔루션인 ‘맥스워크(MAXWORK)’를 출시해 스마트팩토리 사업에도 힘을 싣고 있다. 지난해 매출 7억4900만원, 영업손실 12억원을 기록했다.이 회사는 기술력을 내세워 상장 이전부터 국내 여러 기업과 기관으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엘앤에스 신성장동력 글로벌스타 투자조합(지분율 10.19%)과 디에스자산운용(7.84%), 만도(6.54%), 하나금융투자(6.54%), 현대차(5.13%) 등을 주주로 두고 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반도체용 배관부품업체 아스플로, 코스닥 상장 나선다

    반도체용 배관부품업체 아스플로, 코스닥 상장 나선다

    반도체용 배관부품 제조업체인 아스플로가 코스닥시장 상장에 나선다.2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아스플로는 최근 한국거래소에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공모주식 수는 63만주다. 심사과정에서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올해 하반기 증시에 입성할 전망이다. 미래에셋증권이 상장 주관을 맡았다.아스플로는 2001년 설립된 반도체용 배관부품 제조업체로 클린 필터링과 파이프, 튜브 등을 생산해 판매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 447억원, 영업이익 4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각각 10.3%, 50.2% 증가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SK·제넥신, 상장 앞둔 자아이이노베이션에 투자

    SK·제넥신, 상장 앞둔 자아이이노베이션에 투자

    SK㈜와 제넥신이 바이오기업 상장 준비가 한창인 지아이이노베이션에 100억원 이상을 투자한다. 기업공개(IPO) 과정에서 투자자 모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지아이이노베이션은 26일 SK㈜와 제넥신을 상대로 신주 44만8485주를 발행하는 제3자 배정 방식의 유상증자를 한다고 공시했다. SK㈜가 98억원을 투입해 29만6970주, 제넥신이 50억원을 들여 15만1515주를 사들이기로 했다. 증자 예정일은 다음달 9일이다. 이 회사는 이번 증자로 확보한 자금을 연구개발 등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방침이다.지아이이노베이션은 투자 유치과정에서 몸값을 5000억원 이상으로 인정받았다. 이번에 발행한 신주 가격은 주당 3만3000원으로, 이 가격을 기준으로 추산한 지아이이노베이션 지분 100%의 가치는 5531억원에 달한다. 상장을 앞둔 시점에서 기업가치를 높이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다. 이 회사는 최근 기술성평가를 통과하고 올 하반기를 목표로 코스닥시장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NH투자증권과 하나금융투자가 상장 주관을 맡고 있다.지아이이노베이션은 2017년 설립된 바이오업체로 융합단백질을 활용한 신약 개발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유한양행과 산업은행 등을 재무적 투자자로 두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해 영업손실 78억원을 기록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정수기 필터업체 피코그램, 코스닥 상장 나선다

    정수기 필터업체 피코그램, 코스닥 상장 나선다

    정수기 필터 제조업체인 피코그램이 코스닥시장 상장에 나선다.2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피코그램은 25일 한국거래소에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공모주식 수는 75만주다. 심사과정에서 특별한 결격 사유가 발생하지 않으면 올 하반기 증시에 입성할 전망이다. IBK투자증권이 상장 주관을 맡았다.피코그램은 2002년 설립된 필터업체로 정수기와 비데에 쓰이는 필터를 생산하고 있다. 인천 부평구에 본사를 두고 있다. 최석림 대표가 최대주주로 지분 69.9%를 보유하고 있다. IBK기업은행이 재무적 투자자로 상환전환우선주(RCPS) 4.76%를 들고 있다. 지난해 매출 242억원, 영업이익 29억원을 기록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애스톤사이언스, 코스닥 상장 추진

    애스톤사이언스, 코스닥 상장 추진

    의약품 개발사 애스톤사이언스가 상장에 나선다.애스톤사이언스는 17일 기업공개(IPO) 주관사로 NH투자증권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조만간 기술성 평가를 받는 것을 시작으로 코스닥시장 상장 준비에 돌입할 계획이다.  애스톤사이언스는 2018년 글로벌 제약사 출신 전문가들이 모여 설립한 회사다. 현재 임상단계의 암 치료 백신 2개를 확보했다. 이 회사는 2030년까지 4개 임상 분야에서 15개 약물 파이프라인을 거느리겠다는 목표를 세워두고 있다. 애스톤사이언스는 상장을 통해 조달한 자금을 신약 개발 사업에 투입할 계획이다.정인혁 애스톤사이언스 상무(CFO)는 “애스톤사이언스의 신약 연구와 임상, 사업 개발에 추진력을 얻기 위해 상장을 결심했다”고 말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제주맥주, 공모주 일반청약 경쟁률 1748대1

    제주맥주, 공모주 일반청약 경쟁률 1748대1

    크래프트 맥주 전문 기업 제주맥주가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해 일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청약에 6조원에 가까운 증거금이 쏟아졌다. 경쟁률이 1700 대 1을 넘었을 정도로 투자열기가 뜨거웠다.제주맥주는 지난 13일부터 14일까지 공모주 일반 청약을 진행할 결과 1748.25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테슬라 특혜로 상장한 기업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이다. 이번 청약에만 약 5조8000억원의 증거금이 유입됐다. 테슬라 특례는 적자를 내더라도 성장성이 있다고 평가받는 기업에 상장 자격을 주는 제도다. 제주맥주는 앞서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수요예측에서도 1356.43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흥행에 성공한 덕분에 공모가격을 당초 희망범위(2600~2900원)를 초과하는 수준인 3200원으로 확정했다. 이 회사는 이번 상장을 통해 손에 쥐는 267억원을 양조장 연구개발과 해외 파트너사 발굴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문혁기 제주맥주 대표는 “제주맥주의 혁신성과 성장성, 맥주시장에 대한 긍정적 전망 등이 투자자들러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며 “코스닥 상장 이후 연구개발 관련 투자를 더 늘려 고품질 제품을 생산하고, 글로벌 유통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해외시장을 공략할 것”이라고 말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강준모 에이디엠코리아 대표 "코스닥 상장으로 글로벌 CRO 도약"

    강준모 에이디엠코리아 대표 "코스닥 상장으로 글로벌 CRO 도약"

    임상시험수탁기관(CRO) 에이디엠코리아가 코스닥 시장 상장을 앞두고 14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회사의 성장 가능성과 비전을 밝혔다.강준모 에이디엠코리아 대표(사진)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태국, 베트남 지사를 포함해 아시아 10개국과 미국 등에 진출할 예정"이라며 "적극적인 해외 진출로 상장 후 아시아를 대표하는 CRO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에이디엠코리아는 2003년 설립된 CRO 기업이다. CRO는 신약개발 단계에서 제약사나 바이오업체의 의뢰를 받아 임상시험 진행의 설계와 컨설팅, 모니터링, 데이터 관리, 허가 등의 업무를 대행하고 객관적인 시험 결과를 전달하는 역할을 맡는다.이 회사는 제약회사, 바이오벤처 등에 임상시험 전 영역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신약 투약 자료를 수집하고 환자의 신약 사용경험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보고하는 시판 후 조사 대행사업도 담당하고 있다. 임상CRO 사업 비중은 지난해 회사 전체 매출의 82%다. 지난해 매출은 131억2000만원,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35억3000만 원, 35억6000만원을 기록했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29%, 영업이익은 315%, 당기순이익은 445% 증가했다.총 공모주식수는 450만주(우리사주조합 물량 포함)로 희망공모가격은 2900~3300원이다. 이번 공모를 통해 공모가 하단 기준 약 130억5000만원을 조달한다. 이달 17일~18일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25~26일 일반 청약을 받은 뒤 6월 중 상장할 예정이다. 대표주관사는 하나금융투자다.에이디엠코리아는 지난해까지 연 평균 15건의 임상시험을 수행했으며 총 360건의 임상과제를 진행했다. 허가 임상시험

  • 하나은행, 자이글에 100억원 투자

    하나은행, 자이글에 100억원 투자

    하나은행이 전환사채(CB)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자이글에 100억원을 투자한다. CB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투자자가 발행회사의 신주로 바꿀 수 있는 채권이다.자이글은 14일 하나은행을 상대로 1년 만기 CB 100억원어치를 발행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CB의 금리는 연 2.48%로 결정됐다. 하나은행은 내년 5월14일부터 해당 CB를 주당 7100원에 자이글 신주로 바꿀 수 있다. 전날 종가(4425원)보다 60.4% 높은 수준이다. CB 만기일이 내년 5월16일이기 때문에 전환청구권(콜옵션) 행사가 가능해지면 3일 안에 해당 CB의 주식 전환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앞으로 1년간 주가가 크게 상승해야 콜옵션 행사가 가능할 전망이다.자이글은 2008년 설립된 생활가전 업체로 사명과 같은 적외선 조리기구 ‘자이글’ 등을 제조하고 있다. 자이글이 히트를 치며 성장세를 탄 데 힘입어 2016년 성공적으로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하지만 상장 이후엔 실적이 주춤하고 있다. 이 회사의 지난해 매출은 180억원으로 전년 대비 39.2% 줄었다. 영업이익은 12억원으로 3년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했지만 증시에 입성했던 2016년(131억원)에는 한참 못 미친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