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쓰레기장 출근해 4000억 법니다"…SK그룹 계열사의 '반전'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쓰레기장 출근해 4000억 법니다"…SK그룹 계열사의 '반전'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SK그룹 입사해서 쓰레기장으로 출근할 거라고는 생각 못했겠죠. 우리처럼 전국의 쓰레기장에서 살다시피 하는 기업은 없을 겁니다."(웃음)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 SK지오센트릭(옛 SK종합화학) 나경수 사장(사진)은 지난 1일 서울 종로구 공평동 종로타워에서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를 하면서 요즘 직원들이 고생한다며 멋쩍게 웃었다.이 회사 직원들은 전국의 재활용센터와 쓰레기장을 훑으며 폐플라스틱 조달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나 사장은 "여기서 버려진 폐플라스틱을 가져와 재가공해 새 플라스틱 제품을 만드는 공장을 울산에 구축하고 있다"며 "울산 폐플라스틱 공장을 통해 연간 상각전영업이익(EBITDA)으로 3000억~4000억원을 벌어들일 것"이라고 말했다.SK지오센트릭은 한국 석유화학 업계의 시초다. 1972년 한국 최초로 나프타분해공정(NCC) 시설을 가동했다. 하지만 지난 2020년 이 공장의 가동을 멈추고 분해해 고철로 팔았다. 노후화한 데다 탄소배출이 많은 설비 문을 닫고 사업재편을 추진했다. 올해부터 2025년까지 1조7000억원을 들여 폐플라스틱 25만t(연간 기준)을 새 플라스틱으로 재가공하는 공장을 짓는 중이다. 폐플라스틱 재활용으로 플라스틱을 매립·소각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만큼의 탄소를 감축할 방침이다.그는 "2025년 울산에 건설하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종합단지를 가동하는 시점에 제품 생산량 60~70%를 선판매하는 계약을 맺을 것"이라며 "2025년까지 제품 포장재를 재활용 폐플라스틱으로 전환하려는 로레알 프록터&갬블(P&G) 록시땅 등 글로벌 기업을 잠재고객으로 모실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부 글로벌 업체와 이미 선판매

  • 月 60만원에 '따로 또 같이' 산다…맹그로브, 125억 유치 [김종우의 VC 투자노트]

    月 60만원에 '따로 또 같이' 산다…맹그로브, 125억 유치 [김종우의 VC 투자노트]

    공유주거가 주거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코리빙(Co-living) 시설인 '맹그로브'를 운영하는 스타트업 MGRV는 125억원 규모 시리즈B 브릿지 투자를 유치했다고 1일 밝혔다. TS인베스트먼트, HB인베스트먼트, ES인베스터, 서주벤처스, 시몬느자산운용, 신한자산운용 등이 투자에 참여했다. 누적 투자금은 325억원이 됐다.코리빙은 독립된 개인 주거 공간과 업무, 휴식, 취미생활 등의 공용 공간이 구분된 공유주거 형태다. 침대나 화장실, 책상은 원룸에서 개인이 쓸 수 있게 하고 주방이나 테라스, 업무 공간 같은 시설은 건물 안에 마련된 공용 공간에서 입주민들이 함께 쓸 수 있게 하는 식이다.MGRV는 서울에 2020년 ‘맹그로브 숭인’을 시작으로 ‘맹그로브 신설'과 ‘맹그로브 동대문'을 운영하고 있다. 오는 17일 ‘맹그로브 신촌’ 오픈을 앞두고 있다. 월 70만~100만원 안팎의 1인실이나 1인당 매달 30만~60만원가량을 내고 다인실에 거주할 수 있다. 투자자들은 '주거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는 점에 주목했다. 금리가 오르고 전세 사기 등으로 전세 시장이 위축되면서 월세 비중이 늘어났다. 또 1인가구가 증가하고 재택근무가 '뉴 노멀'이 되면서 개인 공간은 줄더라도 쾌적한 공용 공간을 찾는 수요가 많아졌다는 분석이다. 이미 미국 뉴욕 샌프란시스코나 영국 런던 등 주거비용이 비싼 해외 주요 도시에서는 코리빙이 새로운 주거 방식으로 자리잡았다.김정수 TS인베스트먼트 상무는 "주거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MGRV는 업계를 선점, 브랜드 파워를 확보하고 있다"며 "또 부동산 자산운용사와 공동으로 펀드를 만들어 자금 조달 시스

  • [단독] 법무법인 광장, 2년 연속 국내 로펌 매출 2위 올랐다

    [단독] 법무법인 광장, 2년 연속 국내 로펌 매출 2위 올랐다

    법무법인 광장이 지난해 매출 3700억원을 넘기며 국내 2위 로펌 자리를 지켰다. 매년 불꽃 튀는 순위 다툼을 벌이는 태평양과의 격차가 100억원 미만임을 고려하면 한동안 두 로펌간 치열한 경쟁이 이어질 전망이다.30일 한국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광장은 지난해 매출 3762억원(국세청 부가가치세 신고 기준)을 내며 김앤장(약 1조3000억원‧업계 추정) 뒤를 이어 2위에 올랐다. 2021년(3658억원) 대비 성장률은 2.8%로 업계 예상치를 밑돌았지만 투자은행(IB)업계 한파로 주력인 인수합병(M&A) 자문 실적 등이 주춤한 상황에서 선방했다는 평가다. 태평양의 지난해 매출은 3683억원으로 전년보다 1.6% 증가했다. 광장과의 격차는 79억원에 불과하다. 다만 특허법인과 해외 사무소 실적까지 합친 매출은 3949억원으로 4000억원 돌파를 앞두고 있다. 태평양 관계자는 “신세계그룹의 이베이코리아 인수와 한화솔루션의 RES프랑스 인수, 딜리버리 히어로의 배달의 민족 인수 및 요기요 매각, 싱가포르 케펠캐피탈(Keppel Capital)의 에코매니지먼트코리아 인수 등 대형 크로스보더(국경간 거래)를 잇달아 성사시켰다”며 “국내에서 가장 많은 9개 해외 사무소를 운영하면서 실적을 내고 있기 때문에 해외 매출을 반영하면 광장을 앞선다”고 설명했다.다른 대형 로펌들도 금리 급등과 경기 침체 속에서도 성장세를 이어갔다. 4위 경쟁을 벌이는 율촌과 세종은 나란히 10%대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율촌은 지난해 매출 3040억원을 내며 창사 후 처음으로 연매출 3000억원대에 진입했다. 전년보다 몸집을 13.0% 불렸다. 세종은 전년 대비 11.8% 늘어난 2985억원의 매출을 거뒀다. 해외사무소 실적까지 포함하면 3000억원

  • '성수동 핫플' 만든 스위트스팟, 95억 '러브콜'…ESG에도 돈 몰려 [이번주 VC 투자]

    '성수동 핫플' 만든 스위트스팟, 95억 '러브콜'…ESG에도 돈 몰려 [이번주 VC 투자]

    한경 긱스(Geeks)가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한 주간의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드립니다. 어떤 스타트업에 투자금이 몰렸을까요? 지금 출발합니다.폐기물 운반 업박스, GS도 '찜'…145억원 유치폐기물 수집운반 토털 서비스 '업박스' 운영사 리코가 145억원 시리즈B 브릿지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GS와 인비저닝파트너스가 후속 투자자로, CAC파트너스와 기업은행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누적 투자금은 300억원을 넘어섰다.2020년 출시된 업박스는 음식물, 플라스틱, 폐지 등 23종의 폐기물 수집 운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수도권과 충청 지역에서 서비스 중이다. 아워홈, 삼성웰스토리 등 기업형 급식 시설부터 맥도날드, 서브웨이 같은 프랜차이즈 매장, 식품 공장 등 2000여 개 기업 고객사를 확보했다.'지속 가능한 건축' 에너지엑스에 200억원 몰려ESG·지속가능 건축 플랫폼 에너지엑스가 20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신한캐피탈, 신한자산운용, 웰컴벤처스, VTI파트너스, 어니스트벤처스, 인라이트벤처스 등이 이 회사의 성장성에 베팅했다. 누적 투자금은 315억원이 됐다.에너지엑스는 건축 플랫폼이자 에너지효율화 기술 기업을 표방한다. 건물의 신축, 리모델링을 위해 건축주와 건축사, 건설사를 연결하고 에너지 효율화 기술을 제공해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을 완성한다. 현재까지 기업 사옥부터 상가, 공장, 주택 등 57

  • '1500% vs 0%'…'성과급 오픈'에 희비교차한 직장인들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1500% vs 0%'…'성과급 오픈'에 희비교차한 직장인들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성과급 얼마나 나왔나요. 공개해봅시다."'성과급 시즌'이 도래하면서 직장인들의 호기심이 부쩍 늘었다. 각종 커뮤니티에는 각 업체의 성과급이 공개되면서 논쟁도 불붙고 있다. 기본급 대비 많게는 1500%까지 성과급을 주는 기업도 있다. 하지만 성과급이 아예 나오지 않은 회사도 적잖다. 타사 대비 적거나 기대치를 밑도는 성과급을 놓고 직장인들의 불평과 하소연도 늘었다.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LS그룹 계열사로 국내 대표 액화석유가스(LPG) 유통업체인 E1은 2022년 성과급으로 기본급 대비 1500%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회사 성과급은 지난해 말 지급됐다.이 회사는 지난해 3분기 누적 1948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했다. LPG를 들여와 절반가량을 수출하는 이 회사는 LPG 제품 수출 가격 등이 고공행진하면서 실적이 큰 폭 늘었다. 작년 이 회사 영업이익은 2008년(3319억원) 후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가스업체는 물론 정유업체 성과급도 1000%대 수준에서 형성됐다. GS칼텍스(1000%) 현대오일뱅크(1000%)가 1000%대를 지급할 계획이다. SK이노베이션은 1000% 안팎으로 관측됐다. 1000%는 통상 연봉의 50% 수준이다.삼성전자의 경우도 다음달께 성과급 지급에 나설 예정이다. 이 회사는 메모리 부문이 연봉의 47~50%, 무선 부문은 연봉의  29~33%, 가전 부문은 연봉의 5~7%로 추산된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는 성과급으로 각각 1950만원, 2060만원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석유화학업체들은 이보다 낮을 전망이다. 고부가가치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금호석유화학그룹 계열사인 금호석유화학(400%)과 금호폴리켐(600%)은 400~600%

  • 전 세계 포탄 동나자…풍산 주가 '만발'

    전 세계 포탄 동나자…풍산 주가 '만발'

    비철금속 업체 풍산이 최근 한 달 새 5700억원어치의 포탄 공급계약을 맺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세계 155㎜ 포탄과 전차 포탄 재고량이 뚝 떨어진 영향이다.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풍산은 지난달 20일부터 최근까지 방위사업청(1167억원), 현대로템(2934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1647억원) 등과 총 5748억원어치 공급계약을 맺었다. 이 회사의 한 달 공급 계약액이 2020~2021년 누적분(5494억원)을 웃돌았다.풍산은 5.56㎜ 소총 탄알부터 155㎜ 곡사포탄, 대공포탄, 박격포탄, 전차포탄, 함포탄 등 한국군이 사용하는 모든 탄약을 제조 납품하고 있다. 회사 측은 보안을 이유로 구체적 공급 제품과 수량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업계에서는 대부분의 물량을 155㎜ 포탄으로 파악하고 있다. K9 자주포를 생산하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방위사업청에는 155㎜ 자주포용 포탄, K2흑표 전차를 생산하는 현대로템에는 120㎜ 전차용 포탄을 공급한 것으로 추정된다.공급 계약액이 늘어난 배경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있다. 한국 방산업체들은 지난해 폴란드와 K2 전차, K9자주포 등의 무기 124억달러(약 15조6800억원)어치를 공급하는 수출 계약을 맺었다. 그 덕분에 K2 등에 들어가는 포탄 판매도 덩달아 늘어나고 있다. 풍산 방산 부문의 기업가치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증권가에서는 이 회사의 올해 영업이익이 지난해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2436억원)를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김익환 기자

  • "17층에 사람 있어요" 카카오 개미들, 올해 설도 춥다

    "17층에 사람 있어요" 카카오 개미들, 올해 설도 춥다

    새해 들어 카카오 주가가 비교적 순항하고 있지만 개인 투자자들 표정은 여전히 어둡다. 2021년 6월 장중 17만원을 찍었던 주가가 1년 반 만에 3분의 1 토막 나 6만원대까지 떨어졌기 때문이다. 엎친데덮친격으로 실적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다. 이에 증권가는 카카오의 향후 주가를 놓고 엇갈린 전망을 내놓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카카오의 주가는 올해 들어 5만2700원에서 6만800원(19일 종가 기준)으로 15% 상승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 수익률인 7%를 두 배 넘게 웃도는 수치다. 카카오톡 개편에 따른 톡비즈 성장 재개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조단위 해외투자 유치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하지만 개인 투자자들은 카카오를 내다 팔고 있다. 올해 들어 2000억원 가까이 순매도하고 있다. 지난해 주가가 반토막 나는 상황에서도 2조2000억원 넘게 사들인 것과 대조적이다.향후 전망에 대해선 증권가 견해가 엇갈린다. 하나증권은 카카오 영업이익 증가가 기대된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8만원에서 8만5000원으로 올렸다. 윤예지 하나증권 연구원은 올해 카카오의 예상 매출액을 전년 대비 20% 증가한 8조6000억원, 영업이익은 49% 늘어난 8792억원으로 추정했다.윤 연구원은 "톡비즈와 게임의 견조한 성장, 신사업의 이익 개선으로 큰 폭의 영업이익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며 "광고와 커머스의 성장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목표주가 상향에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기업가치 상승분을 반영했다"며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1조2천억원의 자금 조달로 대규모 인수가 가능해진 만큼 올해 실적의 변수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반면 키움증권은 카카오에 대해 목표주가는 유지하

  • 한의사 70%가 쓰는 커뮤니티, 100억원 '러브콜' [이번주 VC 투자]

    한의사 70%가 쓰는 커뮤니티, 100억원 '러브콜' [이번주 VC 투자]

    한경 긱스(Geeks)가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한 주간의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드립니다. 어떤 스타트업에 투자금이 몰렸을까요? 지금 출발합니다. ‘의사들의 커뮤니티’ 인티그레이션, 100억원 시리즈B 유치한의사와 치과의사 등 의료인 위한 플랫폼 스타트업 인티그레이션이 10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TBT,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에이벤처스, 하나은행, IBX파트너스 등이 투자에 참여했다.2019년 설립된 이 회사는 의료인 커뮤니티뿐만 아니라 △온오프라인 강의 플랫폼 △이커머스 △경영지표관리 SaaS △원외탕전 경영지원(MSO) △치기공소 경영지원(MSO) 등을 제공한다. 특히 이 회사가 내놓은 한의사 커뮤니티는 전국 한의사와 한의대생의 70% 이상이 가입했다는 설명이다.  웹3.0 AC 논스 클래식, 42억원 프리A 마무리웹3.0 액셀러레이터 논스 클래식이 프리 시리즈 A 라운드에서 42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SV인베스트먼트의 주도 하에 KB인베스트먼트 등 총 4곳의 기관 투자자와 개인 투자자들이 참여했다. 논스 클래식은 국내 최대 웹3.0 커뮤니티인 논스에 기반을 둔 웹3.0 액셀러레이터로 초기 웹3.0 기업들에서 다양한 노하우를 쌓은 인재들이 더 나은 웹3.0 스타트업 육성 환경을 마련하고자 머리를 맞대고 시작한 기업이다. 강유빈 논스 클래식 대표는 딜로이트컨설팅 전략컨설턴트 출신으로 2018년부터 웹3.0 시장의 가능성을 보고 블록체인 회사 알

  • 개미들 '투심' 차갑게 식었다…이 와중에 꾸준히 담은 종목들

    개미들 '투심' 차갑게 식었다…이 와중에 꾸준히 담은 종목들

    올들어 개인 투자자의 순매도세가 거세다. 하지만 이 와중에도 방산, 2차전지 관련주는 꾸준히 담고 있다. 방산 수출 확대, 2차전지의 성장 궤도 재진입에 대한 기대가 배경으로 꼽힌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들어 전일까지 개인 투자자들은 증시에서 2조3580억원 어치 주식을 순매도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3조1960억원 가량을 순매도했다. 외국인 투자자가 같은 기간 유가증권시장에서 4조원 넘는 국내 주식을 순매수한 것과 반대되는 행보다. 기관 투자가는 순매도세를 보이긴 했지만 그 규모(9111억원)는 개인 순매도액을 크게 밑돌았다. 증시 대기자금으로 불리는 투자자 예탁금도 줄었다. 올들어 18일까지 하루평균 투자자 예탁금은 45조7000억원이다. 전년동기 평균치(약 67조3000억원) 보다 30% 넘게 감소했다.   개미의 순매도 행렬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서도 방산주와 2차전지주는 꾸준히 순매수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들어 전일까지 개인 순매수 상위 5개 종목에 한국항공우주와 LIG넥스원 등 방산주가 이름을 올렸다. 개인 투자자들은 두 종목을 각각 950억원, 810억원 어치 순매수했다. 방산주 현대로템도 450억원 어치 순매수했다.2차전지주 포스코케미칼은 개인 순매수 1위를 기록 중이다. 개인 투자자들은 올들어 전일까지 포스코케미칼 주식 1390억원 어치를 순매수했다.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엘앤에프 등 2차전지주의 순매수 규모도 다른 업종 종목들에 비해 큰 편이다. 방산주의 경우 수출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 방산주의 PER(주가수익비율)은 15~20배 수준으로 과거보다 증가했지만 증권가에선 상

  • 우크라 전쟁 흐름 바꿨다…한 달 새 5700억 번 한국 회사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우크라 전쟁 흐름 바꿨다…한 달 새 5700억 번 한국 회사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155㎜ 곡사포는 '하이마스’(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와 함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의 흐름을 바꿨다.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155㎜ 곡사포 142대와 곡사포탄 92만4000발을 제공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크라이나군의 155㎜ 곡사포 '십자포화'에 러시아군 기세도 꺾였다는 평가다.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전 세계 155㎜ 포탄과 전차 포탄 재고량이 서서히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각국이 이 재고 물량 채우기에 나서면서 한국 포탄 제조업체인 풍산도 바빠졌다. 이 회사는 최근 한 달 새 5700억원어치의 포탄 공급계약을 맺었다.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풍산은 지난달 20일부터 최근까지 방위사업청(1167억원) 현대로템(2934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1647억원) 등과 총 5748억원어치 대구경 포탄 공급계약을 맺었다. 이 회사의 한 달 새 공급계약액은 2020~2021년 공급분(5494억원)을 웃도는 규모다.풍산은 구리 제품은 물론 동전과 총알 같은 탄약과 포탄도 만든다. 5.56㎜ 소총 탄알부터 155㎜ 곡사포탄, 대공포탄, 박격포탄, 전차포탄. 함포탄 등 한국군이 사용하는 모든 탄약을 제조 납품 중이다. 공격형 드론과 다연장로켓(MLRS) 로켓탄에 들어가는 자탄 개발 등에도 참여 중이다.이 회사는 구체적 공급제품과 수량은 보안 관계상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대부분 물량이 155㎜ 포탄으로 파악된다. K9 자주포를 생산하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방위사업청에는 155㎜ 자주포용 포탄, K2흑표 전차를 생산하는 현대로템에는 120㎜ 전차용 포탄을 공급한 것으로 추정된다.이처럼 폭풍 공급계약이 몰린 것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맞물린다. 한국 방산업체들은 지난해 폴란드와 124억달러(약 15조6800억원)에

  • 분산효과에 수익률까지…올해 포트폴리오엔 金칠 해볼까

    분산효과에 수익률까지…올해 포트폴리오엔 金칠 해볼까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1981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제임스 토빈 예일대 교수가 분산투자를 강조하며 한 말이다. 하지만 이 유명한 투자 격언을 따라가기 힘든 환경이 최근 펼쳐지고 있다. 작년부터 주식과 채권 가격이 같이 움직이는 현상이 발생하면서다. 증권가에선 분산효과를 누리기 위해선 주식과 상관성이 낮은 금에 주목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올해는 경기 침체 우려, 달러 강세 완화 영향으로 높은 수익률까지 기대해볼 만하다는 평가다. ◆“당분간 주식 변동성 방어엔 채권보다 금”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들어 코스피지수는 5.9% 올랐다.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지난달 30일 연 3.730%에서 전날 연 3.444%로 하락했다. 채권 금리 하락은 채권 가격 상승을 의미한다. 채권이 주식 가격을 따라가는 현상은 작년부터 이어지고 있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S&P500지수와 미국 국채 10년물의 상관계수는 0.4로 2008년 금융위기 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내 코스피지수도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가 연 2.255%에서 연 3.735%로 오를 동안(채권 가격이 하락할 동안) 25% 가량 떨어졌다주식과 채권이 같이 움직이자 분산투자자들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작년처럼 주식과 채권 가격이 같이 떨어지는 위험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전통적 분산투자 방법에 따라 주식과 채권 비중을 6 대 4로 유지하는 ‘아이셰어즈 코어 그로스 얼로케이션 상장지수펀드(ETF)’의 작년 수익률은 -15.3%를 기록했다. 상장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증권가에선 주식 변동성을 방어하는 채권의 역할이 제한적일 땐 금

  • 반년새 주가 '1.6만→4만원'…LG·SK·삼성도 줄세운 이 회사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반년새 주가 '1.6만→4만원'…LG·SK·삼성도 줄세운 이 회사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전기차 배터리 '빅3' 업체의 경쟁은 생각보다 치열하다. 인력도 정보도 공유하지 않을 만큼 경쟁의식이 심하다. LG엔솔 출신 직원이 SK온으로 경력이동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이 기술 유출로 법정 공방을 벌인 것이 계기가 됐다.경쟁업체에 대한 내부 기밀 유출을 막기 위해 원재료 조달 업체도 엄격하게 관리한다. 하지만 이들 세 업체에 나란히 원재료를 조달하는 동시에 자금도 조달하는 중견기업이 있어 눈길을 끈다. 2차전지 소재인 알루미늄박을 생산하는 삼아알미늄이다.이 회사는 LG에너지솔루션과 도요타 등으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받기도 했다. 불어나는 전기차 배터리 소재 매출로 기업가치도 최근 반년 새 2배 이상 뜀박질했다.삼아알미늄은 13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전날과 같은 3만9650원에 마감했다. 이날 주가는 지난해 6월 23일에 장중 저가(1만5800원)와 비교해 150.9%나 치솟았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 상승률이 3%에 그친 것과 비교하면 큰 폭 뜀박질한 것이다.1969년 출범한 이 회사는 알루미늄 포일과 포장재를 생산한 업체다. 삼아알미늄의 기업가치를 밀어 올린 것은 2차전지 사업이다. 1998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2자전지용 알루미늄박 개발에 성공한 이 회사는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SK온은 알루미늄박의 90%를 삼아알미늄으로부터 납품받고 있다.지난해 5월 프랑스 최대 2차전지 업체인 ACC와 2153억원 규모의 알루미늄박 공급계약도 맺는 등 공급처도 다변화하고 있다. 독일 폭스바겐, 스웨덴 배터리업체인 노스볼트도 고객사로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급물량이 늘면서 실적도 불어났다. 하나증

  • 포스코그룹, 2030년까지 유니콘 15개 육성한다

    포스코그룹, 2030년까지 유니콘 15개 육성한다

    포스코그룹이 2030년까지 유니콘 기업 15개(기업 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사)를 육성한다. 이를 위해 전사적 창업생태계를 통해 투자한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과 사업 확장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포스코그룹은 10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에서 열린 '포스코 글로벌 밸류업기업 업무협약 및 IR'을 열었다. 포스코가 투자한 한국 스타트업 가운데 글로벌 시장에서 통할 것으로 평가받는 기업들을 글로벌 투자자들 앞에서 소개하는 자리였다. 여기에는 화학가스를 탐지하는 센코, 나노 셀룰로오스 업체 에이엔폴리, 담뱃잎을 통해 단백질을 생성하는 바이오앱 등 9개 스타트업이 참가했다.포스코그룹은 2030년까지 유니콘 기업 15개 육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체계적인 지원 체계를 최근 구축했다. 투자한 기업 가운데 글로벌 시장에 진출해 기업가치를 끌어올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스타트업을 '글로벌 밸류업기업'으로 선정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들 가운데 성장성이 확인된 기업은 '유니콘 후보기업'으로 선정해 집중 지원할 방침이다. 유니콘으로 육성하기 위한 후보 기업 풀을 만들어 여기서 충분한 검증을 통해 좋은 스타트업들을 체계적으로 길러내겠다는 계획이다. 포스코그룹의 벤처투자를 총괄하고 있는 박성진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 산학연협력 담당 전무는 이날 한국경제신문을 만나 "포스코가 창업부터 투자금 회수(엑시트)까지 모두 아우르는 창업생태계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나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포스텍 연구자들이 창업하고, 포스텍이 액셀러레이터 역할을 하며, 포스코가 밸류업을 지원하고 인수를 통해

  • SaaS에 몰리는 돈…레몬베이스 70억 시리즈 A 투자유치 [허란의 VC 투자노트]

    SaaS에 몰리는 돈…레몬베이스 70억 시리즈 A 투자유치 [허란의 VC 투자노트]

    최근 벤처투자 시장 위축에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전문 스타트업이 잇따라 투자 유치에 성공하고 있다.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돕는 SaaS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서다.성과관리 SaaS 기업 레몬베이스는 70억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고 9일 발표했다. 이번 투자는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가 주도했으며 기존 주주인 카카오벤처스와 본엔젤스도 후속 투자에 참여했다. 설립 3년 차에 접어든 레몬베이스의 누적 투자 유치액은 140억원에 이른다.레몬베이스는 기업들이 ‘지속적인 성과관리’를 손쉽게 운영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면평가를 운영할 수 있는 ‘리뷰', 목표를 공유하고 진척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목표', 1:1 대화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1:1 미팅', 인정 감사 등의 메시지를 수시로 주고받을 수 있는 ‘피드백'이 주요 제품이다.2020년 4월 리뷰 제품 출시 이후 사용자 수가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컴투스그룹, 롯데제과 등 2000여개의 기업이 레몬베이스를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유료 사용자 수는 전년 대비 5배 증가했다. ‘채용-평가-보상’이란 인적자원(HR) 관리의 패러다임이 ‘채용-지속적 성과관리-보상-성장-몰입’이란 구성원 경험(EX) 관리로 변화하면서 서비스의 성장세가 더욱 가팔라질 것이란 게 회사 측 설명이다.레몬베이스는 전자책 플랫폼 리디의 공동창업자인 권민석 대표(사진)가 2020년 창업한 회사다. 권 대표는 창업 초기 스타트업이 유니콘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겪으며 회사와 구성원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많았고, 이 고민을 풀기 위해 레몬베이스를 창업했다.권 대표는 “2000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돈 몰리는 '실버테크' [긱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돈 몰리는 '실버테크' [긱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That is no country for old men). 아일랜드의 시인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의 시 '비잔티움으로의 항해'의 첫 구절입니다. 미국 소설가 코맥 매카시의 소설을 원작으로 코엔 형제 감독이 2007년 만든 영화의 제목이기도 하고요. 영화는 혼돈이 지배하는 세상의 가혹함을 그리고 있습니다.영화 내용과는 별개로 전 세계적인 고령화로 노인을 위한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투자 혹한기에도 국내외 실버테크 스타트업에 잇따라 벤처캐피털(VC) 투자가 이어지면서 실버산업에 디지털전환(DX) 변화가 일어난 덕분입니다. 지난해 투자받은 글로벌 실버테크의 특징을 한경 긱스(Geeks)가 살펴봤습니다. 글로벌 벤처투자 혹한기에 실버테크(노인+기술) 스타트업이 잇따라 투자금 유치에 성공하고 있다. 전 세계적인 고령화로 '실버산업(또는 실버 이코노미)'이 커지고 있어서다. 실버시장은 헬스케어 제품뿐만 아니라 주택, 음식, 레저 및 관광, 운송 같은 다양한 산업을 포괄한다.특히 노인의 사회적 고립감 해소하는 서비스를 비롯해 디지털 전환(DX) 이끄는 간병서비스, 노인질환 예방에 초점을 맞춘 디지털 치료제 전문기업에 벤처캐피털(VC)의 뭉칫돈이 몰리고 있다.  '건강한 노화' 겨냥한 실버 이코노미유엔 인구국 데이터 포털에 따르면 2050년까지 전체 인구 대비 65세 인구 비중은 현재 9.4%에서 16.5%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65세 이상 인구가 현재보다 두 배 이상 많은 16억명을 돌파하게 된다.국가별로 최대 실버시장은 미국이다. 월드데이터랩에 따르면 미국 실버시장은 2025년 약 3조5000억달러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아시아태평양지역도 동아시아 3국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