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슬라 대항마' 루시드, 생산 목표치 낮추고 주가도 13% 빠져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인 루시드가 시장 기대에 턱없이 못 미치는 실적을 냈다. 공급망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서 올 초 내놨던 생산량 전망치도 3분의 1 수준으로 줄였다. 생산 부진에 주가는 시간외거래에서 13% 가까이 빠졌다.루시드는 “지난 2분기 매출이 9730만달러(약 1276억원)를 기록했다”고 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블룸버그통신이 내놨던 매출 추정치(1억4750만달러)에 34%나 미달했다. 영업손실은 2억2000만달러(약 2885억원)로 전년 동기(2억6100만달러)보다 소폭 줄었다. 2분기 차량 인도량은 1분기(360대)보다 319대 늘어난 679대로 집계됐다. 이날 발표한 판매 예약 건수(3만7000건) 대비 2%에 불과하다.루시드는 1회 충전으로 800㎞ 주행이 가능한 고급형 전기 세단인 ‘루시드에어’를 출시하면서 테슬라의 대항마로 떠오른 업체다. 루시드에어의 대당 가격은 최대 16만9000달러(약 2억2100억원)에 달한다. 하지만 올 초 불거진 반도체 공급난을 해결하지 못한 가운데 유리와 카펫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으면서 생산 차질이 심화됐다.이날 루시드는 올해 차량 생산량을 6000~7000대로 전망했다. 연초 내놨던 목표치(2만대)의 3분의 1에 불과하다. 1분기 실적을 발표했던 지난 5월엔 1만2000~1만4000대 생산을 전망했다.피터 롤린슨 루시드 최고경영자(CEO)는 “공급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류 운영을 회사가 직접 담당하고 물류 관련 인력과 조직을 재구성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루시드는 피아트크라이슬러 제조부문 부사장이었던 스티븐 데이비드를 새 수석 부사장으로 영입해 생산 역량을 강화하기로 했다.생산 부진에 투자자는 대거 이탈했다. 이날 루시드 주가는 전일 대비 장
-
포드의 질주…7월에만 32%↑
미국 완성차업체 포드의 주가가 지난달에만 32% 상승했다. 월간 상승률로는 2009년 4월 이후 최고다. 2분기 실적이 추정치를 크게 웃돌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1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포드 주가는 지난 7월 한 달 동안 31.9% 상승했다. 2009년 4월 기록한 월간 상승률인 127.4% 후 최고치다. 경쟁사들도 앞질렀다. 지난달 제너럴모터스(GM) 주가는 14.2% 올랐다. 같은 기간 스텔란티스는 16.3%, 페라리 15.1%, 도요타는 5.5% 상승했다.포드의 주가가 선전한 이유는 지난 2분기 실적 때문이다. 지난달 27일 포드는 2분기 순이익이 6억6700만달러(약 8701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8.8% 늘었다고 발표했다. 이자·세금차감전이익(EBIT)은 37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세 배 뛰었다. 매출은 401억9000만달러(약 52조원)를 기록해 월가 추정치(368억달러)를 대폭 웃돌았다. ‘깜짝 실적’을 공개한 날 장 마감 뒤 시간외거래에서 포드 주가는 6% 뛰었다. 지난달 마지막주에만 포드 주가는 14.6% 상승했다.전기차 전환 계획도 순항하고 있다. 지난달 21일 포드는 대규모 배터리 수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2023년까지 전기차 연간 60만 대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2026년까지 500억달러를 투자해 전기차사업을 확대하고 매년 전기차 200만 대 이상을 생산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전기차 전환 속도가 빨라지면서 이달에도 주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오현우 기자
-
삼정KPMG "2030년 전기차 연평균 65% 성장할 것"
글로벌 인수합병(M&A) 트렌드를 분석한 결과 자동차 시장에선 전기차 인프라와 자율주행 기술 확보에 대한 투자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삼정KPMG는 1일 '글로벌 M&A로 본 전기차·자율주행 생태계' 보고서를 발간하고 자동차 시장 동향과 산업에 대한 분석을 내놨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미래자동차는 친환경 전기차와 수소차, 정보통신 기술(ICT)과 인공지능(AI)에 기반한 자율주행차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특히 순수전기차의 성장이 두드러졌다.글로벌 자동차산업 시장조사기관인 LMC오토모티브(LMC Automotive)의 지난 3월 발표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30년까지 순수전기차·하이브리드·수소차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각각 37%, 18%, 51%로 전망되었으나 2019년부터 2021년까지의 실제 판매량을 분석한 결과 순수전기차의 연평균 성장률은 65.3%로 하이브리드차(47.2%)와 수소차(47.5%)의 성장률을 크게 앞질렀다.이 보고서에 따르면 전기차·자율주행 생태계를 이끄는 기업은 크게 6대 기업군으로 △전통 완성차 제조사 △신생 완성차 제조사 △Tier 1 △차량용 반도체·OS 기업 △배터리 제조사 △빅테크로 구분된다.전통적인 완성차 제조사는 현대자동차와 토요타, 폭스바겐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2017년 1월부터 2022년 5월까지 전기차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 및 자율주행 기술 확보를 위한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특히 전기차 제조로 비즈니스를 전환하면서 배터리 역량 및 전기차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전체의 38%를 차지했다. 자율주행 기술 확보를 위한 투자는 3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생 완성차 제조사는 테슬라와 중국의 전기차 제조 특화 업체들이 포진해있다
-
SK온, 수출입은행 등으로부터 2조6000억 조달.. 유럽 공장 건설 박차
SK이노베이션의 전기차용 배터리 자회사인 SK온이 국내외 정책금융 기관을 통해 2조6000억원의 자금을 조달했다.SK온은 28일 독일 무역보험기관인 오일러 헤르메스(Euler Hermes), 한국무역보험공사 및 한국수출입은행을 통해 총 20억 달러(약 2조 6240억원)규모의 투자재원을 마련했다고 밝혔다.이들 기관은 SK온이 해외 상업은행으로부터 대출받는 과정에서 보증을 서거나 보험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지원한다. 오일러 헤르메스와 한국무역보험공사가 각각 8억 달러와 7억 달러 규모의 보험을 제공하고, 한국수출입은행이 2억 달러의 보증을 선다. 한국수출입은행은 동시에 3억 달러를 직접 SK에 대출한다. SK온은 이를 토대로 다음달부터 7개 해외 상업은행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자금을 인출할 예정이다. 2년 거치 5년 균등 분할 상환 조건으로, 장기 대출형식이다.SK온은 지난해 10월 물적분할로 설립됐을 당시부터 3개 기관 및 해외 상업은행들과 긴밀한 협의를 가져왔다. 파이낸싱에 참가한 3개 기관은 모두 ‘공적수출신용기관(ECAžExport Credit Agency)’이다. ECA는 자국 기업의 수출을 지원, 국익을 창출하기 위해 기업에 직접 대출해주거나, 대출과정에 보증 또는 보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기업 입장에서는 경쟁력 있는 금리를 적용 받을 수 있게 된다.SK온이 이번에 그린 ECA 파이낸싱을 통해 확보한 20억 달러는 세계 배터리 업체의 ECA거래 중 최대 규모며, 오일러 헤르메스가 한국 기업을 지원한 사례 중에서도 최대 규모다.이는 SK온이 완성차 업체들로부터 이미 수주 받은 다량의 공급 물량은 물론, 탄소를 절감하는 대표적 그린 비즈니스라는 점을 ECA들로부터 인정받았기에 가능
-
中, 상반기 전기차 수출 두 배 늘었다
중국의 올 상반기 전기자동차 수출 대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두 배 이상 늘었다.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의 상하이 공장이 성장세를 주도하는 가운데 웨이라이(NIO), 샤오펑, 리샹 등 중국 토종 기업들도 유럽 시장 공략을 서두르고 있다.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에 따르면 중국은 올 들어 6월까지 총 36만2200대의 신에너지차를 수출했다. 작년 상반기(15만5400대)의 2.3배다. 중국은 전기차와 충전식 하이브리드카(PHEV)를 묶어 신에너지차로 분류하고 보조금을 지급한다.중국의 전기차 수출 대수에서 테슬라가 차지하는 비중은 3분의 1이다. 테슬라는 상하이 공장에서 생산한 모델3와 모델Y를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 수출하고 있다. 테슬라의 상반기 수출 대수는 9만7100대로 작년(4만170대)의 2.4배로 집계됐다.중국 토종 중에선 최대 완성차 업체인 상하이자동차가 2019년 유럽 시장에 진출했다. 현재 네덜란드, 벨기에, 노르웨이, 독일, 프랑스 등에 거점을 두고 있다. 상하이차는 올해 유럽 수출량이 10만 대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에는 웨이라이와 샤오펑이 유럽에서 전기차 보급률이 가장 높은 노르웨이를 시작으로 수출을 확대하고 있다.지역별로는 중국 신에너지차의 34%인 12만2700대가 유럽으로 선적됐다. 그중 절반이 넘는 7만 대가 벨기에로 향했다.베이징=강현우 특파원
-
비싼 車 많이 팔았다…현대차, 분기 최대 실적
현대자동차가 2분기에 차량용 반도체 부족,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악재를 뚫고 역대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생산 감소로 전체 판매는 줄었지만 제네시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전기차 등 ‘비싼 차’를 많이 판매한 덕분이다. 환율 상승도 긍정 요인으로 작용했다. 현대차는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35조9999억원, 2조9798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1일 공시했다. 지난해 2분기보다 각각 18.7%, 58.0% 늘어난 규모로, 2010년 새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 후 최대 실적이다. 종전 최대 매출은 작년 4분기 31조265억원, 최대 영업이익은 2012년 2분기 2조5372억원이었다. 10년 만의 영업이익 경신이다. 2분기 영업이익은 증권사 추정치 평균(2조2837억원)을 30.5% 웃도는 것으로, 1분기에 이어 두 분기 연속 ‘어닝 서프라이즈’다.2분기 글로벌 판매는 97만6350대로, 전년 동기보다 5.3% 감소했다. 국내 시장에서 9.2%, 해외에선 4.4% 줄었다.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공급 차질 탓이다. 그럼에도 매출과 영업이익이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은 제네시스, SUV, 전기차 등 고가 차량이 많이 팔린 데 따른 것이다. 북미(6.6%) 유럽(2.9%) 등 선진국 중심으로 판매가 증가한 것도 이익 개선의 한 요인이다.현대차는 3분기 반도체 공급 상황이 개선돼 생산이 점차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원자재 가격 급등, 금리 인상 등은 부담 요인으로 꼽혔다.김일규 기자
-
中봉쇄·공급망 지옥 악재에도…테슬라, 차값 올려 '실적 방어'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공급망 위기에도 올 2분기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실적을 냈다. 중국 상하이 봉쇄 조치와 배터리·반도체 등 부품 수급난 속에 전기차 가격을 인상해 실적 개선에 성공했다.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는 콘퍼런스 콜에서 “최근 수년간 ‘공급망 지옥’을 겪었지만 2분기 놀라운 실적을 거뒀다”고 말했다. 공급난에도 호실적테슬라는 2분기 169억달러(약 22조25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2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한 수치로 월가 전망치인 165억달러도 넘어섰다. 2분기 순이익은 22억5900만달러(약 3조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11억달러)에 비해 두 배 이상 급증했다. 순이익도 월가 전망치인 19억달러를 웃돌았다.전기차 인도량은 25만4695대로 지난해 20만1304대보다 27% 늘었다. 조정 주당순이익(EPS)도 2.27달러로 전망치(1.81달러)를 넘어섰다. 이날 테슬라 주가는 실적 호조에 힘입어 소폭 상승했다. 장 마감 후 실적이 공개되자 시간 외 거래에서 1.45% 올랐다.2분기 실적이 월가 기대를 넘어섰지만 1분기에 비해선 저조하다. 테슬라의 2분기 매출과 순이익은 1분기에 비해 각각 9%와 31% 줄었다. 전기차 인도량도 1분기(31만 대)보다 5만여 대 감소했다. 직전 분기에 비해 전기차 인도량이 줄어든 것은 2년 만에 처음이다. 수익성도 악화했다. 영업이익률은 14.6%를 기록해 1분기(19.2%)보다 4.6%포인트 떨어졌다.테슬라의 수익성이 악화한 것은 2분기 내내 악재에 시달렸기 때문이다. 지난 3월 말부터 2개월간 이어진 중국의 상하이 봉쇄 조치가 직격타였다. 테슬라의 상하이 기가팩토리 가동이 중단돼 생산 차질이 빚어졌다. 올 들어 리튬 등 핵심 원자재 가격도 폭
-
포드, 전기차 올인…8000명 감원한다
미국 포드자동차가 전기 자동차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최대 8000명을 구조조정하기로 했다.블룸버그통신은 업계 소식통을 인용해 포드가 전기차 사업 투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수주 내에 최대 8000개에 달하는 일자리를 줄이는 계획을 세웠다고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포드 직원 3만1000여 명 중 26%에 해당하는 규모다.포드는 전기차 투자를 확대하기 위한 비용 절감의 일환으로 구조조정에 나서는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이번 구조조정은 주로 미시간주 디어본에 있는 사무직 근로자가 대상이며 공장 근로자는 포함되지 않는다.포드는 지난 3월 내연기관 사업 부문인 ‘포드 블루’와 전기차 사업 부문인 ‘포드 모델 E’로 분리하며 전기차 사업을 강화하는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당시 짐 팔리 포드 최고경영자(CEO)는 “2026년까지 비용을 30억달러 줄일 것”이라며 “포드 블루가 이익 창출의 엔진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포드는 이어 전기차 부문에 대한 투자를 500억달러로 늘리고, 2026년까지 연 200만 대의 전기차를 팔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팔리 CEO는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도 “500억달러의 자금은 포드의 핵심 자동차 사업(포드 모델 E)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포드는 구조조정 계획은 아직 확정된 것이 아니며 세부 사항은 바뀔 수도 있다고 밝혔다. 마크 트러비 포드 대변인은 “회사는 비용구조를 낮추기 위해 명확한 목표를 제시하고 업계 최고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포드는 지난달 F-150 라이트닝 픽업트럭 출시에 힘입어 전기차 매출을 지난해보다 76.6% 늘렸다.포드 주가는 인플레이션 우려와 공급망 차질 속에 올해 들어서만 39% 급락
-
"리튬 채굴기업 앨버말 담아볼 만"
전기자동차 시장이 안정적으로 성장하자 리튬 채굴기업 앨버말에 대한 투자의견이 상향 조정됐다.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 수요가 견조하다는 판단에서다.20일(현지시간) 투자전문매체 배런스에 따르면 금융회사 키뱅크는 미국 광산기업 앨버말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도에서 보유로 한 계단 높였다. 키뱅크는 “전기차 전환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고 견고하다”며 “리튬 수요 역시 지속적인 강세를 유지하고 이는 리튬 가격 상승 요인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기차 시장은 리튬 총수요의 60%가량을 차지한다.시장조사기관 뉴에너지파이낸스(BNEF)는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이 지난해 656만 대에서 올해 1070만 대로 전년 대비 63.1% 증가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특히 지난달 중국 내 수요가 많았다.김리안 기자
-
전기차 시장의 新패권전쟁[정삼기의 경영프리즘]
중국의 비야디(BYD)가 올 상반기에 테슬라를 제치고 가장 많은 전기차를 팔았습니다. 하이브리드 전기차와 수소 전기차까지 생산하는 비야디를 순수 전기차 기업인 테슬라와 비교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워런 버핏이 오래 전에 비야디에 투자했다는 것만으로도 눈길을 끌기에 충분합니다. 그런데 세계적인 자동차 기업들이 '테슬라 따라하기'를 하고 있다는 소식이 더 눈길을 끕니다. 자동차 부품은 물론이고, 부품에 들어가는 원자재부터 자동차 판매까지 서플라이 체인 전반을 한 지붕 아래에 두는 수직계열화를 하겠다는 겁니다. 이코노미스트는 이를 두고 '테슬라파이케이션(Teslafication)'이라고 표현합니다.테슬라는 세계 곳곳에 기가팩토리를 두고 전기차의 핵심인 배터리를 제조합니다.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 니켈 등 금속업체 인수에도 거침이 없습니다. 테슬라가 눈독을 들이고 있는 또 다른 분야는 반도체입니다. 반도체는 자동차의 컴퓨팅 시대에 빼놓을 수 없는 것으로, 테슬라는 자체 컴퓨팅 아키텍쳐 기술을 기반으로 반도체 기업들과 밀접한 연대를 구축하고 있고, 칩 공장까지 인수하려 듭니다. 그리고 아직은 실험 단계에 있지만 자동차 생태계의 끝단인 딜러십까지도 직접 통제하고자 합니다. 자동차 산업의 수직계열화는 테슬라가 처음은 아닙니다. 100여 년 전 자동차 산업 혁신을 주도했던 포드도 고무와 철강을 자체 생산하였고, 심지어 직접 생산한 석탄으로 공장을 돌리기까지 했습니다. 그런데 테슬라의 수직계열화 방식이 별난 것은 생태계에 필요한 모든 것을 통제하고 모든 과실을 취하는 실리콘밸리의 '풀스텍(full stack)'을 닮았다는 점
-
"2차전지, 적수가 없다…저가매수 기회"
상장사의 2분기 실적 하향세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탄탄한 실적을 내고 있는 2차전지주가 주목받고 있다. 이달 들어 강세를 보이다 최근 며칠간 차익 실현 매물이 나왔지만 장기 투자를 위한 저가 매수 기회로 활용할 만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2분기 깜짝 실적 기대 커져18일 코스피지수가 1.9% 올랐지만 2차전지 관련주는 전반적으로 약세를 나타냈다. 2차전지 대장주인 LG에너지솔루션은 1.75% 하락했고 삼성SDI는 0.36% 떨어졌다. 코스닥시장 2차전지 대장주인 에코프로비엠은 1.52% 하락했다.이달 들어 상승세를 보인 2차전지주의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이달 들어 LG에너지솔루션은 5.93% 상승했다. 삼성SDI는 2.63% 올랐다. 에코프로비엠은 같은 기간 10.34% 상승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 상승률(2.27%)을 모두 웃도는 수치다.외국인과 기관은 2차전지 관련주를 집중 매수하고 있다. 지난 11일부터 이날까지 외국인 투자자는 LG에너지솔루션(740억원·3위)과 삼성SDI(440억원·5위) 등을 순매수했다. 기관 역시 같은 기간 LG에너지솔루션(520억원·2위)과 SK아이이테크놀로지(270억원·4위) 등을 사들였다.주요 투자자의 2차전지주 매수세가 흔들리지 않고 있는 것은 튼튼한 실적 덕분이다. 2분기 국내 상장사 240개의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 합계는 53조3609억원이다. 1개월 전(54조3813억원) 대비 약 2% 감소했다. 삼성SDI 영업이익 추정치(3999억원)는 1개월 전 대비 오히려 1.9% 증가했다.엘앤에프의 영업이익 추정치는 같은 기간 0.3% 늘었다. 지난 13일 에코프로비엠은 2분기 잠정 영업이익(1029억원)이 전년 동기 대비 254% 증가했다고 발표했다.이정빈 신한금
-
코스피·코스닥 달리는데 2차전지주는 '주춤'…향후 전망은?
18일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가 동반 상승세를 보이고 있지만 그동안 상승랠리였던 2차전지 관련주들은 하락세다. 증권가에서는 "2차전지주는 하반기에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18일 오후 2시 30분 기준 LG에너지솔루션은 2% 하락한 39만2000원에 거래중이다. 삼성SDI의 역시 0.55% 하락하고 있다. 코스닥 시장 2차전지 대장주인 에코프로비엠은 1.7% 하락한 10만9600원에 거래중이다. 이날 코스피는 전 업종 고르게 상승세를 보이며 현재 1.81% 오른 2373.11에 거래중이다. 특히 외국인이 4294억원을 순매수하면서 지난 5월 31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스닥 역시 1.63% 오르고 있다.코스피와 코스닥이 오랜만에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도 2차전지주만 주춤하고 있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2차전지주가 어느 정도 조정기간을 거치더라도 다시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실적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서다.조철희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LG에너지솔루션의 올해 매출액 가이던스(자체 추정치)는 19조2000억원이지만 실제로는 21조가 넘는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삼성SDI의 올해 추정 매출액 역시 기존 대비 상향되고 있다"고 했다. 특히 양극재 소재 생산 업체인 에코프로비엠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강하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64%, 124%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4분기에도 여러 공장들이 조기 가동될 예정"이라고 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
-
글로벌 M&A로 본 전기차·자율주행 생태계[삼정KPMG CFO Lounge]
미래 자동차 시장은 어떻게 발전할 것인가? 이를 예측하기 위해서 먼저 미래 자동차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미래 자동차란 친환경차와 자율주행차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친환경차는 전기차와 수소차, 자율주행차는 자율주행 6단계(비자동화~완전 자동화,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 자율주행표준 J3016)를 아우른다. 즉, 미래 자동차 시장의 발전 방향을 알기 위해서는 전기차와 수소차 시장, 그리고 자율주행 기술 수준 전 단계를 아우르는 시장을 알 필요가 있다. 우선, 친환경차 시장은 전기차와 수소차로 구분되는데 각 시장별로 성장 속도에 차이가 나타난다. 2022년 3월 글로벌 자동차산업 시장조사기관인 LMC Automotive 발표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순수전기차·하이브리드·수소차 시장별 연평균 성장률이 각 65.3%, 47.2%, 47.5%으로 수소차보다는 전기차 시장의 성장이 부각되고 있다. 한편, 자율주행 시장의 경우 기술 발달과 자율주행차 확산 간 속도차가 존재한다. 특히 시스템이 전체 주행을 수행하게 되는 자율주행 3단계부터는 안전성에 대한 다각적인 검증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단기적으로 2단계 차량이 확산되면서 3단계 시장도 본격적으로 개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향후 전기차 및 자율주행 2·3단계 시장의 발전은 차량의 제조, 판매, 주행, 서비스를 아우르는 생태계 관점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가 전기차와 자율주행 차량을 선택함에 있어 인프라, 서비스, 애프터마켓 등 생태계 성숙도를 함께 고려하기 때문이다. 이에 전기차 및 자율주행 생태계를 구성하는 기업 역시 인프라 비즈니스에 진출하는 등 생태계 선점을 위한 노력을
-
버핏 손 터나…비야디 '멀미'
중국 전기자동차업체 비야디(BYD) 주가가 출렁이고 있다. 워런 버핏(사진)이 14년 만에 지분을 매각할 것이란 관측 때문이다.13일 홍콩증시에서 비야디 주가는 장중 3%가량 하락했다. 본토 선전거래소에서도 4% 이상 빠졌다가 1% 상승하는 등 등락을 반복했다. 비야디는 홍콩과 선전에 이중으로 상장해 있다. 홍콩증시 기준 비야디 주가는 올 들어 지난 7일까지 20% 올랐다가 이후 약세를 지속하면서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했다.비야디 주가가 최근 약세를 보인 것은 3대 주주인 웨스턴캐피털그룹의 지분 매각 가능성 때문으로 풀이된다. 버핏이 이끄는 벅셔해서웨이의 자회사인 웨스턴캐피털은 올 3월 말 기준 비야디의 홍콩주식(H주) 2억2250만 주를 갖고 있는 3대 주주다.홍콩거래소 청산결제시스템(CCASS)에 따르면 11일 씨티그룹에 위탁된 비야디의 주식 수가 1억6337만 주에서 3억8887만 주로 2억2250만 주 증가했다. 씨티그룹에 위탁된 주식 수가 웨스턴캐피털의 보유 주식 수와 일치하자 버핏 측이 비야디 지분 정리에 나섰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이에 12일 홍콩증시에서 비야디 주가는 12% 폭락했다.CCASS의 위탁 현황이 변동됐다고 해서 곧바로 주식이 거래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주요 주주가 주식을 팔려면 CCASS에 등록해야 한다는 점에서 매각의 사전 단계로 해석할 수 있다. 지분 5% 이상을 보유한 주요 주주가 지분을 변동하면 3일 이내에 공시해야 한다.버핏은 2008년 비야디 지분을 주당 8홍콩달러에 사들였다. 이후 14년 동안 한 주도 팔지 않았다. 이날 장중 최저가인 261홍콩달러로 계산해도 33배에 이르는 수익을 거둔 셈이다.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
전기차 스타트업 카누, 두배 폭등…월마트서 배달용 밴 대량 수주
미국의 전기차(EV) 스타트업인 카누 주가가 장중 두 배 넘게 뛰었다. 대형마트인 월마트로부터 배달용 전기차 밴을 대량 수주하는 계약을 성사시켜서다.12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월마트는 카누로부터 전기차 밴 4500대를 구입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e커머스(전자상거래)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향후 카누의 배달용 전기 밴을 1만 대까지 늘릴 방침이다. 이는 월마트의 배송 전환 정책의 일환이다.계약 소식이 전해지자 카누 주가가 폭등했다. 이날 장중 카누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106% 상승한 주당 4.8799달러까지 치솟았다. 고점을 찍은 뒤 매수세가 꺾이며 주당 3.63달러로 마감했다. 고점보다 25% 내려앉았지만 전 거래일보다 53% 상승했다.오현우 기자





![전기차 시장의 新패권전쟁[정삼기의 경영프리즘]](https://img.hankyung.com/photo/202207/01.30688421.3.jpg)


![글로벌 M&A로 본 전기차·자율주행 생태계[삼정KPMG CFO Lounge]](https://img.hankyung.com/photo/202207/01.30640334.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