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실적 예상에도 날지 못하는 항공株
항공사들의 올해 실적 기대가 높아지고 있지만 주가는 하락하고 있다. 유가가 오르면서 수익성 하락이 우려된다는 이유에서다. 증권가는 조정을 받는 현시점이 매수 적기라는 의견을 내고 있다.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7일 기준 대한항공의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6019억원으로 집계됐다. 3개월 전 전망치(4707억원)보다 27.8% 높아졌다. 다른 항공사들의 3분기 실적 전망치도 오름세다. 진에어의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576억원으로 3개월 전보다 4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제주항공은 75.8%, 티웨이항공은 30.9% 올랐다.이런 실적 전망과 달리 항공주 주가는 지난달부터 일제히 하향세로 돌아섰다. 대한항공의 이날 종가(2만2500원)는 지난 7월 20일 연중 고점(2만6400원) 대비 14.7% 하락한 수준이다. 티웨이항공(-15.1%), 진에어(-23.6%), 제주항공(-19.8%) 등도 고점 대비 두 자릿수 이상 떨어졌다. 주가가 약세로 돌아선 것은 7월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산유국이 감산에 나서면서부터다. 유가가 오르면서 비용 부담이 부각됐다.증권가는 이번주가 매수 기회라고 조언했다. 여행 수요가 견조하게 유지돼 원가 부담을 전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국내 항공주가 저평가됐다는 의견도 많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대한항공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7.53배다. 티웨이항공은 5.96배, 진에어는 5.91배다. 코스피지수의 12개월 선행 PER(11.4배)보다 낮은 수준이다.배태웅 기자
-
주가 떨어지는데…"지금이 매수 기회" 증권가 주목한 종목
항공사들의 올해 3분기 실적 눈높이가 올라가고 있지만 주가는 갈수록 하락하고 있다. 국제 유가가 상승하면서 수익성 하락이 예상되서다. 증권가에선 오히려 조정을 받는 현재가 매수 적기라고 평가했다.7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들이 전망한 대한항공의 3분기 영업이익은 6019억원으로 집계됐다. 3개월 전 전망치인 4707억원에 비해 27.8% 가량 상향됐다.다른 항공사들 역시 3분기 실적 전망치가 상향됐다. 진에어는 최근 3개월 동안 44% 증가한 576억원, 티웨이항공은 30.9% 오른 648억원, 제주항공은 75.8% 오른 394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실적 전망과 달리 항공주 주가는 하향세를 기록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지난 7월20일 연중 고점(2만6400원)을 기록한 후 하락세를 그리기 시작해 이날 종가 기준 2만2500원으로 고점 대비 14.7% 하락했다. 같은 기간 티웨이항공(-15.1%), 진에어(-23.6%), 제주항공(-19.8%), 에어부산(-3.66%) 등도 하락세였다.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산유국들이 지난 7월부터 감산에 나서면서 국제 유가가 상승하자 항공주들이 타격을 입었다는 분석이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7월 초 배럴당 670달러 수준이었지만 현재는 86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증권가에서는 유가 상승으로 항공주 주가가 조정을 받고 있지만 오히려 매수 기회라고 평가하고 있다. 고유가에도 불구하고 여행 수요가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어서다. 한국항공협회에 따르면 지난 7월 인천공항 국제선 이용객은 약 518만2800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99% 증가했다.국내 항공주가 저평가라는 분석도 나온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대한항공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7.53배다. 티웨이항공은 5.96배,
-
토스뱅크, 104억 적자…"3분기엔 흑자 예상"
인터넷전문은행 토스뱅크가 올해 2분기 적자 폭을 전분기보다 크게 줄이면서 실적 개선에 성공했다. 2021년 10월 출범한 신생 은행이지만 적자 폭이 빠르게 축소되면서 올 3분기엔 첫 분기 흑자 달성이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관리를 이유로 대출 규제를 강화하고 있어 인터넷은행의 성장 둔화 우려도 나온다. ○지난달 첫 흑자 전환토스뱅크는 2분기 당기순손실이 104억원으로 집계됐다고 31일 발표했다. 2021년 4분기(-477억원) 이후 일곱 분기 연속 적자를 봤다. 다만 적자 규모가 빠르게 축소되고 있다. 올 2분기 손실은 작년 2분기(-619억원)와 비교하면 6분의 1로 줄었고, 직전 분기(-280억원)에 비해선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토스뱅크는 2분기 실적이 크게 개선된 이유로 여신 사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꼽았다. 2분기 말 여신 잔액은 10조460억원으로 처음 10조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2분기(4조3000억원)와 비교하면 1년 만에 2.4배 규모로 불어났다. 예·적금 등 수신 잔액은 2분기 말 기준 21조5000억원을 기록했다.여신 사업의 성장세에 힘입어 토스뱅크의 순이자이익은 작년 2분기 260억원에서 올해 2분기 2438억원으로 10배 가까이 뛰었다. 비이자이익도 자산관리 서비스인 ‘목돈굴리기’와 체크카드 사업 성장에 힘입어 작년 2분기 169억원 적자에서 올해 2분기 114억원 적자로 적자 폭이 줄었다.토스뱅크는 3분기엔 분기 단위 흑자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 7월엔 출범 이후 21개월 만에 처음으로 월 단위 흑자를 기록할 정도로 실적 개선세가 뚜렷하기 때문이다.토스뱅크는 9월 전·월세보증금 대출을 새로 출시해 수익성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그동안 담
-
새마을금고, 상반기 1236억 적자
새마을금고의 6월 말 전체 연체율이 5.41%로 작년 말(3.59%)보다 1.82%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마을금고는 조달 비용 증가와 대출 연체 등으로 상반기 1236억원의 적자를 봤다. 다만 7월 들어 연체율이 소폭 하락했고 이익을 회복하고 있다는 설명이다.행정안전부는 31일 1293개 새마을금고의 올해 상반기 영업실적을 발표했다. 새마을금고는 금고 단위 실적이 별도로 공시되고 있지만 전체 실적을 취합해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6월 말 기준 기업대출 연체율은 8.34%로 작년 말(5.61%) 대비 2.73%포인트 뛰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1.57%로 지난해 말(1.15%)에 비해 0.42%포인트 올랐다. 순자본비율은 8.29%로 0.27%포인트 떨어졌다.새마을금고는 상반기 1236억원의 순손실을 내면서 적자 전환했다. 작년 상반기(6783억원)보다 8000억원가량 순이익이 줄었다. 금리 상승으로 조달 비용이 늘어나고 대출이 연체되면서 대손충당금을 적립한 영향이다.최근 상황은 개선되는 추세다. 지난 7월 뱅크런(대규모 자금 이탈) 위기가 발생한 이후 대출 규제, 연체 관리 등에 나선 결과 7월 말 기준 연체율은 5.31%로 전달에 비해 0.1%포인트 하락했다. 새마을금고는 7월 말 기준 247억원의 순이익을 낸 것으로 집계됐다. 이런 추세가 지속되면 연말에는 안정적인 흑자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정부는 새마을금고의 건전성 강화를 계속해서 유도할 계획이다. 지금까지는 각 금고가 거액의 기업대출을 취급하는 게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이를 금지하고 중앙회와 연계한 경우에만 허용하기로 했다. 중앙회 조직을 개편하고 전문인력을 확충할 계획이다. 금고의 우회대출 실태와 건전성 관리 현황을 분기별로 점검하는 등 사후관리도
-
새마을금고 상반기 1236억원 적자…"연체율 하락·이익 증가 추세"
새마을금고 6월 말 전체 연체율은 5.41%로 작년 말(3.59%) 대비 1.82%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마을금고는 조달비용 증가와 대출 연체 등으로 상반기 총 1236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다만 7월 들어 연체율이 하락했고 이익을 회복하고 있다는 설명이다.31일 정부는 1293개 새마을금고에 대한 상반기 영업실적을 발표했다. 새마을금고는 금고 단위 실적이 별도로 공시되고 있지만 전체 실적을 취합해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신진창 금융위원회 금융산업국장은 “새마을금고 경영상황을 투명하게 알리기 위해 실적 자료를 준비했다”고 설명했다.연체율은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큰 폭 상승했다. 6월 말 기준 기업대출 연체율은 8.34%로 작년 말(5.61%) 대비 2.73%포인트 뛰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1.57%로 작년 말(1.15%)에 비해 0.42%포인트 늘었다. 이에 따라 건전성 지표가 악화했다. 순자본비율이 8.29%로 작년 말 대비 0.27%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새마을금고는 상반기 1236억원의 순손실을 내면서 적자 전환했다. 작년 상반기 6783억원의 이익을 냈는데 1년 전보다 8000억원가량 순이익 규모가 감소한 것이다. 금리 인상으로 조달비용이 증가하고, 대출 연체가 발생하면서 큰 규모의 대손충당금을 적립한 영향이다.최근 상황은 개선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지난달 새마을금고 부실 가능성이 불거지면서 뱅크런(대규모 자금 이탈) 위기가 발생하자 전면적인 관리 감독에 나섰다. 대출규제, 연체관리 등에 나선 결과 7월 말 기준 전체 연체율은 5.31%로 전달에 비해 0.1%포인트 하락했다.이익도 회복하고 있다. 새마을금고는 지난달 말 기준 247억원의 순이익을 낸 것으로 집계됐다. 7월 한 달 동안 1400
-
상반기 보험사 순익 9조…회계제도 변경으로 63% 급증
올해 상반기 보험회사의 순이익이 9조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한 수치다. 회계제도 변경(IFRS9·IFRS17 도입) 효과가 컸다는 설명이다.금융감독원은 30일 '2023년 상반기 보험사 경영실적' 자료를 발표했다. 상반기 보험사(생명보험사 22개, 손해보험사 31개)의 순이익은 9조14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조5399억원(63.2%) 증가했다.생보사 순이익은 3조815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6352억원(75.0%) 증가했고, 손보사 순이익은 5조3281억원으로 1조9047억원(55.6%) 늘었다. 금감원은 "보장성 보험 등의 판매 증가에 따른 실적개선 영향과 회계제도 변경 효과에서 주로 비롯됐다"고 했다.보험사가 상반기 거둬들인 보험료는 총 111조336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조9201억원(7.7%) 증가했다. 새 회계제도상 유리한 보장성보험 판매가 늘어난 영향이 컸다.생보사의 수입보험료는 52조62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조133억원(4.0%) 증가했다. 보장성 보험(3.4%), 저축성 보험(4.3%), 퇴직연금(33.5%) 등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으나 변액보험은 금융시장 불안정 등에 따른 판매 위축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0% 감소했다.손보사는 전년 동기 대비 5조9068억원(11.2%) 증가한 58조7096억원의 보험료를 거둬들였다. 장기손보(3.3%), 일반손보(8.9%), 자동차보험(2.5%) 등이 고르게 증가했다. 퇴직연금은 금리 등을 변경해서 재가입하는 상품 교체 영향으로 100.3% 증가했다.보험사의 상반기 총자산이익률(ROA)과 자기자본이익률(ROE)은 각각 1.56%와 10.95%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72%포인트, 1.14%포인트 상승했다.6월 말 총자산은 1169조원으로 141.1조원(10.8%) 감소했고 자기자본은 167조원으로 78.1조원(87.9%) 증가
-
위기의 저축은행, 상반기 순손실 1000억원
저축은행들이 올해 상반기에 1000억원에 육박하는 순손실을 내면서 적자 전환했다. 연체율이 6개월 만에 2%포인트 가까이 상승하는 등 건전성도 악화하고 있다.28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상반기 저축은행 영업실적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은 상반기에 962억원 순손실을 냈다. 작년 상반기(8956억원 흑자)에 비해 순이익이 1조원 가까이 급감했다. 예대금리차(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 축소로 이자이익이 작년보다 5221억원 감소해서다. 작년 상반기 6.19%포인트이던 저축은행 예대금리차는 올 상반기 4.72%포인트로 축소됐다.부실에 대비한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전년보다 6292억원 늘어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영업이익은 올해 상반기 1285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작년 상반기(1조1565억원 흑자)보다 1조2850억원 줄었다.저축은행의 자산건전성은 나빠지고 있다. 올 6월 말 기준 총여신 연체율은 5.33%로 작년 말(3.41%)보다 1.92%포인트 상승했다. 기업 대출 연체율은 5.76%, 가계대출 연체율은 5.12%로 지난해 말 대비 각각 2.93%포인트, 0.38%포인트 올라갔다.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부실채권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NPL) 비율도 5.61%로 작년 말보다 1.53%포인트 상승했다.최한종 기자
-
4대銀 '손실처리 부실대출' 41% 급증
은행권의 하반기 실적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고금리 장기화 여파로 부실 가계·기업대출이 늘어나면서 대손상각비 등 관리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어서다.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예·적금 이자비용도 증가하고 있어 은행 수익성이 악화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회수 못하는 부실대출 ‘껑충’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은행의 대손상각비는 1조697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1조2038억원)보다 41% 증가했다.대손상각비는 대출해줬다가 회수하지 못하고 손실로 떠안은 비용을 말한다. 대손상각비가 늘어났다는 것은 회수를 포기한 부실 대출이 많아지고 있다는 뜻이다. 대출 자산이 큰 국민은행이 6748억원으로 가장 많고 우리(4251억원) 하나(3853억원) 신한(2126억원) 은행 순이었다.금융권에서는 대손상각비 부담이 은행권의 하반기 실적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고금리 기조 속에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개인·기업대출 차주들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면서다. 대손상각비가 늘어나면 판매관리비가 증가해 은행 순이익은 그만큼 줄어든다.3개월 이상 연체돼 부실채권으로 분류되는 4대 은행의 고정이하여신(NPL)은 올 상반기 3조1650억원으로 작년 상반기(2조5732억원)에 비해 23% 증가했다. 4대 은행의 NPL 비율은 전년 동기(0.13~0.21%)보다 상승한 0.19~0.27%를 기록했다.대출 건전성도 크게 나빠지고 있다. 4대 은행이 ‘3단계’(회수 불가능)로 분류한 부실 대출채권은 상반기에만 6조7459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5조5418억원)보다 21.7% 증가했다.은행들은 보유한 대출 채권의 미래 위험 수준을 기대신용손실(ECL) 모형을 통해 측정한다.
-
'AI 반도체' 적수가 없다…엔비디아, 또 깜짝 실적
“새로운 컴퓨팅의 시대가 시작됐다.”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사진)가 23일(현지시간) 2분기 실적 발표 후 낸 성명에서 한 말이다. 그는 “전 세계 기업이 인공지능(AI)을 채택하고 나섰다”며 “생성AI를 도입하기 위한 경쟁이 시작됐다”고 강조했다.엔비디아가 2분기에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다음 분기 매출 전망치도 월가 예상치를 훨씬 웃도는 160억달러를 제시하는 등 하반기에도 고속 성장을 이어갈 것임을 예고했다. 엔비디아는 생성AI 학습에 필수인 그래픽처리장치(GPU) 시장을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다. 앞으로 AI산업이 성장하면서 핵심 기술을 쥐고 있는 엔비디아의 실적과 주가도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AI산업 전망 밝아…상승세 이어질 것”엔비디아는 이날 뉴욕증시 마감 이후 2024회계연도 2분기(2023년 5~7월)에 135억1000만달러의 매출과 주당순이익 2.70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1%, 429% 증가한 수치다. 월가 추정치인 매출 112억2000만달러, 주당순이익 2.09달러를 훌쩍 웃돌았다. 월가에선 생성AI 열풍에 따른 GPU 수요 급증과 품귀 현상으로 엔비디아의 2분기 실적이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는데, 그 예상치마저 뛰어넘은 것이다. 엔비디아는 글로벌 GPU 시장의 80% 이상을 장악하고 있다.모든 사업별 매출이 늘었다. 클라우드 서버와 관련된 데이터센터 매출은 103억2000만달러로 예상치(80억2000만달러)를 크게 웃돌았다. 게임 분야 사업 매출(24억9000만달러)도 예상치(23억8000만달러)를 넘겼다.엔비디아는 3분기 매출 가이던스로 월가 예상치(126억1000만달러)보다 훨씬 높은 160억달러를 제시했
-
엔비디아 '폭발적 성장'…젠슨 황 '기술 중심' 리더십 빛났다
“새로운 컴퓨팅의 시대가 시작됐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23일(현지시간) 실적 발표 후 낸 성명에서 한 말이다. 그는 “전 세계 기업이 인공지능(AI)을 채택하고 나섰다”며 “생성AI를 도입하기 위한 경쟁이 시작됐다”고 강조했다.엔비디아의 몸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엔비디아는 생성AI 학습에 필수인 그래픽처리장치(GPU) 시장을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다. 앞으로 기업들의 AI 기술 도입이 증가하면서 지금도 품귀현상을 빚고 있는 GPU에 대한 수요가 더욱 높아진다는 것이다. AI 산업이 성장하면서 핵심 기술을 쥐고 있는 엔비디아의 실적과 주가도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뛰는 실적, 날아오른 주가엔비디아는 23일(현지시간) 2024회계연도 2분기(2023년 5~7월) 135억1000만달러의 매출과 주당순이익 2.70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1%, 429% 증가한 수치다. 월가 추정치인 매출 112억2000만달러, 주당순이익 2.09달러를 훌쩍 웃돌았다. 월가에선 생성AI 열풍에 따른 GPU 수요 급증과 품귀 현상으로 엔비디아의 2분기 실적이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는데, 그 예상치마저 뛰어넘은 것이다. 엔비디아는 글로벌 GPU 시장의 80% 이상을 장악하고 있다.모든 사업별 매출이 우상향했다. 클라우드 서버와 관련된 데이터센터 매출은 103억2000만달러로 예상치(80억2000만달러)를 크게 상회했다. 게임분야 사업 매출(24억9000만달러)도 예상치(23억8000만달러)를 넘겼다.젠슨 황 CEO는 “지난 분기 동안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들은 엔비디아 GPU인 H100를 통한 대규모의 AI 인프라 확충에 나섰다”며 “주요 IT 기업들도 엔비디아의
-
'AI 황제' 엔비디아,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주가 '급등'
“멈출 줄 모르는 AI 열차에 탑승한 그래픽 칩 거인이 시장 기대치를 날려버렸다.”야후파이낸스가 23일(현지시간)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엔비디아의 실적을 이같이 평가했다. 인공지능(AI) 반도체 선두주자인 엔비디아가 2분기에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다음 분기 매출 전망 역시 월가 예상치를 훨씬 웃도는 160억달러를 제시하면서 주가가 장 마감 이후 8% 이상 급등했다.엔비디아는 이날 2024회계연도 2분기(2023년 5~7월) 135억1000만달러의 매출과 주당순이익 2.70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1%, 429% 증가한 수치다. 월가 추정치인 매출 112억2000만달러, 주당순이익 2.09달러를 훌쩍 웃돌았다. 월가에선 생성AI 열풍에 따른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요 급증과 품귀 현상으로 엔비디아의 2분기 실적이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는데, 그 예상치마저 뛰어넘은 것이다. 엔비디아는 글로블 GPU 시장의 80% 이상을 장악하고 있다.모든 사업별 매출이 우상향했다. 클라우드 서버와 관련된 데이터센터 매출은 103억2000만달러로 예상치(80억2000만달러)를 크게 상회했다. 게임분야 사업 매출(24억9000만달러)도 예상치(23억8000만달러)를 넘겼다.향후 전망도 밝다. 엔비디아는 3분기 매출액으로 월가 예상치(126억1000만달러)보다 훨씬 높은 160억달러를 제시했다. 연간기준으로 매출이 작년보다 170%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함께 엔비디아 이사회는 250억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도 승인했다.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새로운 컴퓨팅 시대가 시작됐다”며 “전 세계 기업이 생성AI로 전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분기 동안 주요 클라우드
-
[속보] 엔비디아 2분기 실적 '어닝 서프라이즈'…주가 급등
인공지능(AI) 반도체 강자인 엔비디아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2분기(5∼7월) 실적을 발표했다.엔비디아는 23일(현지시간) 회계연도 2분기 135억1000만달러의 매출과 주당 2.70달러의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금융정보업체 레피니티브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인 매출 112억2000만달러, 주당순이익은 2.09달러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실적 발표 후 엔비디아 주가는 8% 이상 급등했다.실리콘밸리=최진석 특파원 iskra@hankyung.com
-
'붉은사막' 영상 공개에도 파랗게 질린 주가…"신작 하세월"
펄어비스가 시장의 기대를 모았던 신작 '붉은사막'의 플레이 영상을 공개했지만 주가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실적이 악화일로인 상황에서 신작 출시 일정마저 늦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 탓이다.펄어비스는 23일 오후 2시 전일 대비 약 12.5% 내린 4만72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한달 간 최대 낙폭이다. 전날 글로벌 시장에 차세대 기대작을 공개했지만 증시에선 실망 매물이 쏟아지고 있다. 펄어비스는 22일(현지시간) 독일 쾰른에서 열리는 게임 박람회 '게임스컴 2023'의 개막 전야제 행사에서 약 3분 길이인 붉은사막 인게임(실제 게임 내용) 영상을 공개했다. 2년 8개월에 나온 신규 게임 영상이다. 펄어비스는 2020년 말 북미 최대 게임 행사인 '더게임어워드'에서 붉은사막 트레일러 영상을 공개했다. 증권가에선 영상이 공개되자 오히려 신작 기대가 반감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주가를 끌어올릴 단기 모멘텀 재료가 없어진데다 기존에 예상됐던 내년 상반기 신작 출시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오히려 커졌다는 설명이다. 게임업계에 따르면 붉은사막은 올해 게임스컴에 국내 대형 게임기업이 새로 출품한 게임 중 유일하게 베타테스트나 시연 행사가 없는 게임이다. 한 대형 게임사 관계자는 “글로벌 게임업계에서 손에 꼽는 큰 행사에 3분짜리 영상만 나왔을 뿐, 일부 맵(게임상 공간)이라도 데모 버전을 내놓지 못했다"며 "실제 게임 완성까지는 한참이 남았을 공산이 크다”고 분석했다.다른 게임업계 관계자는 "당초엔 작년에 10분 넘는 길이로 실제 플레이 영상을 공개하기로 했는데 해를 넘겨 약 3분 분량 영상이 나온 것"이라며 "출시는 기
-
GS리테일 반등…"구조조정 기대"
한동안 부진하던 GS리테일 주가가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온라인 사업부문의 비용 절감을 통한 실적 개선과 함께 중국인 관광 재개로 호텔사업(파르나스호텔)의 턴어라운드도 기대된다.21일 GS리테일은 유가증권시장에서 2.26% 하락한 2만3750원에 마감했다. 이날 소폭 떨어졌지만 지난달 이후 11.7% 오르며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GS리테일 주가는 지난달 26일엔 1만9600원으로 52주 신저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주가 반등의 계기는 지난 8일 ‘깜짝 실적’ 발표였다. GS리테일의 2분기 영업이익은 972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에 비해 94.5% 늘어났다. 시장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인 802억원보다 21% 많았다.GS프레시몰의 새벽배송 등을 중단하며 적자 폭을 줄인 데다 호텔 사업부문의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는 분석이다. GS프레시몰의 2분기 영업적자는 125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에 비해 64.2% 줄었다. 호텔 사업부문 영업이익은 170% 늘어난 219억원이었다.증권가에서는 비용 절감 및 구조조정 등 수익성 강화 조치가 주가 향방을 결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 HSBC는 최근 GS리테일에 대해 “GS프레시몰 사업을 중단하면 GS리테일의 올해 영업이익은 현재 전망 대비 14%가량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GS프레시몰은 온라인 시장에서 존재감이 작고 회사의 강점인 편의점 및 슈퍼마켓에서 더 나은 기회를 찾아야 한다”고 했다.박상준 키움증권 연구원도 “GS프레시몰에 대해서는 전략적 판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며 “오프라인 중심으로 사업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배태웅 기자
-
깜짝 실적 낸 GS리테일, 바닥 찍고 '반등'…"주가 11% 껑충"
하락세를 이어온 GS리테일 주가가 최근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2분기 신사업 분야 비용 절감 등으로 호실적을 기록한데다 중국 관광객 수혜도 예상되고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수익성 강화를 위한 구조조정 등의 조치가 하반기 주가 향방을 결정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GS리테일은 지난달 말부터 이날까지 11.7% 올랐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가 4.7% 하락한 점을 고려하면 시장 수익률을 크게 웃돌았다.GS리테일 주가는 올해 들어 지난달 말까지 23.4% 하락하며 약세를 벗어나지 못했다. 지난달 26일엔 1만9600원으로 52주 신저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편의점 사업 부문의 성장 부진, 온라인 사업 부문인 GS프레시몰 적자 지속, 중국 관광객 감소 등이 겹치며 주가가 부진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주가가 본격적으로 반등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 8일 GS리테일이 ‘깜짝 실적’을 발표하면서다. GS리테일의 2분기 영업이익은 972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에 비해 94.5% 늘어났다. 증권가 전망치였던 802억원을 21%가량 웃돌았다.GS프레시몰의 새벽배송 등을 중단하며 적자 폭을 줄인데다 호텔사업 부문의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기 때문이다. GS프레시몰의 2분기 영업손실은 125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에 비해 64.2% 줄어들었다. 호텔사업 부문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170% 늘어난 219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10일 중국이 한국단체 관광을 허용한 것도 GS리테일 주가를 들어올린 호재로 꼽힌다.증권가에서는 비용 절감 및 구조조정 등 수익성 강화 조치가 주가 향방을 결정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인 HSBC는 최근 GS리테일에 대한 보고서를 내고 GS프레시몰 사업을 중단할 경우 GS리테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