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ASML 이전 안돼"…네덜란드 25억유로 긴급 투입

    "ASML 이전 안돼"…네덜란드 25억유로 긴급 투입

    네덜란드가 세계 유일 극자외선(EUV) 노광장비 제조기업인 ASML의 이전을 막기 위해 25억유로(약 3조7000억원)의 자금을 투입하기로 했다. 네덜란드의 반이민 정책으로 고급 인력확보에 어려움을 느낀 ASML이 본사 이전 가능성을 시사하자 정부가 특단의 대책을 내놓았다는 평가다.28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네덜란드 정부는 ASML 본사가 있는 펠트호번 인근 에인트호번 지역의 인프라를 대대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25억유로 상당의 예산을 지원하는 ‘베토벤 작전’의 세부 계획을 공개했다. 네덜란드계 독일인이었던 베토벤의 이름을 따 만든 이 작전은 베토벤과 ASML 모두 '아름다운 것을 만들었다'며 붙여진 이름이다.이번 계획에는 ASML 본사가 있는 에인트호번 지역의 주택, 교육, 교통, 전력망 인프라를 대대적으로 개선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에인트호번 지방 정부가 8억유로를 지원하고 나머지는 중앙 정부에서 부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네덜란드 정부는 또한 기업의 경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새로운 세제 혜택 조처를 의회에 제출하겠다고 밝혔다.네덜란드 내각은 성명에서 "이러한 조처를 통해 ASML이 지속해 투자하고 법상, 회계상 그리고 실질적인 본사를 네덜란드에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정부가 특단의 조처를 내놓은 건 반도체 업계에서 '슈퍼 을(乙)'로 통하는 ASML이 최근 정부 반이민 정책을 이유로 본사 이전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 총선에서 승리한 극우 자유당(PVV)은 자국 대학에서 공부하는 외국 유학생 숫자를 제한하고 고숙련 이주노동자에 대한 세제 혜택을 없애는 안을 가결했다.ASML은 네덜란드 직원 2만3000명

  • 너무 뛴 AI 반도체…소부장 ETF로 갈아탈까

    너무 뛴 AI 반도체…소부장 ETF로 갈아탈까

    인공지능(AI)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상장지수펀드(ETF)가 가격 부담이 커진 AI 반도체 대형주 상품의 대체 투자처로 떠오르고 있다. AI 반도체 대장주인 엔비디아의 주가 급등세가 한풀 꺾이자 반도체 소부장 종목이 주가 상승 바통을 이어받으면서다.◆1위 자리 갈아치운 소부장 ETF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ODEX AI반도체핵심장비’ ETF는 최근 한 달 동안 28.83% 급등했다. 올해 들어 줄곧 수익률 상위권을 차지하던 엔비디아 중심 AI 반도체 상품을 제치고 전체 수익률 1위에 올랐다. 한미반도체, 이수페타시스, 리노공업 등 국내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핵심 기업 주가가 고공 행진한 데 따른 것이다.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한미반도체는 17.13% 오른 13만4000원에 마감하며 장중 신고가를 경신하기도 했다. 이에 비슷한 구조의 AI 반도체 소부장 ETF인 ‘SOL 반도체후공정’(28%), ‘TIGER AI반도체핵심공정’(20.91%), ‘ACE AI반도체포커스’(20.85%)도 한 달 새 일제히 상승했다.반면 미국 증시를 주도하며 급등하던 엔비디아는 최근 1주일간 0.95% 오르는 데 그치며 주춤하고 있다. 월가에서도 과도한 엔비디아 쏠림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글로벌 투자은행(IB) UBS는 “AI 열풍에는 일리가 있지만 과열 우려가 있다”며 “중소형주를 포트폴리오에 넣어 다각화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27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는 2.5% 하락한 채 마감했지만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지수는 2.13% 상승했다.증권가에서는 중소형 반도체 소부장 종목으로 주도주가 옮겨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으로도 AI가 증시를 주도할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인 상황에서

  • 엔비디아 주춤한 사이…바통 이어받은 AI 소부장 ETF

    엔비디아 주춤한 사이…바통 이어받은 AI 소부장 ETF

    인공지능(AI)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상장지수펀드(ETF)의 주가가 고공행진하고 있다. AI 반도체 대장주인 엔비디아의 주가 급등세가 한풀 꺾이자 반도체 소부장 종목이 주가 상승 바통을 이어받았다.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SOL 반도체후공정’은 최근 한 달 새 27% 급등했다. 한미반도체, 이수페타시스 , 리노공업 등 국내 반도체 후공정 핵심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상품이다. AI 반도체용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 폭증으로 한미반도체(26%) 등이 상승하자 수익률이 고공행진하고 있다.비슷한 구조의 HBM 관련 소부장 ETF인 'KODEX AI반도체핵심장비'(26.7%) 'TIGER AI반도체핵심공정'(20.1%) 'ACE AI반도체포커스'(19.4%)도 같은 기간 일제히 상승했다.미국 증시를 주도하며 급등하던 엔비디아는 최근 한 달간 3.5% 오르는 데 그치며 주춤하고 있다. 이에 'KODEX 미국반도체MV'(9.2%) 등 무섭게 오르던 AI반도체 ETF도 소강 상태를 보이고 있다.AI 시대 반도체 전공정에서는 미세화를 위한 기술적 한계가 지목되면서 후공정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전공정은 D램 같은 반도체를 생산하는 공정을 의미하고 후공정은 이렇게 생산된 반도체를 기판 위에 배치해 하나의 부품으로 만드는 것을 뜻한다. AI 반도체 필수품으로 꼽히는 HBM의 경우 다수의 칩을 연결해 효율을 높여야 하는데 이를 위한 후공정 패키징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전문가들은 AI 열풍의 수혜를 누릴 수 있는 반도체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후공정 ETF가 랠리를 펼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HBM 선도기업 S

  • 다시 '8만전자' 시대…외국인 "K반도체 아직 싸다"

    다시 '8만전자' 시대…외국인 "K반도체 아직 싸다"

    코스피지수가 약 2년 만에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투톱’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나란히 신고가를 경신했다. 외국인이 이들 종목에 끊임없이 러브콜을 보낸 영향이다. ‘10만전자’ ‘20만닉스’가 현실화할 것이란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외국인이 끌어올린 ‘8만전자’26일 코스피지수는 전일 대비 0.71% 오른 2757.09로 마감했다. 2022년 4월 5일 2759.20 후 최고치다. 장중 2779.40을 찍으며 2780선을 바라보기도 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6246억원, 4816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은 1조863억원어치를 팔았다.반도체 대표주들이 대거 신고가를 경신했다. 삼성전자(1.78%)는 장중 8만100원까지 올랐다. 삼성전자 주가가 장중 8만원대를 기록한 건 2021년 12월 29일 이후 약 2년3개월 만이다. 외국인이 4750억원, 기관이 1995억원어치를 매수했다.SK하이닉스도 4.25% 상승한 17만6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17만9500원을 찍으며 역대 최고가를 다시 썼다. 현재 시가총액은 약 128조5652억원이다. 외국인이 1232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한미반도체는 15.50% 오른 11만2500원까지 상승하며 신고가 행렬에 동참했다. 이 종목은 올해 들어서만 82.33% 올랐다. 외국인이 이날 하루 844억원어치 순매수했다.LG에너지솔루션(-2.05%), 삼성바이오로직스(-1.43%), 셀트리온(-1.32%), 포스코홀딩스(-0.69%), 삼성SDI(-2.67%), LG화학(-2.50%) 등은 내렸다. 삼성화재와 삼성카드는 배당락일을 맞아 모두 5% 이상 떨어졌다.코스닥시장에서도 반도체주가 돋보였다. 주성엔지니어링(4.73%), ISC(6.55%), 어보브반도체(2.01%) 등이 상승했다. 반도체를 비롯해 제약·바이오주와 엔터주가 오르면서 코스닥지수는 0.26% 상승한 91

  • 애플 '투자 확대' 구애에…中 "외국기업 동등하게 대우"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등 주요 글로벌 기업 CEO들이 중국발전포럼(CDF)에 참석해 ‘대(對)중국 투자 확대’ 의사를 잇따라 밝혔다. 중국 정부는 ‘친시장 정책’을 약속하며 화답했다.25일 중국 관영 환구시보에 따르면 쿡 CEO는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전날부터 이날까지 이틀간 일정으로 열린 중국발전포럼에 참석해 “중국과 중국인을 사랑한다”며 “중국 현지 연구개발(R&D)에 계속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그 일환으로 비전 프로를 올해 안에 중국 시장에 출시하겠다”고 했다. 쿡 CEO의 이번 방문은 올 들어 중국 내 아이폰 판매량이 24% 감소하는 등 애플이 중국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이뤄졌다.미·중 반도체 전쟁의 중심에 서 있는 마이크론 SK하이닉스 등도 대중국 투자 확대 의사를 밝혔다. 산제이 메흐로트라 마이크론 CEO는 지난 23일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 장관과 면담한 자리에서 “중국 법규를 엄격히 준수할 것”이라며 “중국 반도체산업과 디지털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중국 내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도 22일 왕 장관과 만나 “중국은 SK하이닉스의 가장 중요한 생산거점이자 판매시장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며 “앞으로도 중국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중국 내 사업을 끊임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이에 중국 관영지 글로벌타임스는 “곽 사장의 이번 방문은 중국에서 ‘더 큰 성공’을 이루겠다는 SK하이닉스의 의지를 보여준다”고 추켜세웠다.중국 정부도 글로벌 기업의 중국 투자를 어렵게 하는 각종 규제를 완화하겠다며 친시

  • 1년간 조선·바이오 늘린 외국인…실적악화 유통주는 매도

    1년간 조선·바이오 늘린 외국인…실적악화 유통주는 매도

    최근 1년간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에서 반도체와 제약·바이오, 2차전지 비중을 늘린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초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이후 지주사와 금융사 비중도 커졌다.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이 보유한 유가증권시장 주식 시가총액(21일 기준)은 764조5305억원으로 유가증권시장 전체 시총(2244조1699억원)의 34.07%를 차지했다. 2022년 1월 26일(34.2%) 후 가장 높은 수치다. 반도체주 매수가 두드러졌다. 지난 1년 사이 삼성전자의 외국인 보유 비중은 50.72%에서 54.85%로 늘었다. SK하이닉스도 50.34%에서 54.39%로 확대됐다. 한미반도체(5.70%→15.12%), HPSP(6.56%→22.96%), 피에스케이(15.81%→26.24%) 등도 외국인 비중이 2~3배 가까이 커졌다.외국인은 올해 주가순자산비율(PBR) 관련 테마가 불거지자 저PBR주로 통하는 지주사와 금융사 비중을 늘렸다. 그 영향으로 현대차의 외국인 비중은 1년 전 30.42%에서 최근 38.32%로 커졌다. 두산, 삼성증권, 삼성물산, KT, SK스퀘어, NH투자증권, 메리츠금융지주 등도 비중이 확대됐다.외국인은 조선과 제약·바이오 업종도 사들였다. 한화오션의 외국인 지분율은 1년 사이 3.28%에서 17.26%로 커졌다. 임상시험수탁기관(CRO)인 드림씨아이에스는 1년 전 1%도 안 되던 외국인 비중이 절반을 넘어섰다. HLB, 제이시스메디칼도 투자가 늘었다. 에코프로, 금양 등 2차전지와 아프리카TV,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도 비중이 늘었다.반면 포스코홀딩스는 외국인 비중이 49.41%에서 27.47%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이 기간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이 20%포인트 넘게 급감한 상장사는 포스코홀딩스뿐이었다.포스코홀딩스의 외국인 이탈

  • "테마형 ETF, 상장 후 석달은 사지 마세요"

    "테마형 ETF, 상장 후 석달은 사지 마세요"

    반도체와 2차전지 등 특정 업종에 투자하는 '테마형 상장지수펀드(ETF)'가 상장 초기 부진한 주가 흐름을 보이고 있다. 가장 인기를 끌 때 관련 ETF가 상장하지만 상장 이후에는 시장의 관심이 꺼지며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가 많았다. 22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이날까지 유가증권 시장에 신규 상장한 테마형(국내 주식) ETF는 34종이다. 이 중 상장한지 3개월이 지난 29개 상품 중 3개월이 지난 시점에 최초 상장가(1만원)를 웃돈 경우는 13개에 불과했다. 나머지 16개는 상장 후 3개월이 지난 시점의 주가가 최초 상장가를 밑돈 것으로 확인됐다. 상장 후 6개월이 지난 시점까지도 주가가 부진한 경우도 많았다. 지난해 1월~9월 상장한 15개 테마형 ETF 중 6개월이 지난 시점에 최초 상장 가격을 웃돈 상품은 5개에 불과했다. 특정 업종이 성장할 것이란 기대감 속에 새로 출시된 테마형 ETF에 투자한 투자자들은 짧게는 3개월, 길게는 6개월까지 손실을 떠안은 셈이다. 상장 후 단기 낙폭이 가장 컸던 상품은 'TIMEFOLIO K바이오액티브' ETF였다. 국내 바이오 업종에 투자하는 이 상품은 지난해 8월 출시했다. 3개월이 지난 시점의 주가는 8240원(-17.6%)에 그쳤고, 6개월이 지난 시점까지도 주가는 8120원(-18.8%)에 머물렀다.국내 태양광 업종에 투자하는 'ARIRANG 태양광&ESS Fn' ETF도 추이는 비슷했다. 상장 후 3개월(8710원), 6개월(7945원)이 지난 시점까지 최초 상장가(1만원)를 회복하지 못했다. 이날 주가도 8440원에 마감했다. 이 때문에 "테마형 ETF 출시 시점이 해당 섹터의 단기 고점"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2차전지와 바이오, 반도체 등 특정 업종이 부각된 이후에 관련 ETF가 출시하면

  • 외국인 반도체 폭풍 매수에 '8만전자' 눈앞

    외국인 반도체 폭풍 매수에 '8만전자' 눈앞

    외국인들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주를 쓸어 담았다. 대장주가 달리자 코스피지수는 2% 넘게 급등하며 2750선에 안착했다. 특히 삼성전자 주가는 8만원 목전까지 도달했다. 미국 통화정책의 불확실성 해소와 엔비디아 공급 확대 기대 등이 작용한 결과다. ○외국인 이틀째 쓸어담아21일 코스피지수는 2.41% 오른 2754.86으로 장을 마쳤다. 코스피지수가 2750선을 넘은 것은 2022년 4월 5일 이후 약 23개월 만이다. 전날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하 지연 우려가 해소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 글로벌 반도체 호황 기대도 작용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20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대해 긍정적인 발언을 한 데 이어 마이크론이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과 가이던스(자체 예상치)를 밝혔다.이에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1, 2위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상승하며 지수를 이끌었다. 삼성전자는 3.12% 오르며 ‘8만 전자’를 앞둔 7만9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SK하이닉스는 상승 폭이 더 컸다. 8.63% 오르면서 17만원대를 회복했다.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조원어치 넘는 주식을 사들였다. 이날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8782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지난 2월 2일(1조9344억원) 후 최대치다. 외국인은 전날에도 8538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외국인은 코스피200 선물도 1조6164억원어치 사들였다. 코스피지수가 더 상승할 것이란 기대가 반영됐다. 기관도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525억원어치를 매수하며 12월 20일(1조1549억원) 후 최대치를 경신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샀다. 외국인이 이날 사들인 삼성전자(1조649억원)와 SK하이닉스(3937억원)는 유가증권시장 전체

  • 美, 화웨이 공급망 차단…中 반도체社 추가 제재

    미국 정부가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와 연관된 중국 반도체 기업들을 무더기로 제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일 블룸버그는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상무부가 중국의 D램 반도체 제조사인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 등 반도체 업체 6곳을 상무부 수출통제 명단인 블랙리스트에 올릴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에 제재 대상으로 거론된 기업 대다수는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가 화웨이와의 밀착 관계를 폭로한 곳이다.미국 정부는 선전펑진테크놀로지, 시캐리어 등 첨단 반도체 장비 업체들도 제재 대상으로 새롭게 지정할 방침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화웨이가 미국의 제재로 첨단 반도체 장비 확보에 어려움을 겪자, 선전펑진테크놀로지와 시캐리어 등 기업 두 곳이 화웨이에 우회 수입 경로를 터준 것으로 나타났다.오현우 기자

  • 젠슨 황 한마디에 삼성전자 축포

    젠슨 황 한마디에 삼성전자 축포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에 고대역폭메모리(HBM)를 납품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에 6% 가까이 급등했다. 가온칩스 주성엔지니어링 등 엔비디아 수혜 기대주들도 오름세에 동참했다. 정부가 ‘밸류업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주주환원 강화 기업에 세제 혜택을 주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은행주, 보험주 등도 일제히 올랐다.삼성전자가 20일 5.63% 오른 7만6900원에 장을 마쳤다. 하루 상승폭으로는 지난해 9월 1일(6.13%) 후 가장 컸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전날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에서 삼성전자의 HBM에 기대를 내비친 영향이다.엔비디아에 HBM을 독점 공급하는 SK하이닉스는 삼성전자에 물량을 뺏길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며 주가가 2.31% 떨어졌다. 김영건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가 HBM 제조에서 SK하이닉스 대비 기술 열위에 있다는 인식이 완화되면서 두 종목의 희비가 엇갈렸다”고 말했다.황민성 삼성증권 연구원은 “납품이 성사되면 기관 포트폴리오에서 삼성전자 비중이 커지고 SK하이닉스 비중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면서 주가가 반대로 움직인 것”이라고 했다.전날 정부가 장 마감 뒤 “배당을 많이 늘리거나 자사주를 많이 소각한 기업에 법인세를 감면해 주겠다”고 한 것도 증시에 영향을 미쳤다. KRX보험(1.19%), KRX은행(1.18%), KRX증권(1.18%) 등 밸류업 수혜주로 불리는 주요 지수가 이날 일제히 상승했다. 삼성화재(2.60%), 삼성생명(2.46%) 등 2% 이상 오른 종목도 많았다.다만 2분기 전망까지 화창한 건 아니다. 전문가들은 ‘코스피지수의 상승 재료 소멸’을 우려하고 있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수석연구위원은 “미국 기준금리가 상반기 내려갈 가능

  • 비만 ETF '벌크업', K팝은 '곡소리'

    비만 ETF '벌크업', K팝은 '곡소리'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보다 특정 산업군에 투자하는 테마형 ETF가 주목받고 있다.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신규 상장한 ETF는 32개다. 이 가운데 비만치료제, 반도체, K팝 등 테마형 ETF가 다수를 차지했다. 이 중 비만치료제와 반도체 관련 ETF가 선전하고 있다. 지난달 출시된 ‘KODEX 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는 상장 후 15.61% 뛰었다. ‘TIGER 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도 1.54% 올랐다. 하헌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비만치료제 테마는 현재 주가보다 미용에서 건강으로 이어지는 비만약 시장의 성장성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말했다.엔비디아를 필두로 인공지능(AI) 반도체가 주목받으면서 반도체 테마도 줄줄이 상장됐다. 올해 출시된 상품은 하위 밸류체인인 소재·부품·장비가 주를 이뤘다. 지난달 출시된 ‘HANARO 반도체핵심공정주도주’ ‘SOL 반도체후공정’은 각각 6.80%, 10.38% 상승했다.반면 K팝 관련 테마형 ETF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 1월 상장한 ‘ACE KPOP포커스’는 지금까지 5.61% 떨어졌다. 이 상품은 국내 대표 엔터테인먼트 기업에 90% 이상 투자한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유행에 편승해 고른 테마는 손실 위험이 크다”고 말했다.이지효 기자

  • 1년 만에 '38% 폭락' 비명…"ETF도 잘 골라야" 고수의 조언

    1년 만에 '38% 폭락' 비명…"ETF도 잘 골라야" 고수의 조언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보다 특정 산업군의 종목에 투자하는 테마형 ETF가 주목받고 있다. 상대적으로 고수익을 낼 수 있어서다. 다만 일시적인 유행에만 탑승하는 투자는 지양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20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상장된 81개의 테마형 ETF 가운데 최근 3개월 간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한 상품은 47개에 달한다. 58.02%으로 전체의 절반이 넘는다. 테마형 ETF 10개 가운데 5개는 투자자 수익을 봤다는 얘기다. 가장 높은 수익을 낸 ETF는 방산, 원자력 관련 테마였다. 구체적으로 'ARIRANG K방산Fn'은 이 기간 수익률이 30%에 달했고, 'HANARO 원자력iSelect', 'ACE 원자력테마딥서치'도 각각 21.98%, 17.01%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는 5.75% 오른 것과 비교하면 시장 대비 큰 수익을 낸 셈이다. 재작년 말에서 작년 초 상장한 이들 테마형 ETF의 공통점은 성장성 있는 종목에 집중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방산주는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세계 각 지역의 군비 경쟁이 시작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에너지 리스크로 미국, 유럽 등을 중심으로 원자력 사업도 확대됐다. 국내 모멘텀도 있었다. 윤석열 정부가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방산과 원전 사업 지원 방침을 밝혀왔기 때문이다.올해 들어 상장한 ETF도 테마형이 다수를 차지했다. 최근 출시된 ETF의 테마는 크게 K팝과 비만치료제, 반도체가 꼽힌다. 기존 방산, 원자력 관련 ETF에서 주도 테마가 옮겨가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비만치료제와 반도체 관련 테마 ETF는 상대적으로 선전하고 있다. 지난달 상장한 'KODEX 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는 상장 이후 전날까지 14.80% 상승했다. 같은 시기에 나온

  • "TSMC, 日에 반도체 첨단 패키징 도입 검토"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가 첨단 패키징(후공정) 공정을 일본에서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TSMC가 일본 구마모토현에 반도체 공장을 세운 데 이어 첨단기술 활용까지 나서면서 일본의 반도체 부활 전략이 탄력을 받게 됐다는 평가다.로이터통신은 18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TSMC가 첨단 패키징 공정인 ‘칩 온 웨이퍼 온 서브스트레이트(CoWoS)’를 일본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이 계획이 실행되면 반도체산업 부활을 꿈꾸는 일본에 결정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현재 TSMC는 CoWoS 패키징 공정을 대만에서만 수행하고 있다. 칩을 서로 쌓아 처리 능력을 높이는 동시에 공간을 절약하고 전력 소비를 줄이는 고정밀 기술이다. 엔비디아의 첨단 인공지능(AI) 가속기 ‘H100’도 이 공정으로 생산한다. AI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면서 웨이저자 TSMC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월 “올해 CoWoS 생산량을 두 배로 늘리고, 내년에 추가 생산량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TSMC는 일본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현지 패키징 공정을 확대하고 있다.김세민 기자

  • 반도체 업황 회복되자 뛰는 1분기 상장사 실적…반도체·조선주 웃었다

    반도체 업황 회복되자 뛰는 1분기 상장사 실적…반도체·조선주 웃었다

    반도체 업황이 개선되면서 올 1분기 상장사들의 전체 실적 전망도 함께 상향되고 있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실적 전망이 상향되면서 반도체 장비·소재 업체들의 실적 전망도 함께 올라가고 있다. 18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실적 전망치가 존재하는 상장사 200곳의 올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41조3335억원으로 1개월 전 40조8720억원 대비 1.12% 상향됐다. 작년 1분기(25조9879억원)와 비교하면 59% 늘어난 금액이다. 올해 1분기 실적 전망은 글로벌 경기침체로 한동안 하향조정되고 있었지만 반도체 경기 회복 전망이 다시 커지면서 상향되고 있다.특히 조선·반도체 업종 기업들이 지난해 대비 실적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 1분기 작년 대비 647.5% 늘어난 4조785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작년 1분기 적자를 기록했던 SK하이닉스도 올해는 1조1846억원의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장비 및 소재주들도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 고대역메모리(HBM)용 TC본더를 제조하는 한미반도체는 올 1분기 작년 대비 230억원 이상 늘어난 255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주성엔지니어링과 덕산네오룩스 등의 업체도 전년대비 영업이익이 각각 70억원, 100억원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삼성전자가 반도체 감산을 하면서 메모리 가격이 정상화되고 있고,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가 계속 커지면서 반도체 업황이 개선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이민희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올 1분기도 디램(DRAM)과 낸드메모리 평균판매가격은 각각 직전분기대비 11%, 10% 씩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삼성전자

  • "한국 증시, 결국 日처럼 간다"…외국인 '우르르' 몰리는 이유

    "한국 증시, 결국 日처럼 간다"…외국인 '우르르' 몰리는 이유

    “외국인 기관투자가들로부터 매일 밤 전화를 받습니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가 생각보다 상당해요.” (목대균 KCGI자산운용 대표)“한국 증시가 일본처럼 레벨업 할 거라 보는거죠. 주가순자산비율(PBR) 1배는 일단 사두자는 분위기입니다.” (이세철 씨티글로벌마켓증권 리서치센터장)외국인 투자자의 사상 최대 매수세 속에 14일 코스피지수가 2700선을 돌파하자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일본 증시에 대한 ‘학습효과’와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가 외국인 자금을 끌어들이고 있다고 분석한다. 국내 기관까지 ‘사자’에 가세하면서 코스피지수는 당분간 랠리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밸류업 프로그램 세일즈 나선 정부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은 올들어 유가증권시장에서 12조2044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1998년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뒤 사상 최대 규모다.외국인의 ‘바이 코리아’는 뜻밖이란 평가가 많다. 올해초만해도 한국 증시엔 비관론이 팽배했기 때문이다.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25년 만에 일본에 뒤졌고, 기업의 실적전망은 계속해서 낮아졌다. 지난 1월 미국과 일본을 중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