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나인테크 자회사 탈로스, 교보증권과 IPO 주관계약 체결

    나인테크 자회사 탈로스, 교보증권과 IPO 주관계약 체결

    코스닥 상장사 나인테크의 자회사 탈로스는 상장 주관사로 교보증권을 선정했다고 21일 밝혔다.탈로스는 2005년 설립된 방위산업용 이차전지 전문 업체다. 국가방위산업, 국가기간사업, 우주항공산업 등 특수 분야에 필요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와 충전기를 개발 및 생산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는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등 국내 방위산업 기업 및 기관이다.회사 측은 "자사의 제품은 진동, 충격, 온도 등 안정성이 뛰어나며 전시 작전 운용에 최적화돼있다"며 "기술력을 바탕으로 민수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탈로스는 올해 코넥스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올해 매출 목표는 120억 원이다. 2023년 방위산업 분야에서 매출 150억 원을 달성하고 코스닥 이전 상장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채재호 대표는 "이달 초 이차전지 분야 장비 및 소재부품 전문기업인 나인테크와 경영권 양수도 계약을 체결했으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며 "코넥스 상장을 발판으로 2차전지 원전 기술을 신성장 동력으로 키우겠다"고 말했다.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

  • '뻥튀기 수요예측' 개정안 곧 시행…기관 경쟁률 얼마나 줄어들까?

    올해 하반기부터 기업공개(IPO) 때 기관투자가 수요예측 경쟁률이 전보다 눈에 띄게 낮아질 전망이다. 금융당국이 오는 5월부터 IPO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투자일임 회사의 자격을 제한하기로 해서다.1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오는 5월 이후 국내 등록된 투자자문 및 일임 회사 중 66%가 IPO 수요예측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금융투자협회는 IPO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투자일임 회사의 자격을 제한하는 내용의 ‘수요예측 시장 질서 유지를 위한 인수 업무규정 개정안’을 의결했다.투자일임 회사는 등록 후 2년이 지나야 하고, 투자일임 재산 규모가 50억원을 넘어야 한다. 등록 후 2년이 지나지 않은 경우 투자일임 재산 규모가 300억원 이상이어야 한다. 개정안을 적용하면 지난해 9월 기준 투자일임 회사로 등록된 투자자문사 176곳 중 116곳이 수요예측 참여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이들을 배제할 경우 기관 청약 주식 수는 10% 이상 줄어들 것으로 IB업계는 추정하고 있다. 지난 2월 상장한 LG에너지솔루션의 수요예측에 개정안 적용을 가정하면, 기관 경쟁률은 2023 대 1에서 1884 대 1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운용사 448곳 등 총 1988개 기관이 참여했는데, 이 중 6%가 자격 미달로 공모주를 신청하지 못하기 때문이다.IB업계 관계자는 “경쟁률 1000 대 1을 넘는 유망 공모 기업을 가정했을 때 수요예측 경쟁률 숫자가 200~300 정도는 빠진다고 봐야 할 것”이라며 “2000 대 1 이상으로 경쟁률이 치솟는 현상은 다시 보기 어렵게 됐다”고 말했다.전문가들은 개정안 시행 이후에도 기관들이 자산 규모를 크게 뛰어넘는 공모주를 신청하는 ‘오버 베팅’은 지속할 것으

  • 유니콘 특례 1호 보로노이, 결국 상장 철회

    ECM

    유니콘 특례 1호 보로노이, 결국 상장 철회

    유니콘 특례 상장 1호로 관심을 모았던 약물 설계 전문기업 보로노이가 수요예측 실패로 상장을 철회했다. 현대엔지니어링, 대명에너지에 이어 올해 들어 세 번째다. 공모주 시장이 침체기로 접어든 데다 바이오 업종의 투자 심리가 악화한 영향으로 풀이된다.1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보로노이는 지난 14~15일 진행한 수요예측에서 모집 물량을 채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배정 물량은 전체 공모 주식의 75%인 150만주로 공모가 하단 기준 750억원 규모다.수요예측에는 국민연금 등 대형 연기금과 운용기관 몇 곳이 참여했으나 대부분의 투자운용사가 불참했다. 기관 투자가 중 일부는 희망공모가(5만~6만5000원)의 상단을 제시하기도 했으나, 참여 기관 숫자와 신청 수량이 적었던 탓에 공모주를 배정하기 어려웠다. 공모가를 희망 가격보다 대폭 낮추는 방법도 있었지만, 회사 측은 기존 투자자들이 손실을 볼 수 있어 철회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보로노이는 상장 전 투자유치(프리IPO) 과정에서 1000억원을 조달하면서 기업가치를 최대 1조20000 억원 대로 평가받았다. DS자산운용, 나이스 F&I, DS 앤 파트너사 ES 인베스터 등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그러나 신라젠 사태 이후 제약·바이오 회사들의 주가가 하락하고 상장 요건이 강화되면서 몸값을 낮췄다. 희망공모가 기준 시가총액은 6667억~8667억원이었다.증권가는 보로노이가 상장을 재추진할 경우 1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 이 회사는 2019년 기술특례 방식으로 상장을 추진했으나 기술평가에서 두 차례 고배를 마시면서 상장이 무산됐다. 평가기관 두 곳에서 각각 A, BBB 등급 이상을 받아야 하는데 이를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이다.이번

  • ECM

    공구우먼 공모가 2만원…15일까지 일반청약 진행

    이번주는 공구우먼과 세아메카닉스 두 곳이 일반청약을 받는다.공구우먼은 여성 빅사이즈 전문 쇼핑몰로 지난 7~8일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57 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공모가는 희망가격(2만6000~3만1000원)의 하단보다 30% 낮은 2만원으로 결정했다. 공모주식 수는 112만 주로 224억원을 조달한다.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은 734억원이다.공구우먼은 2020년 매출 326억원, 영업이익 54억원을 달성했다. 지난해 1~3분기 누적 매출은 316억원, 영업이익은 6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매출은 4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상장 후 온라인 플랫폼 사업을 확장해 해외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14~15일 미래에셋증권에서 청약을 진행하고 23일 코스닥시장에 입성한다.세아메카닉스는 자동차 부품과 전자 부품을 개발하는 회사다. 희망 공모가격은 3500~4000원이며 총 공모 예정 금액은 희망가 상단 기준 약 266억원이다. 신주 발행 기준 약 186억원을 조달한다. 앞서 10~11일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을 했으며 최종 공모가는 14일 결정된다. 15~16일 신한금융투자에서 일반 청약을 받는다. 3월 말 코스닥시장 상장 예정이다.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은 희망가 상단 기준 1059억원 규모다.전예진 기자

  • 공구우먼, 공모가 30% 낮춘 2만원...시가총액 734억원

    ECM

    공구우먼, 공모가 30% 낮춘 2만원...시가총액 734억원

    여성 빅사이즈 전문 쇼핑몰 공구우먼이 코스닥 상장을 위해 기관 투자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수요예측에서 700억원 대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공구우먼은 지난 7~8일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57 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고 11일 밝혔다. 국내외 294개 기관이 참여했으며 신청 수량 기준 28%가 희망 가격(2만6000~3만1000원)의 하단보다 낮은 가격을 제시했다.이에 따라 최종 공모가는 2만원으로 확정했다. 희망 가격의 하단 대비 30% 낮은 금액이다. 공모주식 수도 140만주에서 112만주로 축소했다. 회사 측은 희망공모가 기준 364억~434억원을 계획이었으나, 수요예측에 실패하면서 공모 규모는 224억원으로 줄어들게 됐다.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도 1019억~1215억원에서 734억원으로 낮아졌다.상장을 주관한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최근 주식 시장의 불안정성과 위축된 투자 심리가 공모 흥행에 영향을 미쳤다"며 "시장 친화적인 가격으로 공모가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공구우먼은 1세대 플러스 사이즈 여성 의류 전문 기업이다. 0~9까지를 뜻하는 사명은 모든 여성이 체형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의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미다.이 회사는 2000년대 초반부터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회원 수 44만 명을 확보했다. 온라인 중심의 자체 플랫폼을 구축해 이커머스에 최적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했다.실적도 성장세다. 2020년 매출 326억원, 영업익 54억원을 달성했다. 지난해 1~3분기 누적 매출은 316억, 영업익은 6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연간 매출 4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매출액 성장률은 2020년 33%, 2021년 40%대다. 영업이익률은 2020년 16.5%에서 2021년 20%대다.

  • SK하이닉스 前 계열사 큐알티, 코스닥 상장 추진

    ECM

    SK하이닉스 前 계열사 큐알티, 코스닥 상장 추진

    SK하이닉스의 계열사였던 반도체 성능 평가 전문기업 큐알티가 코스닥 상장을 추진한다.1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큐알티는 최근 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 심사를 청구했다. 연내 상장이 목표다.이 회사는 1983년 현대전자에서 시작해 반도체 성능 평가 분야에서 40년간 업력을 쌓았다. 1999년 현대전자와 LG반도체가 합병한 이후 2001년 하이닉스반도체의 계열사로 편입됐으며 2012년 SK가 하이닉스반도체를 인수하면서 SK하이엔지로 통합됐다.그러나 SK그룹의 출자 제한 문제가 불거지면서 반도체 검사 부문을 분할해 2014년 4월 큐알티로 새롭게 출범했다. 회사가 설립된 지 올해로 8년째지만 전신인 현대전자 때부터 반도체 신뢰성 평가와 인증 분야에서 기술을 축적하며 국내 반도체 산업과 함께 성장했다는 평가다.주력 사업은 반도체 제품의 신뢰성 평가와 불량 분석과 반도체 장비 보드의 제조 및 판매다. 경기도 이천과 충북 청주, 경북 구미에 설비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분석 지식과 기술을 보유한 전문 엔지니어가 반도체 IC, 능동 소자, 수동 소자, PCB 등 다양한 전자 부품에 대한 불량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기 및 물리적 고장 원인을 파악하고 불량 메커니즘을 규명해 불량품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이 회사는 반도체뿐만 아니라 자동차용 전자부품의 신뢰성 시험과 불량 분석 분야에서도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이밖에 모바일, 생활가전, 디스플레이 등 광범위한 전자부품의 수명, 충격 시험, 정전기 테스트, 위조 부품, 불량 검사 등을 수행한다.최근에는 2차전지 소재 분석 분야로 사업을 확장했다. 전기차 수요가 늘면서 2차전지 안전성이 중

  • 시총 1000억 도전하는 세아메카닉스 "미래차 부품 선도"

    ECM

    시총 1000억 도전하는 세아메카닉스 "미래차 부품 선도"

    "코스닥 상장 이후 미래 친환경 자동차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도약하겠습니다."조창현 세아메카닉스 대표이사는 8일 기업공개(IPO) 간담회를 열고 "우수한 다이캐스팅 기술력과 전기차, 수소차, 디스플레이 등 고성장 전방시장에 특화된 제품 라인업을 바탕으로 회사의 지속 성장 동력을 창출해 나가겠다"라며 이같이 말했다.1999년 설립된 세아메카닉스는 독자적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기술을 기반으로 자동차 부품 및 전자 부품을 개발·생산하는 기업이다. 주요 제품은 2차전지 부품, 전기자동차 및 전동이륜차 부품, 수소자동차 부품, 내연기관 부품,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다.이 회사는 고진공 다이캐스팅 기술력으로 미세한 결함을 줄인 고강도 부품을 생산하고 있다. 자동차 분야의 주요 제품은 2차전지 부품 엔드 플레이트, 전기자동차 부품 DC 케이스, 배터리 팩 부품, 전동이륜차 부품, 수소자동차 부품 밸브 하우징 등이다. 제어기 부품, 엔진 브래킷 등 내연기관 자동차 부품도 생산하고 있다.전자 부품 분야에서는 TV 스탠드, TV 월 마운트, 롤러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전광판 유닛, 전자칠판 스탠드 등을 생산하고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TV를 사용하지 않을 때 OLED 디스플레이를 본체 속으로 말아 넣는 방식을 세계 최초로 구현한 장치다.지난해 1~3분기 누적 실적은 매출 788억원, 영업이익 50억원, 당기순이익 54억원으로, 이는 전년(2020년) 동기 대비 각각 29.8%, 4.5%, 16.7% 증가했다. 매출은 2020년 전체 실적의 95% 수준을 3분기 만에 달성했다.코스닥 상장을 통해 유입된 자금은 신규 수주 대응을 위한 시설투자 등으로 활용한다. 이 회사는 경북 구미에 연간 5000억원 이상

  • 빅사이즈 쇼핑몰 공구우먼, 시총 1200억원 도전

    빅사이즈 쇼핑몰 공구우먼, 시총 1200억원 도전

    “플러스 사이즈 여성 패션 시장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을 선도하는 브랜딩 기업으로 도약하겠습니다.”빅사이즈 여성 의류 쇼핑몰 공구우먼의 김주영 대표는 7일 기업공개(IPO) 설명회에서 이같이 말했다.공구우먼은 1세대 플러스 사이즈 여성 의류 전문 기업이다. 0~9까지를 뜻하는 사명은 모든 여성이 체형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의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미다.이 회사는 2000년대 초반부터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회원 수 44만 명을 확보했다. 온라인 중심의 자체 플랫폼을 구축해 이커머스에 최적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했다.실적도 성장세다. 2020년 매출 326억원, 영업익 54억원을 달성했다. 지난해 1~3분기 누적 매출은 316억, 영업익은 6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연간 매출 4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매출액 성장률은 2020년 33%, 2021년 40%대다. 영업이익률은 2020년 16.5%에서 2021년 20%대다.공구우먼은 상장 후 온라인 플랫폼 사업을 확장해 해외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 하반기 해외사업부를 꾸려 영문 일문 중문 등으로 된 자사 몰도 구축했다. 디자인 연구소 중심의 제품 개발 능력을 기반으로 패션 플랫폼 전문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공구우먼의 총 공모주식 수는 140만 주로 희망공모가는 2만6000원~3만1000원, 총공모금액은 364억 원~434억 원이다. 예상 시가총액은 1019억 원 ~ 1215억 원이다. 7~8일 수요예측과 14~15일 청약을 거쳐 3월 23일 코스닥 시장에 입성할 예정이다.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 맡았다.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

  • 유일로보틱스, 기관경쟁률 1756대1…공모가 1만원 상향 조정

    유일로보틱스, 기관경쟁률 1756대1…공모가 1만원 상향 조정

    생산 자동화 로봇 토탈 솔루션 전문기업 유일로보틱스가 공모가를 1만 원으로 상향 조정했다.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유일로보틱스는 지난달 24~25일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한 결과 1756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전체 공모 물량 215만 주 가운데 우리사주조합 물량 12만9000주를 제외한 148만3500주(전체 물량의 69%)에 대해 수요예측을 했으며 총 1835개 기관이 참여했다.수요예측 참여 기관 중 99.9%가 희망 공모가격(7600원~9200원) 상단 이상으로 공모가를 적어냈고 1만1000원 이상을 제시한 기관도 94.06%에 달했다. 이에 회사는 공모가를 기존 상단을 초과한 1만 원으로 결정했다.이 회사는 2011년 유일시스템으로 시작한 뒤 지난해 사명을 유일로보틱스로 변경했다. 스마트팩토리 솔루션과 직교, 협동, 다관절 등 산업용 로봇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 협동 로봇, 다관절로봇 등 산업 자동화에 필요한 로봇 제품군을 구축하고 산업용 로봇 분야에 주력하고 있다.제조부터 출하까지 공정별로 필요한 로봇 제품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모든 제품군을 완성했다고 회사 측은 강조했다.김동헌 유일로보틱스 대표(사진)는 "앞으로도 산업 로봇 및 자동화 설비 시장이 지속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AI나 IoT 등 첨단 기술력을 접목한 로봇 자동화 제품으로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라고 말했다.유일로보틱스는 오는 7~8일 전체 공모 물량의 25%인 53만7500주에 대해 일반 투자자 대상 청약을 받은 뒤 오는 18일에 상장할 예정이다.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

  • 보로노이 김대권 대표 "매년 기술수출 2~3건…약물설계 전문기업 될 것"

    보로노이 김대권 대표 "매년 기술수출 2~3건…약물설계 전문기업 될 것"

    “지금처럼 매년 기술수출에 성공할 자신이 있습니다.” 김대권 보로노이 대표(사진)는 2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자체 개발한 데이터 알고리즘이 진화하고 글로벌 제약사들의 협업 제안이 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2015년 설립된 보로노이는 인산화효소(Kinase·카이나제)를 이용한 표적치료제를 개발하는 약물설계전문회사다. 세포의 신호전달물질인 인산화효소에 문제가 생기면 암과 같은 질병이 생기는데, 이 효소에 달라붙어 병의 원인을 제거하는 물질을 개발하는 것이다.이 회사는 468개의 인산화효소를 타깃으로 4000여 개 화합물의 활성화 정도를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한 뒤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약물을 개발하고 있다.현재 개발 중인 신약후보물질(파이프라인)은 11개로 이 중 4건을 전임상 단계에서 기술수출했다. 보로노이의 물질을 사간 곳은 국내 HK이노엔과 오릭파마슈티컬즈, 브리켈바이오테크, 피라미드 바이오사언스 등 미국 바이오기업 3곳이다. 기술수출 규모는 총 2조1000억원에 달한다. 김 대표는 “다른 회사와 달리 신약 개발 초기 단계부터 원하는 타깃에 잘 반응하고 독성이 없는 물질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아 약물 설계에 활용하고 있다”며 “AI로 최적화된 신약 개발 프로세스를 확립한 덕분에 단기간에 많은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고 기술수출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여러 건의 기술수출 이후 기업 인지도도 높아졌다. 보로노이는 글로벌 제약바이오회사로부터 약물설계 의뢰를 받고 협상을 진행 중이다. 김 대표는 “글로벌 제약사들이 그동안 개발해온 약물의 이상적 특성(TPP)과 부작용, 단점들을 우리에게 알려주고 기술

  • [단독]반도체 소부장 윌비에스엔티, 2년 만에 몸값 두배로

    [단독]반도체 소부장 윌비에스엔티, 2년 만에 몸값 두배로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 '윌비에스엔티'가 인수합병(M&A) 시장에 매물로 나왔다. 지난해 기업공개(IPO)를 위해 신영증권을 IPO 주관사로 선정했지만 최근 시장 상황이 좋지 않아 IPO보다는 매각 쪽으로 방향을 튼 것으로 보인다.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윌비에스엔티는 최근 지분 100%를 매각하기 위해 회사 소개서(티저레터) 배포를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 희망가는 1400억~1500억원대. 현재 웰투시인베스트먼트와 ACPC PE가 이 회사의 지분 100%를 갖고 있다. 2019년 카무르PE로부터 약 700억원에 매입했었다.IB업계 관계자는 "애초 IPO를 통해 투자금 회수(엑시트)를 희망했지만 최근 시장이 급속도로 냉각되면서 IPO보단 매각이 빠르다고 판단한 것"이라며 "현재 윌비에스엔티 매수를 희망하는 전략적 투자자(SI)도 여럿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1987년 설립한 윌비에스엔티는 반도체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리테이너 링과 디스플레이용 부품 등을 생산하는 전문업체다. 탄탄한 기술력을 갖춘 데다 안정적으로 제품을 판매해 현금 흐름이 좋은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해외에서도 러브콜을 받으면서 2017년에는 수출 1000만불탑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 회사의 2020년 매출은 506억원, 영업이익은 9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보다 매출은 17.13% 늘었고 영업이익은 22.08% 증가했다.IB업계 관계자는 "윌비에스엔티의 부품 경쟁력을 높이 평가하는 반도체 관련업체 다수가 매수 희망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안다"며 "당장 시장 상황은 좋지 않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부품 제조사를 확보해두면 안정적 수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앞서 웰투

  • 대명에너지, 수요예측 실패로 상장 철회...구주매출이 발목

    대명에너지, 수요예측 실패로 상장 철회...구주매출이 발목

    신재생에너지 솔루션 업체 대명에너지가 수요예측 실패로 상장을 철회했다. 지난달 상장을 연기한 현대엔지니어링에 이어 올해 두 번째 사례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증시 불안전성이 커진 데다 높은 구주매출 비중, 공모가 고평가 논란 등이 공모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대명에너지는 28일 상장 철회 신고서를 제출했다. 회사 측은 "최종 공모가 확정을 위한 수요예측을 했으나 회사의 가치를 적절히 평가받기 어려운 측면 등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하여 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과 공동주관회사 삼성증권의 동의를 받고 잔여 일정을 취소한다"라고 밝혔다.이 회사는 지난 23~24일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진행한 수요예측에서 한 자릿수의 경쟁률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희망 공모가격 2만5000~2만9000원의 하단보다 낮은 가격을 제시한 기관들이 적지 않았다.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은 4455억~5167억 원이었으나 기업가치가 지나치게 높다고 판단한 것이다.투자은행(IB) 업계는 오너 일가의 구주매출 비중이 높다는 점이 기업공개(IPO) 시 위험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보고 있다. 총공모주식 수 450만 주 중 38.4%인 173만 주가 오너 일가의 구주매출이다. 서종현 대표가 7%(105만 주), 서 대표의 모친인 남향자씨가 4.53%(68만 주) 등 총 11.53%(173만 주)를 구주로 내놨다. 희망 공모가격 기준으로서 대표의 구주매출 규모는 262억~304억 원, 남 씨는 170억~197억 원이었다.서 대표는 증여세 재원 마련을 위해 구주매출을 계획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지난해 10월 부친인 서기섭 회장으로부터 225만 주를 상속받았고 회사 지분 47%를 확보해 최대 주주가 됐다.일각에서는 기업가치를 높게 평

  • 다원시스 자회사 다원메닥스, 코스닥 상장 추진

    다원시스의 자회사인 다원메닥스가 기술특례 상장을 위한 모의 기술성 평가에서 나이스디앤비로부터 A등급을 획득했다고 28일 밝혔다.다원메닥스의 ‘붕소 중성자포획치료기’는 선형가속기 기반으로 전량 해외수입에 의존하는 고가의 대형방사선 의료기기를 국산화 기술로 개발해 식약처로부터 혁신 의료기기로 지정받는 등 기술의 완성도, 기술의 경쟁우위도, 상용화 경쟁력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붕소 중성자포획 치료는 붕소 의약품과 의료용 가속장치를 이용하여 암세포만 선별적으로 사멸시키는 암 치료법으로, 다원메닥스는 뇌종양의 최고등급인 교모세포종 동물효력시험에서 높은 종양 억제 효과를 입증하며 식약처 임상 신청을 완료했다.현재 의료기술로 치료가 어려운 뇌종양, 두경부암, 피부 흑색종 등에서 뛰어난 치료 효과가 있고 수술 없이 1회 치료만으로 높은 암치료효과를 보여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회사 관계자는 “모의 기술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연내 본격적인 코스닥 상장을 추진하고 식약처의 승인 후 임상 시험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

  • ECM

    스톤브릿지벤처스, 상장 첫날 급락

    공모주 수익률이 급격히 하락하고 있다.25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벤처캐피털(VC) 스톤브릿지벤처스는 공모가(8000원)보다 18.6% 하락한 6510원에 장을 마쳤다. 시초가는 공모가보다 10% 낮은 7200원에 형성됐고 장중 공모가를 한 번도 넘어서지 못했다. 공모주를 받은 투자자들은 수익을 실현할 기회도 잡지 못한 채 고스란히 손실을 봤다.증권가는 지난해 12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1세대 VC 케이티비네트워크 주가가 부진한 것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스톤브릿지벤처스는 지난 9~10일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진행한 수요예측에서 20 대 1의 저조한 경쟁률을 보였다. 그 결과 공모가를 희망가격(9000~1만500원)보다 낮은 8000원으로 결정했다. 공모 규모도 450만 주에서 405만 주로 10% 줄였다. 최대주주의 구주매출 규모를 180만 주에서 135만 주로 축소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투자자 대상 청약에서 23 대 1의 부진한 경쟁률을 보였다. 증거금은 921억원에 그쳤다. 여기에 상장 첫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습에 따른 증시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매수세가 유입되지 못한 것이 주가에 악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투자은행(IB)업계는 당분간 공모주 시장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스톤브릿지벤처스를 비롯해 이달 들어 상장한 기업 12곳 중 4곳이 공모가보다 낮은 가격에 시초가가 결정됐다. 지난 21일 상장한 바이오에프이엔씨와 8일 상장한 나래나노텍은 공모가의 90%에 시초가를 형성했고 상장 첫날 종가가 공모가를 밑돌았다. 16일 상장한 인카금융서비스도 시초가가 공모가보다 4.2% 낮았다. 이들 세 종목 모두 주가가 공모가보다 약 30% 하락했다.전예진 기자

  • 브릿지폴인베, '삼성전자 협력사' 퀄리타스반도체에 123억 베팅

    브릿지폴인베, '삼성전자 협력사' 퀄리타스반도체에 123억 베팅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분야 투자에 강점을 가진 벤처캐피털(VC) 브릿지폴인베스트먼트가 국내 팹리스 스타트업 퀄리타스반도체에 투자금을 집행했다. 24일 벤처캐피털(VC)업계에 따르면 브릿지폴인베스트먼트는 KB증권과 공동으로 조성한 프로젝트펀드를 통해 퀄리타스반도체에 123억원을 투자했다. 퀄리타스반도체는 한국투자증권을 상장 주관사로 선정하고 기업공개(IPO)를 준비하고 있다. 이번 투자는 프리IPO(상장 전 지분투자) 성격이다. 퀄리타스반도체는 이번 투자 과정에서 기업가치를 투자 후 기준(Post-value) 약 1000억원으로 평가받았다. 2020년 신용보증기금과 위벤처스 등으로부터 시리즈A 투자를 유치할 때 평가받은 기업가치가 200억원 안팎이었음을 고려하면 2년 새 몸값이 5배 불어난 셈이다. 2017년 설립된 퀄리타스반도체는 인공지능(AI) 반도체의 핵심 지식재산권(IP) 라이선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핵심 기술인 인터커넥트는 두 개 이상의 칩이나 서버를 연결하는 것을 뜻한다. 기술이 발전할수록 처리해야 할 연산량도 폭증하는데, 여러 개의 칩을 병렬 형태로 연결하면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인터커넥트의 근간에는 서데스(SerDes) 설계 기술이 있다. 직렬화(Serialize)와 병렬화(Deserialize)를 합친 용어다. 칩 내부의 병렬 데이터를 하나의 채널을 통해 빠르게 전송할 수 있도록 직렬로 만든 뒤 다시 병렬화하는 기술이다. 국내 최초로 1초에 112기가바이트(GB)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서데스를 개발했다. 주력 고객사는 삼성전자로, 2019년부터 파운드리 사업부와 협력해 IP를 개발하고 있다. 또 100GB 수준의 통신 모듈에 쓰이는 칩셋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