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美 가계·기업 대이동 시대‥주거용 부동산에 투자 기회” [ASK 2023]

    "美 가계·기업 대이동 시대‥주거용 부동산에 투자 기회” [ASK 2023]

    “미국은 현재 ‘인구 대이동(the great reshuffling)’의 시대로 접어들었습니다. 이주 수요가 급증하는 지역의 주거용 부동산에서 투자 기회가 늘고 있습니다.” 글로벌 부동산 자산운용사인 브리지인베스트먼트그룹의 로버트 모스 회장은 2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ASK 2023 글로벌 대체투자 콘퍼런스’에 기조연설자로 나서 “금리 상승과 인플레이션 장기화 등 거시경제 측면에서 투자 여건이 녹록지 않지만 선별적으로 부동산 투자를 하면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모스 회장은 “무엇보다 미국은 여전히 최적의 투자처”라며 “특히 개인과 기업의 이주가 몰리고 있는 선벨트(미국 남부의 따뜻한 지역) 주요 도시의 주거용 부동산을 주목해야 한다”고 했다. 구체적으로는 라스 베이거스, 피닉스, 달라스, 아틀란타 등을 꼽았다. 그는 ”개인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원격 근무가 가능해지자 세금과 물가가 낮고 날씨가 따뜻하다는 장점 때문에,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등 대기업들은 법인세가 낮기 때문에 선벨트 지역으로 옮기고 있다“며 ”이런 이유 때문에 선벨트 지역의 주택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모스 회장은 “고금리로 자산 가격이 조정된 지금이 투자 적기”라며 “내년은 미국 부동산 시장에서 최고 빈티지(투자 연도)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연금과 한국투자공사(KIC) 등 국내 대표 연기금도 글로벌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위험 분산을 위해 대체투자 기회를 발굴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태현 국민연금 이사장은 “글로벌 상장 리츠에 투자해 시장 변동성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고금리 환경에 맞춰 대출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 국민연금 합병안 기권에…셀트리온 개미 '매수운동'

    국민연금 합병안 기권에…셀트리온 개미 '매수운동'

    회사 합병을 결정한 셀트리온·셀트리온헬스케어가 24일 6% 넘게 급등했다. 전날 국민연금공단이 합병안에 기권표를 던지며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우려가 불거졌지만 회사 측이 자사주 매입에 나서고 개인투자자의 매수세가 몰리면서 이를 상쇄했다. 셀트리온은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6.76% 오른 15만100원에 마감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7.35% 오른 6만7200원에 장을 마쳤다. 셀트리온그룹이 지난 8월 두 회사의 합병을 의결하면서 제시한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가격인 15만813원, 6만7251원에 근접했다. 주가를 끌어올린 것은 셀트리온의 자사주 매입 효과로 분석된다. 이날 셀트리온은 자사주를 21만5387주, 셀트리온헬스케어는 24만4000주 매수했다. 종가 기준 각각 323억원, 163억원어치다. 전날 셀트리온그룹은 주가 부양을 위해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자사주를 각각 3450억원, 1550억원어치 신규 매입하고 기존 자사주 물량 3600억원은 소각하겠다고 밝혔다. 합병안 통과 소식에도 불구하고 지난 23일 셀트리온은 1.13%, 셀트리온헬스케어는 1.42%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다. 셀트리온 지분의 7.43%를 쥔 최대 기관투자가 국민연금이 주식매수청구권 행사를 위해 합병안에 기권표를 던졌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다. 증권가에서는 두 회사 주가가 매수청구권 가격을 밑돌더라도 현재와 큰 차이가 없다면, 국민연금이 실제로 매수청구권을 행사하진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민연금은 2016년 미래에셋증권과 미래에셋대우의 합병 당시에도 반대 의견을 냈지만, 이후 두 회사 주가가 상승하자 주가 상승 이익이 더 크다고 판단해 청구권 행사를 포기한 바 있다. 셀트리온그룹이 적극적으로 주가 부양에 나서자 소

  • 국민연금 개혁안, 고갈 6년 앞당기는 '더 받는 안'도 추가

    국민연금 재정계산위원회가 24가지 시나리오를 담은 최종 보고서를 정부에 제출했다. 5년 전 4차 재정계산 당시 구성된 재정계산위가 안을 두 개로 압축한 것과 비교하면 12배나 많은 선택지를 정부에 제시한 것으로 사실상 ‘맹탕’ 보고서다. 2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정부의 연금개혁 자문기구인 재정계산위는 전날 ‘2023 국민연금 재정계산 보고서’를 복지부에 냈다. 지난 9월 1일 공청회를 열어 초안을 발표한 지 약 한 달 반 만이다. 재정계산위는 초안에선 기금 고갈을 막는 데 중점을 둔 ‘더 내고 늦게 받는’ 18개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이후 보장성 강화안이 빠졌다는 지적이 나오자 최종 보고서에는 소득대체율을 높이는 안을 포함했다. 새롭게 추가된 소득대체율 인상안은 기존의 현행 유지안보다 기금 고갈 시점을 최대 6년 앞당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대체율을 40%로 유지한 채 보험료율을 15%로 높이면 기금 고갈 시점은 2055년에서 2071년으로 16년 늦춰지지만, 소득대체율을 50%로 높이면 고갈 시점은 2065년으로 빨라진다. 복지부는 최종 보고서를 토대로 정부안을 담은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을 작성해 이달 말까지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 국민연금 '더 내고 더 받는 안' 기금 고갈 겨우 5년 늦출 뿐

    보건복지부 산하 자문기구인 국민연금 재정계산위원회가 연금 보험료율을 9%에서 12%로 올리더라도 소득대체율을 40%에서 50%로 높이면 기금 고갈 시점이 5년 늦춰지는 데 그친다고 추산한 것으로 파악됐다. 보험료를 더 내는 대신 소득대체율도 높아지는 ‘더 내고 더 받는 안’이 도입되면 연금 지출이 늘어나 연금 추계시점인 70년 뒤 9100조원의 누적 적자가 발생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15일 재정계산위원인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명예연구위원에 따르면 재정계산위 최종보고서에 포함되는 보험료율 12%·소득대체율 50% 인상안이 현실화되면 기금 고갈 시점이 2060년으로 연기된다. 고갈 시점이 현행 제도(보험료율 9%·2028년 기준 소득대체율 40%)를 유지했을 때(2055년)보다 5년 미뤄지는 것이다. 국민연금의 재정안정 효과도 적지만 미래 세대의 부담은 더 커진다. 윤 위원은 “현행 제도를 유지하면 누적 적자가 7700조원가량인데 보험료율 12%·소득대체율 50% 안에 따르면 누적 적자가 1400조원가량 늘어나 2093년까지 누적 적자액은 9100조원을 돌파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런 점을 감안해 재정계산위는 지난 13일 최종 회의에서 소득대체율 인상에 따른 재정부담 영향을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지표를 최종보고서에 포함하기로 했다. 단순히 기금 고갈 시점을 표시하는 걸 넘어 고갈 이후부터 2093년까지 국내총생산(GDP) 대비 누적 적자액을 시나리오별로 표기하겠다는 것이다. 윤 위원은 “국민연금 개혁의 목적이 장기간에 걸친 재정 안정화인 만큼 재정추계 시 자동으로 계산되는 이 수치를 정부에 제출하는 최종보고서에 포함해야 한다”고 했다. 재정계산위는 최종 보고서를 조만간 정부

  • 국민연금 '더받는 案', 연금 개혁안에 추가

    보건복지부 산하 재정계산위원회가 국민연금 개혁을 위한 최종 자문안에 소득대체율(생애 평균소득 대비 연금 수령액 비율)을 45% 또는 50%로 높이는 시나리오를 추가하기로 했다. 여론의 눈치를 보느라 연금개혁 방정식이 더욱 난해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본지 10월 13일자 A3면 참조 김용하 재정계산위원장은 13일 서울 논현동 국민연금공단 서울남부지역본부에서 열린 회의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소득대체율이 45%인 경우와 50%인 경우 재정전망이 어떻게 될 것인지를 보고서에 넣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날 위원들은 올해 42.5%인 소득대체율을 2025년에 45%나 50%로 곧바로 올리는 방안을 논의한 후 복지부에 제출할 최종 보고서에 담기로 했다. 이에 따라 선택 가능한 연금개혁 가짓수는 당초 18개에서 사실상 54개로 늘어나게 됐다. 기존에는 소득대체율을 현행 40%(2028년 기준)로 유지하되 보험료율을 12%·15%·18%로 높이고 수급개시연령은 66세·67세·68세로 연기하며 기금운용수익률은 0.5%포인트·1.0%포인트 높이는 경우를 조합해 18개 시나리오가 도출됐다. 소득대체율 인상으로 연금 고갈 시점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달라지는지는 이날 공개되지 않았다. 재정계산위가 최종보고서를 복지부에 제출하면 복지부는 이를 참고한 정부안을 이달 말까지 국회에 내야 한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

  • 속속 등장하는 ‘연기금·공제회 LP’ 오피스…연말 앞두고 ‘회수 모드’

    속속 등장하는 ‘연기금·공제회 LP’ 오피스…연말 앞두고 ‘회수 모드’

    연기금·공제회 자금으로 매입한 오피스 물건들이 속속 매물로 나오고 있다. 연말을 앞두고 포트폴리오 조정을 위한 앵커 출자자(LP)들의 회수 의지가 강한 것으로 풀이된다. 1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미래에셋맵스프런티어사모부동산투자신탁29호’를 통해 보유한 하이투자증권빌딩 매각을 위해 최근 존스랑라살(JLL)과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를 매각 자문사로 선정했다. 국민연금 자금으로 2011년 인수한 오피스 자산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이 펀드 만기를 앞두고 2020년 한 차례 매각을 시도했다가 불발됐다. 이후 펀드 만기 연장을 진행해 최근 다시 매각을 시도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골든타워도 코람코자산운용이 국민연금 자금으로 매입한 자산이다. 코람코운용이 지난 7월 매물로 내놨고 마스턴투자운용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딜 클로징(거래 종결)에 매진하고 있다. 2006년 국민연금 출자로 결성된 코크렙NPS제1호리츠의 마지막 오피스 빌딩이다. 코크렙NPS제1호는 서울시티타워, 송파 시그마타워, 역삼 그레이스타워, 골든타워 등을 인수한 뒤 차례대로 매각했다. 마스턴투자운용이 매각하는 센터포인트 강남은 교직원공제회가 앵커 출자자로 들어가 있다. 내년 하반기 준공을 목표로 선매각을 진행 중이다. 교직원공제회는 센터포인트 강남의 개발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인 ‘마스턴제99호센터포인트강남’에 지분 48%를 보유한 ‘마스턴기회추구일반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2호’를 통해 출자했다. 센터포인트 강남은 이날 입찰을 통해 우선협상대상자를 가려낼 예정이다. 연기금·공제회들의 오피스 자산이 매물로 나오는 것은 연말을 앞두고 부동산 포트폴리

  • 호텔신라·CJ·아모레G…국민연금은 더 샀다

    호텔신라·CJ·아모레G…국민연금은 더 샀다

    국내 기관투자가 중에서 ‘큰손’으로 꼽히는 국민연금공단이 지난 3분기 IT·부품·콘텐츠주 지분율은 줄이고 중국 리오프닝·화장품 지분율은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증시가 연일 약세를 보이는 상황에서 국민연금 행보에 투자자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IT·콘텐츠·건설 덜어낸 국민연금 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민연금공단은 지난 4~5일 117개 종목을 대상으로 지분율 조정 내용을 공시했다. 시장별로는 유가증권시장 종목 87개, 코스닥시장 종목 30개다. 국민연금은 IT·부품주 지분율을 다수 줄였다. LG전자는 지난 7월 31일 기존 대비 비중을 1%포인트 덜어내 7.47%로 낮췄다. LG이노텍 지분율은 9월 12일 종전보다 1%포인트 줄어든 10.48%로 내렸다. PI첨단소재(-1.07%포인트), 한미반도체(-1.09%포인트), 하나마이크론(-1.02%포인트), 해성디에스(-0.02%포인트) 등도 비중을 축소했다. LG전자·LG이노텍은 가전과 스마트폰 수요 회복이 더딜 것이란 전망이 많아지면서 비중을 줄인 것으로 보인다. 한미반도체, 하나마이크론 등은 AI 반도체 수혜로 주가가 단기간 상승하자 일부 차익을 실현한 것으로 풀이된다. 콘텐츠·방송 관련 종목도 국민연금이 비중을 줄였다. 콘텐트리중앙은 6.54%에서 4.52%로 비중을 축소했고, 와이지엔터테인먼트와 SBS도 각각 1.08%포인트씩 지분율을 낮췄다. 건설주 역시 덜어냈다. DL이앤씨는 지분율을 10.82%에서 9.78%로 줄였고, DL도 기존 대비 비중을 2.12%포인트 줄였다. 국민연금이 3분기 가장 지분율을 많이 낮춘 종목은 SK렌터카였다. 지난달 13일 기존 8.45%에서 0.6%로 지분율을 낮췄다. 모회사 SK네트웍스가 SK렌터카 지분을 인수해 내년 상장폐지하기로 결정한 게 원인으로 꼽힌다. 국민연금

  • 전자·콘텐츠 던진 국민연금…3분기 어떤 주식 담았나 보니

    전자·콘텐츠 던진 국민연금…3분기 어떤 주식 담았나 보니

    국내 기관투자가 중에서 ‘큰 손’으로 꼽히는 국민연금공단이 지난 3분기 IT·부품·콘텐츠주들의 지분율은 줄이고 중국 리오프닝·화장품의 지분율은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증시가 연일 약세를 보이는 상황에서 큰 손인 국민연금의 행보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IT·콘텐츠·건설 덜어낸 국민연금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민연금공단은 지난 4~5일 3분기(7~9월) 투자비중을 조정한 117개 종목에 대한 지분율 조정 내용을 공시했다. 시장별로 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87개, 코스닥시장에서 30개 종목이다. 국민연금은 IT·부품주들에서 지분율을 다수 줄였다. LG전자는 지난 7월31일 기존 대비 비중을 1%포인트 덜어내 7.47%로 낮췄다. LG이노텍 지분율은 지난달 12일 기존 대비 1%포인트 줄어든 10.48%로 내렸다. PI첨단소재(-1.07%포인트), 한미반도체(-10.9%포인트), 하나마이크론(-1.02%포인트), 해성디에스(-0.02%포인트) 등도 비중을 축소했다. LG전자·LG이노텍은 가전과 스마트폰 수요 회복이 더딜 것이란 전망이 많아지면서 비중을 줄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AI 반도체 수혜로 주가가 단기간 상승했던 한미반도체, 하나마이크론 등은 일부 차익을 실현한 것으로 풀이된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과 중국의 IT 소매 매출 증감률이 8월 소폭 개선됐지만 아직 개선세가 확실하다고 하긴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김광수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LG이노텍의 3분기 물량 중 일부가 4분기로 이월돼 3분기 실적은 기대보다 낮을 것”이라고 했다. 콘텐츠·방송 관련 종목들도 국민연금이 다수 덜어낸 업종이었다. 콘텐트리중앙은 6.54%에서 4.52%로 비중을 축소했고, 와이지엔터테인먼트와 SBS도

  • 갑자기 튀어나온 '더 내고 더 받는' 국민연금 개편안

    갑자기 튀어나온 '더 내고 더 받는' 국민연금 개편안

    ‘더 내고 더 받는’ 국민연금 개혁안이 급부상하고 있다. 여권 안팎에서 현행 9%인 보험료율을 12%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생애 평균소득 대비 연금 수령액)은 당초 40%에서 42%로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다. 이 같은 안은 “국민연금 개혁은 수리적·논리적 합리성보다 더 중요한 게 국민적 수용성”이라는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의 이달 초 발언과 맥을 같이한다. 20일 한국경제신문이 입수한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회의 자료집에 따르면 이날 특위 소속 민간자문위원들은 비공개회의에서 이 같은 개혁안을 논의했다. 발제자로 나선 김수완 강남대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내년부터 소득대체율 인하를 한시적으로 멈추는 방안을 제시했다. 소득대체율은 2007년 연금개혁에 따라 2008년 50%에서 매년 0.5%포인트씩 내려가 올해 42.5%, 2028년 40%에 도달할 예정이다. 이를 내년 기준인 42%에서 동결하겠다는 얘기다. 김 교수는 보험료율은 현행 9%에서 12~13%로 인상하는 안을 제안했다. 국민연금 재정계산위원회 등에서 유력하게 거론한 15~18%보다 낮은 수준이다. 김 교수는 “한국은 보험료 인상에 대한 정치·사회적 수용성이 낮다”며 “한 번에 완전한 연금개혁을 이루기 어려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재정 안정을 위한 최소한의 개혁을 1단계로 한 뒤, 2단계로 수급 개시 연령 조정 등 추가 수단을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치권에서는 김 교수안에 사실상 정부·여당의 의중이 반영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소득대체율을 높이지 않고 연금 개혁을 추진하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공감대가 여권 내에서 강하게 형성되고 있다”고 전했다. "국민 수용성 중요"…총

  • 위기의 가치株 펀드…국민연금도 돈 뺐다

    위기의 가치株 펀드…국민연금도 돈 뺐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가 투자 성과 부진을 이유로 국내 가치주 펀드에 위탁한 자금을 거둬들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장기 기관투자가인 국민연금마저 가치주 펀드를 외면하자 “국내 공모펀드가 설 자리가 사라져 간다”는 위기감이 확산하고 있다. ‘가치펀드 명가’ 신영서 돈 빼는 기관들 1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외 기관투자가들이 신영자산운용에 맡긴 일임자산은 올해 초(1월 2일) 5541억원에서 지난 15일 294억원으로 94.7% 급감했다. 같은 기간 신영자산운용의 전체 운용자산(AUM)도 4조36억원에서 3조3008억원으로 7000억원 넘게 빠졌다. 기관투자가들이 최근 뭉칫돈을 빼가면서 펀드 자금이 눈에 띄게 줄었다. 보험사들이 지난달 1400억원을 회수한 데 이어 국민연금이 지난 1일 남아있던 자금 3000여억원을 모두 거둬간 것으로 확인됐다. 가치펀드의 명가인 신영자산운용은 한때 국민연금의 자금 위탁 운용 규모가 3조~4조원에 달했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관계자는 “위탁 운용사에 대한 성과를 정기적으로 평가한 뒤 내부 기준을 지속적으로 맞추지 못하면 맡긴 자금을 회수한다”고 설명했다. 국민연금이 자금을 회수한 가장 큰 이유는 벤치마크(BM) 대비 성과가 부진했기 때문으로 전해졌다. 실제 간판 펀드인 ‘신영밸류고배당’ 펀드는 올 들어 지난 18일까지 운용 수익률이 14.27%로 BM 대비 2.47%포인트 밑돌았다. 같은 기간 ‘신영 마라톤’ 펀드의 수익률도 11.76%로 BM을 약 5% 밑돌았다. 신영밸류고배당과 신영마라톤은 올 들어 각각 1137억원, 363억원의 자금이 빠져나갔다. 수수료 저렴한 ETF로 빠져나가신영자산운용뿐 아니라 다른 가치주 펀드에서도 자금이 이탈하고 있다. 올해 초부터 지난 1

  • 올해만 5000억 빠져 나갔다…자금 이탈에 '초유의 위기'

    올해만 5000억 빠져 나갔다…자금 이탈에 '초유의 위기'

    올들어 국내 가치주 펀드의 위기가 심화되고 있다. 개인들의 자금 유출이 지속되는 와중 연기금마저 투자 자금을 거둬들이고 있다. 테마주·성장주들의 수익률 강세와 비교해 뒤쳐지면서 투자자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내 대표 가치투자 펀드 명가로 꼽히는 신영자산운용마저 흔들리면서 가치주 펀드 시장 자체가 사그라들고 있다는 평가까지 나오고 있다. ○신영 대표 펀드에서 자금 줄줄히 이탈1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신영자산운용에 맡겨둔 기관의 일임자산은 올해초(1월2일) 5541억원에서 지난 15일 294억원으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달 보험사 자금 약 1400억원이 빠져나갔고 이달 들어서는 국민연금이 약 3000억원을 모두 회수한 것으로 전해진다. 일임자산 이탈과 개인 자금 유출이 겹치면서 신영운용의 전체 운용자산(AUM)은 올초 4조 36억원에서 지난 15일 기준 3조3008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국민연금의 경우 성장주 강세, 공모펀드 불황 등이 본격화된 2020년경부터 신영운용에 투자한 자금을 꾸준히 거둬들여왔다"면서 "올해도 국내증시가 반등하는데도 가치주 펀드들은 상대적으로 수익률 약세를 보이자 자금을 모두 뺀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실제 신영운용의 대표 펀드들의 수익률은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1월2일~9월 18일)에만 1137억원의 자금이 순유출된 '신영벨류고배당' 펀드는 이 기간 14.27%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두자리수 수익률이지만 비교지수(BM)인 코스피 TR지수(코스피+배당수익)가 16.74%를 기록한 점을 고려하면 인덱스보다 뒤쳐진 성과를 보였다는 분석이다. 신영운용의 또 다른 대표 펀드인 '신영 마라

  • 국민연금, 운용역 ‘성과급 0원’ 위기에 최소 지급 요건 폐지

    국민연금, 운용역 ‘성과급 0원’ 위기에 최소 지급 요건 폐지

    국민연금이 운용역들의 성과급 지급 최소 요건을 폐지했다. 내년에 성과급을 한 푼도 받지 못한 운용역들이 전주 이전에 이어 ‘2차 엑소더스’에 나설 것이란 위기감에 요건 개정에 나섰다.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는 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제4차 회의를 개최하고 ‘국민연금기금 성과평가보상지침 개정안’을 심의, 의결했다. 안건으로 상정된 성과급 지급 최소 기준 폐지안, 개정안, 현행 유지안 중 폐지안으로 결정됐다. 현행 성과급 지급 최소 기준은 국민연금기금의 3년 평균 운용수익률이 3년 평균 소비자물가상승률(CPI)을 초과했는지 여부다. 운용역들은 이 기준을 넘어서야 성과급을 받을 수 있다. CPI가 급등하면서 국민연금 운용역이 내년 성과급을 받으려면 올해 9.5% 이상 운용수익률을 올려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기금위에 △성과급 최소 지급 요건을 폐지하는 1안 △성과급 최소 지급 요건을 개정하는 2안 △현행 유지 의견을 담은 3안 등을 안건으로 상정했다. 2안은 성과급 최소 요건을 ‘5년 평균 기금운용수익률이 양의 값인 경우’로 바꾸는 방안이다. 5년 평균 수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면 성과급을 지급하지 않겠단 것으로, 가능성이 매우 낮아 사실상 1안처럼 폐지 안건에 해당하는 셈이다. 3안은 국민연금 실무평가위원회에서 ‘소급 적용에 해당한다’는 반발이 나와 현행을 유지하는 방안으로 추가됐다. 국민연금 운용역 성과급 기준을 변경한 것은 운용역 이탈 우려 때문이다. 운용역들은 전북 전주로 이전한 뒤 매년 평균 27.3명씩 이탈해왔다. 적은 기본급을 성과급 지급으로 보상했지만 ‘제로 성과급’이 되면 제2의 엑소더스 현상이

  • 미래세대가 떠안게 될 국민연금 빚, 1인당 8200만원

    국민연금의 미적립부채가 1825조원에 달한다는 추산이 학계에서 나왔다. 가입자 1인당으로 따지면 8200만원에 이른다. 미적립부채는 현세대의 연금 지급을 위해 미래 세대가 세금이나 보험료로 부담해야 할 ‘빚’이다. 정부는 노무현 정부 당시인 2006년 이후로 17년간 이 수치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과 인재근 더불어민주당 의원, 조정훈 시대전환 의원이 13일 공동 주최하는 ‘연금개혁 어떻게 해야 성공하나’ 세미나에서는 이 같은 내용이 처음 공개될 예정이다. 한국경제신문이 12일 입수한 세미나 자료집에 따르면 전영준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가 국민연금의 ‘암묵적 부채’(미적립부채)를 추산했다. 전 교수에 따르면 국민연금의 올해 미적립부채는 1825조원에 달한다. 이를 국민연금 가입자 수(2225만4964명, 5월 기준)로 나누면 1인당 8200만원가량 빚을 지고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전 교수는 국민연금 개혁이 이뤄지지 않으면 미적립부채가 2050년 6106조원, 2090년에는 4경4385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미적립부채 비율은 올해 80.1%에서 2050년 109.1%, 2090년 약 300%까지 높아질 전망이다. 미적립부채는 현재 연금 수급자와 가입자에게 향후 70년가량 들어갈 ‘연금 예상 지출액’에서 적립기금을 제외한 수치다. 가입자들이 사망할 때까지 법적으로 받아야 하는 연금액의 현재 가치에서 납부할 보험료의 현재 가치와 해당 연도의 국민연금 기금액(6월 말 현재 약 983조원)을 빼 계산한다. 당장 갚아야 할 빚이라고 볼 순 없지만, 연금 지급액이 부족하면 후세대가 메꿔야 하는 잠재부채라 할 수 있다. 정부는 국민연금의 미적립부채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2006년

  • 68세부터 연금수령? 고용연장 없인 8년 '소득절벽'

    68세부터 연금수령? 고용연장 없인 8년 '소득절벽'

    “60세까지 일할 수 있을지 없을지도 모르는데 국민연금을 68세부터 받으라고요?” 정부 자문기구인 국민연금 재정계산위원회가 연금 받는 나이를 만 65세에서 68세로 늦추는 방안을 정부에 권고한 것을 두고 20~30대 직장인이 보인 반응이다. 연금 수급개시 연령은 현재 63세에서 2033년까지 단계적으로 65세로 높아진다. 재정계산위는 여기에 더해 2033년 이후 5년마다 한 살씩 늘리는 식으로 2048년부터 68세까지 수급개시 연령을 늦추자고 제안했다. ○50세 전 ‘명퇴’ 많아 국민연금 받는 나이를 늦추면 기금 고갈 문제를 완화하는 데 상당한 효과가 있는 건 사실이다. 수급개시연령이 68세가 되면 기금 고갈이 2059년으로 늦춰진다. 여기에 보험료율까지 15%로 올리면 기금 고갈은 2082년으로 연기된다. 기금 수익률까지 국민연금 재정계산기간(2023~2093년) 중 연평균 1%포인트 높이면 70년 후에도 연금 고갈을 막을 수 있다는 게 재정계산위의 분석이다. 문제는 연금 받는 나이를 늦추면 은퇴 후 연금을 받기까지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소득절벽(소득 크레바스)’ 문제가 적지 않다. 7일 통계청의 ‘고령층(55~79세) 경제활동인구 조사’를 보면 이들이 가장 오래 근무한 직장을 그만두는 나이는 평균 49.4세다. 현재 법정 정년(60세)보다 10년이나 빠르다. 명예퇴직 등으로 50세 전에 직장을 나오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고령층 은퇴자 상당수는 퇴직 후 저임금 일자리에 의존하고 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55세 이상 취업인구 중 37.1%는 자영업자나 비(非)임금근로자(무급종사자), 27.8%는 일용직 근로자였다. 은퇴 후 국민연금을 받는 기간까지 길어지면 노인 빈곤이 심해질 수 있다. ○고용시장 유

  • 베트남 마산그룹 투자한 SK·국민연금, 풋옵션 행사할까

    베트남 마산그룹 투자한 SK·국민연금, 풋옵션 행사할까

    SK그룹이 베트남 마산그룹 투자지분에 대해 다음 달부터 풋옵션(조기상환청구권) 행사가 가능해진다. SK는 5년 전 국민연금과 펀드를 결성해 마산에 약 5300억원을 투자했다. 베트남 시장에 대한 그룹 의지가 크게 꺾인 상황인 만큼 풋옵션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많다. 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K동남아투자법인이 5년 전 단행한 베트남 마산그룹(Masan Group) 지주회사에 대한 투자가 오는 10월 풋옵션 행사기간이 도래한다. SK동남아투자법인은 당시 마산그룹과 주주간계약(SHA)을 체결해 5년 뒤 투자원금을 회수할 수 있는 조항을 마련했다. 이 풋옵션은 10월부터 내년 10월까지 1년간 행사가 가능하다. 풋옵션 행사가격은 투자원금과 같다. 8만동 초반대 수준이다. 현재 마산그룹 주가와 비슷한 수준이다. 한화기준 약 4500원 안팎에 이르는 규모다. 최초 매입가격은 약 10만동이었지만 꾸준히 주식배당을 받으면서 평균 매입가격이 낮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SK그룹은 지난 2018년 말 4억7000만달러(한화 약 5300억원)를 들여 마산 지분 9.5%를 확보했다. 당시 한화 기준 5300억원 수준이었다. SK가 2700억원, 국민연금이 1600억원, IMM인베스트먼트가 1000억원씩 출자했다. SK는 수펙스(SUPEX)추구협의회가 운용 주체로 나섰다. 국민연금 투자금은 스틱인베스트먼트가 위탁해 운용했다. 마산그룹은 베트남 재계 2위이자 현지 식음료 분야 선두 그룹이다. 빈그룹에 이어 베트남 증시에 상장된 민간기업 중 시가총액 2위다. 각종 소스와 라면 등을 유통하는 식음료 사업과 축산, 광물 사업 등을 하고 있다. 베트남 최대 민영 은행도 보유하고 있다. SK가 풋옵션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많다. 마산그룹을 비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