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인사이트] KKR이 인수한 KCFT, '1兆 몸값' 기업공개 추진
▶마켓인사이트 4월19일 오후 3시40분글로벌 사모펀드(PEF)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가 LS엠트론의 동박·박막사업부를 인수해 설립한 케이씨에프테크놀로지스(KCFT)의 상장을 추진한다. KKR이 투자한 회사 중 국내 증시 상장에 나서는 첫 번째 사례로 몸값이 1조원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PEF가 인수한 기업의 상장 추진이 잇따르고 있다.1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KKR은 KCFT 기업공개(IPO)를 추진하기 위해 국내외 증권사를 대상으로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보냈다. 다음주 초까지 제안서를 받아 IPO 주관사를 선정할 계획이다.KKR은 KCFT의 설비투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이 회사 IPO에 나섰다. KCFT가 생산하는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전지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생산 설비 확충이 필요해서다.KCFT는 전기차에 사용되는 리튬이온전지용 동박과 TV,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 소재인 연성동박적층판(FCCL) 등을 생산하고 있다.KKR은 지난해 7월 LS그룹으로부터 LS오토모티브 지분 46.67%와 함께 LS엠트론의 동박·박막 사업부(현 KCFT) 지분 100%를 사들이기로 계약한 데 이어 지난 2월 잔금을 지급하며 인수 작업을 마쳤다. LS오토모티브와 KCFT 인수 금액은 각각 7500억원, 3000억원이었다.최근 PEF들이 보유하고 있는 기업 상장에 적극 나서고 있다. 국내 최대 PEF 운용사인 MBK파트너스가 인수한 두산공작기계는 연내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목표로 NH투자증권과 메릴린치를 대표주관사, 크레디트스위스를 공동주관사로 선정했다. 토종 PEF 운용사인 한앤컴퍼니가 사들인 에이치라인해운도 미래에셋대우와 NH투자증권을 IPO 주관사로 삼아 상장 채비를 하고 있다.이동훈/이고운 기자 leedh@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1兆 대어' 센트로폴리스빌딩, 美 사모펀드 KKR이 품는다
▶마켓인사이트 3월30일 오후 6시5분세계 3대 사모펀드(PEF) 운용사로 꼽히는 미국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RR)가 서울 공평동 센트로폴리스빌딩(조감도)을 약 1조원에 사들인다.30일 부동산 금융업계에 따르면 상업용 부동산 개발사 시티코어와 매각주관사인 세빌스·메이트플러스는 이날 KKR·이지스자산운용 컨소시엄을 센트로폴리스 매각을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확정했다.공평1·2·4 도시환경정비지구 내 7900㎡ 규모 부지에 건설되는 센트로폴리스는 오는 6월 준공을 앞두고 있다. 지하 7층~지상 26층 쌍둥이 빌딩으로 연면적은 14만1474㎡에 달한다. 서울시에 공공기여(기부채납)하는 지하 1층을 제외한 13만4310㎡를 이번에 매각하기로 했다.지난달 27일 본입찰에는 KKR·이지스자산운용 컨소시엄을 비롯해 글로벌 PEF 운용사인 블랙스톤, LB자산운용·NH투자증권 컨소시엄, 마스턴투자운용, 밀레니엄인마크자산운용, 영국 푸르덴셜생명계열 부동산 투자사인 M&G리얼에스테이트 등이 대거 참여했다. 매각주관사는 가격과 자금조달 계획 등을 검토해 KKR·이지스자산운용, LB자산운용·NH투자증권, M&G리얼에스테이트로 후보를 좁혔고, 이번에 최종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했다.최종 매각가는 3.3㎡당 최소 2600만원 이상으로 총 1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최대 규모의 단일 부동산 거래였던 서울 을지로 KEB하나은행 빌딩(9100억원)과 수송동 시그니처타워(7000억원)를 가볍게 제칠 전망이다.KKR은 홍콩계 림어드바이저스와 2014년 투자했던 광화문 더케이트윈타워를 최근 국내 업무용 빌딩 매각 사상 단위면적당 최고가인 3.3㎡당 2810만원, 약 7100억원에 매각했다. 여기에
-
나이스신평 “핵심사업 파는 LS오토모티브, 신용등급 크게 변동될 수도”
이 기사는 07월28일(15:2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최중기 나이스신용평가 기업평가1실장은 28일 마켓코멘트를 통해 “LS오토모티브가 사업 대부분을 미국계 사모펀드(PEF)인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에 매각하면 회사 외형이 대폭 축소될 것”이라며 “매각대금 5500억원도 모두 LS엠트론으로 유입될 것이란 예상되기 때문에 이번 거래가 종결되면 ‘A-(안정적)’인 신용등급이 큰 폭으로 변동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LS엠트론은 지난 27일 KKR과 53대 47 비율로 합작법인을 설립해 자회사 LS오토모티브의 사업 대부분을 이 회사로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LS오토모티브는 자동차용 스위치, 렐레이, 센서 등을 생산하는 부품업체다. 2008년과 2011년 두 차례 지분 매입을 통해 LS엠트론이 지분 100%를 갖게 됐다. LS엠트론의 신용도 변화 가능성도 시사했다. 이 회사는 LS오토모티브뿐만 아니라 동박·박막사업을 KKR에 양도하기로 한 상태다. 두 건의 매각으로 7200억원가량을 확보하게 되면서 차입금 상환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됐지만 사업 경쟁력은 약해지게 됐다는 평가다. 최 실장은 “신용등급을 뒷받침했던 사업다각화 수준과 안정적인 영업현금 창출능력이 약화되는 것이 불가피하다”다고 강조했다. 이 회사의 신용등급은 10개 투자등급 중 다섯 번째로 높은 A+(부정적)다. 나이스신용평가는 △LS오토모티브 사업 양수 목적으로 세워질 합작법인의 자금조달 구조 △거래 종결 후 자동자 전장부품 사업에 대한 경영권 유지 여부 △ 거래로 유입될 자금의 활용방안 △LS그룹 다른 계열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