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수원, 첫 그린본드 발행 성공
≪이 기사는 07월19일(09:1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한국전력의 자회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이 첫 그린본드 발행에 성공했다. 미국과 중국의 치열한 무역전쟁으로 해외 채권시장 분위기가 가라앉은 가운데서도 모집액의 네 배 가까운 수요를 모았다.1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한수원이 5년 만기 그린본드 6억달러어치(약 6800억원)를 발행하기 위해 전날 벌인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해외 125개 기관투자가가 총 23억달러(2조6000억원)의 매수주문을 냈다. 매수주문의 51%가 미국, 29%가 아시아, 20%가 유럽·중동·아프리카에서 들어왔다. 산업은행 씨티 BNP파리바 HSBC JP모간 UBS가 발행주관을 맡았다.그린본드는 재생에너지, 전기차, 에너지 고효율제품 등 친환경사업 관련 투자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이다. 발행회사는 채권을 찍어 조달한 자금을 친환경 외 다른 용도로는 쓸 수 없다. 친환경에 힘을 싣고 있는 문재인 정부의 정책과도 잘 맞는 성격의 채권으로 평가받고 있다. 올해 한국기업 중에선 수출입은행이 지난 3월 해외에서 4억달러(약 4500억원)어치, 산업은행이 5월 국내에서 3000억원어치의 그린본드를 발행했다. 지난 12일 성공적으로 수요예측을 끝마친 한국동서발전도 이날 그린본드와 소셜본드가 결합된 성격인 지속가능채권(Sustainability Bond) 5억달러(약 5600억원)어치를 찍었다. 소셜본드는 저소득층 지원, 사회 인프라 구축 등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투자자금 마련을 위해 찍는 채권이다.한수원은 미·중 무역전쟁으로 신흥국 채권시장이 냉각된 상황에서도 성공적으로 투자수요를 모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채권시장에선 환경
-
[마켓인사이트] 쏟아지는 ESG 채권… 한전·동서발전도 '그린본드' 발행
▶마켓인사이트 6월10일 오후 2시20분한국전력과 이 회사의 자회사인 한국동서발전이 글로벌 시장에서 그린본드 발행에 나선다. 그린본드는 친환경 사업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이다. 그린본드 외에 깨끗한 물 공급(워터본드)과 저소득층 지원, 범죄 예방 등 사회적 문제 해결(소셜본드)처럼 공익성을 강조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투자가 채권시장에서도 확산되고 있다.1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한국전력은 이달 말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세계 투자자들을 상대로 5년 만기 그린본드 5억달러(약 5400억원)어치를 발행할 계획이다.조만간 투자설명회를 열고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수요예측(사전 청약)을 할 예정이다. 동서발전도 다음달 글로벌 시장에서 5억달러 규모의 그린본드 발행을 추진한다. 양사는 그린본드를 통해 마련한 자금을 신재생에너지와 전기 충전설비 투자 등에 쓸 계획이다.한국수출입은행은 앞서 지난 3월 4억달러짜리 그린본드를 찍었다. 산업은행은 지난달 말 한국 기업 중 처음으로 원화 표시 그린본드 300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이 채권은 지난 4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됐다. 거래소는 그린본드 시장 활성화를 위해 외화 표시 그린본드의 국내 상장 유치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달 아시아 최초로 3억달러어치 워터본드를 발행했다. 이달 말엔 기업은행이 국내 최초로 5억달러 규모의 소셜본드를 발행할 예정이다.올 들어서만 총 6개 기업이 2조6700억원어치 ESG 채권을 발행하게 되는 셈이다.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발행된 ESG 채권 합계(2조1500억원)보다 많다. 해외 시장에서도 ESG 채권의 성장세가 가파르다. 국제자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