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은행 "국채매입 줄이겠다"…엔화 출렁
일본은행이 14일 국채 매입 규모를 줄이기로 결정했다. 감액 규모는 다음달 밝힐 계획이다. 구체적인 감액 계획을 기다리던 시장 기대에 못 미치면서 장기(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급락하고, 엔·달러 환율은 급등했다.일본은행은 이날까지 이틀간 열린 금융정책결정회의 후 국채 매입 규모를 축소하겠다고 발표했다. 일본은행은 지난 3월 마이너스 금리를 해제했지만 완화적 통화 기조를 유지하며 매월 6조엔 안팎의 국채 매입을 지속해왔다. 일본은행의 국채 보유 잔액은 2013년 3월 94조엔에서 지난해 말 581조엔까지 증가했다.3월 기준금리 인상(연 -0.1%→연 0~0.1%)에 이어 이날 보유 국채까지 줄이기로 결정하면서 사실상 양적긴축(QT)으로 방향을 틀었다. 오는 7월 회의에선 향후 1~2년 정도의 구체적 감액 계획을 내놓기로 했다.우에다 가즈오 총재는 국채 매입 축소에 대해 “적정한 규모가 될 것”이라며 “국채 시장 유연성을 확보하면서 예측 가능한 형태로 축소할 것”이라고 밝혔다.앞서 시장에선 일본은행이 이달부터 매월 5조엔 정도로 국채 매입액을 줄일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구체적 계획이 나오지 않아 이날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연 0.9%대 후반에서 초반으로 급락했다. 엔·달러 환율은 급등하며 한때 달러당 158엔을 넘어섰다. 한 달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우에다 총재는 엔화 약세에 대해 “엔저는 물가 상승 요인으로, 철저히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일본은행은 이날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시장에선 일본은행이 7월에는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크다고 봤지만, 국채 매입 축소 계획을 7월에 밝히기로 하면서 동시에 금리를 올리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
-
'1400원 공포' 벗어난 환율…숨죽이던 코스피도 반등
미국 인플레이션 둔화에 따른 기준금리 인하 기대로 미국 증시가 강세를 보인 가운데 국내 증시도 반등했다. 원·달러 환율은 한 달여 만에 1350원 밑으로 떨어지며 진정세를 보였다.1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24원10전 하락(원화 가치 상승)한 1345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3월 26일(1339원50전) 후 약 50일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하루 낙폭도 지난해 12월 14일 24원50전 하락(1319원90전→1295원40전)한 후 가장 컸다. 지난달 16일 장중 한때 1400원까지 뛰면서 종가가 1394원50전으로 오른 것을 감안하면 한 달 새 50원이나 떨어진 것이다. 전날 휴일에 따른 서울 외환시장 휴장으로 이틀간 하락 요인이 반영됐다는 해석도 나온다.국고채 금리도 일제히 하락(채권 가격 상승)했다. 이날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연 3.375%에 마감했다. 전 거래일보다 0.079%포인트 떨어졌다. 5년 만기 금리는 0.081%포인트 내린 연 3.408%였다. 1~2년 만기와 10~50년 만기 등도 금리가 내렸다.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가 짙던 코스피지수도 상승세를 보였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83% 오른 2753.0으로 마감했다. 오전 장중 전 거래일 대비 1.58% 상승해 2773.46까지 오름폭을 확대했지만 개인들의 매도세가 나타나면서 초반 강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262억원, 5983억원어치 순매수에 나섰고 개인투자자는 9655억원 규모의 매물을 쏟아냈다.업종별로는 인공지능(AI) 관련주와 보험주가 강세였다. SK하이닉스는 4.16% 오른 19만3000원에 거래를 마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외국인이 3241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보험주는 삼성화재가 9.96%
-
"환차손 감수하고 산다"…반도체·차·은행 쓸어담는 외국인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투자자의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 원·달러 환율이 1300원을 웃도는 고환율 환경에서 이례적인 흐름이다. 전문가들은 국내 기업들의 실적 개선세가 예상보다 빠른 점이 외국인의 환차손 부담을 상쇄시키고 있다고 평가한다.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증시에서 2조6260억원어치 주식을 순매수했다. 6개월 연속 순매수다. 올해 들어서만 국내 주식을 18조4560억원어치에 사들였다. 전체 시가총액 중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4월 말 기준 28.9%로 지난해 말(27.4%)과 비교해 1.5%포인트 높아졌다.강달러 환경에서 국내 증시로의 자금 유입은 이례적인 현상이다. 원화를 달러로 바꿔 가져나가야 하는 외국인은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환차손을 떠안을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외국인은 달러화 가치가 오르면 한국을 비롯한 신흥국 증시에서 자금을 빼는 경향이 있다.증권가에서는 국내 상장사의 빠른 실적 개선세에서 외국인 수급의 이유를 찾는다. 향후 호실적이 예상되는 만큼 환차손을 감수하려는 외국인 투자 수요가 늘었다는 설명이다.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올해 국내 상장사의 영업이익 전망치는 278조원으로 1개월 전(265조)보다 4.9% 상향됐다. 내년 국내 상장사 영업이익 전망치는 올해 전망치보다 21% 늘어난 337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실제 올해 1분기부터 주요 상장사의 호실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날까지 1분기 실적을 발표한 150개 상장사의 영업이익 총합은 39조2000억원으로 시장 전망치(34조원)를 15.3% 상회했다. 이들 기업의 당기순이익 역시 전망치를 18.8% 웃도는 29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전문가들은 호실적과 함께 외국인 투자자 순
-
엔화, 시장개입 추정에 급반등…"반등세 지속 어려워"
29일 오전에 달러당 160엔을 넘어 가치가 급락했던 엔화가 오후 들어 일본 당국의 시장 개입으로 추측되는 움직임 이후 달러당 155.01엔으로 급반등했다. 그러나 미국과 일본의 현저한 국채 수익률차이에 미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일년 내내 뒤로 미뤄지면서 반등세가 지속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은행 소식통들은 이 날 일본 은행들이 엔화를 사들이고 달러를 팔고 있는 것이 목격됐다고 말했다. 일본 중앙은행은 지난 달 마이너스 금리에서 벗어나는 역사적인 첫 금리 인상에 나섰으나 그럼에도 달러대비 엔화 가치가 34년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통화 거래자들은 이 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미국과 대비해 일본 금리가 한동안 낮은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일본은 월요일이 공휴일로 이 날 모든 금융 시장이 문을 닫았으며 대장성의 국제 담당 차관인 칸다 마사토는 일본 당국이 개입했는지 묻는 질문에 논평을 거부했다.싱가포르 스탠다드 차타드 은행의 아시아 전략가인 니콜라스 치아는 "오늘의 조치가 당국의 개입이라면 일회성 조치가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달러-엔이 다시 160으로 움직이면 대장성이 더 많은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160 수준은 어떤 의미에서 고통의 한계점”이라고 지적했다. 엔화 약세는 일본 수출업체에는 호재이지만, 수입 비용을 증가시키고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하며 가계를 압박하기 때문에 정책입안자들에게는 큰 문제가 된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지난 주 기자회견에서 환율 변동성이 상당한 경제적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통화정책은 환율을 직접 목표로
-
바닥 모르는 엔저…장중 160엔 '터치'
엔·달러 환율이 장중 160엔을 돌파(엔화값 하락)했다. 29일 오전 아시아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이 한때 160.03엔까지 올랐다. 교도통신은 “일본이 공휴일로 거래량이 적은 상황에서도 아시아 시장에서 엔화를 파는 흐름이 빨라졌다”고 전했다. 엔·달러 환율이 장중 달러당 160엔을 넘긴 것은 1990년 4월 이후 34년 만이다.오후 들어서는 일본 정부의 개입으로 추정되는 엔화 매수(달러 매도) 주문이 쏟아졌다. 엔·달러 환율은 오후 1시께부터 약 한 시간에 걸쳐 4엔 넘게 떨어지며 155엔대를 기록했다. 외환시장 관계자는 “일본 정부가 개입한 것으로 보이는 달러 매도 물량이 수십억달러 나왔다”고 말했다.한경제 기자
-
'슈퍼 엔저' 달러당 160엔도 돌파 조짐
엔·달러 환율이 지난 1주일 새 급등(엔화 가치 약세)하며 달러당 160엔 돌파를 바라보고 있다. 급격한 엔저에도 일본은행이 관망세를 취하면서 시장의 관심은 일본 정부의 엔 매수 개입으로 옮겨가는 모습이다.엔·달러 환율은 지난 26일 뉴욕외환시장에서 장중 달러당 158.42엔까지 치솟았다. 엔화 가치가 달러당 158엔대로 추락한 것은 1990년 5월 이후 34년 만이다.엔·달러 환율은 24일 달러당 155엔을 넘어선 데 이어 26일엔 일본은행의 기준금리 동결, 우에다 가즈오 총재의 ‘현상 유지’ 발언에 156엔을 돌파했다. 이후 발표된 3월 미국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지난해 3월 대비 2.8% 상승, 예상치(2.7%)를 웃돌면서 엔화는 달러당 157엔, 158엔을 잇달아 넘어섰다.도쿄=김일규 특파원
-
환율 이렇게 치솟을 줄은…NH證·우리銀만 예상했다 [한경 외환시장 워치]
작년 말 1288원이던 원·달러 환율은 올해 첫 개장일인 1월 2일 1300원40전으로 마감했다. 연초 시작된 1300원대 환율은 3월 말까지 지속되며 ‘1달러=1300원대’가 뉴노멀이 된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왔다. 이달 들어선 미국의 고용, 물가, 소비가 일제히 예상치를 웃돌아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약해지고 중동 위기마저 고조되면서 상승폭이 더 가팔라졌다. 지난 16일엔 사상 네 번째로 장중 1400원을 돌파했다. 26일 금융계에 따르면 작년 4분기 1320원74전이던 평균 원·달러 환율은 올 1분기 1329원40전, 이달(1~26일 기준) 1368원17전으로 올랐다. ○“2분기에 상승”…두 곳만 적중이런 올해 환율 흐름은 작년 말 나온 대부분 국내외 금융회사의 예상을 크게 빗나간 것이다. 대다수 금융회사는 환율이 올 1분기 1300원대 초반에 머무르다가 2분기 1200원대로 낮아질 것으로 봤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이르면 올 3월부터 시작해 연말까지 많게는 여섯 차례 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가정에 기반한 예상이었다. 한국투자·메리츠증권, 하나·신한은행, NH선물 등 국내 금융회사는 올 1분기 환율이 1290~1350원을 기록한 뒤 2분기엔 1270~1300원으로 낮아질 것으로 봤다.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노무라 등 해외 투자은행(IB)도 비슷했다.금융회사 두 곳은 다른 전망을 하면서 이달까지의 환율 흐름을 맞혀 주목받고 있다. NH투자증권과 우리은행이다. NH투자증권은 작년 11월 제시한 보고서에서 올해 1분기 환율이 평균 1320원을 기록한 뒤 2분기엔 더 올라 1360원을 나타낼 것으로 봤다. 이달 1~26일 평균 환율(1368원17전)에 근접한다. 우리은행도 올 1분기 1350원에서 2분기 1360원으로 상승 흐름이 이어질 것으
-
일평균 외환거래액 694억弗 역대 최대
올해 1분기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서 위험 분산을 위한 외국환 거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의 국내 증권 투자와 내국인의 해외 증권 투자도 함께 증가하면서 일평균 외환거래 규모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외국환은행의 외환거래 동향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외국환은행의 하루 평균 외환거래(현물환·외환파생상품 거래)는 694억달러로 집계됐다. 작년 4분기 633억1000만달러보다 9.6% 증가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8년 후 역대 최대치다. 앞서 지난해 2분기 기록한 693억7000만달러를 소폭 웃돌았다.현물환 거래는 261억2000만달러로 7.9% 증가했다. 외환파생상품은 432억8000만달러로 10.7% 늘었다. 이 중 외환 스와프 거래(283억7000만달러)가 가장 많았다. 전 분기 대비 8.1%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환율이 작년 4분기 말 1288원에서 올해 1분기 말 1347원으로 크게 오르면서 환 위험을 헤지하려는 수요가 많았다”고 설명했다.국내외 투자 급증도 영향을 줬다. 한은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의 외화증권 결제액은 작년 4분기 914억달러에서 올해 1분기 1283억달러로 늘었다. 외국인의 국내 증권 투자는 같은 기간 182억달러에서 216억달러로 증가했다.강진규 기자
-
日 '환율 방어선 155엔' 붕괴…금리 인상론 힘 받는다
일본 엔화 가치가 속절없이 떨어지고 있다. 엔·달러 환율은 일본 외환시장의 ‘방어 라인’으로 여겨지던 달러당 155엔마저 돌파(엔화 약세)했다. 34년 만의 최고치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하 관측이 후퇴했지만 일본은행의 금융완화 정책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엔 매도·달러 매수 움직임을 가속하고 있다.과도한 엔저에 일본 재계에서도 ‘저지해달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일본 정부가 구두 개입을 넘어 외환시장에 실제 개입할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는 관측이다. 시장은 26일까지 열리는 일본은행 금융정책결정회의 이후 우에다 가즈오 총재(사진)의 입에 주목하고 있다. 추가 금리 인상을 강하게 시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엔 매도·달러 매수세 지속25일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 따르면 이날 도쿄 외환시장에서는 엔·달러 환율이 달러당 155.73엔까지 치솟았다. 1990년 6월 이후 최고치다. 엔·달러 환율은 연초 달러당 140엔 수준이었지만, 지난달 150엔대로 올라선 데 이어 조만간 160엔을 넘어설 기세다.일본은행이 지난달 마이너스 금리를 해제하고 17년 만에 기준금리를 연 0~0.1%로 인상했을 때만 해도 엔화 가치가 오름세로 전환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그러나 일본은행이 완화적 금융환경을 유지하겠다고 밝힌 반면 Fed의 금리 인하 기대는 꺾이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미·일 금리 차이가 좁혀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함에 따라 엔 매도·달러 매수가 확대됐다.일본 정부는 꾸준히 구두 개입으로 급격한 엔저를 견제해 왔다.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상은 “과도한 움직임에는 모든 옵션을 배제하지 않고 적절히 대응하겠다&r
-
"코스피 2600선 지지…조선·바이오에 주목"
코스피지수가 2600선에서 횡보하고 있다. 지정학적 분쟁과 환율 등 증시 악재가 해소되며 지지선을 확인했다는 평가가 많다. 증권가에선 실적 개선 기대가 큰 조선과 반도체, 헬스케어 업종이 올해 주도주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했다.고환율·중동분쟁 리스크코스피지수는 23일 0.24% 떨어진 2623.02에 마감했다. 지난 22일 1% 이상 오른 데 이어 2600선을 지켰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78원30전에 거래를 마쳤다. 16일 1394원50전으로 고점을 찍고 이날까지 1.12% 떨어졌다. 이란과 이스라엘 간 분쟁이 잦아들며 증시가 바닥을 다지고 있다는 게 증권가의 분석이다.시장에선 당분간 증시가 급락할 가능성은 작다고 보고 있다. 한·미·일 재무장관이 17일 외환시장 개입 가능성을 시사하는 구두 개입에 나서면서 환율이 진정세로 접어들었기 때문이다.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주춤해진 것도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서 서부텍사스원유(WTI) 선물 가격은 5일 배럴당 86.10달러에서 이날 82.22달러로 하락했다. 구리 선물 가격 역시 19일 파운드당 4.5달러를 찍은 뒤 이날 4.4달러로 떨어지며 상승세가 주춤해졌다. 이경수 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국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늦춰진다는 이유로 증시가 하락했으나 단기 조정에 그칠 것”이라며 “글로벌 경기가 기대 이상으로 좋기 때문에 금리 인하 기조가 흔들리지 않는 이상 외국인 자금이 다시 국내 증시로 들어올 것”이라고 예상했다.이제 실적 주도주 찾아라전문가들은 환율과 유가, 전쟁 등 대외적 요인보다 업종별 기업 실적에 주목하라고 조언한다. 올해 국내 상
-
코스피 2600선 바닥 확인…지금 사두면 돈 버는 종목은?
코스피 지수가 2600선에서 횡보하고 있다. 고환율과 지정학적 분쟁 등 증시를 둘러싼 악재들이 해소될 조짐이 보이고, 기업 실적 전망치도 개선되며 지지선을 확인했다는 평가다. 증권가에서는 실적 개선 기대감이 높은 조선과 반도체, 헬스케어 업종이 올해 주도주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고환율・중동분쟁 리스크 해소코스피 지수가 23일 0.24% 떨어진 2623.02에 마감했다. 코스피 지수는 지난 22일 1% 이상 오르며 2600선을 회복했고, 이날도 약보합에 마감하며 2600선을 지켜내는데 성공했다.고환율과 지정학적 분쟁 위험(리스크)이 완화되며 해소되며 증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완화된 결과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78원30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16일 1394원50전으로 고점을 찍고 이날까지 1.12% 떨어졌다. 환율이 오름세를 보이면 외국인은 환차손 우려로 한국 증시에 들어오는 걸 꺼리고, 떨어지면 그 반대가 된다.증권가 전문가들은 올 2분기 환율의 추가 급등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전망하고 있다. 한·미·일 재무장관이 지난 17일 외환시장 개입 가능성을 시사하는 구두 개입에 나서면서 환율이 진정세로 접어들었고, 최근 환율 상승의 주요 배경 중 하나였던 중동 지역에서의 긴장감도 완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주원 대신증권 연구원은 "통화정책 관련 불확실성 완화가 환율 하락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주춤해진 것도 긍정적이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 배럴당 가격은 지난 5일 86.10달러에서 이날 82.22달러까지 하락했다. 구리 선물 1파운드당 가격 역시 지
-
환율 뛸 때가 매수 적기?…1년 뒤 코스피 항상 올랐다
중동 정세 불안으로 원·달러 환율이 고공 행진하자 코스피지수가 연일 급등락하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과거 사례를 보면 이렇게 환율 급등으로 증시가 조정받을 때 투자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이득이 됐다는 분석이 나왔다.22일 원·달러 환율은 직전 거래일 대비 3원 하락한 1379원20전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16일 1394원50전으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한 후 최근에도 1380원대를 넘나들고 있다. 환율 영향으로 코스피지수는 이달 들어 이날까지 4.2% 하락했다.외국인은 지난주(4월 15~19일) 유가증권시장에서 4519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직전 2주(4월 1~12일) 동안은 3조3404억원어치를 순매수했지만 16일 환율이 연중 최고치를 기록하고 중동 정세 불안, 유가 급등까지 겹치자 투자 심리가 악화했다는 분석이다.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론 환율 급등이 오히려 ‘저점 매수’할 기회라고 조언했다. 과거 환율이 1400원대를 넘긴 시기를 보면 1년 뒤 지수가 반등했기 때문이다.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외환위기가 온 1997년 12월 원·달러 환율은 1964원80전까지 치솟았다. 코스피지수는 1997년 12월 말 전년 대비 반토막 난 376.31을 기록했다. 그러나 1998년 말에는 562.46으로 49.4% 반등했다.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 10월에도 원·달러 환율은 1400원을 재차 넘겼다. 코스피지수는 2008년 9월 말 1448.06에서 10월 24일 938.75로 35.1% 급락했다. 1년 뒤인 2009년 10월 말에는 1580.69까지 회복했다. 2022년 10월 원·달러 환율이 1430원대로 치솟을 때도 코스피지수는 9월 13일 2449.54에서 10월 13일 2162.87로 밀렸다. 1년 뒤인 2023년 10월 13일엔 2456.15까지 올라왔다.강현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한국과 같은
-
"환율 1400원 찍으면 코스피는…" 과거 사례 봤더니
중동 정세 불안과 유가 급등으로 원·달러 환율이 급등락하면서 코스피지수도 널뛰기하고 있다. 증시가 불안해지며 투자자들이 자금을 빼는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환율 급등이 오히려 매수할 기회라는 조언이 나오고 있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이날 오후 달러당 1379원대에서 거래 중이다. 지난 16일 1394원50전으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한 후 최근 1380원대를 넘나들고 있다. 코스피지수는 환율이 급등하면서 이달 들어 지난 19일까지 5.63% 하락했다. 환율이 급등하면서 외국인은 국내 증시에서 자금을 빼고 있다. 지난주(4월15~19일)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4519억원 어치를 순매도했다. 직전 2주(4월1~12일) 동안 외국인은 3조3404억원 어치를 순매수했지만 지난 16일 환율이 연중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투자 심리가 급격히 악화했다. 이스라엘-이란 분쟁이 격화한 것도 외국인이 자금을 빼는 요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보면 환율 급등이 오히려 '저점 매수'할 기회라는 조언하고 있다. 과거 환율이 1400원대를 넘긴 시기를 보면 1년 뒤엔 지수가 반등했기 때문이다.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외환위기가 온 1997년 12월 원·달러 환율은 1964원80전까지 치솟았다. 경제 위기가 닥치면서 코스피지수는 1997년 12월 말 전년대비 반토막난 376.31을 기록했다. 그러나 1998년 말에는 562.46까지 49.4% 반등했다.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 10월에도 원·달러 환율은 1400원을 재차 넘겼다. 환율이 급등하면서 코스피지수는 10월24일 938.75까지 밀렸으나 1년 뒤인 2009년 10월 말에는 1580.69까지 회복했다. 2022년 미국 기준금리 급등으로 환율이 치
-
日 'GDP 세계 4위'도 위태…獨이어 인도에도 밀려난다
인도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2025년 일본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일본 GDP는 지난해 독일에 역전당한 데 이어 내년에 5위로 내려앉을 것이란 예상이다.지난 20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국제통화기금(IMF)은 2025년 인도 GDP를 4조3398억달러로 추정했다. 4조3103억달러의 일본을 제치고 세계 4위로 올라설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엔화 약세로 달러화 환산 일본 GDP가 줄면서 종전 예측보다 역전 시기가 1년 앞당겨질 것이란 설명이다. IMF는 지난해 10월 전망에서 인도가 일본을 추월하는 시기를 2026년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달러 강세 영향으로 2025년 달러 기준 일본의 GDP 예상 감소 폭이 더 커졌다. 인도 루피화는 지난해부터 인도 중앙은행의 외환시장 개입 움직임으로 달러 대비 보합세를 보였다.환율 문제만이 아니다. 인도는 인구 증가에 힘입어 고성장을 기록 중이다. 인도 중앙은행은 2024년 실질 GDP 증가율을 7%로 전망했다. 인도는 자동차 내수 판매량에서 2022년 일본을 제치고 중국, 미국에 이어 세계 3위로 올라섰다. 이에 따라 인도는 2025년 명목 GDP 기준 일본을 넘어서는 데 이어 2027년에는 독일을 제치고 세계 3위에 오를 것이라는 게 IMF 전망이다. 다만 1인당 명목 GDP는 아직 2000달러대 중반에 머물러 있다.인도의 외국인 투자도 크게 늘고 있다. 비주얼캐피털리스트에 따르면 인도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2014년 360억달러에서 지난해 700억달러로 늘어났다.인도는 지난 19일부터 연방하원 의원을 뽑는 총선이 시작됐다. 나렌드라 모디 정권이 압승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모디 총리는 현재 세계 5위 경제대국 인도를 독립 100주년인 2047년까지 선진국 반열에 올려놓겠다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
작년 서학개미 100조원 벌었다
‘서학개미’ 한국 개인투자자와 기관투자가가 지난해 해외 주식·펀드 투자로 100조원 넘는 이익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은행의 국제투자대조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개인·기관이 보유한 해외 주식·펀드 등 지분증권 잔액은 6235억달러(약 860조원)로 전년에 비해 1042억달러(약 143조원) 늘었다. 사상 처음 6000억달러를 넘어섰다.해외 지분증권 잔액은 2020년 4633억달러(약 639조원), 2021년 5920억달러(약 816조원)로 급증했다. 2022년엔 미국 증시가 내림세를 보이며 5194억달러(약 717억달러)로 줄었다.지난해 해외 지분증권 잔액이 늘어난 배경은 크게 두 가지다. 우선은 미국 증시에서 주식을 더 많이 사들인 결과다. 지난해 해외 주식을 297억달러(약 40조원)어치 더 사들였다. 두 번째는 미국 나스닥 등이 급등하면서 보유한 주식 가치가 745억달러(103조원) 늘었다. 나스닥지수는 지난해 43.4% 상승했다. 다우존스지수는 13.7%, 유로스톡스50지수는 19.2%,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28.2% 뛰었다.보유한 해외 주식 등이 늘면서 해외 종목에서 받은 배당 수입도 불어났다. 경상수지 자료를 보면 서학개미와 기관이 보유한 해외 주식의 배당 수입을 나타낸 ‘증권투자배당수입’은 지난해 108억7130만달러(약 14조9000억원)를 기록했다. 전년보다 2억6220만달러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다.김익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