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금조달 박차’ 아시아나항공, 1500억원 ABS 발행
≪이 기사는 04월30일(14:4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자금 조달에 한창인 아시아나항공이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에 나선다. 올 들어 ABS뿐만 아니라 전환사채(CB) 발행, 부동산 및 주식 매각 등 각종 방안을 꺼내들어 공격적으로 대규모 자금을 끌어모으고 있다. 3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은 오는 6월 1500억원 규모 ABS를 발행할 계획이다. 최근 국내 증권사들에 이같은 내용을 담은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보냈다. 다음주 주관사 선정을 끝내고 본격적인 발행절차에 들어갈 예정이다. ABS의 기초자산은 항공권 판매를 통해 벌어들일 현금이다. 아시아나항공이 조달하려는 금액보다 몇 배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항공권 판매수익으로 ABS를 갚도록 정해져있다. 이 회사가 이 항공권 매출채권을 특정 은행에 위탁해 ABS를 발행하면, 이 은행은 ABS의 기초자산에서 나오는 현금을 투자자들한테 상환할 용도로 우선 적립해둔다. 그렇게 하고 남은 금액을 아시아나항공에 돌려주는 구조다. 일반적으로 항공권 매출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한 ABS의 신용도는 발행회사 자체 등급보다 두 단계 높게 매겨지는 것을 고려하면 아시아나항공이 이번에 발행할 ABS의 신용등급은 ‘BBB+’가 될 전망이다. 아시아나항공의 신용등급은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가장 낮은 ‘BBB-’(안정적)다.아시아나항공은 올 들어 여러 방식을 동원해 공격적으로 자금 조달에 나서고 있다. 1월 에어부산 주식을 담보로 1100억원을 대출한 것을 시작으로 △ABS 발행(1500억원) △CJ대한통운 지분 매각(935억원) △전환사채 발행(1000억원) 등을 통해 4500억원가량을 마련했다. 그밖에도
-
뉴로스, 전환사채 200억원 발행 추진
≪이 기사는 04월24일(09:2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코스닥 송풍기 제조업체인 뉴로스가 3개월만에 다시 전환사채(CB)를 찍어 자금을 조달한다.2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뉴로스는 다음달 200억원 규모 CB를 발행할 계획이다. CB는 일정 기간 이후 투자자가 발행회사의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채권이다. 뉴로스는 채권 만기를 비롯해 주식전환 가능시점, 주식전환 가격 등 구체적인 조건은 결정하지 않은 상태다. 이 회사는 지난 2월말에도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200억원어치 CB를 발행했다. 당시엔 3년 만기에 표면금리 연 0%, 만기수익률 연 2%로 CB를 찍었다. 주식 전환은 발행한지 1년째부터 한 주당 8334원에 할 수 있도록 했다. 발행일(2월27일) 종가 7900원보다 5.5% 높은 수준이다. 시장에선 현재 이 회사 주가(24일 종가기준 8030원)가 두 달 전과 비슷한 수준인 것을 고려하면 이번 CB의 발행조건이 당시와 별 차이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뉴로스는 2000년 설립된 산업용 송풍기 제조업체로 대전에 본사를 두고 있다. 코스닥시장엔 2012년 상장했다. 지난해 매출 448억원과 영업이익 23억원을 냈다. 전년 대비 각각 1.5%, 38.5% 증가한 수치다. 다만 자동차용 공기압축기‧항공기용 환경제어부품 등 신사업 투자와 원달러 환율하락에 따른 손실로 55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성우하이텍, 1060억원 규모 유상증자 결정
≪이 기사는 04월18일(17:3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자동차 부품업체 성우하이텍이 1000억원대 유상증자에 나선다. 실적부진에 따른 재무구조 악화로 차입이 쉽지 않아지자 주식을 활용한 조달방식을 추진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성우하이텍은 18일 이사회를 열고 오는 6월26일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106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하기로 결정했다. 이번에 발행할 신주물량은 2000만주로 현재 유통주식(6000만주)의 33.3% 수준이다. 기존 주주들을 상대로 한 청약은 6월 18~19일 진행되며, 이때 발생한 실권주는 6월 22~22일 일반 투자자들을 상대로 청약을 진행해 처리할 예정이다. 성우하이텍은 이번 신주 발행가격을 이날 종가(6870원)보다 22.9% 낮은 한 주당 5300원으로 잡았다. 이 회사는 앞으로 주가흐름 등을 반영해 6월12일 신주 발행가격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번에 조달한 자금 중 962억원은 운영자금으로, 98억원은 인수합병(M&A) 자금으로 사용할 방침이다. 한국투자증권이 대표 주관을 맡았다.성우하이텍은 주로 은행 대출과 채권 발행 등 차입을 통해 자금을 조달해왔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자금조달 방식에 변화를 주기 시작했다. 지난해 5월 공모가 아닌 사모 방식으로 200억원어치 회사채를 발행한 데 이어 12월엔 조기상환청구권(풋옵션)이 달린 전환사채(CB) 100억원어치를 찍었다. 점차 주식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는 평가다.수익성 악화로 투자심리가 얼어붙은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성우하이텍의 매출은 3조3664억원으로 전년 대비 12.2%, 영업이익은 608억원으로 56.5% 감소했다. 주거래처인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판매 부진이 실적에 적
-
안트로젠과 더 가까워진 이엠텍…이번엔 상호 CB 투자
≪이 기사는 04월12일(17:0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음향기기 제조업체인 이엠텍이 상호 투자를 통해 바이오업체엔 안트로젠과의 관계를 더 돈독하게 다지고 있다. 지난해 서로의 지분을 사들인 데 이어 이번엔 서로를 상대로 전환사채(CB)를 발행했다.이엠텍은 지난 11일 안트로젠을 상대로 3년 만기 CB 140억원어치를 발행했다고 12일 공시했다. CB는 일정 기간 이후 투자자가 발행회사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채권이다. 안트로젠은 내년 4월부터 한 주당 1만8043원에 해당 CB를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12일 종가 기준 1만8350원인 이엠텍 주가가 1년 동안 전환가격보다 높게 유지되면 안트로젠은 이 CB를 부담없이 주식으로 바꿀 수 있다. 이번 CB의 발행금리는 0%다. 같은 날 안트로젠도 이엠텍을 상대로 3년 만기 CB 18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이엠텍과 마찬가지로 내년 4월부터 CB의 주식 전환이 가능하다. 전환가격은 한 주당 17만1264원으로 이날 종가(17만4100원)보다 낮다. 이 CB의 발행금리 역시 0%다.지난해 지분 투자 이후 더욱 가까운 관계가 되고 있다는 평가다. 이엠텍은 지난해 4월 안트로젠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100억원에 회사 지분 6.16%를 사들였다. 안트로젠도 비슷한 시기에 시간외 대량매매를 통해 78억원을 들여 이엠텍 지분 4.42%를 매입했다. 증권업계에선 이엠텍이 줄기세포를 활용한 희귀질환치료제를 개발 중인 안트로젠과의 전략적 제휴를 강화해 헬스케어 사업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음향기기 사업이 주력인 이엠텍은 2015년 말 보청기업체 비에스엘을 인수해 헬스케어 분야에 뛰어들었다. 이 회사는 지난해 말 주식교환을 통해 비에스엘을 100%
-
‘적자전환’ 크레아플래닛, 200억원어치 CB 발행
≪이 기사는 03월28일(10:3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코스닥 인쇄회로기판(PCB) 장비 제조업체인 크레아플래닛이 전환사채(CB) 발행을 통해 200억원을 조달한다.크레아플레닛은 다음달과 6월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각각 100억원어치 CB를 발행한다고 28일 공시했다. 모두 3년 만기에 연 6% 금리로 발행될 예정이다. 투자자들은 발행한 지 1년째부터 한 주당 1053원에 채권을 주식으로 바뀔 수 있다. 크레아플래닛은 1994년 설립된 PCB 장비 제조업체로 경기도 안산에 본사를 두고 있다. PCB는 반도체 콘덴서 등 각종 전자부품을 끼울 수 있는 얇은 판으로 전자부품과 통신기기의 핵심부품으로 쓰이고 있다. 이 회사는 최근 2년간 연이은 인수합병(M&A)를 통해 식품·생수 유통, 화장품 판매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최근 신사업 진출과 PCB산업 호황에 힘입어 회사 외형은 크게 확대됐다. 이 회사의 지난해 매출은 967억원으로 전년 대비 61.7% 늘었다. 다만 차입금에 붙는 이자비용이 늘어나고 강화된 회계기준으로 손실로 반영된 금액이 증가하면서 수익성이 대폭 감소했다. 크레아플래닛은 지난해 영업손실 138억원, 순손실 237억원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자금조달 속도내는 아시아나항공, 이번엔 CB 발행 추진
≪이 기사는 03월16일(14:5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연이어 자산 매각 카드를 꺼내고 있는 아시아나항공이 전환사채(CB) 발행을 추진한다. CB 투자자 확보를 비롯해 진행 중인 자금조달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올 상반기에만 6000억원 이상의 유동성을 확보할 전망이다.1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은 이르면 다음달 사모 CB 발행을 통해 500억원 이상을 조달할 계획이다. 현재 국내 주요 기관투자가들에 발행 계획을 전달하고 투자수요를 모으고 있다. 만기는 5년 이내, 표면금리는 연 2%, 만기 수익률은 연 5% 수준으로 CB를 발행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투자자들이 2년 뒤부터 아시아나항공에 CB를 조기상환해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풋옵션)도 붙은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자들이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가격은 1주당 5000원 이상에서 결정될 전망이다. 상법상 CB의 전환가격을 액면가 밑으로 발행할 수 없어서다. 주가가 일정수준으로 내려갔을 때 투자자들이 전환가격을 낮출 수 있는 수준도 5000원 이상으로 잡아야한다. 지난 15일 기준 아시아나항공의 주가는 4705원으로 액면가보다 295원 낮다.아시아나항공은 올 들어 전방위로 자금조달에 나서고 있다. 지난 2월 여객‧화물 항공운임을 통해 들어올 수익을 기초자산으로 삼아 1500억원 규모 자산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한 데 이어 16일엔 보유 중인 CJ대한통운 지분 73만8427주를 935억원에 시간외매매(블록딜)로 매각했다. 최근 진행 중인 금호아시아나그룹 광화문사옥 매각이 완료되면 약 3400억원이 유입될 전망이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지난 14일 아시아나항공이 지분 80%를 들고 있는 광
-
에이티세미콘, 전환사채 10억원 발행
≪이 기사는 03월14일(14:0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코스닥 반도체 조립·검사업체인 에이티세미콘이 전환사채(CB)를 발행해 10억원을 조달했다.에이티세미콘은 14일 최대주주인 제이앤에이치테크를 상대로 5년 만기 CB 10억원어치를 사모로 발행했다고 이날 공시했다. CB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은 설비투자 등에 사용할 예정이다. 해당 CB의 표면금리는 연 2%, 만기 수익률은 연 4%로 결정됐다. 제이앤에이치테크가 내년 3월부터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조건이 달려있다. 전환가격은 1주당 781원으로 전날 종가(794원)보다 13원 낮다. 에이티세미콘은 2001년 설립된 반도체 조립·검사업체로 경기도 이천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최근 반도체시장 호황에 힘입어 실적 개선에 성공했다. 지난해 67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둬 흑자전환했다. 매출(1032억원)도 전년 대비 15.6% 증가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코스온, CB 발행해 100억원 조달
≪이 기사는 03월13일(08:5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코스닥 화장품 제조업체인 코스온이 전환사채(CB)를 발행해 100억원을 조달했다.코스온은 13일 투자업체 지케이에셋과 지케이에셋의 최대주주인 이효진씨를 상대로 2년 만기 CB 100억원어치를 발행했다고 이날 공시했다. 운영자금 조달을 위한 CB 발행이다.CB의 표면금리는 연 0%, 만기 수익률은 연 1%다. 투자자가 내년 3월부터 채권을 주식으로 바꿀 수 있다는 조건이 붙어있다. 전환가격은 1주당 1만1707원이다. 투자자가 내년 1~2월, 4~5월, 7~8월, 10~11월 코스온에 채권을 조기상환해달라고 요구할 권리(풋옵션)도 달려있다.코스온은 1999년 설립된 화장품 제조업체로 본사는 서울 강남구에 두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1005억원으로 전년 대비 21.0%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47억원으로 41.5% 줄었다. 최근 화장품 생산설비 신축과 영업 인력확대 등에 적잖은 자금이 투입되면서 수익성이 떨어졌다는 평가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현대상선, 6000억원 영구CB 콜옵션 당분간 행사 안하기로
≪이 기사는 03월09일(13:5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현대상선이 지난해 발행한 6000억원 규모 영구 전환사채(CB)를 당분간 상환하지 않기로 했다. 생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확보한 유동성인데다 올해부터 대규모 투자가 진행되는 만큼 자금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결정이라는 분석이다. 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현대상선은 지난해 3월 발행한 30년 만기 영구 CB에 붙은 조기상환 권리(콜옵션)를 적어도 올해 안에는 행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 회사는 채권을 발행한 지 1년째인 이날부터 콜옵션 행사가 가능해졌다. 영구 CB는 만기가 정해져 있지만 발행회사의 결정에 따라 만기를 연장할 수 있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되며, 일정 시점부터 투자자가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채권이다. IB업계에선 현대상선이 악화된 재무구조를 살리기 위해 이 CB를 발행했기 때문에 상환시기를 앞당기지 않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해당 영구 CB는 국내 해운사 지원을 위해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한국자산관리공사가 공동출자해 세운 한국선박해양이 모두 사들였다. 애초에 현대상선 지원 차원에서 이뤄진 발행이었기에 한국선박해양도 조기에 원리금을 상환받겠다고 나서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 회사는 지난해 말 60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통해 지난해 3분기 말 441.4%였던 부채비율을 298.5%로 떨어뜨리는 등 재무구조를 개선하긴 했지만 아직 영업을 통해 현금을 벌어들일 만큼 수익구조가 좋아진 상황은 아니다. 2016년(8333억원)보다 적자 폭을 줄이긴 했지만 지난해에도 4067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올해 대형 투자에 적잖은 자금이 투입되는 것도 이같은 결
-
행남자기, 유증·CB로 330억원 조달
≪이 기사는 03월09일(09:0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실적악화로 고전 중인 행남자기가 유상증자와 전환사채(CB) 발행을 통해 300억원 이상을 조달하기로 했다.행남자기는 오는 5월 23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와 100억원 규모 CB 발행을 하기로 했다고 9일 공시했다. 유상증자는 5월8일 마크투인베스트먼트 마크원인베스트먼트 정호열 행남자기 대표이사 등을 상대로 신주 1396만4779주를 발행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신주 발행가격은 1주당 1647원으로 전날 종가(234원)보다 7배가량 높다. CB 발행은 5월15일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마크투인베스트먼트가 발행되는 CB 전량을 인수한다. 만기가 3년인 이 CB의 표면금리는 연 3%, 만기 수익률은 연 4%다. 마크투인베스트먼트가 내년 5월부터 행남자기에 CB를 조기상환해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풋옵션)가 붙어있다.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하는 것도 내년 5월부터 가능해진다. 주식 전환가격은 1주당 1953원이다.행남자기 측은 “조속히 회사 운영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유상증자와 CB 발행을 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지속적인 적자로 재무구조가 크게 나빠진 상태다. 지난해 1~3분기 31억원의 영업적자를 내면서 2년 연속 적자를 이어가고 있다. 채권자들이 잇달아 파산신청을 내자 오는 4월 재무구조 개선방안으로 10대1 비율의 무상감자를 하기로 지난 1월 결정하기도 했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이 회사의 자본잠식률은 23.3%로 부분 자본잠식 상태다. 무상감자가 마무리되면 자본금이 57억원으로 줄어들어 자본잠식 상태에서 벗어나게 될 전망이다. 코스닥사장 규정에 따르면 2년
-
나노캠텍, 전환사채 200억원 발행
≪이 기사는 02월23일(10:3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코스닥 화학‧전자소재 제조업체인 나노캠텍이 전환사채(CB) 발행을 통해 200억원을 조달한다.나노캠텍은 오는 5월 5년 만기 CB 200억원어치를 사모 방식으로 발행한다고 23일 공시했다. CB의 표면금리는 연 0%, 만기 수익률은 연 3%다. 이 회사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 중 100억원을 인수합병(M&A)용으로, 나머지 100억원은 운영자금 등으로 사용할 계획이다.투자자들은 내년 5월부터 해당 CB를 주식으로 바꿀 수 있다. 전환가격은 1주당 4140원이다. 투자자들이 중앙오션에 CB를 조기상환해달라고 청구할 권리(풋옵션)도 붙어있다. 이 권리 또한 내년 5월부터 행사가 가능하다.나노캠텍은 1999년 설립된 화학‧전자소재 제조업체로 경기도 용인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액정표시장치(LCD) 글래스 셀 보호용 소재, 도전성(전류가 흐르도록 유도하는 성질) 플라스틱 소재 등 첨단 화학‧전자소재를 만들고 있다.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LG전자 등 대형 전자기기업체들을 주요 고객으로 두고 있다. 최근 수익성은 좋지 않다. 지난해 1~3분기 30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2015년부터 매년 적자를 이어가고 있다. 매출은 48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9% 증가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중앙오션, 전환사채 200억원 발행
≪이 기사는 02월23일(09:5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코스닥 조선 기자재업체인 중앙오션이 전환사채(CB) 발행으로 200억원을 조달한다.중앙오션은 오는 4월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3년 만기 CB 200억원어치를 발행한다고 23일 공시했다. CB의 표면금리는 연 0%, 만기 수익률은 연 1%다. 투자자들은 내년 4월부터 해당 CB를 주식으로 바꿀 수 있다. 전환가격은 1주당 3815원이다. 투자자들이 중앙오션에 CB를 조기상환해달라고 청구할 권리(풋옵션)도 붙어있다. 이 권리 또한 내년 4월부터 행사가 가능하다.중앙오션은 1998년 설립된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메가바이온이 모태다. 2010년 조선기자재업체인 중앙오션을 인수하면서 지금 사명으로 바꿨다. 선박의 선수 선미 엔진룸 등 특수제작이 필요한 9개 부품을 블록형태로 제작하고 있다. 서울 영등포구에 본사를 두고 있다.최근 실적은 좋지 않다. 지난해 하반기 69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적자전환했다. 매출(53억원)도 전년 동기 대비 43.6% 감소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대우조선, 대규모 전환사채 찍나...발행한도 4조원으로 확대
이 기사는 05월02일(18:1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대우조선해양이 전환사채(CB) 발행한도를 현행 2조원에서 4조원으로 확대한다. 계획대로 발행한도를 늘려 자본확충에 나설 경우 이 회사 부채비율은 300%대까지 낮아질 전망이다. 대우조선은 이달 17일 열리는 임시 주주총회에서 CB 발행한도를 2조원에서 4조원으로 확대하는 정관 변경안을 상정할 예정이라고 25일 공시했다. 이 회사는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CB 발행한도를 증액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우조선은 지난달 투자자들의 동의를 받아 1조5500억원 규모의 회사채·기업어음(CP) 만기를 연장하는데 성공했다. 금융당국은 대우조선 회사채·CP 만기 연장을 전제조건으로 2조9000억원 규모의 자금지원을 약속했다.채권단은 이 회사가 발행하는 영구채 성격의 CB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자금지원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대우조선은 지난해에도 만기 30년의 영구 CB 1조원어치를 수출입은행을 대상으로 발행한 바 있다. 영구 CB는 상환의무가 없기 때문에 발행금액 만큼을 자본으로 회계처리하고 있다. 이 회사는 지금까지 발행한 CB 규모는 1조원에 달했다. 예정대로 정관이 바뀌면 3조원 규모의 CB를 추가발행할 수 있다. 영구 CB 3조원어치를 발행할 경우 2016년 말 재무제표 기준으로 이 회사 부채비율은 2184.7%에서 393.6%까지 대폭 내려간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
영우디에스피, 180억원 규모 전환사채 발행
이 기사는 04월25일(18:3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영우디에스피는 18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정했다고 25일 공시했다. 110억원은 시설자금, 70억원은 운영자금으로 쓸 예정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이 사채의 만기는 5년이며 표면 및 만기 이자는 없다. 사채권자가 원할 경우 주당 1만844원에 영우디에스피 보통주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발행 주식 총수의 13.62%에 달하는 165만9904주가 신규로 발행될 수 있다.사채권자는 삼성증권(30억원) NH투자증권(20억원) 한양증권(15억원) 등이다.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