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FANG' 시대 가고…8개 대형주 미국 새로운 강세장 이끈다

    미국의 8개 대형주 종목이 미국 증시의 새로운 강세장을 이끌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한 때 시장을 주도했던 기술주 중심의 FANG(페이스북·애플·넷플릭스·구글)을 대신해 한 단어로 설명할 수 없는 7~8개 대형주 종목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고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가 언급한 종목은 엔비디아, 애플, 마이크로소프트웨어(MS), 아마존, 메타(페이스북), 알파벳(구글), 테슬라, 넷플릭스 등이다. WSJ은 "이들 종목이 약세장에서 잠정적인 새로운 강세장의 전환을 이끌고 있다"면서 "특히 이 주식은 미국 중앙은행(Fed)이 무엇을 하든 신경 쓰지 않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미국 증시는 Fed의 금리인상과 경기침체 우려에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금리가 오르면 예금 이자가 높아져 주식에 대한 투자 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미국 주식의 흐름은 금리와 관련해 시장 행동이 상당히 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Fed는 지난해 3월 이후 10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5%포인트 끌어올렸다. 50개 대형주로 구성된 러셀탑 50 지수의 상승률은 중·소형주를 포함하고 있는 러셀탑 2000 지수를 올해 들어 20% 포인트 이상 앞질렀다. 문제는 새로운 강세장이 지속될 수 있냐는 것이다. WSJ은 이들 종목이 상승하고 있는 이유와 위험 요소를 함께 제시했다. 먼저 이들 기업은 대차대조표가 상대적으로 우수하고,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 가장 주목받는 기술인 인공지능(AI) 열풍의 수혜 주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의 금리 상승이 거의 정점에 가까워지면서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았던 종목이 반등할 여지도 남아있다. 리스크도 있다. 먼저 과도한 투자 열기다. 엔비디아처

  • '개발자 성지' 깃랩, AI타고 주가 급등

    '개발자 성지' 깃랩, AI타고 주가 급등

    미국의 웹 기반 소프트웨어(SW) 업체 깃랩의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되면서 주가가 2021년 상장 이후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개발자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인 데브옵스 등을 통해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을 뛰어넘는 선도적인 지위를 구축한 결과라는 평가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제품 출시 계획까지 정식으로 공개되면서 향후 주가 전망도 긍정적이다. ○상장 이후 최대폭 상승6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깃랩 주식은 전일보다 11.04달러(31.19%) 뛴 46.44달러에 마감했다. 2021년 나스닥 상장 이후 최대 상승 폭이라고 CNBC 방송이 전했다. 2014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설립된 깃랩은 글로벌 개발자들이 소스코드를 서로 확인하고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제품 및 서비스로 성장해왔다. 깃랩은 특히 무료 오픈소스 플랫폼 데브옵스를 통해 빠르게 사업을 확장했다. 데브옵스를 이용하면 개발자는 소프트웨어의 개발부터 배포, 실시간 모니터링까지 하나의 툴로 관리할 수 있다. 깃랩의 성장 속도는 전날 발표한 실적을 통해 증명됐다. 깃랩은 올해 1분기 매출이 1억2690만달러(약 1648억원)로, 1년 전(8740만달러)보다 45%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금융정보업체 레피니티브가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전망치는 1억1180만달러였다. 실적이 눈에 띄게 개선되자 월가에선 앞다퉈 깃랩의 목표주가를 올려 잡았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18명의 애널리스트가 깃랩 주식에 대해 ‘매수’ 의견을 내놨고, 목표주가 중앙값은 53.50달러까지 높아졌다. 깃랩은 내년도 실적 가이던스도 상향 조정하며 자신감을 내보였다. 매출 목표는 기존 5억2900만~5억3300만달러에서 5억4100만~5억4300만달러로 수정했다. ○AI 서비스도 출시 계획깃

  • 엔비디아 놓쳤다면…'AI 수혜주' 이건 어때?

    엔비디아 놓쳤다면…'AI 수혜주' 이건 어때?

    엔비디아가 시가총액 ‘1조달러 클럽’ 가입 신화를 쓰자 인공지능(AI) 관련 기술주로의 투자 쏠림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기술주 중심인 나스닥지수의 상승률은 20여 년 전 ‘닷컴 버블’ 때보다 더 큰 폭으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를 앞지르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앞다퉈 AI 수혜주 선정에 열을 올리는 모양새다. 그러나 동시에 닷컴 버블에 비견되는 ‘AI 버블’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 산업의 경우 아직은 시작 단계이기 때문에 관련 주식 투자도 옥석을 가려 신중히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AI 골드러시’에 맥도날드까지 올라타31일(현지시간) 미국 CNBC방송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AI 테마주로 분류되는 24개 종목 중 15개에 매수 의견을 제시했다. 엔비디아를 포함해 아마존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MS) 메타 애플 등 빅테크가 줄줄이 이름을 올렸다. AMD 마이크론테크놀로지 마벨테크놀로지 팔로알토네트웍스 데이터도그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스노우플레이크 세일즈포스 아리스타네트웍스 등을 함께 추천주로 언급했다. 골드만삭스는 AI의 발전으로 노동 생산성이 급증하면서 앞으로 10년간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이 7조달러(약 9250조5000억원)가량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소프트웨어 기업들에 주목했다. 이 은행은 자체 분석 툴을 활용해 6개 종목을 가려냈다. MS는 최고 점수를 받은 유일한 회사였다. 오픈AI에 수십억달러를 투자한 것과 더불어 챗GPT의 기본 검색 엔진으로 MS의 ‘빙’이 장착된다는 사실이 공개되면서 최대 수혜 기업으로 떠올랐다는 평가다. BoA는 이외에도 오라클 허브스팟 세일즈포스 데이터도그 워

  • 엔비디아, 시총 1조달러 '눈앞'…돌파땐 반도체 기업으론 처음

    엔비디아, 시총 1조달러 '눈앞'…돌파땐 반도체 기업으론 처음

    생성형 인공지능(AI) 열풍의 최대 수혜주로 꼽히는 엔비디아가 시가총액 1조달러 클럽 가입을 눈앞에 뒀다. 25일(현지시간) 미국 나스닥시장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전날보다 24.37% 급등한 379.8달러에 거래를 마치며 사상 최고가를 찍었다. 장중 394.8달러까지 치솟았다. 엔비디아 시총은 하루 만에 1840억달러(약 245조원) 불어난 9390억달러(약 1248조8700억원)가 됐다. 미국 기업 역사상 하루 시총 증가 폭으로는 최대라고 마켓워치는 전했다. 엔비디아 주가는 올 들어 160%가량 폭등했다. 세계 시장에서 AI 개발에 쓰이는 반도체 중 90% 이상을 공급하고 있는 엔비디아에 투자 수요가 몰린 결과다. 엔비디아 주가가 더 올라 시총이 1조달러를 넘기면 반도체 기업으로는 최초가 된다. 세계 증시에서 시총이 1조달러 이상인 기업은 애플(2조7200억달러), 마이크로소프트(2조4230억달러), 아람코(2조590억달러), 구글 모회사 알파벳(1조5730억달러), 아마존(1조1790억달러) 등 다섯 곳뿐이다. 엔비디아의 이날 주가 강세는 전날 장 마감 뒤 공개된 깜짝 실적(어닝 서프라이즈)과 공격적인 가이던스 때문이다. 엔비디아의 2~4월(자체 2024회계연도 1분기) 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 증가한 20억4300만달러였다. 같은 기간 매출은 71억9000만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13% 감소했지만, 월가 추정치 65억2000만달러를 10.3% 웃돌았다. 이날 엔비디아는 회계연도 2분기 매출 가이던스를 110억달러로 제시하며 시장을 놀라게 했다. 시장 전망치(71억5000만달러)를 50% 이상 웃돌아서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AI 학습을 위한 데이터센터용 차세대 반도체 수요가 급증했다”고 했다. 엔비디아 효과로 다른 반도체주도 급등했다. 미국 AMD와

  • 엔비디아 24% 폭등…하루 만에 몸값 245조 뛰었다 '역대급'

    엔비디아 24% 폭등…하루 만에 몸값 245조 뛰었다 '역대급'

    생성형 인공지능(AI) 열풍의 최대 수혜주로 꼽히는 엔비디아가 '어닝 서프라이즈'에 힘입어 주가가 20% 넘게 급등했다. 엔비디아는 반도체 기업으론 처음 시가총액 1조달러(1330조원) 진입을 눈앞에 뒀다. 25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전날보다 24.37% 급등한 379.8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역대 최고치다. 장중에는 394.8달러까지 치솟았다. 이에 따라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은 하루 만에 1840억달러(약 245조원) 불어난 9390억 달러(1248조8700억원)를 기록했다. 미국 기업 역사상 하루 시총 증가 폭으로는 최대라고 마켓워치는 전했다. 엔비디아의 시총 증가 폭은 월트디즈니, 넷플릭스, 나이키, 보잉, 나이키 등 유명 기업의 시총보다 크다. 엔비디아 주가는 올해 들어서만 160% 폭등하면서 시총 1조 달러를 앞두고 있다. 엔비디아가 1조 달러 클럽에 진입하면 반도체 기업으로는 처음이다. 전 세계 증시에서 시총이 1조 달러를 넘는 기업은 애플(2조7200억 달러)과 마이크로소프트(2조4230억 달러), 사우디 아람코(2조590억달러), 구글 모회사 알파벳(1조5730억 달러), 아마존(1조1790억 달러) 등 5곳뿐이다. 엔비디아의 이날 주가 강세는 전날 장 마감 직후 시장 기대를 훌쩍 뛰어넘는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엔비디아는 2024 회계연도 1분기(2~4월) 순이익이 20억4300만달러로 26% 증가했다고 밝혔다. 분기 매출은 71억9000만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13% 감소했지만, 월가 추정치 65억2000만달러를 10.3% 웃돌았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AI 학습을 위한 데이터센터용 차세대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다”며 “수요를 맞추기 위해 공급을 크게 늘리고 있다”고 밝혔다. 엔비디아의 주

  • 네이버가 구글·아마존 따라한 ‘회계 마법’…감가상각 줄여 이익 늘린다

    네이버가 구글·아마존 따라한 ‘회계 마법’…감가상각 줄여 이익 늘린다

    구글과 아마존, 메타(페이스북) 등 글로벌 테크기업을 벤치마킹해 국내 대표 정보기술(IT) 기업인 네이버도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의 사용 연한을 늘리고 있다.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데이터센터 및 서버 구축에 막대한 자금이 들면서 감가상각비용도 만만치 않아지면서다. 감가상각 내용연수를 연장해 경기 불황에 따른 영업이익 하락 폭을 줄여 회계상 이익을 늘릴 수 있게 됐다.네이버의 1분기 깜짝 이익의 배경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이번 1분기 실적발표에서 올해부터 서버 등 주요 장비의 감가상각 내용연수를 기존 4년에서 5년으로 늘린다고 밝혔다. 국내 IT기업 가운데 내용연수 연장을 공식적으로 발표한 건 네이버가 처음이다. 김남선 네이버 CFO(최고재무책임자)는 컨퍼런스콜에서 “국내외 업체들도 서버와 CPU 등 내용연수를 기존 4년에서 5~6년으로 늘리는 추세”라며 “이는 현재 회사의 평균 장비 사용 기간이 5.4년 이상인 현실을 보다 정확히 반영한다”고 말했다. 이는 국내 IT기업의 양대 산맥으로 불리는 카카오와 다른 점이기도 하다. 카카오는 현재 데이터센터를 임대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감가상각에 대한 부담이 네이버보다는 적은 편이다. 다만 카카오는 구체적인 서버 및 CPU의 내용연수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네이버는 이번 주요 장비의 내용연수 연장을 통해 1분기에 영업이익의 6.8%에 해당하는 225억원의 비용을 절감했다. 네이버의 1분기 영업이익의 시장전망치는 3171억원 수준이었는데 내용연수 연장 효과로 3305억원을 기록했다. 네이버의 호실적은 사실상 내용연수 연장에 따라 발생한 셈이다. 1분기 실적 발표 이후 네이버에 대한 매수세가

  • 美침체 전망에 반기 든 월가맨…"S&P500 9월까지 4400 간다"

    美침체 전망에 반기 든 월가맨…"S&P500 9월까지 4400 간다"

    미국 S&P500지수가 4개월 안에 4400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 투자은행 스티펠의 주식 부문 수석전략가인 배리 배니스터는 8일(현지시간) 고객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S&P500지수 전망치를 기존 4200에서 2~3분기 4400으로 5%가량 상향한다”고 했다. S&P500지수의 이날 종가는 4138.12로 올 들어 7.78% 올랐다. S&P500지수는 지난해 4월 이후 4400선을 넘기지 못해 왔다. 배니스터 전략가의 전망은 시장의 전반적 분위기와 다르다. 월가 전문가들은 S&P500지수가 올해 말 4000선에서 마감하며 2008년 이후 연간으로는 최대 낙폭을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배니스터 전략가는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진정되면 증시 랠리로 이어질 수 있다고 봤다.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이 크게 둔화할 거란 전망에서다. 그는 이 수치가 전년 동월 대비 2.6~3.6%까지 낮아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 밖에 배니스터 전략가는 10년 만기 물가연동국채(TIPS) 금리가 현재 연 1.2%대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의 연 2~3%보다 낮은 점도 근거로 들었다. 투자자들이 저금리 TIPS보다 주식으로 눈을 돌릴 가능성이 커서다. 애플, 아마존 등 양호한 주가 상승률을 보여 온 빅테크(대형 정보기술기업)가 증시 랠리를 주도할 것이란 예측이다. 배니스터 전략가는 빅테크를 포함해 기초 소재, 금융 등 분야의 경기순환주 투자를 추천했다. 이 밖에 반도체와 소프트웨어, 테슬라를 포함한 자동차 회사도 유망하다고 조언했다. 배니스터 전략가는 또 올해 미국 경제가 침체를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기업들이 ‘실적 불황’만 면한다면 증시는 상승세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올해 중반부터 경제가 회복될 것이란

  • "S&P500 9월 전 4400 간다"…침체 우려 뒤집는 장밋빛 전망

    "S&P500 9월 전 4400 간다"…침체 우려 뒤집는 장밋빛 전망

    올해 들어 8% 가까이 오른 S&P500지수가 4개월 내로 4400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문가 전망이 나왔다. 9일 마켓워치에 따르면 미국 투자은행 스티펠의 주식 부문 수석 전략가인 배리 배니스터는 8일(현지시간) 고객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S&P500지수의 목표치를 기존 4200에서 2~3분기 4400으로 5% 상향할 것”이라고 밝혔다. 월가 컨센서스와는 다소 배치되는 관측이다. 전문가들은 그간 올해 1분기 주식 시장이 하락세를 지속한 뒤 연말께 반등할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그러나 미국 중앙은행(Fed)이 긴축 정책을 지속하고, 은행 위기나 부채 한도 협상 교착 등 여러 부정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미 증시는 양호한 수익률을 냈다. S&P500지수는 올해 들어 이날까지 7.78% 상승했고, 같은 기간 나스닥은 17.11% 급등했다. 4200은 그간 S&P500지수에 대한 심리적 상한선으로 작용해 왔다. 지난해 8월 이후 이 지수는 4200을 넘어본 적이 없다. 마지막으로 4400선을 웃돈 건 지난해 4월 21일이다. 배니스터의 전망은 미국의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이 크게 둔화할 것이란 전망에 기인한다. 지난 3월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4.6% 올랐다. 시장 전망치(4.5%)를 소폭 웃돌았지만, 지난해 9월 5.2%까지 오른 뒤 꾸준히 하락세를 나타냈다. 배니스터는 근원 PCE 가격지수가 2.6~3.6%까지 낮아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0년 동안의 최저치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짚었다. 국채 수익률이 금융위기 이전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도 이런 전망을 뒷받침한다. 채권 수익률이 낮을수록 주식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10년 만기 물가연동

  • 연봉 28억 깎여도 237억?…'실적 부진' 美 CEO 보수 화제

    연봉 28억 깎여도 237억?…'실적 부진' 美 CEO 보수 화제

    미국 대형 유통업체 타깃의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 브라이언 코넬(사진)의 지난해 보수가 210만달러(약 28억원) 삭감됐다. 인플레이션과 높은 기준금리 등으로 실적 부진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다만 매년 받는 연봉은 아직 수백억원에 달한다. 1일(현지시간) 타깃은 코넬 CEO의 2022회계연도(2022년 2월~2023년 1월) 총 급여가 1770만달러(237억원)로 전년(1980만달러·265억원) 대비 210만달러 줄었다고 공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등 실적에 연동돼 지급되는 인센티브 보상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코넬 CEO는 2014년 타깃 CEO로 취임해 약 9년 동안 타깃을 이끌어온 수장이다. 2022회계연도에 타깃의 매출은 1091억2000만달러로 전년(1060억500만달러)보다 2.9% 증가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38억4800만달러로 전년(89억4600만달러) 대비 57% 감소했다. 최근 5개년 중 가장 낮았다. 주당순이익(EPS)도 5.98달러로 14.10달러였던 전년보다 크게 줄었다. 매출이 늘었는데 이익은 줄어들면서 수익성이 악화됐다. 타깃의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3.5%로 전년 8.4% 대비 반토막났다. 지난해 상반기 미국에서 물가상승률이 급등하고 미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를 빠르게 올리며 소비자들은 허리띠를 졸라맸다. 마트에 가도 식재료 등 꼭 필요한 제품만 샀다. 가전과 가구, 의류 등 고가 제품들에 대한 소비도 확 줄였다. 소비자의 발길이 뜸해진 타깃과 월마트 등 대형 유통업체들은 재고 처리 문제로 골머리를 앓았다. 수익성 악화를 감수하고 의류와 생활용품 같은 상품들을 할인해 싸게 파는 수밖에 없었다. 타깃은 올해는 수익성이 다시 회복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지난달 타깃은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재고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고

  • S&P500 '빅테크 의존증'…7개 종목 비중 80% 달해

    미국 증시 대표 지수인 S&P500의 올해 상승률에서 빅테크(대형 기술기업) 7곳이 차지하는 비중이 8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주 빅테크가 예상을 웃도는 1분기 실적을 공개한 가운데 이번주 애플 등 주요 기업의 실적 발표가 예고돼 있어 뉴욕증시의 추가 매수세가 이어질지 주목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빅테크 7개 기업이 올해의 S&P500 상승세를 주도하고 있다고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신용평가사 S&P글로벌이 대형주 500개 기업 주식을 모아 작성하는 S&P500은 올 들어 8.6% 상승했다. 이 중 7개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80%에 달했다. 특히 시가총액 1~2위인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MS)는 올해만 시총이 1조1000억달러 이상 늘었고, S&P500지수가 상승하는 데 40% 정도의 역할을 했다고 FT는 전했다. 엔비디아, 페이스북의 메타, 아마존, 테슬라, 구글의 알파벳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들 주식은 지금까지 평균 44% 상승해 S&P500 상승률을 크게 웃돌았다. 미국 증시에서 소수의 기업과 나머지 주식 간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는 얘기다. 빅테크 관련주는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도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는 투자자들의 믿음과 함께 인공지능(AI)의 급부상 속에 상승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긴축이 곧 끝날 것이라는 기대도 주가 상승을 부추겼다. 지난해 빅테크 기업 주가가 급락하면서 저가 매수세가 더해진 영향도 크다. 이번주에는 애플(4일)의 1분기 실적이 공개될 예정이다. 우버, 스타벅스, 메리어트 등도 이번주 실적을 공개한다. 신정은 기자 newyearis@hankyung.com

  • '불황형 실적 랠리'에 웃지 못하는 美빅테크

    '불황형 실적 랠리'에 웃지 못하는 美빅테크

    아마존과 메타 등 미국 빅테크의 1분기(1~3월) 실적이 27일(현지시간) 예상보다 좋게 나왔지만 경기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 흐름을 바꾸긴 어려웠다. 지난해부터 이어온 대규모 인원 감축에 따른 ‘불황형 실적 랠리’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적 수치가 전망치보다 좋았을 뿐이지 성장률 둔화세가 확연한 점도 이 같은 분석을 뒷받침한다. ○메타 주가 13.93% 급등아마존과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의 1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으면서 두 기업 주가가 이날 모두 급등했다. 이 기간 메타의 매출은 286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 늘었다. 시장 예상치(276억달러)를 훨씬 웃도는 수치다. 메타는 1분기 매출 증가는 코로나19 봉쇄 완화로 중국 광고주들이 광고를 늘린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기업이 해외 거주 소비자를 대상으로 페이스북에 광고 지출을 늘렸기 때문이다. 뉴욕 증시에서 메타 주가는 전날보다 13.93% 급등한 238.5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아마존의 실적도 시장 전망치를 웃돌았다. 아마존은 1분기 약 1274억달러 매출을 기록했다고 이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 늘어난 것으로 월가 기대치(1246억달러)를 뛰어넘었다. 아마존 클라우드 웹서비스(AWS) 매출이 213억달러를 기록하면서 실적에 기여했다. 아마존도 주가도 이날 4.6% 상승했다. 하지만 이들 기업의 호실적은 대규모 감원에 따른 비용 절감 영향이 적지 않다. 메타는 작년 11월 1만1000명을 해고한 데 이어 지난달에도 1만 명의 추가 구조조정 계획을 밝히며 비용 축소에 힘써 왔다. 올초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는 올해를 ‘효율성의 해’로 정했다고 밝혔다. 아마존도 지난 분기에 회사 역사상 최대 규모인 2만7000명을 감

  • 'AWS 선방' 아마존, 매출 9% 증가…'빅테크 실적 랠리'

    'AWS 선방' 아마존, 매출 9% 증가…'빅테크 실적 랠리'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이 클라우드 사업부의 선방에 힘입어 기대 이상의 실적을 올렸다. 주가는 6% 이상 상승하며 빅테크 실적 랠리를 이어갔다. 아마존은 27일(현지시간) 1분기 매출이 1274억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9%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레피니티브가 집계한 월스트리트 애널리스트 추정치 평균 1245억달러를 웃도는 성적표다. 1분기 순이익은 32억달러로 전년 동기(38억달러)보다 15.8% 줄어들었다. 전기 트럭업체 리비안에 투자했으나 주가 하락으로 인한 세전 평가 손실 5억달러가 반영됐다. 주당 순이익은 0.31달러로 집계됐다. 월가 추정치는 0.21달러였다. 이와 함께 현재 진행중인 2분기 매출은 1270억~1330억달러가 될 것이라고 회사는 내다봤다. 애널리스트 추정치 평균은 1298억달러였다. 전년 동기 대비 5~10% 성장을 예고한 것이다. 아마존은 기업공개(IPO) 이후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왔지만 지난 분기부터 한 자릿수 성장률에 머물러있다. 앤디 재시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을 통해 "광고사업이 머신러닝을 통한 인공지능(AI)에 투자한 덕분에 견조하게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마존 사업부 가운데 가장 높은 수익성을 자랑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부분인 AWS의 매출은 1분기에 약 213억5000만달러로 16% 증가했다. 이는 월가 추정치(212억2000만달러)를 웃도는 수치다. 다만 이전 분기 성장률 20%에 비해 둔화됐다. 1위 사업자로서 추격자인 마이크로소프트 애저와 구글 클라우드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 최근 기업들이 경기침체로 클라우드 지출을 줄이려는 영향도 받았다. AWS의 영업이익은 51억달러로 집계됐다. 회사 전체 영업이익 47억7000만달러를 넘어서는 규모다. 재시 CEO는 "클

  • 이베이, 매출 반등 성공…실적 호조에 마감 후 주가 8% 급등

    미국 전자상거래 기업 이베이가 올해 1분기 예상보다 뛰어난 성적표를 거뒀다. 실적 전망도 밝아지면서 장 마감 후 주가는 8% 급등했다. 이베이는 26일(현지시간) 1분기 실적보고서를 내고 매출이 25억1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추정치인 24억8000만달러를 웃돈다. 이베이는 지난해 4월 매출이 전년 대비 4% 감소했었는데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베이의 1분기 주당순이익(EPS)은 1.11달러로 역시 추정치인 1.06달러를 웃돌았다. 이베이는 또한 2분기 매출이 24억7000만~25억4000만달러 사이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24억3000만달러를 뛰어넘는 것이다. 이베이 주가는 이날 뉴욕증시에서 전날보다 1.48% 하락한 43.36달러에 마감했지만, 실적 발표에 힘입어 장 마감 후 거래에서 8% 급등했다. 이베이의 호실적이 2분기에도 지속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베이 주가는 지난해 38% 하락했으며 올해 들어선 5% 가까이 반등했다. 제이미 이안노네 이베이 최고경영자(CEO)는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호황이 끝난 후 비용 절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2월 이베이는 전체인력의 4%에 해당하는 약 500명을 감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베이는 매출을 높이기 위해 시계와 같은 고가제품 판매를 확대하고, 또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을 위한 리퍼비시 제품 판매도 시작했다. 이밖에 지난달엔 자동차, 운동화, 명품 등 중고품 거래에 사용되고 있는 인증 제도를 중장비에도 적용하기로 했다. 이베이의 실적 호조로 27일 발표되는 미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의 실적도 개선됐을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아마존은 2만7000명

  • 아마존·페이스북·구글…이번주 美 '빅테크' 실적 쏟아진다

    아마존·페이스북·구글…이번주 美 '빅테크' 실적 쏟아진다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 속에 이번 주 '빅테크'(대형 기술 기업)를 비롯한 대형 기업의 1분기 실적이 줄줄이 발표된다. 작년 말부터 빅테크 기업들의 감원 칼바람이 불고 있어 이번 실적에 더욱 관심이 쏠린다. 대형 기업들의 실적은 미국 중앙은행(Fed)의 긴축 기조 속에 경기를 파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란 분석이다. ○빅테크 감원 후 수익성 개선했나23일(현지시간) 팩트셋에 따르면 이번 주 S&P 500 기업 중 3분의 1인 180개 기업이 1분기 실적을 공개한다.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지수의 14개 기업도 포함된다.이번 주 실적을 발표하는 기업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의 알파벳(25일) 페이스북의 메타(26일), 아마존(26일) 등 빅테크가 대거 포진해있다. 반도체 제조업체 인텔과 식품 회사 펩시코, 세계1 위 석유회사 엑슨모빌도 관심을 끄는 기업이다.올해 1분기 기업들의 실적은 코로나19 펜데믹(세계적 대유행) 초기 이후 가장 악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 S&P500 기업의 18%가 실적을 발표했는데 지난해보다 매출이 2.1%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6.2%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특히 이번 주 실적을 발표하는 빅테크 기업은 코로나 팬데믹 기간 가장 수혜를 봤던 기업이다. 아마존과 메타, MS 등은 2020년과 2021년 인력을 연간 20~30%씩 늘렸다. 아마존은 이 기간 약 81만명을 고용했다.지난해 미국의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치솟고 Fed가 긴축을 시작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경기침체 우려에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이자 빅테크 실적도 뒷걸음질 쳤다. 작년 말부터 빅테크 기업들은 대규모 구조조정에 돌입했고, 실제 수익성을 개선했는지 이번 실적에서 고스란히 공개될 예정이다. ○소

  • [단독] 이재용, 내달 애플·구글 CEO 만난다

    [단독] 이재용, 내달 애플·구글 CEO 만난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다음달 중순까지 이어지는 미국 출장 기간에 실리콘밸리에 들러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등을 만나는 일정을 최종 조율 중이다. 정보통신기술(ICT)업계 ‘빅샷’과의 교류를 통해 삼성의 미래 사업을 구상하고 기업 간 협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으로 분석된다. 미·중 반도체 패권 전쟁과 소비 침체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이 회장이 미국 출장을 통해 위기 돌파 방안을 찾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20일 산업계에 따르면 이 회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 일정에 동행하기 위해 이르면 이번 주말 미국으로 출국한다. 이 회장의 미국 출장 일정은 5월 둘째주(10~16일)까지 잡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회장의 다음 재판이 오는 5월 26일 열리기 때문에 미국 장기 출장에 걸림돌은 없는 상황이다.이번 방미 초반에는 경제사절단 일원으로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다. 미국 반도체지원법 관련 정부 간 협상을 측면 지원하고 미국 정관계 인사에게 삼성의 상황을 전달할 방침이다.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는 ‘JY표 신사업’인 바이오 분야에서 긴밀한 관계를 맺어온 모더나, 바이오젠 등의 CEO와 만나 협력 관계를 강화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이재용의 5월…美 빅샷 만나며 '전략 구상'내달 첫째주 동부서 일정 소화…버라이즌·모더나 등 방문 가능성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사진)은 경제사절단 공식 일정이 끝나는 이달 말부터 삼성의 미국 사업과 관련한 행보를 본격화한다. 미국은 삼성전자의 최대 시장으로 현지 법인의 지난해 매출이 86조원에 달한다. 반도체, 배터리와 관련해선 투자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