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 IPO 최대어' ARM 9월 美상장 추진…"애플·삼성 투자자로 영입"
일본 소프트뱅크그룹이 소유한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회사인 ARM이 미국 나스닥 시장에 9월 상장하며 삼성전자와 애플 등이 투자자로 참여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8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ARM이 9월 기업공개(IPO)를 통해 나스닥에 상장할 계획"이라며 "소프트뱅크는 이달 말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상장을 공식 신청할 것"이라고 보도했다.닛케이는 "ARM이 나스닥 상장 시 시가총액은 600억달러(약 79조원)를 넘어 올해 미국 증시의 최대 IPO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상장과 동시에 애플, 엔비디아, 인텔, 삼성전자 등 세계 주요 반도체 관련 기업들이 투자가 이어질 예정"이라고 전했다.보도에 따르면 ARM은 이들 기업에 일정 지분을 배정해 중장기 주주로 영입하고, 상장 이후 주가 안정을 꾀한다는 전략이다.이와 관련해 삼성전자 측은 보도 내용을 부인했다.영국에 본사를 둔 ARM은 PC의 중앙처리장치(CPU)와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 정보기술(IT) 기기의 ‘두뇌’ 역할을 하는 반도체 설계 핵심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소프트뱅크는 2016년 320억달러를 들여 ARM을 인수했다. 이번에 닛케이의 보도대로 상장에 성공하면 기업규모는 두배로 늘어나게 된다.소프트뱅크는 2020년 9월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에 ARM을 최대 400억달러(약 52조원)에 매각하려 했으나 각국 규제당국의 반대로 무산됐고, 이후 상장을 추진해왔다.한편 이날 소프트뱅크그룹은 2분기 4776억엔(4조390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3분기 연속 적자다. 다만 ARM 등에 투자하는 기술 중심 펀드인 비전펀드는 2분기 1598억엔의 투자 수익을 기록했다.신정은 기자 newyearis@ha
-
4대그룹, 7년 만에 전경련 복귀 '가닥'
삼성 SK 현대자동차 LG 등 4대그룹이 전국경제인연합회 복귀에 시동을 걸었다. 오는 22일 열리는 전경련 임시총회를 앞두고 삼성이 전경련 재가입을 논의하기 위해 준법감시위원회를 열기로 했다. 다른 그룹들도 복귀 시기를 저울질하는 분위기다. 4대그룹의 ‘동시 복귀’가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류진 회장이 이끌게 될 한국경제인협회에 복귀할 필요가 있다는 공감대는 형성됐지만, 그룹마다 복귀 시점에 대한 온도 차가 있는 데다 의사결정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삼성 준법감시위 22일 전 열 듯복수의 재계 관계자는 8일 “삼성그룹 준법감시위원회가 22일 전에 임시회의를 열기로 했다”며 “전경련 임시총회보다 앞서 준법감시위를 열어 전경련 재가입 여부를 논의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2016년 미르재단 사태 등으로 전경련을 탈퇴한 삼성그룹은 삼성전자를 비롯해 삼성SDI 삼성생명 삼성화재 삼성증권 등이 전경련 산하 연구기관인 한국경제연구원의 회원사로 남아 있다. 전경련이 임시총회에서 한경연을 흡수통합하는 안을 의결하면 자연스럽게 통합 기관인 한경협 회원사가 된다.이 과정에서 전경련 복귀와 관련된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삼성그룹 준법감시위원들이 이를 논의하고 심사할 계획이다. 준법감시위 심사가 끝나면 삼성전자 등 해당 계열사들은 곧바로 이사회를 열어 복귀 안건을 의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4대그룹의 한 임원은 “각 그룹의 재가입이 바로 이뤄지지 않더라도 논의가 시작된 것 자체에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SK·현대차·LG도 순차적 합류할 듯삼성의 행보는 다른 그룹에도 직간접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
삼성바이오에피스, 바이오젠 시밀러사업부 인수 추진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세계 첫 알츠하이머 치료제인 ‘레켐비’ 공동 개발사로 유명한 미국 바이오젠의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사업부 인수를 추진한다. 인수에 성공하면 바이오시밀러의 개발(삼성바이오에피스), 생산(삼성바이오로직스)에 이어 글로벌 판매망(바이오젠)까지 경쟁력을 갖춰 단번에 업계 선두권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매출 1조원’ 美·유럽 판매망 노린 삼성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바이오젠은 최근 바이오시밀러 사업부 매각주관사로 에버코어를 선정하고 복수의 인수 후보와 접촉하고 있다. 유력한 인수 후보는 삼성바이오에피스다. 바이오젠은 삼성이 바이오산업에 진출해 2012년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설립할 당시 합작사로 지분을 공동 투자한 ‘10년지기 동맹 관계’다.바이오젠은 기대를 모은 알츠하이머 신약 ‘아두헬름’ 상업화 실패 후 최근 최고경영자(CEO)가 교체되고 1000여 명을 감축하는 등 구조조정이 한창이다. 주력 사업인 신경과학 및 생명공학 분야 신약 연구개발에 집중하기 위해 바이오시밀러 사업부를 매각하기로 했다. 최근 2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도 “바이오시밀러 사업에 관심 있는 복수의 관계자와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바이오젠 바이오시밀러 사업부는 유럽과 미국 내 300여 명의 글로벌 의약품 판매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해 매출은 7억5100만달러(약 9600억원)로 1조원에 육박한다. 주요 판매 제품으로는 류머티즘 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3종(베네팔리, 임랄디, 플릭사비)을 비롯해 황반변성 등 안과 질환 치료제인 바이우비즈가 있다. 모두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개발한 바
-
삼성전자 임직원 2030 비중 '뚝뚝'
삼성전자 국내외 임직원 수가 27만 명을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별로는 20대·30대 비중이 낮아졌으며 직무별로는 해외근무·개발직 비중이 높아졌다.16일 삼성전자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이 회사 국내외 임직원은 지난해 말 27만372명으로 집계됐다. 2021년 말 26만6673명보다 1.4%(3699명) 증가했다. 임직원 수가 늘어난 것은 2017년 이후 5년 만이다. 삼성전자 임직원은 2017년 말 32만671명을 기록한 후 2021년 말까지 매년 줄었다.세부적으로 보면 삼성전자의 2030 인력 비중은 낮아졌다. 지난해 말 2030 임직원 비율은 72.0%로 전년보다 2.4%포인트 떨어졌다. 2020년(76.9%) 이후 매년 내림세를 보였다. 지난해 말 20대(8만3169명)와 30대(11만1651명) 임직원은 19만4820명으로, 전년보다 1.8%(3560명) 감소했다.직무별로 보면 개발 직군과 영업·마케팅 직군 비중이 높아졌다. 개발직과 영업·마케팅 직군 임직원 비율은 각각 29.9%, 9.1%로 전년 말 대비 1.6%포인트, 0.4%포인트 올랐다. 반면 제조 직군 비율은 43.3%로 2.7%포인트 낮아졌다.전체 직원 가운데 임원·간부 비중도 늘었다. 임원·간부 비율은 지난해 32.5%로 1.8%포인트 상승했다. 임원·간부 숫자는 8만8005명으로 전년 말보다 7.4%(6071명) 늘었다. 삼성전자의 국내(11만7927명)와 해외(15만2445명) 근무자 비율은 각각 43.6%, 56.4%로 집계됐다.직원 수가 늘고 임원 비중도 높아지면서 인건비도 치솟았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인건비는 37조6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8.6%(3조원) 증가했다.김익환 기자
-
에코프로 급등에 증권가도 '당혹'…요즘 '뭉칫돈' 몰리는 곳
2차전지 소재주들의 상승세가 무섭다. 에코프로 형제와 포스코 계열사들의 급등이 하반기에도 이어지자 증권업계조차 당혹해하는 눈치다. 다만 개별종목 투자 리스크를 우려하는 투자자들이 많아지면서, 분산투자가 가능한 상장지수펀드(ETF)에 '뭉칫돈'이 몰리고 있다. 또 단기 급등과 별개로 국내 기업의 기술차별성, 시장 성장세, 미중 갈등 등을 근거로 산업전체에 대해 투자하고 싶은 투자자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ETF마다 종목 구성, 비중, 보수, 장단점 등이 다른 만큼 자신만의 투자전략에 맞는 ETF를 선별하라고 조언한다. ○'압축 투자'하는 소재 ETF 2종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 상장된 배터리 소재분야 ETF는 'TIGER 2차전지 소재Fn' 'KODEX 2차전지 핵심소재10 Fn' 'SOL 2차전지 소부장' 3개다. 이날 상장하자마자 순자산 1000억원을 넘긴 TIGER 2차전지소재Fn은 주요 기업에 집중하는 ETF다. 18개 종목으로 구성돼 있지만 대형 기업의 비중이 높다. 에코프로가 ETF 자산의 5분의 1(20%)을 차지한다. POSCO홀딩스 15%, 에코프로비엠 14%, 포스코퓨처엠 13%, LG화학 13%다. 양극재 분야 수직계열화를 이룬 대형 기업들의 비중이 75%에 달한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2.8%), SKC(2.1%), 더블유시피(1.8%) 등에 대한 비중은 상대적으로 작다. 하반기에도 투심이 에코프로 등 주요 기업에 집중된다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란 설명이다.미래에셋자산운용 관계자는 "기존에 출시된 2차전지 ETF의 경우 에코프로 등의 비중이 작은만큼 투자자들의 불만이 컸다"며 "주요 2차전지 소재에 집중하는 ETF를 내놓게 됐다”
-
[단독] 美-中 '회계전쟁' 시작됐다…'넷제로 충당부채' 놓고 대격돌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미래에 써야 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비용을 미리 부채에 반영토록 하는 공시기준 정비에 나섰다. 넷제로 선언 등으로 인해 기업이 감내해야 할 기후 비용을 사전에 충당부채로 반영하자는 게 핵심이다. 이에 중국이 강력하게 반발하면서 녹색 비용 놓고 서방과 중국이 '회계 전쟁'에 돌입하는 양상이다. SK·삼성 등 RE100(재생에너지 100%)을 선언한 국내 대기업도 부채 폭탄에 빠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탄소중립 선언했는데, 왜 충당부채 안 쌓나?5일 한국경제신문의 취재를 종합하면 IASB는 지난달 열린 글로벌재무제표작성자포럼(GPF)에서 넷제로 비용의 충당부채 인식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논의에 돌입했다. 현행 회계제도(IAS 37)에서는 미래에 기업의 현금이 유출될 가능성이 크고, 그 금액을 추정할 수 있을 경우 충당부채로 인식해 재무제표에 기록해야 한다. 미래에 기업의 돈통에서 사라질 돈이라면 미리 부채로 인식하는 게 기업의 재무 현황을 더 정확하게 보여주는 회계처리라는 점에서다.IASB가 제도 정비에 나선 것은 각 기업의 녹색 비용을 어떻게 부채로 인식할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030년까지 제품 생산 과정에서 순탄소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겠다고 선언한 애플의 경우 사전에 미래에 지출할 기후 비용을 부채로 인식해야 한다는 게 IASB의 판단이다. 지난달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을 마련해 내년부터 적용에 나서기로 한 만큼 회계기준도 이에 연동해야 한다는 점도 고려했다. 이웅희 한국회계기준원 지속가능경영지원센터장은 "녹색 비용의 충당부채 인식 문
-
'삼성에 갑질' 브로드컴 자진시정안 퇴짜
공정거래위원회가 삼성전자에 부품 장기공급 계약 체결을 강요하는 등 ‘갑질’한 혐의를 받는 미국 스마트폰 부품 공급사 브로드컴의 자진시정안(동의의결안)을 13일 기각했다. 브로드컴이 낸 시정 방안이 삼성전자의 피해 회복에 미흡하다는 판단에서다. 공정위가 동의의결 절차를 개시한 뒤 동의의결안 내용을 문제 삼아 기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공정위는 “(브로드컴이 제시한) 삼성전자에 대한 피해 보상은 적절치 않고 삼성전자도 수긍하고 있지 않다”며 “동의의결 승인 요건인 거래 질서 회복이나 다른 사업자 보호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동의의결은 공정위의 조사·심의를 받는 기업이 스스로 피해구제 방안을 내고 이 방안이 수용되면 공정위가 사건을 종결하는 제도다.브로드컴은 3년간(2021~2023년) 연간 7억6000만달러 이상의 부품 구매를 요구하며 미달 시 차액 보상을 강요한 혐의 등을 받고 있다.공정위 조사가 시작되자 브로드컴은 지난해 7월 200억원 규모의 상생기금 조성을 핵심으로 하는 동의의결을 신청했고 공정위는 동의의결 절차를 개시했다. 하지만 동의의결이 기각됨에 따라 공정위는 조만간 브로드컴의 법 위반 여부, 제재 수준을 결정하는 본안 심의를 시작할 예정이다.이슬기 기자
-
"선대의 갈등·경쟁은 잊어라"…'4대그룹 전장동맹' 이끄는 총수들
삼성, SK, 현대자동차, LG 등 4대 그룹은 과거 한국의 산업화를 주도하는 과정에서 늘 경쟁하는 라이벌 관계였다. 최근엔 분위기가 확 달라졌다. 첨단 산업 분야에서 긴밀하게 협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4대 그룹에서 실리를 중시하는 총수 시대가 본격화하고 각 그룹의 주력 사업이 뚜렷하게 달라지면서다.특히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을 구심점으로 미래차 분야에서 긴밀한 협업이 이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산업계에선 총수들 주도의 ‘4대 그룹 전장(電裝) 동맹’이 결성됐다는 말까지 나온다.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정 회장이 2020년 5월 13일 단독 회동한 게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사적인 친분이 두터운 두 총수가 공식적으로 만난 건 처음이었다. 회동 직후 삼성·현대차 두 그룹의 차량용 반도체 분야 협업 관계는 급물살을 탔다. 최근엔 삼성전자가 현대차에 인포테인먼트시스템(IVI)용 반도체를 공급하기로 했다.정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전기차용 배터리와 관련해 각각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정 회장과 최 회장은 2020년 7월 충남 서산 SK이노베이션 공장에서 배터리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산업계에선 국내 4대 그룹의 기업사(史)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4대 그룹은 창업 회장 때부터 재계 순위와 산업 주도권을 놓고 팽팽한 경쟁 관계를 유지했다. 1990년대 후반까지 반도체산업에서 벌어진 삼성과 LG의 경쟁, 1995년 삼성자동차 설립 이후 불편해졌던 삼성·현대차 관계가 대표적이다.하지만 실리를 중시하는 총수 체제가 들어서면서 본격적인 ‘협업 모드’에 진입한 모양새다. 산업 고도화에 따른 시장 세분화로 한 기업이 모
-
상속세 내려 대출·지분 매각…삼성家 대출 금액 4조 넘어
삼성가(家)의 홍라희 전 리움 관장과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이 최근 2조원 넘는 대출을 받았다. 이건희 삼성그룹 선대회장 별세 후 12조원이 넘는 상속세를 내기 위해서다. 유족은 지금까지 6조원가량을 납부했고, 3년간 추가로 6조원을 내야 한다.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에 따르면 홍 전 관장과 이 사장, 이 이사장은 주식을 담보로 2조원 넘는 대출을 받았다. 홍 전 관장이 1조4000억원, 이 사장 5170억원, 이 이사장은 1900억원이다. 이전에 받은 대출까지 합치면 세 사람의 주식담보대출은 4조781억원에 달한다.홍 전 관장 등은 보유 지분도 매각했다. 홍 전 관장은 지난해 3월 삼성전자 약 2000만 주, 이 사장은 삼성SDS 약 150만 주, 이 이사장은 삼성SDS 300만 주와 삼성생명 350만 주를 팔았다.이는 12조원이 넘는 상속세를 내기 위해서다. 삼성가는 매년 2조원 이상을 내고 있다. 삼성가의 상속세 납부로 국내 상속세수는 급격히 늘어났다. 한국 상속세수는 2020년 3조9000억원에서 이 선대회장 별세 후 2021년 6조9400억원, 2022년 7조6000억원으로 급증했다.삼성가의 또 한 가지 부담은 대출 이자다. 세계적인 금리 인상 기조에 따라 세 모녀가 받은 주식담보대출 금리는 2년 전 연 2%대에서 현재 연 5%대로 크게 올랐다. 이들이 부담하는 대출 이자만 연간 2000억원 이상이다.보유한 주식의 주가가 떨어진 점도 악재다. 일부 매체에선 이들이 보유한 지분 가치가 크게 늘어났다고 보도했으나, 이는 이 선대회장 별세 후 유산을 상속받으며 주식 자체가 증가한 영향이다. 주가가 올라 지분 가치가 늘어난 게 아니라는 의미다. 이들이 상속받기 전부터 가지고 있던 주식만 따지면 지난 3년 사이 오히
-
너도나도 "코스피 2800 돌파"
코스피지수가 2600선에 안착하면서 하반기 증시 강세론에 힘이 실리고 있다. 증권사들도 반도체 업황 개선과 미국 기준금리 인상 동결 등을 예상하면서 주가 전망을 상향하고 있다.삼성증권은 5일 증시 전망 보고서를 내고 코스피지수의 하반기 예상 등락범위(밴드)를 기존 2200~2600에서 2350~2750으로 상향했다. 코스피지수가 분기별로 계단식 상승을 거친 뒤 내년 1분기에는 2500~2850 사이에 들 것으로 예상했다.삼성증권은 지난달 하반기 증시 전망을 내놓은 증권사 중 코스피지수 상단을 가장 낮게 잡은 곳이었다. 미국 경기 둔화 우려와 국내 기업들의 부진한 실적 등이 이유였다.삼성증권은 기존 대비 증시 전망을 상향한 이유로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 증가를 꼽았다. 김용구 삼성증권 연구원은 “엔비디아의 1분기 실적이 자극한 AI 낙관론은 국내 반도체 대표주의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부담과 실적 불확실성을 희석하고 있다”며 “시장과 미국 중앙은행(Fed) 사이 정책금리 경로를 둘러싼 극단적 괴리도 5월 중순부터 빠르게 축소됐다”고 설명했다.KB증권 역시 반도체 경기 개선 등을 근거로 코스피지수의 상단을 기존 2800에서 2920으로 올려 잡았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하반기에 미국 서비스 경기가 둔화해도 제조업의 반등으로 글로벌 경기는 상반기보다 하반기가 좋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했다.주요국 대비 높은 국내 증시의 상승률도 이런 낙관론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지수의 5월 상승률은 3.02%로 주요 20개국(G20) 중 다섯 번째로 높았다. 한국보다 높은 증시 상승률을 보인 국가는 아르헨티나, 일본, 튀르키예, 브라질 4개국이
-
美 AI 클라우드 기업 한달새 50%대 급등…韓 유망주는?
인공지능(AI)이 미래 핵심 산업으로 부상하면서 클라우드 기업이 시선을 끌고 있다.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업의 실적 전망이 밝아지고 있어서다. 미국에서는 AI 관련 클라우드 종목 주가가 상승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눈에 띄게 오른 종목이 없어 선별 매수를 잘하면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AI 관련 클라우드 종목으로 꼽히는 몽고DB는 미국 나스닥시장에서 지난달 초부터 이달 2일까지 56.82% 올랐다.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전문 업체다. AI 클라우드 사업을 하는 미국 퓨어스토리지도 같은 기간 50.02% 상승했다. 이들 종목을 담은 ‘퍼스트트러스트 클라우드 컴퓨팅(SKYY)’ 상장지수펀드(ETF)는 지난달 초부터 최근까지 18.33% 상승했다.그래픽처리장치(GPU)를 탑재한 고성능 클라우드는 AI의 성장과 불가분의 관계다. 전기자동차가 미래 산업으로 떠오르면서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가 함께 성장한 것과 비슷하다.국내 종목 중에서는 삼성SDS , 네이버, 카카오, NHN 등이 AI 클라우드에 투자한다. 하지만 아직 눈에 띄게 상승한 종목은 많지 않다. 삼성SDS는 지난달 초부터 최근까지 6.99% 올랐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 상승률(3.99%)을 초과했지만 미국 AI 클라우드 관련주처럼 상승률이 높지는 않았다.네이버는 이 분야에서 선제적 투자를 가장 많이 한 국내 기업으로 꼽힌다. 올 하반기 아시아 최대 규모 데이터센터 ‘각 세종’을 준공한다. 카카오는 자회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를 통해 클라우드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클라우드를 사내독립기업(CIC) 체제로 만드는 조직 개편을 했다.일각에선 아직 상승세가 약한 상황을 매수 기
-
반도체株 웃는데…파운드리 놓친 인텔 '눈물'
PC용 반도체를 기반으로 한때 반도체 시장을 호령했던 인텔이 위기를 맞았다. 2021년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재진출을 선언했지만, 기술력을 확보하지 못해 고객사로부터 외면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회사) 시장을 이끄는 인공지능(AI) 반도체 설계 역량도 아직 갖추지 못했다.월스트리트저널(WSJ)은 30일(현지시간) ‘강력했던 인텔이 진흙탕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는 기사를 통해 인텔의 위기를 조명했다. 테슬라와 퀄컴 등 고객사들도 처음에 인텔 파운드리에 반도체 제조를 맡겼다가 최근 돌아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객사 요구사항 못 맞춰WSJ에 따르면 미국 반도체 기업 퀄컴은 인텔에 제품 생산을 맡기는 것을 재검토하고 있다. 인텔이 퀄컴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만들기 어려울 것이라고 결론지어서다. 퀄컴은 스마트폰의 두뇌 반도체인 AP ‘스냅드래곤’으로 유명하다. AP는 시스템 반도체로 모바일 기기의 연산과 멀티미디어 구동 기능을 담당한다. 퀄컴은 인텔이 반도체 제조에 진전이 있을 때까지 관련 작업을 잠시 중지한 것으로 알려졌다.테슬라도 인텔과의 협력 관계를 재검토하고 있다. 테슬라는 한때 전기차의 자율주행을 돕는 데이터와 이미지를 처리하는 반도체를 인텔 파운드리에 맡기는 안을 검토했다. 하지만 인텔이 TSMC, 삼성전자와 같이 다양한 반도체 제조 능력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WSJ는 일부 고객사는 인텔이 기술적인 실수를 한 뒤 다른 파운드리 업체에 연락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고객사가 이처럼 인텔 파운드리를 외면하면서 2030년까지 삼성전자
-
대기업, 1분기 '영업이익 4배' 설비 투자
올 1분기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주요 대기업 20곳의 설비투자 규모가 25조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벌어들인 영업이익보다 네 배가량 많은 돈을 설비투자에 쏟아부었다.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포스코홀딩스 등 시가총액 상위 20개 주요 상장사(금융회사, 공기업, 통신사 등 제외)의 올해 1분기 설비투자는 25조4089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1분기에 비해 16.3%(3조5695억원) 늘어난 규모다.이들 20개사의 1분기 영업이익 합계는 전년 동기보다 81.5%(26조2709억원) 줄어든 5조9606억원이다. 영업이익이 급감해도 투자는 늘린 셈이다.세부적으로 보면 삼성그룹(삼성전자 삼성SDI 삼성물산 삼성전기)과 LG그룹(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LG전자 LG디스플레이·연결기준 중복실적 제거) 투자 증가율이 돋보였다. 삼성 4개사의 올 1분기 투자는 11조7946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2.0%(2조8591억원) 증가했다. LG 4개사도 4조647억원으로 47.6%(1조3112억원) 늘었다.기업별로 보면 삼성전자가 10조7388억원을 투자해 규모가 가장 컸다. 삼성전자의 1분기 투자는 작년 동기보다 35.5%(2조8161억원) 증가했다. SK이노베이션(2조5303억원)과 LG에너지솔루션(1조8104억원)이 뒤를 이었다. SK하이닉스(1조7480억원), 현대차(1조5647억원), 포스코홀딩스(1조3535억원), LG디스플레이(1조3029억원) 등도 1조원 넘게 투자했다. SK하이닉스와 LG디스플레이는 1분기에 영업적자를 냈지만 조(兆) 단위 투자를 단행했다. 반도체와 배터리업계가 투자를 주도했다.실적이 쪼그라든 데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등 기업 투자를 둘러싼 환경은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하지만 투자를 지속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는 믿
-
女주식부호 톱10 절반 범삼성가…이선이 TTC에듀 대표 첫 입성
국내 여성 주식 부호 상위 10명 중 절반을 범삼성가가 차지했다. 이동채 에코프로 회장의 여동생인 이선이 TTC에듀 대표는 처음으로 10명 안에 들었다.19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국내 기업 오너 일가 중 여성 주식 부호 상위 30명의 주식평가액(지난 12일 종가 기준)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1위는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으로 삼성물산 보유 지분가치 평가액이 7조7204억원에 달했다. 2위는 이부진 호텔신라 대표(5조9473억원), 3위는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5조775억원)이었다.범삼성가인 정유경 신세계그룹 백화점부문 총괄사장은 4767억원으로 6위,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은 4423억원으로 7위였다.배태웅 기자
-
삼성家, 女주식부호 1~3위 휩쓸었다…1위 홍라희 전 리움관장
국내 여성 주식부호 상위 10명 중 절반을 범삼성가가 차지했다. 이동채 에코프로 회장의 여동생인 이선이 TTC에듀 대표는 처음으로 10명 안에 들었다. 19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국내 기업 오너 일가 중 여성 주식부호 상위 30명의 주식평가액(지난 12일 종가 기준)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1위는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으로 삼성물산 보유 지분가치 평가액이 7조7204억원에 달했다. 2위는 이부진 호텔신라 대표(5조9473억원), 3위는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5조775억원)이었다. 범삼성가인 정유경 신세계그룹 백화점부문 총괄사장은 4767억원으로 6위,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은 4423억원으로 7위였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동생인 최기원 SK행복나눔재단 이사장(7938억원)은 4위였다. 고(故) 구본무 LG그룹 회장의 부인인 김영식 여사(5844억원)가 5위, 딸인 구연경 LG복지재단 대표(4053억원)는 8위였다. 9위는 이화경 오리온 부회장(2309억원)이었다. 10위에 이름을 올린 이선이 대표는 에코프로 주가가 급등하면서 주식평가액(2078억원)이 2020년 1월에 비해 3503% 늘었다. 이 대표는 에코프로 지분 1.48%를 보유하고 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