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대한항공, 3억달러 해외채권 수요확보 ‘성공’

    대한항공이 3억달러(약 3216억원) 규모 해외 채권 투자수요를 확보했다. 국내 기업이 투기등급으로 해외 선순위채권 발행에 성공한 것은 2007년 하이닉스반도체(現 SK하이닉스) 이후 처음이다.2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이 아시아와 유럽 기관투자가들을 대상으로 3년 만기 회사채 3억달러어치를 발행하기 위해 전날 진행한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약 8억5000만달러(약 9112억원)의 매수주문이 들어왔다. 지역별 주문비중은 아시아가 92%, 유럽이 8%였다. 씨티글로벌마켓증권과 중국은행국제공고유한회사(BOCI)가 발행주관을 맡았다.대한항공은 넉넉한 수요가 몰린 덕분에 당초 계획했던 수준(연 6.25%)보다 채권 금리를 크게 낮출 전망이다. 연 5.875% 수준으로 발행하기로 잠정 결정됐다. 이 회사는 이번엔 글로벌 신용등급을 받지 않고 채권을 발행했다. 시장에선 대한항공의 국내 신용등급이 투자적격등급 중 8번째인 ‘BBB+’인 것을 고려하면 글로벌시장에선 투기등급으로 분류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기업이 해외시장에서 담보 없이 투기등급 선순위 채권 발행에 성공한 것은 2007년 6월 SK하이닉스 이후 10년8개월만이다. 당시 SK하이닉스는 전체 신용등급 중 12번째인 ‘Ba2’등급(무디스 기준)으로 10년 만기 해외 채권 5억달러어치를 발행하는데 성공했다. 최근 수익성과 재무구조를 개선하자 투자자들 사이에서 하이일드 채권(글로벌 신용등급이 ‘BB’ 이하인 고수익‧고위험 채권)으로서의 매력이 부각됐다는 평가다. 대한항공의 지난해 매출은 12조922억원으로 전년 대비 3.1% 늘었고 순이익은 8019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여객 및 화물 항공수요가 모두 늘어난 가운데 저유

  • 자신감 붙은 대한항공, 만기 늘려 공모채 도전

    ≪이 기사는 02월26일(10:0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대한항공이 5개월 만에 다시 공모 회사채 발행을 추진한다. 지난해 처음으로 공모 회사채시장에서 투자수요를 확보하는데 성공하자 만기를 조금 더 늘려 자금조달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2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이르면 다음달 중반 2년 만기 회사채 1500억원어치를 공모로 발행할 계획이다. 이달 말이나 다음달 초 주관사를 선정하고 본격적인 발행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10월 1년6개월물 800억원어치 발행에 나서 수요예측(사전 청약)에서 3170억원의 매수주문을 받았다. 11번째 도전 끝에 공모 회사채시장에서 처음으로 모집액을 채웠다. 풍부한 투자수요가 모인 덕분에 발행금액도 1600억원으로 늘렸다.이 회사는 그동안 수익성과 재무구조 악화로 기관투자가들이 투자를 기피했다. 하지만 저유가와 원화강세 등 영업환경이 유리하게 바뀐데 힘입어 실적 개선과 차입부담 감축에 성공하자 투자자들의 평판이 다소 긍정적으로 돌아서고 있다는 평가다. 대한항공의 지난해 매출은 12조922억원으로 전년 대비 3.1% 늘었고 순이익은 8019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2016년 말 1178.1%에 달했던 부채비율도 유상증자(4577억원)과 해외 영구채(3362억원) 등 대규모 자본확충에 힘입어 지난해 말 560.8%까지 떨어졌다. 이같은 변화에 한국신용평가는 지난해 말 대한항공 신용등급(BBB+) 전망을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변경했다.IB업계에선 채권 투자자들의 평판이 바뀌었기 때문에 대한항공이 이번에도 충분히 투자수요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금리 상승

  • 대한항공, 영구채 3억달러 발행 성공..부채비율 650%로 떨어져

    이 기사는 06월07일(11:4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대한항공이 지난해 무산됐던 3억달러(약 3362억달러)어치 신종자본증권(영구채) 발행에 성공했다. 자본 확충을 통해 부채비율이 700% 아래로 떨어지는 등 재무구조가 개선될 전망이다.대한항공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지난 5일 전 세계(미국 제외)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3억달러 규모의 30년 만기 영구채를 발행했다. 연 4.875% 고정 금리다. 영구채는 명목상 만기가 있고 일정 주기마다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이지만, 발행 기업이 계속 만기를 연장할 수 있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된다.이번 영구채에는 대한항공이 발행일로부터 3년 6개월이 지났을 때 채권을 조기 상환할 수 있다는 조건(콜옵션)이 붙어 있다. 이때 상환하지 않으면 추가 이자가 붙는 구조다. 영구채 발행 기업들이 대부분 콜옵션을 행사해온 관례에 비춰 대한항공도 3년 6개월 뒤 조기 상환을 택할 가능성이 높다은 것으로 관측된다.대한항공은 지난해 9월말 영구채 3억달러어치 발행을 추진했지만 무산됐었다. 당시 한진해운 부실 문제로 대한항공의 추가 지원 가능성이 계속 남아있는 데다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을 앞두고 있어 글로벌 금리의 변동성이 컸던 시기였다. 당시 회사가 원했던 금리보다 투자자들이 더 높은 금리를 요구하면서 한달 이상 발행이 미뤄지다 결국 무산됐다.이번에는 한진해운이 계열에서 분리돼 추가 지원 위험이 사라진데다 올 초부터 원화 강세와 유가 안정화로 회사가 이익을 올리면서 발행 여건이 좋아졌다. 지난해 해외 기관투자자들이 요구했던 금리보다 2

  • 대한항공 조원태 사장, 유니컨버스투자 사내이사 사임

    이 기사는 05월03일(14:3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의 장남 조원태 대한항공 대표(사장)가 계열회사인 유니컨버스투자의 사내이사 자리에서 물러났다.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조 사장은 지난달 26일 유니컨버스투자 사내이사에서 사임했다. 조 사장이 물러나는 대신 하은용 대한항공 전무가 지난달 26일 유니컨버스투자의 사내이사로 선임됐다.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