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붙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 아티스트 플랫폼에 뭉칫돈[VC브리핑]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지난주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드립니다. '오늘'의 투자에서 '내일'의 아이디어를 얻으시기 바랍니다.◆음원 IP로 '대박'난 회사, 51억원 시리즈A 투자 유치종합 음악 콘텐츠 회사 유엠에이지(UMAG)가 51억원 규모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인터베스트, 쏠레어파트너스, 위벤처스, IBK기업은행, 아이디벤처스 등이 투자에 참여했습니다. 2017년 문을 연 이 회사는 자체 음원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해 음악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사명을 한글로 읽으면 '음악'이 된다고 하는데요. 재즈나 R&B, 클래식과 같은 장르의 아티스트와 손잡고 IP를 확보한 뒤 이를 유튜브 등 플랫폼을 통해 내보냅니다. 누적 트래픽은 50억 건에 달하는데요. 이 중 70%가 해외에서 발생할 만큼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는 설명입니다.◆폴킴 멜로망스 발굴한 스페이스오디티에 40억원 뭉칫돈음악 스타트업 스페이스오디티가 40억원 규모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마무리했습니다. KC벤처스, 키움인베스트먼트, SBI인베스트먼트 등이 주주 명부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누적 투자금은 66억원이 됐습니다. 이전 시드(초기) 투자 땐 스노우와 네이버웹툰, KB인베스트먼트 등의 낙점을 받은 바 있습니다.이 회사는 음악 관련 콘텐츠를 기획하면서도 소속 가수가 없는 '이상한 음악 회사'로 불렸는데요. 프로젝트 형태로 콘텐츠를 내놓기 때문입니다. 2017년 폴킴과 멜로망스 등의 아티스트를 발굴하기도 했습니다. 뮤직비디오 방식의 광고를 제작하기도 합니다. 2020년엔 팬덤 전용 모바일 앱인 '블립'을 선보였습니다. 이용자들은 블립을 통해 좋아하
-
[이번주 VC 투자] 날아오른 플랫폼 스타트업들…설립 1년 만에 400억 '잭팟'
한경 긱스(Geeks)가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한 주간의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드립니다. 어떤 스타트업에 투자금이 몰렸을까요? 지금 출발합니다.◆티몬 前의장이 세운 스타트업, 설립 1년만에 400억 '잭팟'모바일 e커머스(전자 상거래) 스타트업 RXC(알엑스씨)가 200억원 규모 프리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지난해 시드(초기) 단계에서도 200억원 이상의 투자를 이끌어 낸 바 있는데요. 초기 스타트업이 수백억원대 자금을 잇달아 조달한 건 이례적이란 평가입니다. 이번 투자에는 라이프스타일중앙(JTBC중앙그룹), ZVC, LB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습니다.지난해 문을 연 RXC는 쿠팡 창립 멤버이자 1세대 e커머스 플랫폼 티몬의 전성기를 이끈 유한익 전 티몬 의장이 창업한 회사입니다. 지난 3월 리테일 미디어 플랫폼인 '프리즘'을 론칭했습니다. 라이브 방송과 숏폼 영상 형태로 브랜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게 특징입니다. 100여 개 이상의 '힙스티지(힙+프레스티지)' 브랜드를 중심으로 모바일 쇼룸을 제공합니다. 또 라이브 경매나 라이브 추첨 기능도 선보였습니다. '온라인판 성수동'이 되는 게 목표라고 하네요.◆하정우·공효진 업은 원더월, 시리즈C 라운드로 250억원 조달아티스트 강의 플랫폼 '원더월' 운영사 노머스가 250억원 규모 시리즈C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산업은행, 두나무, 메디치인베스트먼트, 대신증권, BSK인베스트먼트, 신영증권 등 다양한 투자사들이 러브콜을 보냈습니다. 누적 투자금은 400억원이 됐습니다.원더월은 연기, 연출 수업과 같이 그동안 쉽게 접하기 어려웠던 분야의 강의를 내놓은 게 특징인데요. 배우 하정우
-
설립 1년만에 400억원 끌어모은 스타트업[VC브리핑]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지난주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드립니다. '오늘'의 투자에서 '내일'의 아이디어를 얻으시기 바랍니다.◆티몬 前의장이 세운 스타트업, 설립 1년만에 400억 '잭팟'모바일 e커머스(전자 상거래) 스타트업 RXC(알엑스씨)가 200억원 규모 프리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지난해 시드(초기) 단계에서도 200억원 이상의 투자를 이끌어 낸 바 있는데요. 초기 스타트업이 수백억원대 자금을 잇달아 조달한 건 이례적이란 평가입니다. 이번 투자에는 라이프스타일중앙(JTBC중앙그룹), ZVC, LB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습니다.지난해 문을 연 RXC는 쿠팡 창립 멤버이자 1세대 e커머스 플랫폼 티몬의 전성기를 이끈 유한익 전 티몬 의장이 창업한 회사입니다. 지난 3월 리테일 미디어 플랫폼인 '프리즘'을 론칭했습니다. 라이브 방송과 숏폼 영상 형태로 브랜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게 특징입니다. 100여 개 이상의 '힙스티지(힙+프레스티지)' 브랜드를 중심으로 모바일 쇼룸을 제공합니다. 또 라이브 경매나 라이브 추첨 기능도 선보였습니다. '온라인판 성수동'이 되는 게 목표라고 하네요.◆인테리어 스타트업 아파트멘터리에 300억원 몰려아파트 인테리어 스타트업 아파트멘터리가 300억원 규모 시리즈C 투자 라운드를 마무리했습니다. 레버런트파트너스, 신한금융그룹, 산업은행, 한국투자증권, 다올인베스트먼트 등이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번 투자를 통해 누적 투자금은 430억원이 됐습니다.2016년 설립된 이 회사는 아파트 인테리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모듈형 인테리어 서비스나 프라이스태그시스템(가격정찰제),
-
포인투테크놀로지, 미국서 2200만달러 투자 유치
KAIST와 서울대 출신 공학도들이 창업한 제조업 기반 스타트업 포인투테크놀로지가 미국에서 2200만달러의 투자를 유치했다.포인투테크놀로지는 25일(현지시간) GU에쿼티파트너스 등 국내외 투자자로부터 2200만달러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고 발표했다.서울대 출신인 박진호 대표가 배현민 KAIST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등과 의기투합해 2016년 설립한 포인투테크놀로지는 5G(5세대) 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초고속·저전력 광통신 케이블을 개발, 제조하고 있다. 구리선과 광케이블의 단점을 모두 해결한 제3의 케이블인 'E튜브(E-tube)'라는 새로운 부도체 기반의 유선통신 케이블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기도 했다.이번에 신규 투자자로 데이터센터 내 네트워크 케이블을 공급하는 세계 1위 기업인 몰렉스가 참여한 점도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이밖에도 삼성증권, 신한캐피탈, 티그리스투자, K2투자, 코리아오메가투자 등도 신규 투자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박 대표는 “몰렉스의 참여는 포인투테크놀로지가 업계 최고의 솔루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이번에 확보한 투자금을 클라우드 기반의 테라비트급 대역폭 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신기술 개발과 인재 영입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
-
티몬 前 의장이 세운 스타트업, 1년 만에 400억 '잭팟' [김종우의 VC투자노트]
모바일 e커머스(전자 상거래) 스타트업 RXC(알엑스씨)가 200억원 규모 프리 시리즈A 라운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23일 밝혔다. 누적 투자금은 400억원을 넘기게 됐다.이번 투자엔 라이프스타일중앙(JTBC중앙그룹), ZVC, LB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다. 지난해 문을 연 RXC는 쿠팡의 창립 멤버이자 1세대 e커머스 플랫폼 티몬의 전성기를 이끈 유한익 전 티몬 의장이 창업한 회사다. 탄탄한 이력 덕에 지난해 창업과 동시에 200억원 이상의 투자 유치를 이끌어냈다. 아모레퍼시픽, F&F, 매일유업 등이 투자자로 참여했는데, 시드(초기) 단계에서 수백억원대의 자금이 투입된 건 이례적이란 평가다.RXC는 지난 3월 리테일 미디어 플랫폼인 '프리즘'을 론칭했다. 라이브 방송과 숏폼 영상 형태로 브랜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게 특징이다. 100여 개 이상의 '힙스티지(힙+프레스티지)' 브랜드를 중심으로 모바일 쇼룸을 제공하고 있다. 또 라이브 경매나 라이브 추첨 기능도 선보였다.유한익 RXC 대표는 "프리즘을 '온라인판 성수동' 처럼 인기 명소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
'유니콘 산실' DSC인베, 운세 상담 '홍카페'에 베팅
벤처캐피털(VC) DSC인베스트먼트가 온라인 운세 상담 플랫폼 홍카페에 베팅했다.홍카페 운영사 피플벤처스는 DSC인베스트먼트로부터 20억원 규모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4일 밝혔다.홍카페는 타로, 사주, 신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종합 운세 상담 플랫폼이다. 500명 이상의 전문 상담가와 24시간 온오프라인으로 상담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지난해 10월 총 상담 건수 100만 건을 넘어섰다. 이용자들의 만족도 점수가 평균 4.9점(5점 만점)을 기록할 만큼 호평을 받았다는 설명이다. 홍카페는 투자금을 바탕으로 서비스와 마케팅을 강화해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올 1분기 상담 건수와 매출이 지난해 1분기보다 각각 45,7%, 56.1% 늘어났다. 이번 투자는 DSC인베스트먼트가 단독으로 참여했다. 윤건수 대표가 이끄는 DSC인베스트먼트는 컬리와 두나무, 무신사 등을 발굴해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사) 기업의 산실'로 불린다. 현철우 피플벤처스 대표는 "이번 투자는 운세 상담 분야가 성장 가능성이 큰 산업으로 인정받은 것"이라며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면서 홍카페를 대표 운세 상담 플랫폼으로 자리잡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
크로스로드파트너스, 애드테크 매드업에 추가 베팅
신생 사모펀드(PEF) 운용사 크로스로드파트너스가 애드테크 스타트업인 매드업에 대한 추가 투자를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크로스로드파트너스는 지난해 10월 만든 블라인드펀드인 '크로스로드-두나무 창업벤처전문PEF'와 지난달 결성한 프로젝트펀드 '모아이5호 PEF'를 통해 매드업의 프리 시리즈C 라운드에 앵커 투자자로 참여했다. 총 투자금액은 140억원이다. 이번 라운드엔 IMM인베스트먼트도 주주로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에도 두 차례 매드업의 구주를 인수했는데 이번 추가 투자로 지분율은 13%까지 높아졌다.2015년 설립된 매드업은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마케팅을 도와주는 사업을 하고 있다. 대형 광고주를 대상으로 맞춤형 광고를 도와주는 ‘매드잇’과 중소형 광고주를 대상으로 자동화 광고 솔루션을 제공하는 ‘레버’ 등이 주력 서비스다. 광고주에게서 광고를 수주받아 집행한 뒤 일정 수준의 수수료를 가져가는 수익 구조를 갖고 있다. 무신사, 카카오뱅크, 이니스프리 등 다양한 분야 회사들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지난해 매출 193억원을 거뒀다.하영수 크로스로드파트너스 상무는 "우수한 기술과 데이터 경쟁력을 보유한 스타트업으로 디지털 마케팅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며 "특히 앞으로 AI 기반 마케팅 자동화 솔루션인 레버 큰 성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지난해 2월 출범한 크로스로드파트너스는 삼성증권 IB본부를 거쳐 헤스캐피탈파트너스 공동대표를 지낸 김효상 대표가 이끌고 있다. 삼정KPMG 기업금융본부 출신 이우석 부대표, 큐캐피탈파트너스와 국민연금 등에 몸담았던 하영수 상무가 주요 운용인력이다. 지난해 경영
-
"하버드생이 도와줄게요" 비대면 유학 과외 플랫폼 튜블릿, 시드 투자 유치 [김종우의 VC 투자노트]
비대면 유학 과외 플랫폼 튜블릿이 위버스마인드, 패스트벤처스로부터 총 10억원의 시드(초기) 투자를 유치했다고 3일 밝혔다.지난해 말 문을 연 튜블릿(Tublet)은 하버드·예일·유펜·코넬 등 아이비리그를 포함한 명문대 대학생 튜터와 중·고등학생을 매칭해주는 비대면 유학 과외 플랫폼이다. 선생님과 학생의 연락처를 단순히 교환하는 방식의 기존 서비스와는 다르게 양질의 콘텐츠로 1대1 밀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설명이다.태블릿을 통해 선생님과 학생은 실시간으로 화면과 필기를 공유할 수 있다. 수업이 끝나면 선생님의 코멘트를 학부모가 매 수업 시간마다 1시간 이내로 받아볼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는 게 회사 측의 말이다. 튜블릿은 교과목 내신 대비 뿐만 아니라 SAT나 ACT, AP 등 해외 입시 대비, 각종 경시대회와 캠프 대비 과정을 내놨다. 회사에 따르면 수강생 중 재수강으로 연결되는 비율은 90%다. 한 명당 평균 2.6과목을 수강했다. 설립 4개월째던 지난 3월 기준 누적 5000명의 수강생을 모집했다.투자를 주도한 박지웅 패스트벤처스 대표는 "에듀테크 분야는 한국 스타트업이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는 만큼, 향후 글로벌 도약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안민우 튜블릿 대표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매칭 시스템과 함께 독자 개발 콘텐츠를 활용한 튜터 양성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며 "세계에서 가장 고도화된 사교육 시스템을 갖고 있는 한국을 기반으로 도약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
"일일이 손으로 세야 해?"…알약 카운팅 앱, 카카오도 반했다 [김종우의 VC 투자노트]
세계 1위 알약 카운팅 앱인 '필아이' 개발사 메딜리티가 카카오벤처스와 비에이파트너스로부터 프리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2일 밝혔다.메딜리티는 인공지능(AI) 기반 알약 카운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 필아이를 내놨다. 이 앱은 2020년 12월 출시된 이후 약 1년 만에 세계 216개국 15만 명 이상의 약사를 고객으로 확보했다.메딜리티는 기존의 비효율적인 약 조제 및 약국 운영 시스템을 개선해 약사들이 업무를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약사들은 알약의 개수를 세고 포장하는 데 매일 일정 시간을 보낸다. 손으로 일일이 세다 보니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렸다. 때때로 오류가 생기거나, 종합적인 데이터 관리에도 어려움을 겪었다.필아이는 처방약을 조제하거나 약의 재고를 관리하는 것을 수월하게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 번의 스마트폰 촬영으로 최대 1000정의 알약을 99.99%의 정확도로 셀 수 있다는 게 회사 측의 말이다. 필아이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월간 이용자(MAU) 5만 명을 확보했다. 특히 미국에선 내년부터 약의 생산·유통·처방까지 전 과정을 기록하는 것이 의무화되면서 약 재고 관리 자동화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회사 측은 내다봤다.박상언 메딜리티 대표는 "업계에서 가장 많은 알약 이미지 데이터를 확보했다"며 "약국업계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해 세계 보건에 기여할 수 있는 회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김치원 카카오벤처스 상무는 "약사 출신 대표가 직접 겪은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설립한 회사"라며 "장기적으로 의약품 주문과 같은 더 큰 시장에서 활약할 것"이라고 했다.김종우 기자 jongwoo@hanky
-
'온라인 교육' 데이원컴 350억
지난 한 주간 벤처투자 시장을 관통한 키워드는 ‘에듀테크(교육+기술)’와 ‘자산’이다.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인 데이원컴퍼니는 시리즈D 투자 라운드로 350억원을 조달했다. 이번 투자엔 신세계그룹의 기업형 벤처캐피털(CVC)인 시그나이트파트너스와 한화생명, 미래에셋증권, 피에스텍 등이 참여했다. 누적 투자금은 650억원이다. 아이헤이트플라잉버그스 300억중고생 대상 온라인 과외 서비스인 ‘밀당영어’와 ‘밀당수학’을 운영하는 아이헤이트플라잉버그스도 투자받았다. 시리즈C 투자 라운드에 300억원이 몰렸다. 딥다이브파트너스·무림캐피탈, 신한은행, 신한캐피탈, 하나은행, 하나금융투자, IBK캐피탈 등이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이 회사는 2012년 설립됐다. 중고생에게 온라인 1 대 1 과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개인별 학습 수준에 맞게 커리큘럼을 추천해주고, 강사와 메신저로 대화하며 학습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로보어드바이저' 쿼터백 190억국내 최초 로보어드바이저 회사인 쿼터백그룹은 19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를 마무리했다. 지난 1분기 100억원을 투자한 신한금융그룹과 함께 KB인베스트먼트, 미래에셋벤처투자, 교보라이프플래닛, 아톤이 참여했다. 쿼터백은 2016년 국내에서 가장 먼저 로보어드바이저를 선보인 회사다. 기관과 개인에게 맞춤형 투자 솔루션을 제공한다.가상자산 리서치 플랫폼 ‘쟁글’ 운영사 크로스앵글은 KB인베스트먼트, 신한캐피탈, 프리미어파트너스, IMM인베스트먼트 등으로부터 17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를 받았다. 그 밖에 여행 여가 플랫폼 &
-
스타트업 '키다리아저씨' 캡스톤파트너스, 지난해 1438억원 투자
벤처캐피털(VC) 캡스톤파트너스가 지난해 총 1438억원을 투자했다고 27일 밝혔다.캡스톤파트너스는 지난해 총 58개 기업에 투자했다. 또 펀드 6개를 1318억원 규모로 결성했다. 지난해 말 기준 운용자산(AUM)은 4070억원이다. 지난해 최장 12년의 존속 기간이 설정된 '캡스톤2020성장지원투자조합'을 390억원 규모로 조성하기도 했다. 투자 분야별로 보면 △서비스(플랫폼, e커머스, 유통 등) 970억원 △기술(AI, 반도체 등) 195억원 △금융(핀테크, 블록체인 등) 157억원 △헬스(디지털 헬스케어, 바이오 등) 51억원 △소재 15억원 △기타(푸드테크, 슬립테크 등) 50억원으로 집계됐다.캡스톤파트너스는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236개 스타트업에 약 3800억원을 투자했다. 노바렉스, 드라마앤컴퍼니(리멤버) 등 26개사에 대해서는 투자금 회수를 완료했다.캡스톤파트너스는 초기 기업에 투자를 집중하는 '마이크로 VC'를 지향한다. 마켓컬리, 당근마켓, 직방, 정육각 등 성장세가 가파른 회사들의 초기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송은강 캡스톤파트너스 대표는 “스타트업의 설립 초기부터 유니콘, 데카콘, 헥사콘 기업에 이르는 순간까지 지속적인 후원을 통해 성장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
끌림벤처스, 55억원 브릿지 투자 유치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AC) 끌림벤처스가 55억원 규모의 브릿지 투자를 유치했다고 26일 밝혔다.이번 투자는 두나무앤파트너스와 넥슨코리아가 참여했다. 투자금은 창업 인재의 시작을 돕고 성장을 지원하는 자금으로 활용될 예정이라는 설명이다.2020년 설립된 끌림벤처스는 남홍규 대표가 이끌고 있다. 아이디어만 있는 초기 단계의 창업가들과도 일찌감치 파트너 관계를 맺는 게 특징이다.끌림벤처스는 본계정(자기자본) 위주로 투자를 집행한다. 주요 투자 분야는 인공지능(AI), 로봇, 디지털 헬스케어, 디지털 커머스 등이다. 현재까지 300억원 이상의 자금을 투자했다.투자기업의 성장에 맞춰 지원 프로그램도 진행 중이다. 초기 창업팀의 액셀러레이팅 공간인 ‘끌림파크’를 운영하고 있다. 또 ESG자문위원회를 설립해 스타트업의 ESG 경영과 글로벌 성장을 돕고 있다. ESG 자문위원장은 끌림벤처스 사외이사인 김상헌 전 네이버 대표가 맡았다.남홍규 끌림벤처스 대표는 “더 많은 창업 인재들이 세계 무대에서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스타트업과 함께 성장하는 회사가 되겠다”고 말했다.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
해시드가 투자한 인도 OTT 스타트업, 120억원 투자 유치 [김종우의 VC 투자노트]
인도 오디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 헤드폰(Headfone)이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이 회사엔 국내 블록체인 전문 벤처캐피털(VC)인 해시드도 투자했다.26일 스타트업계에 따르면 헤드폰은 시리즈B 라운드에서 1000만달러(약 120억원)의 투자를 받았다. 이번 투자엔 인도 VC 엘리베이션캐피털 주도로 메타(페이스북) 인도 법인장 아지트 모한, 플레이심플 공동 창업자 시다르트 제인, 방송인 비스와 칼리안 라스, 구글 PM그룹 소속 안슈마니 루드라 등이 참여했다. 해시드 역시 후속 투자를 집행했다.2018년 문을 연 헤드폰은 페이스북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출신 프라탐 칸덴왈과 요거쉬 사르마가 공동 설립했다. 호러·스릴러·로맨스 등 다양한 장르의 오디오 드라마를 제공하고 있다.각 크리에이터에게 다양한 콘텐츠 제작 도구를 제공하는 게 특징이다. 작가가 스크립트를 업로드하면 알고리즘에 따라 스크립트에 어울리는 음성 아티스트를 자동으로 연결해준다. 다른 플랫폼 대비 비용은 70분의 1, 시간은 10분의 1 수준으로 줄였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김백겸 해시드 파트너는 “스포티파이나 유튜브뮤직 등이 2019년 인도에 진출해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입증했다"며 "헤드폰의 미래 콘텐츠 구독 모델과 래디쉬와의 공동 투자 계획, 블록체인 연계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스포티파이가 소셜 오디오 플랫폼 앵커를 인수한 것처럼 헤드폰도 인수합병(M&A)에 나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
호프집 일하다 디지털 눈 떠…128만 쓰는 식당 예약앱 내놔
“금요일 저녁 7시, 강남역, 6명, 한우, 룸.”이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식당을 찾으려면 포털 사이트에서 리뷰를 뒤져보거나 식당에 일일이 전화를 걸어 확인해야 했다.이런 문제를 해결한 앱이 있다. 3000여 개 음식점이 입점한 캐치테이블이다. 지역, 메뉴, 매장 이름을 선택해 식당을 예약할 수 있다. 매장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DB)와 연동해 실시간으로 예약을 확정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예약 실패 사례를 확 줄였다.캐치테이블 운영사인 와드의 용태순 대표(사진)는 20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숙박 앱에서 시작한 야놀자가 데카콘 기업(기업가치 10조원 이상 비상장사)을 넘보는 종합 여가 플랫폼으로 성장한 것처럼 캐치테이블도 외식할 때 떠올리는 슈퍼 앱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용 대표가 야놀자를 예시로 든 건 기업 간 거래(B2B)와 기업·소비자 간 거래(B2C)를 모두 장악하는 게 목표이기 때문이다. 그는 “야놀자가 호텔자산관리시스템(PMS) 같은 B2B 서비스를 통해 B2C 서비스와 시너지 효과를 낸 것처럼 캐치테이블도 그 길목에 서 있다”고 했다. 캐치테이블은 B2B 서비스로 각 식당에 고객 예약 현황이나 방문 횟수, 노쇼 여부와 같은 고객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용 대표는 1990년대 서울 면목동에서 호프집 ‘투다리’를 운영하는 어머니 밑에서 자랐다. 종종 가게 일을 돕곤 했다. 요식업을 하는 어머니를 보며 자연스럽게 사업의 꿈을 키웠다는 게 그의 말이다. 광고, 게임회사에 몸담았을 때도 마흔 살 안에 창업하겠다고 다짐했다.그가 투다리 출근 후 항상 가장 먼저 한 일은 노트를 펴는 것이었다. 일자로 선을 긋고, 테이블 번호를 적어넣었다. 그러던 중 &ls
-
'AI 물류 플랫폼' 파스토, 800억 유치
지난 한 주간 물류부터 골프 예약, 멀티채널네트워크(MCN)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플랫폼을 가진 스타트업에 벤처캐피털(VC)이 러브콜을 보냈다.인공지능(AI) 기반 물류 플랫폼 스타트업 파스토는 대규모 시리즈C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800억원 규모로 마무리된 이번 투자 라운드엔 사모펀드(PEF) 운용사 VIG파트너스를 비롯해 하나벤처스, SK디앤디, 신한벤처투자, KDB산업은행이 참여했다.2018년 설립된 이 회사는 기업에 물류 배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회사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와 같은 플랫폼과 연동해 주문 상품을 자동으로 출고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스크린골프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김캐디는 78억원 규모 시리즈A 투자를 마무리했다. 아주IB투자, 코오롱인베스트먼트, 하이투자파트너스 등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배달의민족 창업자인 김봉진 의장도 개인 투자자 자격으로 이 회사에 베팅했다. 이 회사는 전국 스크린 골프장의 가격, 위치, 레슨 정보 등을 제공하고 예약 서비스를 지원하는 앱을 내놨다.MCN 스타트업인 트리즈커머스가 실시한 시리즈A 투자 라운드엔 70억원의 투자금이 몰렸다. 알바트로스인베스트먼트, 미래에셋증권, 기업은행, 삼호그린인베스트먼트, 메이플투자파트너스 등이 투자자 명부에 이름을 올렸다. 2015년 설립된 이 회사는 전자상거래(e커머스) 분야에 특화된 크리에이터를 교육하는 서비스로 사업을 시작했다.그 밖에 점술 상담 중개 플랫폼 ‘천명’ 운영사인 천명앤컴퍼니, 캠핑용품 커머스 플랫폼 ‘피칭’ 운영사인 보딩패스 등 플랫폼 스타트업도 벤처 투자금을 유치했다.김종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