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첫 법무법인 스팩 상장 무산 위기…금감원 정정신고 영향

    첫 법무법인 스팩 상장 무산 위기…금감원 정정신고 영향

    법무법인이 최대주주로 이름을 올린 '키움제9호스팩'이 상장을 자진 철회할 예정이다. 지난달 27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정정신고서를 받은 영향이다. 2009년 스팩(SPAC·기업인수목적회사) 제도가 생긴 이래 처음으로 법무법인을 최대주주로 내세운 스팩으로 관심을 모았지만, 금감원 심사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키움제9호스팩이 상장 철회 수순을 밟고 있다. 키움제9호스팩의 최대주주는 법무법인 올흔이다. 지분 구조를 살펴보면 법무법인 올흔이 92.6%를 보유 중이다. 키움증권(지분 3.7%)과 투게더윈투자자문(3.7%) 등이 나머지 지분을 쥐고 있다.스팩은 서류상의 회사로 비상장 우량회사와 합병하는 용도로 미리 증시 상장해 놓는 특수목적회사의 한 종류이다. 주로 벤처캐피탈(VC)과 운용사가 최대주주 자리를 맡아 증권사와 함께 합병할만한 기업을 찾는 역할을 한다.키움제9호스팩은 지난 4월 17일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했고, 지난 6월 4일 상장심사를 승인받았다. 지난 6월 10일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면서 상장작업을 본격화했다.스팩의 최대주주로 법무법인이 나선 것은 이번 키움제9호스팩이 처음이다. 금감원은 법무법인이 발기인을 맡은 전례가 없다는 이유로 난색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법무법인이 변호사업 외에 영리 행위가 가능한지에 대한 논란이다. 법무법인이 최대주주인 스팩이 상장되면 앞으로 이와 같은 상장이 난립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금감원은 이런 이유로 세 차례에 걸쳐 증권신고서 보완을 요구했고, 지난 27일에는 직접 정정 요구 공시를 요구했다. 키움증권은 변호사협회의 의견서를 받아본 뒤 철회여부를 결정하

  • 증권앱 시장 혼전…절대 강자 없네

    증권 앱 시장이 뚜렷한 강자 없이 혼전 양상이다. 설치율이 10%를 넘긴 앱은 다섯 개였지만, 20%를 웃돈 앱은 하나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시장조사업체 컨슈머인사이트는 지난 7월 국내 성인 2611명을 대상으로 한 증권 앱 시장 조사 결과를 4일 공개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증권 서비스 이용자 비율은 73.3%였다. 2월(74.3%)보다 1%포인트 줄었다.설치한 앱은 이용자마다 제각각이었다. 설치율이 가장 높은 앱은 미래에셋증권의 엠스톡으로 15.8%였다. 이어 한국투자증권 한투(14.6%), 삼성증권 엠팝(14.3%), KB증권 엠에이블(13.4%), 키움증권 영웅문에스샵(영웅문S#, 12.4%), 신한투자증권 신한SOL증권(9.6%) 등이 뒤를 이었다. 설치율이 10%인 앱이 다섯 개나 됐지만 16% 이상인 앱은 전무했다.월간활성이용자(MAU) 경쟁에서도 증권 앱들은 ‘도토리 키재기’를 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아이지에웍스에 따르면 지난달 증권 앱의 MAU는 안드로이드 시장 기준 영웅문에스샵이 약 188만 명으로 가장 많았다. 엠스톡(173만 명), 엠팝(172만 명), 엠에이블(150만 명), 한투(127만 명) 등이 뒤를 이었다.컨슈머인사이트 측은 “이용자 10명 중 3명꼴인 비정기 이용자를 얼마나 유치하느냐에 따라 증권 앱 시장의 성패가 갈릴 것”이라고 말했다.이주현 기자

  • '밸류업' 100일…금융업 웃고 제조업 울고

    '밸류업' 100일…금융업 웃고 제조업 울고

    정부가 올 들어 추진 중인 ‘밸류업(기업 가치 제고) 정책’에 발맞춰 첫 공시가 나온 지 100일째가 됐다. 금융회사를 시작으로 제조업체도 앞다퉈 밸류업 공시를 하고 있지만 주가는 엇갈리고 있다. 주도주가 사라진 장세에서 밸류업 관련주를 향한 관심이 커지고 있어 연말까지 전망은 밝다는 평가가 나온다.메리츠금융·키움證 ‘레벨업’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5월 27일 KB금융의 밸류업 예고 공시를 시작으로 이날까지 32건의 공시가 나왔다. 이 중 예고 공시와 이행 현황 공시를 제외하면 총 9건의 본 공시가 있었다. 본 공시 이후 메리츠금융지주(12.11%), 우리금융지주(11.7%), 미래에셋증권(4.14%), 키움증권(8.66%) 등 5개 금융사 주가는 상승했다. 코스닥시장 상장사인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 주가는 32.83%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하지만 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DB하이텍(-5.29%)과 현대자동차(-4.04%)는 오히려 주가가 내렸다. 2분기 실적 악재가 겹친 콜마그룹 지주사 콜마홀딩스는 23.49% 폭락했다.금융사들의 주가 상승은 경쟁적으로 쏟아낸 주주환원책과 발 빠른 실행의 결과라는 분석이 많다. 메리츠금융지주는 3월 5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신탁계약을 체결했고, 상반기에 2500억원어치 이상의 자사주를 매입했다. 지난달 26일엔 최고 종가(9만5300원)에 도달하기도 했다. 주가가 최근 한 달에만 15.36% 오른 키움증권도 내년 3월까지 발행주식 총수의 4.1% 상당을 소각할 계획이다. 미래에셋증권도 오는 11월까지 자사주 1000만 주를 매입해 소각하기로 했다.반면 ‘실적 피크아웃’(정점 통과 후 하락)과 원화 가치 상승에 따른 수출 경쟁력 약화 우려 등이 제기된 현대차 등 제조

  • '공격적 PF 행보' 키움증권, 목동 개발 6100억 브릿지론 단독 집행

    키움증권이 목동 옛 KT부지 개발사업 브릿지론에 6100억원을 단독 집행했다고 28일 밝혔다. 부동산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본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전환하지 못하는 사업장이 속출하고 있으나 키움증권은 대규모 자금을 부동산 PF 사업장에 투자하는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사업장은 서울 양천구 목동 924번지 일원에 위치해 있다. 이 부지에 지하 6층~지상 48층 규모의 주거형 오피스텔 3개동(658실) 및 근린생활시설을 짓는 개발 사업이다. 서울 핵심 주거지역의 희소한 대형 개발 사업이지만 PF 자금 경색 여파로 사업 진행 속도를 못 내고 있었다. 키움증권의 이번 투자로 기존 KT전산센터를 철거 후 내년에 본 PF로 전환될 예정이다. 부동산 개발 사업은 브릿지론을 거쳐 부지 매입과 인허가를 밟은 뒤 시공사를 선정하고 본 PF를 조달해 착공 및 준공으로 이어진다. 통상 브릿지론 대출은 리스크가 큰 초입 단계라 PF 경색 사태 이후 이뤄진 사례가 많지 않았다.이 사업장은 신세계건설이 시공사로 선정됐었으나 대주단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시공권을 포기했다. 시행사인 아이코닉은 새 시공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시행사는 삼성물산과 협의를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키움증권은 올해 부동산 PF에 과감한 투자를 주문하며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엄주성 사장 체제 이후 부동산금융 관련 수수료 수익은 올 상반기 약 825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3배가량 많은 수익을 올렸다. 이는 우량 부동산 딜에 선택과 집중하는 투자 전략이 주효했다는 설명이다.키움증권이 우량 사업장에 PF 대출을 집행할 수 있는 건 PF 익스포저(위험노출)가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간 키움증권은 PF 개발 사업에 대한

  • 증권사 2분기 영업 잘했네

    증권사 2분기 영업 잘했네

    국내 주요 증권사의 올해 2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8% 넘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 상반기 시중 채권금리가 낮아지면서 운용 수익이 크게 개선됐고, ‘서학개미’ 증가로 해외주식 매매수수료도 늘어나면서다.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2분기 실적을 발표한 삼성, 미래에셋, NH, 한국투자, 키움, KB, 신한투자, 하나, 대신 등 국내 자기자본순위 상위 9개 증권사의 2분기 당기순이익 합산액은 1조6338억원이었다. 작년 2분기 순이익 합산액인 1조309억원에서 58.4% 늘어난 금액이다.한국투자증권이 올 2분기 342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려 가장 규모가 컸다. 전년 동기 대비 102.48% 증가했다. 삼성(2579억원), 키움(2312억원), 미래에셋(2012억원), NH(1972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2분기 채권 금리가 하락하면서 증권사들의 운용손익이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삼성증권의 상품운용손익은 지난해 2분기 1283억원에서 올 2분기 2709억원으로 111.1% 늘었다.서학개미가 대폭 증가하면서 증권사의 해외주식 거래 수수료도 크게 늘었다. 삼성, 미래, NH, 키움, 한국투자 등 주요 5개 증권사의 해외주식 수수료 수익은 올 2분기 1988억원으로 전년 동기(1274억원) 대비 56.04% 증가했다. 전체 위탁매매 수수료 수익은 작년 2분기 5836억원에서 올 2분기 6434억원으로 10.2% 늘었다.투자은행(IB) 부문은 증권사별로 크게 엇갈렸다. 미래에셋증권은 IB 수수료 수익이 작년 2분기 565억원에서 올해 437억원으로 22.6% 감소했다. NH투자증권도 같은 기간 IB 수수료 수익이 6.5% 줄어들어 1699억원에 그쳤다. 반면 삼성증권은 2분기 IB 수수료 수익이 61.5% 증가한 963억원을, 키움증권은 125.8% 늘어난 567억원을 기록했다.정태준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

  • 모건스탠리, SK하이닉스 팔라는데…국내 증권사들은 "저가 매수 기회"

    모건스탠리, SK하이닉스 팔라는데…국내 증권사들은 "저가 매수 기회"

    국내 시가총액 2위 SK하이닉스를 두고 글로벌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와 국내 증권사가 상반된 전망을 내놨다. 모건스탠리는 SK하이닉스를 추천 종목에서 제외했지만 국내 증권사들은 목표주가를 상향했다. 이달 초 폭락장에서 20% 가까이 빠진 이 종목은 이후 13% 상승했다.12일 SK하이닉스는 3.21% 오른 17만7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2일 시작된 대폭락 장에서 이틀 연속 19.24% 빠진 뒤 13.38% 뛰었다.모건스탠리는 지난달 말 한국 기술산업 전망을 하향 조정하고 SK하이닉스를 추천 종목에서 뺐다. 모건스탠리는 “중국과 한국의 반도체 기술에 거는 기대가 높고 지나치게 낙관적”이라며 “반도체 사이클 회복이 예상보다 늦을 것으로 전망돼 투자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국내 증권회사의 SK하이닉스 적정 주가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1.61% 상승했다. 지난달 SK하이닉스에 보수적인 투자의견을 낸 증권사는 두 곳뿐이었다.다올투자증권은 SK하이닉스 목표가를 29만5000원에서 31만원으로 5.08% 상향 조정했다. 미래에셋증권은 24만원에서 26만원으로 8.33%, 유진투자증권은 22만원에서 24만원으로 9.09% 올려 잡았다.SK하이닉스 투자의견을 매수로 상향한 키움증권의 박유악 연구원은 “인공지능(AI)과 관련한 급격한 투자심리 악화로 SK하이닉스를 포함한 D램 업체들이 내년 설비투자를 줄이는 식으로 계획을 변경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D램 공급이 시장 예상보다 감소하면 가격이 올라 반도체 업체들의 실적은 좋아질 수 있다.양현주 기자

  • 해외옵션 매도 막은 키움證 "투자자 손실 최소화"

    키움증권이 다음달 말부터 해외 옵션 종목의 신규 매도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미국 증시의 변동성이 커지자 선제적으로 리스크 관리를 하기 위해서다.7일 키움증권은 다음달 30일부터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 상장된 일부 해외 옵션 종목의 매도 포지션 신규 진입을 제한한다고 밝혔다. 우선 미니 S&P500, 미니 나스닥100, 옥수수, 원유, 엔화, 파운드화 등 27개 주요 옵션 종목부터 신규 매도를 제한한 뒤 추후 상장 상품 전체로 확대할 방침이다.옵션 행사 권리만 포기하는 매수 포지션과 달리 매도 포지션은 증시 변동성이 커지면 개인투자자 손실이 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가격 변동이 커진 상황에서 옵션 매수자가 권리를 행사하면 마진콜(추가 증거금 납입)을 당할 가능성이 있다. 키움증권 관계자는 “최근 증시가 많이 빠진 상황이어서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신규 매도 포지션을 차단할 예정”이라고 했다.키움증권이 해외 옵션 신규 매도를 제한하면서 개인투자자의 옵션 매도가 가능한 증권사는 미래에셋증권과 신한투자증권 등 소수 증권사만 남게 됐다. KB증권과 메리츠증권 등은 2020년 코로나19 유행으로 글로벌 증시가 출렁이자 해외 옵션 매도를 막았다.배태웅 기자

  • 키움증권, 2분기 영업이익 3123억원…전년 동기比 72.7% 증가

    키움증권, 2분기 영업이익 3123억원…전년 동기比 72.7% 증가

    키움증권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3123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72.68% 증가한 수치다.2분기 매출액은 2조2805억원, 당기순이익은 2321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동기보다 2.64%, 74.01% 늘었다. 국내주식 수수료수익이 886억원으로 같은 기간 6.8% 줄었지만, 해외주식 수수료수익이 크게 늘며 전체 실적이 증가했다. 해외주식 수수료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57.9% 증가한 146억원을 기록했다.키움증권은 2분기에 리테일 시장 점유율이 전년 동기 수준(30%)을 회복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3분기부터 29.6%로 꺾였던 점유율은 이번에 30.5%를 달성해 30%대로 돌아왔다. 구조화·프로젝트파이낸싱(PF) 수익도 늘었다고 설명했다. 전년 동기 186억원에서 474억원으로 증가했다. 자기자본 대비 우발채무 비중은 41.8%로 1분기에 비해 7.2%포인트 줄었다.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

  • 키움증권 '영웅문'에서 여행자금도 환전

    키움증권의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영웅문’에서 여행·유학자금 환전을 할 수 있게 된다.키움증권은 지난 22일 기획재정부로부터 일반환전 인가를 획득했다고 26일 밝혔다. 국내 증권사의 일반환전 인가는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 증권투자 목적으로 환전이 가능했는데 은행처럼 개인과 기업을 대상으로 투자 외 목적의 환전 업무도 할 수 있게 됐다.키움증권은 모든 환전이 한 번에 가능한 ‘원스탑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해외주식거래 수익금도 바로 환전할 수 있다. 미국 주식 매매로 얻은 수익금을 여행이나 유학 자금으로 쓸 수 있게 된다. 기업 서비스도 강화한다. 수출입기업의 외화 조달 업무에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기재부는 올 2월 외환제도를 개편하고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인 9개 증권사의 일반환전 업무를 허용했다. 키움증권은 관련 규정과 시스템을 구축하고 당국 승인을 위한 자료를 제출했다. 키움증권 관계자는 “새 비즈니스모델 발굴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이시은 기자

  • 케이뱅크·롯데글로벌로지스…하반기 'IPO 대어' 쏟아진다

    케이뱅크·롯데글로벌로지스…하반기 'IPO 대어' 쏟아진다

    올 하반기에 ‘조단위’ 몸값의 대어들이 기업공개(IPO) 시장에 나온다. 기업가치 4조~5조원의 케이뱅크를 비롯해 산일전기, 더본코리아, 에이스엔지니어링, 롯데글로벌로지스, MNC솔루션 등 7개 기업이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상반기 코스피지수가 2800선에 안착하면서 유가증권시장 상장에 도전하는 기업이 늘었다. 에너지·방산 등 뜨는 업종들, 코스피 출격1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에너지저장장치(ESS) 솔루션 기업 에이스엔지니어링은 다음달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예비심사청구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에이스엔지니어링은 시가총액 5000억원 규모의 ESS 솔루션 기업이다. 거래소 심사 신청에서 통과까지 2~3개월 소요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연내 상장이 가능하다.회사 매출의 절반 이상이 ESS에서 나온다. ESS는 생산한 전기를 저장장치에 저장한 뒤 필요할 때 전기를 공급해 전체 전력 사용 효율을 높이는 제품이다. 미국과 유럽에서 시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 지난해 매출 2959억원, 영업이익 1676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25% 늘어났다. 지난해 8월 860억원 규모의 프리 IPO 투자 유치를 마무리하면서 기업가치 2500억원을 인정받았다. 대표주관사는 키움증권과 NH투자증권이 맡았다. 키움증권의 첫 유가증권시장 상장 주관으로 증권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방산기업 MNC솔루션도 하반기에 유가증권시장 상장의 닻을 올릴 예정이다. MNC솔루션은 두산그룹의 방산 부문을 사모펀드인 소시어스-웰투시 컨소시엄이 인수한 기업으로, 지난 4월 KB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했다. IB업계 관계자는 “하반기 유가증권시장에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라

  • 호실적·밸류업 기대…슬그머니 오른 증권주

    증권주들이 2분기 호실적 전망과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정책 기대가 겹치며 주가가 우상향하고 있다.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RX증권지수는 지난달 5일부터 이날까지 9.91% 올랐다. 이 기간 한국거래소의 KRX 업종지수 가운데 KRX정보기술(13.28%) 다음으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주요 증권사 중에서는 삼성증권이 최근 한 달간 18.73%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다. 이어 한국금융지주(10.13%) NH투자증권(9.47%) 미래에셋증권(7.04%) 키움증권(4.59%) 등의 순이었다. 중소 증권사 중에서는 유진투자증권이 31.82%로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2분기 증권사 실적에 청신호가 켜지면서 주가도 오르고 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주요 5개 증권사(삼성 미래에셋 한국투자 NH투자 키움)의 2분기 지배주주순이익 추정치 합산액은 9138억원으로 3개월 전 예상치인 7913억원 대비 15.48% 상향됐다. 작년 2분기 순이익 합산액(8198억원)과 비교하면 11.46% 늘어났다.이익 전망치가 상향되며 증권사들이 하반기 밸류업 정책을 내놓을 것이란 기대도 커지고 있다. 정부는 배당과 자사주 소각을 늘린 기업에는 5%의 법인세 세액공제를 적용하고, 투자자에겐 저율의 배당소득 분리과세 혜택을 부여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우도형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미래에셋증권은 총주주환원율 30%를 공시한 만큼 하반기 추가 자사주 매입이 기대된다”고 했다.배태웅 기자

  • 2분기 호실적에 밸류업 기대까지…증권주 한 달새 9% '쑥'

    2분기 호실적에 밸류업 기대까지…증권주 한 달새 9% '쑥'

    증권주들이 2분기 호실적 기대감과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정책 기대감이 겹치면서 주가가 우상향하고 있다. 다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영향에 따라 증권사별 주가 흐름은 다소 갈릴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RX 증권' 지수는 지난달 5일부터 이날까지 9.91% 올랐다. 이 기간 한국거래소의 KRX 업종 지수 가운데 'KRX 정보기술'(13.28%) 다음으로 높은 가장 상승률을 기록했다.주요 증권사 중에서는 삼성증권이 최근 한 달 18.73% 상승해 가장 상승폭이 가팔랐다. 이어 한국금융지주(10.13%), NH투자증권(9.47%), 미래에셋증권(7.04%), 키움증권(4.59%) 등의 순서였다. 중소 증권사 중에서는 유진투자증권이 31.82%로 가장 상승률이 높았다.2분기 증권사 실적에 청신호가 켜지면서 주가도 오르고 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주요 5개 증권사(삼성·미래·한국·NH·키움)의 2분기 지배주주순이익 예상치 합산액은 9138억원으로 3개월 전 예상치인 7913억원 대비 15.48% 상향됐다. 작년 2분기 순이익 합산액(8198억원)과 비교하면 11.46% 늘어났다.이익 전망치가 상향되면서 증권사들이 하반기 밸류업 정책을 내놓을 것이란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이미 키움증권은 지난 5월 밸류업 상세 공시를 내놨다. 정부가 배당과 자사주 소각을 늘린 기업에는 5%의 법인세 세액공제를 적용하고, 투자자에겐 저율의 배당소득 분리과세 혜택도 부여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한 만큼 증권주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윤유동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화재와 삼성생명 등이 구체화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삼성증권 역시 하반기에는 밸류업 계획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 키움증권, 올해 1호 지속가능연계채권 단독 주관

    키움증권, 올해 1호 지속가능연계채권 단독 주관

    키움증권이 올해 첫 지속가능연계채권(SLB) 발행을 단독 주관했다고 8일 발표했다. 현대캐피탈 SLB 1000억원어치가 대상이다.SLB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채권의 한 종류다. 발행회사가 사전에 설정한 지속가능 성과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투자자에게 일정 수준의 프리미엄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린 워싱(친환경 위장술)’ 방지 차원이다. 미국과 유럽에선 발행이 활발한 채권이다.이번 현대캐피탈 SLB의 트랜치(만기 구조)는 모두 2년물로 구성된다. 지속가능 성과 목표는 현대캐피탈 전체 자동차 금융 가운데 친환경 차량 금융 상품의 비중 확대로 설정했다. 이를 달성하지 못하면 만기에 채권 금리 외 0.02%포인트를 투자자에게 추가로 제공한다.키움증권은 지난해에도 국내 최초로 SLB를 발행한 바 있다. 지난해 7월 현대캐피탈의 2200억 규모 SLB를 공동 주관했다.키움증권 관계자는 "SLB가 국내에서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주관과 발행 업무를 이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

  • 코스피, 내달 2800선 안착…"AI반도체株, 아직 고점 아냐"

    코스피, 내달 2800선 안착…"AI반도체株, 아직 고점 아냐"

    코스피지수가 다음달에도 상승세를 지속해 2800선에 안착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올 상반기 증시 강세를 주도하던 인공지능(AI) 반도체주들이 최근 주춤했지만 아직 고점 신호가 나오진 않았다는 분석이다.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주요 증권사 네 곳의 7월 코스피지수 변동폭 전망치는 평균 2677~2877 사이로 집계됐다. 이날 코스피지수가 2792.05에 마감한 점을 고려하면 최고 3.04%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개별 증권사별로 보면 상상인증권이 다음달 코스피지수 변동폭을 2650~2900으로 제시해 상단이 가장 높았다. △NH투자증권 2710~2890 △키움증권 2670~2870 △현대차증권 2680~2850 등도 7월 코스피지수 상단을 2800 후반으로 제시했다.최근 엔비디아를 비롯한 해외 AI 반도체주가 소폭 조정받으면서 코스피지수 역시 지난 20일 종가 기준 2807.63까지 오른 뒤 다시 2800선 밑으로 내려왔다. 미국 주요 반도체주를 담은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20일 이후 전날까지 2.53% 하락했다. 다만 증시 지수가 아직 고점을 찍진 않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거시경제, 경제 기초 여건, 수급 상황을 고려할 때 주요국 증시 지수는 아직 고점에 도달하지 않았다”며 “고점 여부는 2분기 빅테크 실적 시즌이 지난 후 가늠해야 한다”고 했다.증권가에서는 3분기도 기업 실적 전망이 상향되고 있는 만큼 실적이 개선되는 반도체, 조선, 디스플레이 등의 수출 업종에서 주도주가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실적 예상치가 존재하는 211개 상장사의 영업이익 합산액은 61조9845억원으로 3개월 전(58조4852억원)에 비해 5.98% 상향됐다.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ld

  • 엔비디아 주춤했지만…"코스피 고점 아냐, 7월 2800 간다"

    엔비디아 주춤했지만…"코스피 고점 아냐, 7월 2800 간다"

    코스피지수가 다음달에도 상승세를 지속해 2800선에 안착할 것이란 예상이 나왔다. 올 상반기 증시 강세를 주도했던 인공지능(AI) 반도체주들이 최근 주춤했지만 아직 고점 신호가 나오진 않았다는 분석이다. 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주요 증권사 4곳의 7월 코스피지수 변동폭 전망치는 평균 2677~2877 사이로 집계됐다. 이날 코스피지수가 2792.05에 마감한 점을 고려하면 최고 3.04% 더 상승할 것이란 전망이다. 개별 증권사별로 보면 상상인증권이 다음달 코스피지수 변동폭을 2650~2900으로 제시해 상단이 가장 높았다. △NH투자증권 2710~2890 △키움증권 2670~2870 △현대차증권 2680~2850 등도 7월 코스피지수 상단을 2800 후반으로 제시했다. 최근 엔비디아를 비롯한 해외 AI 반도체주가 소폭 조정받으면서 코스피지수도 덩달아 조정받고 있다. 미국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는 지난 20일 이후 전날까지 2.53% 하락했다. 코스피지수도 지난 20일 종가 기준 2807.63까지 오른 뒤 다시 2800선 밑으로 내려왔다. 그럼에도 지수가 아직 고점을 찍은 것은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거시경제, 경제 기초여건, 수급 상황을 고려할 때 주요국 증시 지수는 아직 고점에 도달하지 않았다"며 "고점 여부는 2분기 빅테크 실적 시즌이 지난 후 가늠해야 한다"고 했다. 김용구 상상인증권 연구원도 "최근 엔비디아 고점 논란이 불거졌지만 2분기 실적도 시장 기대에 부응한다면 코스피지수도 상승 모멘텀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증권가에서는 3분기도 기업 실적 전망이 상향되고 있는 만큼 실적이 개선되는 반도체, 조선, 디스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