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협 갈등' 일단 봉합…NH證 차기 CEO에 '증권맨'
NH투자증권 차기 사장을 놓고 벌어진 농협중앙회와 100% 자회사인 농협금융지주의 갈등이 봉합됐다. NH투자증권 내부 출신인 윤병운 부사장(57)이 차기 사장으로 내정되면서다. 금융당국이 농협중앙회 내부 출신 인사의 NH투자증권 사장 선임에 반대 방침을 밝히자 중앙회가 한 발 물러선 결과로 해석된다. 당장 급한 불은 껐지만 농협금융의 지배구조 개편 없이는 앞으로도 최고경영자(CEO) 선임 등 주요 현안을 놓고 농협중앙회와의 갈등이 계속될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본지 3월 11일자 A2면 참조 증권사 독립경영 놓고 ‘이견’NH투자증권은 11일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를 열고 윤 부사장을 차기 사장 후보로 추천했다. 임추위는 이날 윤 부사장과 유찬형 전 농협중앙회 부회장(63), 사재훈 전 삼성증권 부사장(60) 등 세 명의 후보를 놓고 심사를 거쳐 이같이 결정했다. NH투자증권은 임시 이사회를 거쳐 오는 27일 열리는 주주총회에서 윤 부사장을 사내이사로 선임할 방침이다.이번 갈등은 농협금융이 2014년 인수한 이후 10년째 이어져온 NH투자증권의 ‘독립경영’ 보장 문제에서 출발했다. 농협금융은 NH투자증권 초대 대표인 김원규 사장과 현 정영채 사장 등 ‘증권맨’이 경영을 맡았던 전통이 이어져야 한다고 봤다. 전문가가 회사를 운영해야 증권사의 경쟁력이 높아진다는 판단에서다.하지만 농협중앙회의 생각은 달랐다. NH투자증권이 독립 경영을 이유로 통제 범위를 벗어나면서 라임·옵티머스 펀드 사태와 같은 금융사고가 발생했다고 보고 있다. 은행과 증권, 캐피탈 등 다른 계열사와의 협업 부진 이유도 NH투자증권의 폐쇄적인 조직문화에서 찾는다.농협중앙회와 농
-
유안타증권 신임 대표이사에 뤄즈펑 내정
유안타증권은 신임 대표에 뤄즈펑(羅志鵬) 대만 유안타파이낸셜홀딩스 수석부사장(사진·Senior Vice President)를 내정했다고 11일 발표했다. 유안타증권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뤄즈펑 수석부사장을 신임 대표이사에 내정하고, 사내이사에 선임하는 안건을 주주총회에 상정하기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오는 29일 정기주주총회를 거쳐 최종 선임될 예정이다. 기존 궈밍쩡 대표는 대만 유안타파이낸셜 본사로 돌아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뤄즈펑 내정자는 홍콩 유안타증권 매니징디렉터를 거쳐 KGI증권 매니징디렉터, 엘리타임스 캐피털매니지먼트 최고경영자(CEO), 선샤인에셋메니지먼트 매니징디렉터 등을 역임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
-
'농협사태' 금감원도 가세…"중앙회의 인사 개입은 부당"
금융당국이 NH투자증권 차기 사장 선임을 놓고 벌어진 농협중앙회와 농협금융지주의 충돌에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 특히 중앙회가 내부 출신 인사를 NH투자증권 사장에 앉히려는 시도에 대해선 “법적 근거도 없는 인사 개입”이라며 유감을 나타냈다. 중앙회는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당국의 노골적 비판에 내심 불편한 기색이다. 일각에선 금융감독원이 민간 금융사 최고경영자(CEO) 선임 과정에 과도하게 개입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본지 3월 9일자 A1, 3면 참조 중앙회 vs 농협금융 충돌10일 금융권에 따르면 NH투자증권은 11일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와 임시이사회를 열고 유찬형 전 농협중앙회 부회장(63)과 윤병윤 NH투자증권 IB1사업부 대표(57), 사재훈 전 삼성증권 부사장(60) 중 한 명을 사장 후보로 선정한다.농협금융 지분 100%를 가진 농협중앙회의 강호동 신임 회장은 지난 7일 이석준 농협금융 회장을 만나 유 전 부회장을 사장 후보로 추천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강 회장은 인수 10년을 맞은 NH투자증권이 다른 계열사와의 시너지를 내기 위해선 ‘농협맨’인 유 전 부회장이 적합하다는 입장이다.이 회장은 강 회장의 요구를 거부했다. 그는 “사장 후보 선정은 NH투자증권 임추위가 독립적으로 결정할 문제”라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 전 부회장이 증권업 경력이 없다는 점을 우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후보인 윤 대표와 사 전 부사장은 각각 NH투자증권과 삼성증권에서 일한 ‘증권맨’이다. 금감원 “지주·계열사 독립성 보장을”파열음이 커지자 금감원이 가세했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중앙회가 농협금융을
-
하이투자證 새 대표 성무용…곽봉석 DB금투 대표 연임
성무용 전 대구은행 부행장이 하이투자증권의 새로운 대표이사로 선임됐다. 곽봉석 DB금융투자 대표는 연임에 성공했다.하이투자증권은 이달 임기가 만료되는 홍원식 사장의 후임으로 성 전 부행장을 최종 후보자로 선정했다고 8일 밝혔다. 이달 28일 정기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거쳐 대표이사로 최종 선임될 예정이다. 임기는 2026년 3월까지다.성 대표 후보자는 1963년생으로 대구은행에 입행한 뒤 DGB금융지주 전략기획부장을 거쳐 DGB금융지주 전략경영본부 부사장, 대구은행 부행장 등을 역임했다. 하이투자증권 임원후보추천위원회는 “하이투자증권의 경영 현안을 해결하고 그룹 시너지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했다”며 최종 후보자 추천 이유를 밝혔다.DB금융투자는 곽 대표가 2년째 임기를 이어가게 됐다. DB금융투자 임추위는 전날 곽 대표를 최고경영자(CEO) 후보로 단독 추천했다. 오는 26일 열릴 주주총회에서 최종 선임될 예정이다.윤아영/이시은 기자
-
중앙회 "시너지 내려면 농협맨" vs 금융지주 "전문성 위해 증권맨"
농협금융지주는 2014년 우리투자증권(현 NH투자증권)을 인수한 이후 독립경영을 보장했다. 전문가가 회사를 운영해야 증권사의 경쟁력이 높아진다는 판단에서다. 초대 대표인 김원규 사장과 현 정영채 사장 등 ‘증권맨’들이 경영을 맡았던 배경이다.하지만 농협금융 지분 100%를 보유한 단일 주주인 농협중앙회의 생각은 달랐다. NH투자증권이 독립 경영을 이유로 통제 범위를 벗어나면서 라임·옵티머스 펀드 사태와 같은 금융사고가 발생했다고 보고 있다. 은행과 증권, 캐피탈 등 다른 계열사와의 협업 부진 이유도 NH투자증권의 폐쇄적인 조직문화에서 찾는다. 강호동 신임 농협중앙회장이 10년 만에 ‘농협맨’을 NH투자증권 사장에 앉히려는 이유다. ○“농협 울타리에 들어와야”8일 금융권에 따르면 NH투자증권은 오는 11일 임시 이사회를 열고 유찬형 전 농협중앙회 부회장(63)과 윤병운 NH투자증권 IB1사업부 대표(57), 사재훈 전 삼성증권 부사장(60) 중 한 명을 사장 후보로 선정한다.강 회장이 차기 NH투자증권 사장으로 추천한 후보는 유 전 부회장이다. 그는 1988년 입사해 2022년 농협중앙회 부회장으로 퇴임할 때까지 34년간 농협에만 몸담았다. 지난 1월 농협중앙회장 선거 당시 강 회장 캠프에서 핵심 역할을 맡은 것으로 알려졌다. 농협중앙회 내부 사정에 밝은 금융권 관계자는 “그동안 NH투자증권의 자율경영을 최대한 보장했지만 라임·옵티머스 펀드 사태에 따른 농협 브랜드 이미지 훼손 등이 발생했다”며 “인수 10년을 맞은 NH투자증권이 농협 울타리 안으로 들어와야 할 시점이라는 게 강 회장의 생각”이라고 전했다.농협금융의 입장은 딴판이다. 유
-
하이투자증권, 신임 대표이사로 성무용 후보자 최종 추천
하이투자증권은 이달 임기가 만료되는 홍원식 사장의 후임으로 성무용 신임 대표이사를 최종 후보자로 선정했다. 신임 대표이사는 오는 28일 주주총회와 이사회 이후 임기를 시작하게 된다. 8일 하이투자증권은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 결의를 통해 최고경영자(대표이사) 후보자로 성무용 전 대구은행 부행장을 최종 추천했다고 밝혔다. 성무용 신임 대표이사는 이달 28일 개최되는 정기주주총회를 통해 사내이사로 선임 후, 이후 개최되는 이사회를 통해 대표이사로 최종 선임될 예정이다. 임기는 2026년 3월 정기주주총회까지다.임추위는 성 신임 대표의 폭 넓은 업무 경험을 통한 조직 이해와 소통 능력을 높게 평가했다고 밝혔다. 임추위는 "성 신임 대표는 DGB금융지주와 대구은행에서 전략기획, M&A, 인사, 마케팅, 홍보 등의 영역에서 업무를 진행해왔다"면서 "하이투자증권의 경영 현안을 해결하고 그룹 시너지 창출에 기여하여 회사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해 최고경영자 최종 후보자로 추천했다"고 이유를 밝혔다.성무용 대표는 1963년생으로 대구대학교 통계학과를 졸업했으며, 동 대학에서 부동산학 석사, 경일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를 취득했다. 대구은행 입행 후 DGB금융지주 전략기획부장을 거쳐 DGB금융지주 전략경영본부 부사장, 대구은행 마케팅본부와 영업지원본부 부행장 등을 역임했다. DGB금융지주 설립 시에는 지주사 설립을 주도했으며, 그룹의 중장기 경영전략 수립과 자회사 경영관리 체계화 구축에 기여했다.윤아영 기자 youngmoney@hankyung.com
-
곽봉석 DB금융투자 대표, 사실상 연임 성공…단독 후보 추천
곽봉석 DB금융투자 대표가 사실상 연임에 성공했다.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DB금융투자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는 전날 곽 대표를 최고경영자(CEO) 후보로 단독 추천했다. 오는 26일 열릴 주주총회에서 최종 선임될 예정이다.1969년생 곽 대표는 1994년 대한투자신탁을 거쳐 2005년 DB금융투자에 입사했다. 이후 프로젝트금융본부장, 프로젝트파이낸싱(PF)사업부 겸 IB사업부 총괄본부장, 경영총괄사장 등 직무를 맡았다. 지난해 3월 대표에 올라 이달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당초부터 곽 대표는 연임이 유력했다. DB금융투자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 1조2146억원, 영업이익 383억원을 벌어들였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0.7%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60.88%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107억원)대비 163.47% 늘어난 284억원이었다.임추위는 “곽 대표는 IB와 PF 사업을 총괄할 당시 뛰어난 리더십을 발휘했다”며 “대표 업무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회사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
-
정형진 골드만삭스 대표 퇴사...후임 한국대표는 최재준 전무
골드만삭스 투자은행(IB) 부문을 이끌던 정형진 한국 대표가 퇴사한다.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정 대표는 올해 6월 골드만삭스를 떠나기로 하고 회사에 퇴사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2017년 골드만삭스 한국 대표에 오른 후 IB부문을 이끌어왔다. 주로 골드만삭스 내에서 삼성그룹과 현대자동차그룹 등 주요 대기업 업무를 총괄해왔다.정 대표의 후임 한국사무소 대표는 최재준 FICC 전무가 맡게 된다. IB부문 대표는 아직 미정이다. 당분간 아시아(일본 제외) 지역 ECM 부문을 총괄해온 변상민 공동대표가 맡을 예정이다. 골드만삭스는 소프트뱅크의 쿠팡 초기 투자에서부터 2021년 쿠팡의 뉴욕 증시 입성까지 도우며 전례없는 수수료 수익을 벌어들였다. 카카오페이 상장을 비롯해 우아한 형제들 매각 등 굵직한 저금리시기인 2021년까지 대형 IPO 등을 자문해 영향력을 키웠다. 다만 지난해 M&A에선 네이버가 인수한 포쉬마크 매각 자문 1건에 그칠 정도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일각에선 골드만삭스 내에서 한국사무소 입지가 점차 약화된 점이 반영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골드만삭스는 매 년 전무(매니징디렉터) 승진과 파트너 승진을 번갈아가면서 글로벌 단위로 발표한다. 지난해 MD 승진 인사를 발표하면서 올해는 파트너 인사 차례였지만 한국사무소에선 파트너 배출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짙었다. 한국에선 칼라일로 이직한 김종윤 전 대표가 2012년 처음으로 파트너가 된 이후 승진이 없었다.차준호 기자 chacha@hankyung.com
-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 됐다…"위기 정면 돌파"
정용진 신세계그룹 총괄부회장이 8일 회장으로 승진했다. 부회장직에 오른 지 18년 만이다. 정 회장의 모친인 이명희 회장은 그룹 총괄회장로서 신세계그룹 총수 역할을 계속 할 예정이다. 정 회장의 승진은 그룹에 닥친 위기를 정면으로 돌파하기 위함이라는 게 신세계측 설명이다. 신세계그룹은 "녹록치 않은 환경 속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혁신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최고의 고객 만족을 선사하는 등 1등 기업으로 다시 한번 퀀텀 점프하기 위해 이번 인사를 단행했다"고 말했다. 그동안 '유통 1등기업' 자리를 지켜오던 신세계그룹의 이마트는 최근 e커머스 기업인 쿠팡에 정상 자리를 내줬다. 이마트의 지난해 매출은 29조4722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지만 쿠팡이 이마트에 앞서 유통사 최초로 '30조원' 벽을 넘긴 것이다. 이마트는 법인 설립 아후 첫 적자를 내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신세계그룹은 기존과는 완전히 다른 차원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봤다. 실제로 정 회장은 이번 인사에 앞서 지난해 말 경영전략실을 기능 중심의 컨트롤타워로 개편한 바 있다. 기민한 의사결정과 실행을 위한 조치다. 한편 백화점, 면세점, 패션 부문을 맡고 있는 정유경 신세계백화점 총괄사장은 이번 인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양지윤 기자 yang@hankyung.com
-
금감원, NH투자증권 '낙하산 인사 논란' 들여다본다
금융감독원이 NH투자증권과 NH농협지주, NH농협은행에 대한 검사에 나섰다. 다음주 중 최종 후보자가 결정되는 NH투자증권 최고경영자(CEO) 선임 절차 적절성 등을 따져볼 전망이다. NH투자증권 CEO 선임 앞두고 '줄줄이 검사'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날 농협금융지주와 농협은행에 대한 수시 검사에 착수했다. 8일엔 NH투자증권 정기검사를 당초 예정보다 앞당겨 돌입한다. 각 사 검사를 통해 NH농협금융그룹의 전반적인 지배구조와 내부통제 구조 등을 들여다볼 것으로 알려졌다. NH투자증권 사장 선임과 농협은행의 배임 사고 등 굵직한 사안이 여럿 있어서다. NH투자증권은 오는 3월 임기가 만료되는 정영채 사장의 후임자 선정이 관건이다. NH투자증권 이사회 내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는 지난 5일 윤병운 IB1사업부 대표와 유찬형 전 농협중앙회 부회장, 사재훈 전 삼성증권 부사장 등 3명을 차기 사장 적격예비후보로 확정했다. 금융권에선 농협중앙회에서 기획·운영 경력을 쌓은 유 전 부회장을 유력 후보로 보고 있다. NH 지배구조 정점에 있는 농협중앙회가 ‘친정’ 식구에게 힘을 실어줄 수 있다는 관측이다. 시장 일각에
-
최윤 OK금융 회장, 한일경제협회 부회장 선임
최윤 OK금융그룹 회장이 한일 양국의 경제 협력 증진을 위해 주요 재계 인사들과 머리를 맞댄다.OK금융그룹은 최 회장이 한일경제협회 부회장으로 선임됐다고 7일 밝혔다. 최 회장은 향후 3년간 부회장으로 활동하며 한일 양국의 상호교류 증진을 위한 소통 창구 역할을 담당할 계획이다.한일경제협회는 1981년 설립된 경제 단체로 국내 대표 기업을 회원사로 두고 있다. 일본 측 파트너 기관인 일한경제협회 등과 양국의 상호발전을 위한 다양한 경제외교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양국 재계 간 만남과 교류를 주도하는 한일경제인회의를 비롯해 한일 고교생 교류 사업, 한일 신산업 무역 회의 등을 운영하고 있다.최 회장은 어린 시절을 일본에서 보낸 한국 국적의 재일교포 3세다. 일본 현지의 경제상황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는 평가다. 일본 내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양국의 경제계를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톡톡히 해낼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최 회장은 2020 도쿄올림픽 국가대표 선수단 부단장에 이어 2023 항저우 아시안게임 국가대표 선수단장으로 활약하며 스포츠 외교의 저력을 입증한 바 있다.최 회장은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앞둔 중차대한 시기에 한일 경제협력 강화를 논의하는 자리에 함께 할 수 있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양국 간 풀뿌리 교류를 더욱 활성화하고 경제관계 발전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서형교 기자 seogyo@hankyung.com
-
교보생명 새 대표에 조대규 부사장
교보생명 차기 최고경영자(CEO)에 조대규 부사장(60·사진)이 내정됐다.교보생명은 지난 5일 이사회와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열고 조 부사장을 CEO 후보로 추천하기로 결정했다. 오는 22일 정기 주주총회 결의를 거치면 대표이사 사장에 최종 선임된다.1989년 교보생명에 입사한 조 신임 대표는 정통 ‘교보맨’이다. 성균관대 사범대와 상명대 경영대학원을 졸업한 뒤 교보생명에서 FP본부장, 계성원장(연수원장), 전략기획담당을 거쳐 2019년부터 경영기획실장 겸 인력지원실장을 맡았다. 교보생명은 신창재 대표이사 겸 이사회 의장과 조 대표의 2인 각자 대표 체제로 운영된다. 신 의장은 장기 전략과 기획, 자산운용을 담당한다. 조 대표는 보험사업을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서형교 기자
-
'1세대 가치투자자' 허남권 신영자산운용 대표 퇴진
‘1세대 가치투자자’ 허남권 신영자산운용 사장(사진)이 대표이사(CEO) 자리에서 물러난다.6일 자산운용업계에 따르면 허 사장은 다음달 대표를 사임하고 상임고문으로 물러날 예정이다. 허 사장은 1996년 설립한 신영자산운용 창립 멤버이자 가치투자 1세대 매니저다. 이채원 라이프자산운용 의장, 강방천 전 에셋플러스자산운용 회장과 함께 ‘3대 가치투자자’로 유명했다.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 낮은 우량주를 발굴해 끈질기게 기다린 뒤 차익을 내는 전략을 주로 사용했다. 신영마라톤 신영밸류고배당주식형 등을 대한민국 대표 펀드로 키워냈고 2017년 대표이사에 취임했다. 허 사장은 “고문자리에서 가치투자 철학을 지켜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신영자산운용의 새 대표로는 엄준흠 신영증권 부사장이 내정됐다.최만수 기자
-
SK증권 새 대표에 대신증권 출신 정준호 리스크관리본부장
SK증권이 지난 10년 간 회사를 이끌었던 김신 대표 대신 정준호 리스크관리본부장을 새로운 대표로 임명한다. SK증권은 6일 정준호 리스크관리본부장(사진)과 전우종 각자 대표를 대표이사 후보로 추천했다. 이들은 이달 말 주주총회에서 사내이사로 선임된 후 주주총회일 이사회를 거쳐 각자 대표이사로 선임될 예정이다.이에 따라 SK증권은 현재 김신·전우종 각자 대표 체제에서 전우종·정준호 각자 대표 체제로 바뀌게 된다. 정 본부장은 1966년생으로 서울대학교 공법학과를 졸업했다. 대신증권 IB1본부 팀장을 거쳐 SK증권에 입사한 후 전략기획실장, 홍콩 법인 디렉터 등을 맡았다.이번에 물러나는 김신 대표는 회사에 남아 신사업을 구상할 것으로 알려졌다. 1963년생인 김 대표는 쌍용증권(현 신한투자증권)에서 시작해 미래에셋증권 대표이사와 현대증권(현 KB증권) 사장을 지냈다. 2014년 SK증권 대표로 합류했으며 10년 간 SK증권을 이끌었다.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
-
[단독] '펀드매니저 1세대' 허남권 신영자산운용 사장 사임
마지막 남은 ‘1세대 가치투자자’ 허남권 신영자산운용 사장(사진)이 대표이사(CEO)자리에서 물러난다. 새 대표로는 엄준흠 신영증권 부사장이 내정됐다.6일 금융투자업계와 신영증권에 따르면 허 사장은 다음달 대표이사 자리를 내려놓고 고문으로 물러난다.허 사장은 1996년 설립한 신영자산운용 창립 멤버이자 가치투자 1세대 매니저다. '신즉근영(信卽根榮)' 정신 아래 신영마라톤주식형 및 신영밸류고배당주식형 등을 대한민국 대표 펀드로 키워냈다. 이채원 라이프자산운용 의장, 강방천 전 에셋플러스자산운용 회장과 함께 ‘3대 가치투자자’로 명성을 떨쳤다.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 낮은 우량주를 발굴해 끈질기게 기다린 뒤 차익을 내는 전략으로 유명했다. 하지만 2010년대 이후 가치주보다 성장주가 시장을 주도하면서 설정액이 감소하는 등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이 의장과 강 전 회장이 먼저 경영일선에서 물러난 가운데 마지막 남은 허 사장도 후배들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퇴임하게 된 것이다.허 사장은 “이제 물러날 때가 됐다”며 “나이도 그렇고 운용은 이제 후배들에게 맡기고 고문자리에서 신영자산의 가치투자 철학을 지켜나갈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으로 저평가된 가치주의 시대가 다시 돌아온 것 같다”며 “신영 마라톤, 밸류고배당 펀드의 수익률도 개선되고 있다”고 덧붙였다.신영자산운용의 새 대표로는 엄준흠 신영증권 부사장이 내정됐다. 엄 부사장은 파생상품 전문가로 2015년부터 부사장 겸 세일즈앤트레이딩(Sales&Trading)부문장을 담당해왔다.최만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