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PEF 인수한 보험사 위험자산 급증…"규제 받지않는 그림자 금융" 경고
미국 보험업계에서 KKR, 칼라일 등 글로벌 사모펀드들의 영향력이 강해지면서 미국 금융권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모펀드들이 보험사를 통해 기업 대상 대출 사업에 나서면서 규제를 우회하는 ‘그림자 금융’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즈와 미국 보험평가업체 AM베스트에 따르면 지난 2분기 기준 글로벌 사모펀드들이 인수한 미국 생명보험사의 자산 가치는 약 7740억달러로 집계됐다. 전체 미국 생명보험사 자산의 약 9%에 달하는 비중이다. 2011년 670억달러 수준에서 12년 사이에 11배 넘게 늘어난 것이다.그동안 미국 주요 보험회사들은 낮은 수익과 성장성을 보이는 연금·생명보험 사업을 사모펀드로 매각해왔다. 2021년 7월 AIG는 블랙스톤에 생명보험·연금 사업 부문을 22억달러에 매각했고, KKR은 미국 보험사 글로벌애틀랜틱을 2020년 7월 44억달러에 인수했다.그러나 사모펀드에 인수된 보험사들이 위험자산 비중을 과도하게 늘린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AM베스트가 지난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사모펀드 산하 보험사 중 3분의 1은 투자부적격 등급 채권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적인 보험사 중 투자부적격 채권을 보유한 비중은 5.9%에 불과했다.나타샤 사린 예일대 로스쿨 교수는 “사모펀드에 인수한 보험사는 불과 며칠 만에 채권 포트폴리오를 더 위험한 자산 쪽으로 옮긴다”며 “장기적인 재정 안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미지수다”라고 했다.사모펀드들이 보험사 자산을 통해 대출을 늘리고 있다는 점도 금융권의 우려가 나오는 지점이다. 피치북에 따르면 비은행권 대출 시장(프라이빗 렌딩)은 지난해 약 1조7500억 달러 규
-
아이에스동서, 폐배터리 재활용업체 인수
건설·환경·제조 종합기업인 아이에스동서가 유럽의 폐배터리 재활용 전문기업 BTS테크놀로지를 인수해 ‘수명 종료 배터리(EoLB)’ 시장 선점에 나선다.아이에스동서는 지난 23일 폴란드 오스와 공장에서 BTS테크놀로지 인수를 위한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2016년 설립된 재활용 전문기업인 BTS테크놀로지는 슬로바키아와 폴란드, 헝가리에 4개 법인을 보유하고 있다. 오스와 지역에 폐배터리 셀·모듈 전처리 전용 공장을 연내 준공하고 가동할 예정이다.이 공장에선 기존 유럽 폐배터리 공장의 2차전지 폐스크랩 전처리 공정보다 숙련된 기술이 필요한 폐배터리 셀·모듈의 일괄 전처리가 가능하다. 연간 전기차 약 5만 대(최대 10만 대) 분량을 처리할 수 있다.오스와 지역은 독일 국경과 인접해 있다. 또 공장이 고속도로 진입로에서 5분 거리에 있어 생산·물류 측면에서 최적의 입지를 갖추고 있다는 평가다. 인허가받은 전체 부지 5만㎡ 중 1만㎡만 사용하고 있어 향후 유휴부지에 증설하면 최대 12만t까지 폐배터리 처리가 가능할 전망이다.이인혁 기자
-
'역대급' 불황에도…올해만 9곳 인수한 기업 있다 [정지은의 산업노트]
세계 최대 통신장비업체인 시스코가 주요 기술 기업을 잇달아 사들이고 나섰다. 올해 들어 인수합병(M&A)한 기업만 아홉 곳에 달한다. 이달엔 네트워크 모니터링 기업을 품은 데 이어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 기업을 인수하기로 했다. 한국에서도 M&A 대상을 물색 중이다.25일 업계에 따르면 시스코는 최근 노르웨이 모바일 분야 기업인 워킹그룹2(WG2) 인수를 결정했다. 워킹그룹2는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만으로 구동되고 원활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클라우드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을 보유한 곳이다. 시스코는 기존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을 효율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했다는 설명이다.업계에선 시스코의 행보가 예사롭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달 초 그리스에 본사를 둔 네트워크 모니터링 기업인 코드BGP를 인수하고 열흘도 되지 않아 또 다른 인수를 추진했기 때문이다. 올해 시스코가 인수 절차를 마무리하거나 인수 의사를 밝힌 곳만 아홉 곳에 달한다. 사들인 기업 분야도 다양하다. 지난 2월 보안 분야 기업인 발틱스를 시작으로 △3월 라이트스핀(보안) △4월 스마트룩(앱) △5월 아머블록스(인공지능·AI) △6월 엑시디언(네트워크), 샘노즈(네트워크) △7월 오르트(보안) 등이다. 지난해부터 경기 침체로 글로벌 기업 대부분이 투자를 줄인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시스코는 잠재력이 큰 기업을 다양하게 인수하며 사업을 다각화하는 전략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이 회사는 한국 기업도 유심히 살펴보고 있다. 이미 시스코의 기업형 벤처캐피털(CVC)인 시스코인베스트먼트 주도로 스타트업 대상 투자와 제휴 등이 이뤄지고 있다. 시스코가 지분을 보유한 기업은 직장인 커뮤니
-
대광건영, 큐로CC 최종 인수…‘로제비앙’ 브랜드로 새출발
대광건영이 경기 광주시 곤지암 큐로CC(대중제 27홀)를 인수해 새 주인이 됐다. 업계에선 우선매수권 행사 조건이 까다롭다는 전망이 강했다. 그러나 조영훈 대광건영 회장이 강한 인수 의지를 보이며 자금을 마련해 인수가 성사됐다는 분석이다.2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대광은 이날 큐로CC 우선매수권 행사를 위한 매매 대금 2500억원을 큐씨피이글홀딩스에 납입하며 인수 절차를 끝마쳤다. 공정거래위원회 기업결합 사전 신고도 이미 완료했다.앞서 사모펀드(PEF)운용사 큐캐피탈파트너스는 지난달 28일 큐로CC를 매각하기 위해 시에나서울과 매매 계약을 맺었다. 이후 우선매수권자인 대광에 우선매수권 행사 여부에 대한 답변을 요청했다. 이에 대광은 지난 5일 큐캐피탈파트너스에 우선매수권 행사를 통보했다.업계에선 그간 대광의 우선매수권 행사가 쉽지 않을 것이란 부정적 전망이 적지 않았다. 우선매수권 행사를 위해선 15일 이내에 매매대금을 지급해야 한다. 납입 기간이 짧아 자금 확보와 인수 준비가 어렵다는 지적이 불거졌다.그러나 조 회장이 큐로CC 인수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고, 일찌감치 인수를 위한 사전 준비에 나서면서 인수가 확정됐다. 여기에 대광의 계열사인 모비딕자산운용과 금융자문사인 신한투자증권도 인수 과정에서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인수와 함께 큐로CC는 대광의 아파트 브랜드인 ‘로제비앙’을 적용해 골프장 이름을 바꿀 예정이다. 새 대표에는 박재천 푸른솔GC 전무를 영입했다. 박 신임 대표는 과거 큐로CC의 운용과 코스 정상화 등을 맡은 경험이 있어 인수 후 골프장을 이끌 대표로 적임자라는 평가를 받았다.1994년 사업을 시작한
-
IBM, SW 사업 힘준다…앱티오 46억달러에 인수
IBM이 소프트웨어 개발사 앱티오를 46억달러(약 6조원)에 인수한다고 2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컴퓨터 제조사로 성장해온 IBM은 최근 클라우드와 양자 컴퓨팅, 인공지능(AI)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이번 인수로 체질 개선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2007년 설립된 앱티오는 회사의 재무 및 운영 관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업체다.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아마존 등 빅테크(대형 기술기업)를 비롯한 1500개 이상의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금융회사인 뱅크오브아메리카와 올스테이트 등도 주요 고객사다. 앱티오는 2019년 사모펀드인 비스타에쿼티파트너스에 20억달러에 매각됐다. 비스타는 이후 클라우드 재무관리 솔루션 기업인 클라우더빌리티를 합병해 앱티오의 기업가치를 높였다.컴퓨터 제조사로 잘 알려진 IBM은 최근 클라우드와 AI 관련 사업 강화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클라우드와 양자 컴퓨팅, AI 등 새로운 영역에 진출하면서 IBM의 올해 1분기 소프트웨어 매출은 59억달러(약 7조70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했다.실리콘밸리=최진석 특파원 iskra@hankyung.com
-
DB손보, 베트남 9위 보험사 인수
DB손해보험이 베트남 9위 보험사 BSH손해보험을 인수했다.DB손보는 BSH손해보험의 지분 75%를 인수하는 계약을 맺었다고 16일 밝혔다. 하노이에 있는 BSH손해보험은 2008년 설립됐다. 베트남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 4.5%로 32개 손보사 중 9위다.DB손보가 베트남 손보사를 인수한 건 이번이 세 번째다. 2015년 점유율 5위인 PTI손해보험 지분 37.32%를 사들여 점유율 3위 회사로 키웠다. 올해 2월에는 점유율 10위 VNI손해보험의 지분 75%를 매입했다. 회사 관계자는 “베트남 내 3개 손보사를 통해 사업 역량을 확대할 것”이라고 했다.높은 경제 성장률과 청년 비중이 높은 인구구조, 대외 개방도, 인도차이나반도 접근성 등을 고려할 때 베트남 보험산업의 성장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이다. 베트남의 연간 보험료 규모는 3조6000억원으로 10년간 약 11% 커졌다.DB손보 관계자는 “국내 인구 감소와 보험시장 성숙화에 따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성장 전략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다”며 “베트남은 동남아에서 최우선시해야 할 시장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DB손보는 국내외 인허가 등 인수 절차를 마무리한 뒤 BSH손해보험의 경영체계를 안정화하고 사업 경쟁력을 강화해나갈 방침이다.최한종 기자
-
"우리가 돈 빌리면 큰일 나요"…삼성, 22년째 대출 끊은 까닭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우리가 돈 빌리면 큰 일 납니다. 정작 자금이 시급한 기업의 조달 창구가 좁아질 수 있어요."2001년 10월. 삼성전자는 회사채 시장에서 5000억원을 조달했다. 이 회사는 그 직후 22년 동안 한국 회사채 시장과 관계를 끊었다. 투자은행(IB)·금융회사 관계자들이 여러 차례 삼성전자를 찾아 회사채 발행을 타진하기도 했지만, 번번이 거절당하면서 위와 같은 답변을 들었다고 한다.IB는 자금 사정이 넉넉한 애플과 TSMC도 외부 차입에 나선다는 논리를 바탕으로 삼성을 설득한 바 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자신들이 시장 자금을 흡수하면 다른 기업들의 조달금리가 뛰는 등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거절했다고 한다.1일 IB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도 무차입 경영을 유지하는 등의 재무전략을 유지하기로 했다. 지난 2월 자회사인 삼성디스플레이로부터 연 4.60%로 20조원을 빌리는 계약을 체결했지만, 외부에서 회사채·대출 등으로 조달하지 않겠다는 의미다.반도체 경기가 꺾이면서 현금창출력이 예전만 못하고 올해 50조원 규모의 설비투자를 계획한 만큼 자금조달 유인은 어느 때보다 크다. IB 관계자들도 이를 포착해 삼성전자에 접근해 회사채 발행 여부를 직간접적으로 타진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관계자는 이에 대해 "한국 자금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외부서 조달할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자금시장 구축(Crowd-out)'에 대한 우려가 상당했다. 신용등급이 국가와 맞먹는 삼성전자가 자금을 빌리면 여타 기업들의 자금조달 여건이 나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삼성전자가 회사채 발행으로 시중 자금을 흡수하면, 시장 유동성이 쪼그라든다. 그만큼
-
경영난에 설 자리 좁아진 왓챠…LG유플러스도 인수 논의 '원점'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는 온라인동영상 서비스(OTT) ‘왓챠’의 경영권 매각이 표류하고 있다. 의지를 보였던 LG유플러스마저 인수 논의를 원점에서 재검토할 것으로 전해졌다. 왓챠 측이 ‘몸값’을 낮추지 않으면 사들이지 않겠다는 뜻을 굳힌 것이다.29일 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최근 내부적으로 왓챠의 적정 기업 가치를 200억원 미만으로 낮췄다. 그동안 왓챠 측은 기업가치를 700억원대로 주장해왔다. LG유플러스 측이 정한 인수 대금 마지노선이 매각 측 희망가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만큼 논의가 진전되기 어려워 보인다.LG유플러스가 왓챠의 기업가치를 낮게 보는 것은 경영 상황이 좋지 않아서다. 이 회사의 영업손실은 2020년 155억원에서 2021년 248억원, 지난해 555억원까지 불어났다. 외부감사기관인 신한회계법인은 왓챠에 대해 “계속기업(영업을 계속할 것이라는 전제 조건)으로서의 존속 능력에 의문을 제기한다”고 평가했다.업계에선 LG유플러스가 아니면 왓챠를 사들이겠다는 기업을 찾기 어려운 상황으로 보고 있다. ‘넷플릭스 천하’에서 티빙, 웨이브 등 상대적으로 자본력 있는 OTT마저 실적 부진에 시달리고 있어서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넷플릭스 앱 사용자는 1156만 명으로 2~4위권 업체를 모두 더한 것과 비슷하다. 왓챠는 가입자 기준으로 5위권에 머물고 있다.다만 ‘마니아층’이 있는 왓챠의 장점을 얕잡아봐선 안 된다는 시각도 있다. 왓챠는 HBO 콘텐츠 등 넷플릭스나 티빙 등 다른 OTT가 제공하지 않는 해외 콘텐츠를 여럿 보유하고 있다. 2021년 칸국제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 ‘티탄’, 감독상 수상
-
거침없는 야놀자…글로벌 B2B 여행社 품다
야놀자가 자회사인 야놀자클라우드를 통해 글로벌 여행 솔루션 기업 고글로벌트래블(GGT)을 인수한다고 15일 발표했다. 인수액을 밝히진 않았지만 야놀자가 지금껏 인수한 회사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는 2021년 3000억원가량에 사들인 인터파크가 가장 큰 거래였다.GGT는 2000년 이스라엘에서 시작한 기업 간 거래(B2B) 여행 솔루션 기업이다. 세계 각지 호텔·리조트 등의 객실 판권, 항공 티켓, 차량 렌털 등 100만 개 이상의 여행·숙박 인벤토리(상품 목록)를 유통하는 솔루션 사업을 하고 있다. 북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확보한 직계약 상품과 글로벌 최상위 호텔 체인의 객실 유통 라이선스 등을 토대로 세계 1만 개 이상의 여행 플랫폼과 거래하고 있다.야놀자클라우드는 GGT가 보유한 20여 개 해외 지사를 글로벌 사업 확장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방침이다. 이지테크노시스, 인소프트 등 앞서 인수한 해외 자회사의 판매 네트워크와 고객 응대 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야놀자클라우드는 세계 호텔·여행 시장의 디지털 전환(DX)을 목표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매출은 2020년 10억원에서 지난해 1000억원 규모로 급증했다. 글로벌 솔루션 라이선스는 8만 개 이상으로 늘었다. 아고다, 아마데우스 등 해외 여행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서비스를 키우고 있다.야놀자는 야놀자클라우드의 GGT 인수를 바탕으로 세계 200여 개국에서 사업을 확장할 수 있게 됐다. 글로벌 여행·호스피탈리티(숙박업소에서의 접객) 사업의 온·오프라인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허브를 구축해 레저산업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야놀자는 2021년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이끄는
-
로레알, 25억달러에 '친환경 스킨케어' 이솝 인수
글로벌 화장품 기업 로레알이 호주 고가 스킨케어 브랜드 이솝(사진)을 인수한다.3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로레알은 이솝을 운영하는 브라질 기업 나투라앤코와 25억3000만달러(약 3조3092억원) 규모의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나투라앤코가 보유한 이솝 지분을 로레알에 양도하는 방식이다. 인수는 3분기에 마무리될 전망이다.이솝은 1987년 호주에서 출발한 스킨케어 브랜드다. 럭셔리와 친환경 콘셉트로 한국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브라질의 거대 뷰티 기업 나투라앤코가 2013년 인수해 10년간 이솝 브랜드를 운영해왔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1억7300만달러(약 2262억원)로 나투라앤코 브랜드 중 가장 수익성이 높다. 앞서 나투라앤코가 이솝 지분 매각 의사를 밝히면서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와 로레알, 시세이도 등 여러 뷰티 기업이 인수전에 뛰어든 것으로 알려졌다.나투라앤코는 코로나19 확산과 우크라이나 전쟁,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비용 증가 등으로 최근 재무구조가 악화했다. 차입금 상환 여력을 나타내는 상각전영업이익(EBITDA) 대비 순차입금 비율은 지난해 말 3.5배로 전년 같은 기간(1.5배) 대비 확 뛰었다. 블룸버그는 “이솝 매각으로 나투라앤코는 부채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니콜라 이에로니무스 로레알 최고경영자(CEO)는 이솝 인수를 발표하며 “이솝이 중국 및 면세점 시장에서 성장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고 말했다.노유정 기자
-
로레알, 화장품 브랜드 '이솝' 인수한다
글로벌 화장품 기업 로레알이 호주 고가 스킨케어 브랜드 이솝을 인수한다.3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로레알은 이솝을 운영하는 브라질 기업 나투라앤코와 25억3000만달러(약 3조3092억원) 규모의 이솝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대금 정산 등 거래는 3분기에 완료될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보도했다.이솝은 1987년 호주에서 출발한 브랜드다. 럭셔리와 친환경 콘셉트로 한국을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브라질의 거대 뷰티 기업 나투라앤코가 2013년 인수해 10년간 이솝 브랜드를 운영해왔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1억7300만달러(2262억원)로 나투라앤코 브랜드 중 가장 수익성이 높다.앞서 이솝을 운영해온 나투라앤코가 지분 매각 의사를 밝히면서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와 로레알, 시세이도 등 여러 뷰티 기업들이 인수전에 뛰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는 “이솝 매각으로 나투라는 부채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니콜라스 헤이로니무스 로레알 최고경영자(CEO)는 이솝 인수 발표를 통해 “이솝이 중국 및 면세점 시장에서 성장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고 말했다.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
한화생명, 인도네시아 14위 손보사 인수
한화생명이 인도네시아 14위 손해보험사인 리포(Lippo)손해보험의 지분 62.6%를 인수했다고 30일 밝혔다.리포손보는 인도네시아 재계 순위 6위인 리포그룹 금융 계열사다. 77개 인도네시아 손보사 중 14위며, 건강·상해보험 판매 기준으로는 시장점유율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작년 말 기준 총자산은 2480억원, 수입보험료는 2206억원 규모다. 수도 자카르타를 비롯해 인도네시아 전역에 14개 지점을 두고 있다. 임직원 수는 456명이다.한화생명 인도네시아법인이 리포손보 지분 47.7%를, 한화손보가 14.9%를 사들였다. 한화생명은 2012년 현지 생명보험사를 인수하며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했다. 2019년부터 작년까지 4년 연속 세전 흑자를 내고 있다. 주력 상품은 변액상품이며 건강보험과 단체 보장성보험 등으로 판매를 확대하고 있다.한화생명은 이번 인수를 통해 생·손보를 아우르는 상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계획이다. 한화생명이 갖고 있는 디지털 역량을 바탕으로 플랫폼 기업과의 제휴를 통한 사업 확장도 추진한다.인도네시아 인구는 2억7000만 명으로 세계 4위다. 손해보험 시장이 연평균 9% 이상 커지고 있지만 아직 보험침투율(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보험료)이 세계 평균(2.8%)에 크게 못 미치는 0.45%에 불과해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평가다.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국가 가운데 유일한 ‘자동차보험 비의무 국가’인데 의무화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도 향후 성장 요인으로 꼽힌다.한화생명 관계자는 “손보사 상위 10곳의 시장점유율이 50% 이하 수준으로 절대 강자가 없는 상황”이라며 “국내 1호 디지털 손보사인 캐롯손해보험의 ‘퍼마일자동차보험’과 같은 신규 디
-
한화생명, 인도네시아 14위 손보사 지분 62.6% 인수
한화생명은 인도네시아 14위 손해보험사인 리포(Lippo) 손해보험의 지분 62.6%를 인수했다고 30일 밝혔다. 인도네시아 손해보험 시장은 연평균 9%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데다, 자동차보험 의무화 논의도 진행되고 있어 파이가 더 커질 것이란 평가다.리포 손해보험은 인도네시아 재계 순위 6위인 리포그룹의 금융 계열사다. 인도네시아 손해보험사 77개사 중 14위며, 건강·상해보험 판매 기준으로는 시장점유율 2위다. 작년말 기준 총자산은 2480억원, 수입보험료는 2206억원 규모다. 수도 자카르타를 비롯해 인도네시아 전역에 14개 지점을 두고 있으며 임직원 수는 456명이다.한화생명 인도네시아 법인이 리포 손해보험 지분 47.7%를, 한화손해보험은 14.9%를 인수하기로 했다. 한화생명은 2012년 현지 생명보험사를 인수하며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했다. 2019년부터 작년까지 4개년 연속 세전이익 흑자를 내고 있다. 현재 주력상품은 변액상품이며 건강보험과 단체 보장성보험 등으로 상품 판매를 확대하고 있다.한화생명은 이번 인수를 통해 생·손보를 아우르는 상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한화생명이 갖고 있는 디지털 역량을 바탕으로 플랫폼 기업들과 제휴를 통한 사업 확장도 추진한다. 한화생명 인도네시아 법인은 오는 2분기에 ‘메타버스 참여→포인트 제공→보험 관련 서비스 경험’으로 이어지는 신규 플랫폼을 출시할 예정이다.인도네시아는 인구가 2억7000만명으로 세계 4위다. 손해보험 시장이 연평균 9% 이상 고속성장하고 있지만, 아직 보험침투율(명목 GDP 대비 총보험료)이 세계 평균(2.8%)에 크게 못 미치는 0.45%에 불과해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평가다. 특히 아
-
퍼스트시티즌스, SVB 인수 임박…이르면 오늘 발표
미국 중견 은행인 퍼스트시티즌스 뱅크셰어즈(퍼스트시티즌스은행)가 실리콘밸리은행(SVB) 인수 유력 후보로 떠올랐다. 이르면 오늘 인수 계약을 맺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와 로이터 등은 소식통을 인용해 퍼스트시티즌스가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와 SVB 인수 사전 협의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블룸버그는 최종 결정은 아직 내려지지 않았으나 이르면 26일 인수 계약을 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논의되는 인수 조건은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았다. 로이터는 FDIC와 퍼스트시티즌스 은행 양측이 이 사안에 입장을 밝히기를 거부했다고 전했다.26일 최종 인수 계약이 체결되면 지난 10일 SVB가 영업정지된 후 16일 만에 인수가 성사될 예정이다. FDIC는 당초 실리콘밸리은행을 예금 사업부와 자산관리 사업부로 분할 매각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파산한 금융기관 인수 경험이 많은 퍼스트시티즌스는 SVB를 통째로 인수하기 원한 것으로 알려졌다.다만 처음 인수 후보로 언급될 당시부터 시장에서 의문을 품은 것은 퍼스트시티즌스가 충분한 인수 자금을 보유하고 있을지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퍼스트시티즌스의 자산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미 상업은행 30위 수준이다. SVB는 총자산 2090억달러 미국 16위 은행이었다. 지난 24일 기준 퍼스트시티즌스의 시장가치는 84억달러(약 11조원)다.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
英 부호·카타르 왕족이 인수 경쟁…맨유 주가 7% 쑥
영국의 명문 축구 구단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맨유) 인수전이 치열해지고 있다. 영국 억만장자인 짐 랫클리프 이네오스 회장과 셰이크 자심 빈 하마드 알 타니 카타르이슬라믹은행(QIB) 회장이 치열하게 경쟁하면서 스포츠 구단 사상 최고 입찰가 기록을 세울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높은 ‘몸값’을 인정받을 거란 기대감에 22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맨유 주가는 7% 가까이 올랐다.○英 부호와 카타르가 인수 경쟁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맨유 주가는 전날보다 6.66% 상승한 25.6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달 16일 기록한 사상 최고가(26.84달러)에 근접했다. 지난해 11월만 해도 12~13달러 수준이던 주가는 11월 말 구단주가 매각 의사를 드러내자 20달러 이상으로 올랐다.영국 가디언과 BBC에 따르면 맨유는 이날 오후 9시로 예정됐던 2차 입찰 마감 시한을 갑자기 연장했다. 가디언은 “랫클리프 회장의 이네오스와 셰이크 자심 회장의 카타르 컨소시엄이 모두 입찰 제안서를 낸 것으로 알려졌고, 이네오스가 기한 연장을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랫클리프 회장은 자산 116억달러(약 14조8400억원)를 보유한 영국 부호다. 세계 8위 화학 기업인 이네오스의 창업자로 자동차와 패션 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셰이크 자심 회장은 현 카타르 국왕인 셰이크 타밈 빈 하마드 알 타니의 형이다.맨유 입찰가는 스포츠 구단 사상 최고가를 찍을 전망이다. 역대 최고가는 지난해 5월 미국 보얼리클리어레이크캐피털 컨소시엄이 맨유 경쟁팀인 첼시FC를 인수하는 데 썼던 42억5000만파운드(약 6조7000억원)다. 가디언에 따르면 이네오스와 카타르 컨소시엄은 모두 지난 1차 입찰에서 45억파운드(약 7조1000억원)가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