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외국인, 두 달 만에 1조 담았다

    STOCK

    외국인, 두 달 만에 1조 담았다

    외국인이 31일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원어치 주식을 쓸어 담았다. 외국인이 하루 1조원 넘는 주식을 사들인 건 지난 3월 24일 이후 두 달 만이다. 중국 경기 둔화 우려가 사그라들면서 원·달러 환율이 안정된 영향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이날 외국인 투자자는 1조590억원어치 주식을 순매수했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5100억원, 5851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코스피지수는 외국인의 강한 순매수세 덕분에 0.61% 상승한 2685.90에 장을 마쳤다.외국인은 장 막판 동시호가 시간에 집중적으로 주식을 사들였다. 대부분 비차익 프로그램 매수(1조1258억원)를 통해 주식을 담았다. 비차익 프로그램 매수는 미리 구성해 놓은 종목을 바구니째 사는 것이다. 통상 증시 상승세에 베팅하는 신호로 여겨진다.김동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MSCI지수 내 한국 비중이 줄어든다는 점에서 이와 관련 없는 매수세로 봐야 한다”며 “한국 증시가 오를 것이란 기대에 외국인이 베팅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외국계 자산운용사가 펀드 내 보유 종목을 변경(리밸런싱)하는 과정에서 국내 주식을 더 사들인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증권업계는 외국인 매수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300원에 육박했던 원·달러 환율이 1230원대까지 내려온 게 가장 큰 원동력으로 꼽힌다. 외국인은 국내 증시에서 지난 26일부터 이날까지 나흘째 순매수를 이어가고 있다.이경민 대신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중국 봉쇄가 풀리고 있고 5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시장 예상치를 웃돌면서 위안화가 강세를 보이자 원화도 이에 동조하는 추세”라며 “4분기께 경기 둔화 우려가 더 커질 것으로 보이지

  • 떠났던 외국인 돌아올까… "외국인이 선점한 종목 담아라"

    STOCK

    떠났던 외국인 돌아올까… "외국인이 선점한 종목 담아라"

    한국 시장을 떠난 외국인 투자자가 돌아올 '조건'이 마련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고공행진하던 달러지수가 상승세를 멈춘 데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한국 주식 매도세도 주춤해지고 있다. 앞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로 돌아온다고 가정한다면 이들이 최근 담기 시작한 종목에서 투자 힌트를 얻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주 코스피 순매수한 외국인2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 증시의 외국인 지분율은 26.7%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까지 떨어졌다. 이달 들어서도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세는 이어지고 있다. 다만 그 강도가 약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지난주(16~20일) 외국인 투자자는 유가증권시장에서 3524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매수세로 돌아섰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내 증시 유입을 막는 중요한 요소였던 환율도 상승세를 멈췄다. 23일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4.0원 내린 달러당 1264원10전에 거래를 마쳤다. 이경민 대신증권 투자전략팀장은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잦아들면 기술적 반등이 나타날 수 있다"며 "특히 외국인 투자자들이 선점한 종목들은 저평가가 해소될 때까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외국인이 '줍줍' 하고 있는 종목은 대신증권은 외국인이 선점한 종목에 집중할만하다고 조언했다. 이달 들어 외국인은 기아 엘앤에프 우리금융지주 후성 SK텔레콤 현대중공업 LG에너지솔루션 에쓰오일 등을 순매수했다.  대신증권은 최근 외국인 투자자들이 지분율을 높여 온 종목 중에서도 △주가수익비율(PER) 하락폭이 크고 △목표주가와의 괴

  • 중국, 주담대 기준금리 대폭 인하…외국인 자금 이탈 심화되나

    경기 침체와 외국인 자금 유출의 기로에 놓인 중국이 결국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넉 달 만에 인하했다. 미국 등 주요국이 인플레이션 우려에 금리를 인하하는 것과 대조된다. 경기 냉각으로 위안화 가치가 하락하는 가운데 금리를 내리면서 외국인 자금의 '엑소더스'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부동산 경기부터 살린다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5월 5년 만기 LPR이 전달보다 0.15%포인트 낮은 연 4.45%로 집계됐다고 20일 발표했다. 1년 만기 LPR은 전월과 같은 연 3.7%를 유지했다.중국은 한국처럼 7일물 환매조건부채권(RP) 금리를 기준금리로 활용하다가 2019년 8월부터 LPR을 기준금리로 쓰고 있다. 명목상으로는 18개 시중은행의 최우량 고객 대상 대출금리를 취합한 것이지만, 실제로는 인민은행이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와 각종 정책 지도를 통해 결정한다. 1년 만기 LPR은 일반 대출에, 5년 만기는 주택담보대출에 기준으로 활용된다.인민은행은 2020년 4월 이후 20개월 만인 작년 12월 1년 만기 LPR을 0.05%포인트 내렸다. 이어 지난 1월에는 1년 만기를 0.1%포인트, 5년 만기는 0.05%포인트 인하했다. 지난해 하반기 부동산시장이 급격하게 냉각하면서 전체 경기가 하강하자 대응에 나선 것이다.그 이후에도 경기 부양 강도를 높여야 한다는 요구가 많았음에도 석 달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가운데 중국이 금리를 내리면 외국인 이탈이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풀이된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 외부 변수에 중국 경제에 대한 신뢰도 하락이 더해지면서 이미 위안화는 약세로 돌아섰으며 외국인 자

  • 중국서 발 빼는 외국인…석달 간 위안화채권 57조 매도

    중국 금융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엑소더스'가 지속되고 있다. 미·중 금리 차 축소에 중국 경기 침체로 인한 위안화 약세 장기화 전망이 더해지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이 위안화 자산을 매각하고 있다는 분석이다.20일 경제매체 차이신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달 중국 채권시장에서 중국 국채와 은행채 등을 총 1085억위안어치 순매도했다. 국채는 420억위안, 국책은행 채권은 408억위안어치 팔아치웠다.외국인 투자자의 순매도 행진은 지난 2월부터 석 달 연속 이어졌다. 외국인은 지난 2월 803억위안어치의 중국 채권을 순매도했다. 중국 채권시장에서 외국인이 월간 매도 우위를 보인 것은 2018년 11월 이후 처음이다. 2018년 1월 중국 채권시장에 외국인 직접 참여가 시작된 이후 외국인의 월간 순매도는 5달 밖에 없었다. 기존 최대는 2018년 11월의 316억위안이었다.외국인 월간 순매도는 지난 3월 역대 최대인 1125억위안으로 늘었다. 이어 4월에도 1000억위안대 매각이 이어졌다. 이에 따라 석 달 동안 누적 순매도는 3011억원(약 57조원)에 달했다.외국인의 중국 주식 매각도 지속되고 있다. 홍콩거래소와 상하이·선전거래소 간 교차매매 시스템을 통한 외국인의 중국 주식 거래인 '북향자금'은 올들어 19일까지 267억위안 매도 우위를 나타냈다. 2014년 교차매매 시작 이후 연간 기준으로 북향자금이 순매도로 마무리된 적은 한 번도 없었다.월간 기준으로 외국인은 지난 3월 역대 3번째인 450억위안어치의 중국 주식을 순매도했다. 4월에 63억원 순매수로 돌아섰다가 5월 들어선 다시 87억위안 매도 우위를 보이고 있다.중국 금융시장에서 외국인이 이탈하는 이유는 주요국 인플레이션과 미국의 기준금

  • 올해만 국내 주식 14.4조원 팔았다…외국인 보유 비중 13년만에 최저치

    올해만 국내 주식 14.4조원 팔았다…외국인 보유 비중 13년만에 최저치

    지난달 외국인이 국내 상장주식 5조3000억원어치를 팔아 치운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의 국내 상장주식 보유 비중은 26.7%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3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1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4월 외국인은 국내 상장 주식 5조2940억원어치를 순매도한 것으로 집계됐다. 유가증권시장에서 5조1620억원, 코스닥에서 1320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외국인 투자자은 국내 증시에서 올해만 총 14조4160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올해 들어 4개월 연속 순매도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순매도 규모도 점점 커지고 있다. 월별 순매도 규모는 △1월 1조6770억원 △2월 2조5800억원 △3월 4조8660억원이었다. 외국인 순매도 규모가 5조원대를 넘어선 것은 지난해 8월(7조8160억원) 이후 8개월만이다. 지역별로는 유럽 투자자가 2조9000억원, 아시아가 1조6000억원, 미주가 1조4000억원을 순매도했다. 중동에서는 1000억원을 순매수했다.지난달 말 기준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상장주식 규모는 696조222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시가 총액의 26.7% 수준까지 하락했다. 외국인의 국내 주식 보유 비중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5월(26.5%) 이후 최저치다. 채권시장에서 외국인은 상장채권을 4조60억원어치 순매수했고, 3조9700억원을 만기 상환해 360억원을 순투자했다. 4월 말 기준 외국인의 채권 보유 규모는 223조2000억원으로, 작년 1월 이후 순투자 흐름을 유지하며 매월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고재연 기자

  • 외국인 떠나는 홍콩, 1분기 '역성장'

    외국인 이탈이 지속되는 가운데서도 중국 본토식 방역정책을 고수해온 홍콩의 1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로 추락했다. 홍콩은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나섰으나 해외 입국자 격리는 그대로 유지해 반쪽짜리 정책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4일 홍콩 통계처에 따르면 홍콩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했다. 시장 예상치인 -1.3%를 크게 밑돌았다. 홍콩의 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떨어진 것은 2020년 4분기 -3.6% 이후 5분기 만이다. 민간 소비(-5.4%), 수출(-4.5%), 고정자산투자(-8.3%) 등 주요 지표가 모두 악화했다.통계처는 주요 수출 대상 지역인 중국 본토의 방역정책,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글로벌 수요 감소 등 외부 요인과 오미크론 변이 확산이라는 내부 요인이 겹쳐 홍콩 경제가 강한 압박을 받았다고 설명했다.홍콩 정부는 지난 3일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방침을 발표하면서 경제 살리기에 나섰다. 5일부터 모임 인원이 4인에서 8인으로, 식당 영업시간은 밤 10시에서 새벽 2시로 늘어난다.홍콩 정부는 지난 1월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자 ‘방역의 최대 목적은 중국 본토와의 교류 유지’라는 기조를 내걸고 3인 이상 모임 금지 등의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했다. 이후 경기 침체와 외국인·외국 자본 유출이 가속화하자 순차적으로 방역 수준을 내리고 있다. 하지만 해외 입국자에 대한 7일의 시설 격리는 이번에도 유지하기로 했다.홍콩의 방역정책 완화가 관광 수입이 감소하고 외국인이 이탈하는 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홍콩의 연간 경제성장률은 2019년에 -1.7%로 떨어졌다. 이후 2020년 -6.5%로 악화했다가 지난해

  • 외국인 떠나는 홍콩…1분기 성장률 또 마이너스로

    외국인 이탈이 지속되는 가운데서도 중국 본토식 방역정책을 고수하던 홍콩의 1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로 추락했다. 홍콩은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나섰으나 해외 입국자 격리는 그대로 유지해 반쪽짜리 정책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홍콩 통계처는 3일 홍콩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시장 예상치인 -1.3%를 크게 밑돌았다. 홍콩의 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떨어진 것은 2020년 4분기 -3.6% 이후 5분기 만이다.민간 소비(-5.4%), 수출(-4.5%), 고정자산투자(-8.3%) 등 주요 지표가 모두 악화했다. 계절적 변수를 반영해 조정한 전분기 대비 성장률은 -2.9%로 조사됐다.통계처는 주요 수출 대상 지역인 중국 본토의 방역 정책,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글로벌 수요 약화 등 외부 요인과 오미크론 변이 확산이라는 내부 요인이 겹쳐 홍콩 경제가 강한 압박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주요국 중앙은행의 긴축, 중·미 갈등 등 변수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홍콩 정부는 3일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방침을 발표하면서 경제 살리기에 나섰다. 5일부터 모임 인원이 4인에서 8인으로, 식당 영업시간은 밤 10시에서 새벽 2시로 늘어난다. 홍콩 정부는 지난 1월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자 '방역의 최대 목적은 중국 본토와의 교류 유지'라는 기조를 내걸고 3인 이상 모임 금지 등의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했다. 이후 경기 침체와 외국인·외국자본 유출이 가속화되자 순차적으로 방역 수준을 내리고 있다. 하지만 해외 입국자에 대한 7일의 시설 격리는 이번에도 유지하기로 했다.홍콩의 방역 정책 완화

  • 외국인 연일 순매도…'Buy 코리아'는 언제쯤?

    외국인 연일 순매도…'Buy 코리아'는 언제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0년 이후 최저치로 추락했다. 원·달러 환율이 1200원대를 넘어서고 국내 기업의 실적 부진 우려가 커지자 외국인이 국내 주식을 대거 팔아치운 영향이다. 증권가에서는 환율이 안정되고 기업 실적 전망치가 높아져야 외국인의 매수세가 유입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들어 전날까지 외국인은 국내 증시에서 11조7733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 외국인 지분율은 31.1%대까지 낮아졌다. 유가증권시장 외국인 지분율이 31.1%대를 기록한 것은 2009년 9월 이후 처음이다.외국인의 한국에 대한 투자 유인이 낮아지고 있다는 점은 미국에 상장된 상장지수펀드(ETF)인 ‘아이셰어즈 MSCI 코리아(티커명 EWY)’의 발행 좌수 감소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발행 좌수가 감소했다는 것은 해당 ETF에 대한 수요가 줄어 자금이 유출되고 있다는 의미다. 반면 다른 신흥국 ETF인 ‘아이셰어즈 MSCI 이머징마켓(EEM)’, ‘아이셰어즈 MSCI 차이나(MCHI’ 등은 발행 좌수가 증가했다.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브라질,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원자재 수출국에 대한 투자 매력도가 높아진 반면 원자재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한국 증시는 상대적으로 매력도가 떨어지고 있다”며 “중국은 통화정책 완화와 경기부양에 대한 기대감으로 발행 좌수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당초 증권업계에서는 올해 외국인의 자금 유입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컸다. 지난달 초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러시아를 MSCI 신흥국지수에서 제외하기로 하면서 최대 4조원이 자금이 국내 시장으로 유입될 것이라는 분석

  • 8조 매수한 개인 '수익률 -5%' vs 3조 매도한 외국인 '수익률 6%'

    STOCK

    8조 매수한 개인 '수익률 -5%' vs 3조 매도한 외국인 '수익률 6%'

    개인 투자자가 지난 한달간 국내 증시에서 약 8조원 규모를 순매수했지만 같은 기간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 10개의 평균 수익률은 약 -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실적주나 원자재 인플레이션(가격 상승)에 올라탄 외국인 투자자는 같은 기간 6%가 넘는 수익률을 냈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개인투자자는 지난달 18일부터 이날까지 국내 증시서 8조3410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이 기간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 10개의 평균 수익률(평균 구매단가 대비 18일 종가)은 -4.6%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가 -0.51% 하락한 것과 대조적이다.이 기간 개인이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 1위는 삼성전자였다. 한달여간 삼성전자만 5조960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순매수 3위인 삼성전자우와 합하면 한달 순매수액은 5조7161억원에 달한다. 그러나 18일 종가 기준 개인의 삼성전자 평균 수익률은 -2.97%를 기록했다. 높아지는 원·달러 환율, 파운드리 사업 난항 등으로 인해 삼성전자가 연일 52주 신저가를 경신하고 있는 탓이다. 개인은 낙폭이 큰 대형주를 저가매수하는 전략을 고수했다. 순매수액 2위는 SK하이닉스로 약 1조원어치를 순매수했지만 18일 종가와 평균 매수단가(11만5482원)를 비교하면 평균 수익률은 -5.61%를 기록했다. 이 밖에도 개미는 네이버(순매수 3위·-5.58%), HMM(4위·-10.05%)과 카카오(6위·-6.75%) 등을 집중 매수했지만 모두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개인의 순매수 탑10 종목 중 수익을 낸 건 LG전자(3.25%) 한 종목 뿐이었다.반면 외국인 투자자의 같은 기간 순매수 탑10 종목의 평균 수익률은 6.2%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피 지수를 훌쩍 뛰어넘는 수

  • '셀코리아' 외국인들…지난달에만 4.7조원어치 팔아 치웠다

    '셀코리아' 외국인들…지난달에만 4.7조원어치 팔아 치웠다

    지난달 외국인 투자자가 한국 주식시장에서 약 4조7000억원어치 주식을 팔아 치운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은 39억3000만달러어치 주식을 순매도했다. 순매도 규모로는 지난해 8월(44억5000만달러) 이후 가장 컸다. 외국인은 올 1월 18억1000만달러어치 주식을 순매수했지만, 2월(18억6000만달러)부터 순매도를 이어가고 있다.채권시장에서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5억4000만달러를 순매수하는 데 그쳤다. 2020년 12월(1억7000만달러 순매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내외금리차 축소 등의 영향으로 순유입폭이 축소됐다는 설명이다.이에 따라 주식과 채권을 합한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자금은 지난달 33억9000만달러 순유출을 기록했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 2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순유출 전환한 뒤 3월 들어 우크라이나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등으로 순유출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국가의 신용 위험도를 보여주는 외평채 5년물 CDS(신용부도스와프) 프리미엄은 0.30%포인트로, 전달(0.27%포인트)보다 올랐다. CDS 프리미엄이 오르면 부도 위험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 금융株 쇼핑한 외국인은 '방긋'

    STOCK

    금융株 쇼핑한 외국인은 '방긋'

    외국인 투자자들이 2월 한 달간 1조2000억원에 달하는 금융주를 쇼핑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 현대차 등 유가증권시장 우량주를 저점 매수한 개인투자자와 달리 금리 인상기 대피처인 금융주로 자금을 대거 쏟아부었다.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지난달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SK하이닉스(9414억원)였다. SK하이닉스를 제외한 순매수 2~6위 종목은 금융주가 싹쓸이했다. 외국인들은 하나금융지주(2위·2655억원) 카카오뱅크(3위·2381억원) 우리금융지주(4위·2303억원) 신한지주(5위·2252억원) KB금융(6위·2181억원) 등 총 1조원 넘는 자금을 투입해 순매수 순위 상단을 금융주로 채웠다.순매수 2위에 오른 하나금융지주는 지난달 8.22% 상승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 상승률은 1.34%에 불과하다. 상장 이후 줄곧 내리막길을 걸어온 카카오뱅크는 한 달간 상승폭(17.07%)이 가장 컸다. 신한지주와 KB금융은 상고하저의 흐름을 보이며 지난달 수익률이 각각 2.36%, 0.34%에 그쳤다. 올 1월 상승폭이 컸던 우리금융지주의 경우 지난달 2.39%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외국인 투자자들의 이 같은 투자 흐름은 개인투자자와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개미(개인투자자)들은 같은 기간 삼성전자(7542억원) 현대차(4343억원) 삼성SDI(2708억원) 기아(2668억원) LG화학(2298억원) 순으로 순매수했다. 하락장에서 국내 대표 우량주를 사들였다.수익률은 금융주를 사들인 외국인 투자자에 크게 못 미쳤다. 외국인이 주로 사들인 금융주 5종목의 지난달 수익률은 평균 5.12%로 나타났다. 반면 개인투자자의 순매수 1~5위 종목 수익률은 -7.41%였다.박재원 기자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