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03월 19일 09:07 자본 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이지스자산운용이 국내 자산운용사 최초로 영구채(신종자본증권)를 발행했다. 몸집을 불리기 위해 적극적으로 자본 확충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다.

1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이지스자산운용은 이날 다수의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영구채 60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발행금리는 연 4.8%로 결정됐다. 이 채권의 만기는 표면적으로 30년이지만 이지스자산운용의 결정에 따라 만기를 더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 회사가 3년 후 조기상환할 수 있다는 조건이 붙어있기 때문에 사실상 연 4%대 금리를 제공하는 3년 만기 채권으로 여겨진다. 유안타증권이 이번 영구채 발행 주관을 맡았다.

영구채는 만기가 정해졌지만 발행회사가 추가로 만기를 연장할 수 있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받는 채권이다. 발행회사가 파산하면 투자자가 원리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우선순위가 뒤로 밀리기 때문에 일반 회사채보다 금리가 높고 신용도는 낮다. 이지스자산운용의 이번 영구채 신용등급은 BBB등급으로 기업 신용도(A-)보다 두 단계 낮게 평가받았다.

이지스자산운용은 최근 잇달아 자본을 조달하며 덩치를 키우고 있다. 이 회사는 2019년과 지난해 세 차례에 걸친 유상증자를 통해 총 839억원을 확보했다. 우미글로벌, 태영건설, KB증권 등이 이 과정에서 새로운 재무적 투자자(FI)로 합류했다. 이지스자산운용은 이들 외에도 우리은행, 한국토지신탁, 현대차증권 등을 주요 주주로 두고 있다. 적극적인 투자 유치를 통해 이지스자산운용의 자본 규모는 2018년 말 517억원에서 지난해 말 1954억원으로 늘었다.

현재 준비 중인 기업공개(IPO)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면 기업 규모는 한층 더 커질 전망이다. 이지스자산운용이 지난해 초 투자 유치 과정에서 평가받은 기업가치는 지분 100% 기준으로 약 4400억원이다. 상장에 성공한다면 적잖은 현금을 손에 쥘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린다.

이지스자산운용은 2010년 설립된 부동산 투자전문 자산운용사다. 국내외 다양한 부동산 투자를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말 이 운용사의 운용자산은 약 39조5000억원으로 2018년 말(약 25조원)이후 15조원 가까이 증가했다. 2018년 203억원이던 순이익은 2019년 300억원, 지난해 426억원으로 불어났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