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켜켜이 쌓인 부실사업...몸살 앓는 KT
이 기사는 05월26일(04:1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케이티(KT)가 의욕적으로 추진한 신사업과 해외사업에서 값비싼 수업료를 치르고 있다. 황창규 회장 임기 4년 동안 방치된 이들 사업의 부실은 KT로도 확산되고 있다. KT가 이들 사업을 뒷바라지 하면서 실적에도 부정적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KT엠모바일, 내년 완전자본잠식 예상 KT이노에듀는 오는 7월1일 3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26일 공시했다. KT의 교육사업 계열사인 KT이노에듀는 매년 들쭉날쭉한 실적을 내면서 재무구조도 나빠졌다. 올해 1분기 말 이 회사의 자본총계는 -19억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지며 존폐기로에 치닫자 KT가 지원에 나선 것이다. KT이노에듀는 2015년에도 KT로부터 31억원어치의 현금·현물을 지원받았지만 모두 까먹고 2년 만에 다시 모회사에 손을 벌렸다. 통신제품 유통 계열사인 KT M&S의 사정도 KT이노에듀와 크게 다르지 않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자본총계는 165억원, 부채비율은 1357.4%에 달했다. 이 회사 부채비율은 지난해 말보다 789.3%포인트 올라가는 등 재무구조가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KT M&S는 2007년 출범한 이후 줄곧 적자를 내다가 2013~2014년에 흑자로 돌아섰다. 하지만 2015년 188억원, 2016년 130억원의 재차 순손실을 기록하며 수렁에 빠졌다. KT M&S는 KT로부터 2008년 500억원 2012년 870억원을 출자받았지만 누적된 손실로 출자금 상당액을 까먹었다. 이 회사의 손실 폭을 고려할 때 내년에는 자본금 전액을 까먹고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질 전망이다. KT가 다시 대규모 자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