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홍콩H지수 사태 부진 탈출…ELS 투자 성적 플러스로

    홍콩H지수가 부진한 영향에 한동안 손실 구간에서 헤맨 주가연계증권(ELS) 투자손익률이 올 3분기엔 플러스로 전환했다. 3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3분기 ELS 수익률은 연 0.8%를 나타냈다. 2분기 대비 7.2%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홍콩H지수 ELS의 손실 조기·만기상환이 올 1~2분기에 집중돼 기저효과를 낸 영향이다. 2021년 2월 12,000대까지 오른 홍콩H지수는 올초 5100선까지 떨어졌다가 지난 9월 말 7500선을 기록했다.9월 말 기준으로 원금 손실 발생 구간(녹인·knock-in)에 들어간 ELS 잔액은 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파생결합증권 잔액(78조3000억원)의 0.4% 수준이다. 금감원은 “이 중 2000억원어치는 대부분 만기가 2026년 이후여서 손실 확정까지는 1년가량 남았다”고 설명했다.3분기 ELS 발행액은 9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00억원(5.2%) 감소했다. 원금비보장형 ELS, 지수형 ELS 발행액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1.7%, 22.6% 급감한 4조2000억원, 5조7000억원이었다.선한결 기자

  • ELS 수익률 '플러스' 돌아섰지만 발행량은 감소…H지수 사태 여파

    ELS 수익률 '플러스' 돌아섰지만 발행량은 감소…H지수 사태 여파

    홍콩H지수(HSCEI)가 부진했던 영향에 한동안 손실 구간에서 헤맨 주가연계증권(ELS) 투자손익률이 3분기엔 양(+)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불구하고 원금비보장형 ELS 발행은 크게 줄었다. 3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3분기 ELS 투자손익률은 연 0.8%로 직전분기 대비 7.2%포인트 증가했다. 홍콩H지수 ELS의 손실 조기·만기상환이 올 1~2분기에 집중돼 기저효과를 낸 영향이다. ELS 투자손익률은 올 1분기 연 -8.7%, 2분기 -6.4%였다. 2021년 2월 12000대까지 올랐던 홍콩H지수는 올초 5100선까지 떨어졌다가 지난 9월부터 회복세를 보였다. 지난 9월 말엔 7500선을 기록했다. 지난 9월 말 기준으로 원금손실 발생구간(녹인·knock-in)에 들어간 ELS 잔액은 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파생결합증권 잔액(78조3000억원)의 0.4% 수준이다. 올 1분기 녹인 돌입 잔액이 3조8000억원에 달했던 것에 비하면 규모가 확 줄었다. 금감원은 “이중 2000억원어치는 올해 일부 개별 종목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녹인이 발생했으나 대부분 만기가 2026년 이후인 상품”이라며 “손실 확정 여부가 가려지는 만기까지 1년가량의 시간이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올 3분기 ELS 발행액은 9조4000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5000억원(5.2%) 감소했다. 원금비보장형 ELS 발행이 전년 동기 대비 41.7% 급감한 4조2000억원 규모였다. 통상 ELS 발행액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수형 발행액은 5조7000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2.6% 줄었다. 대규모 손실사태를 낸 홍콩H지수 ELS가 대부분 원금비보장·지수형이었던 여파로 풀이된다. 원금지급형 ELS는 전년동기 대비 두 배 가까이 불어난 5조2000억원어치가 발행됐다. 코스피200과 S&P5

  • 고액자산가들, 美자산 선호 현상 강화

    고액자산가들, 美자산 선호 현상 강화

    고액 자산가의 미국 자산 선호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자국 우선주의 정책, 국내 계엄 사태 등의 여파로 원·달러 환율이 고공 행진하면서 달러 자산의 중요성이 부각된 영향이다.13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이날 원·달러 환율(오후 3시30분 현재)은 전 거래일 대비 1원10전 오른 1433원에 주간 거래를 마쳤다. 트럼프 당선 직전인 지난달 3일 1379원80전에서 한 달 만에 3.85% 치솟았다. 트럼프발 관세 리스크와 추세적 환율 상승, 정치적 불확실성이 복합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환율 상승은 국내 고액 자산가의 포트폴리오 변화를 부추기고 있다. 김시욱 NH투자증권 프리미어블루 강남센터 이사는 “원·달러 환율이 지난 9월 이후 약 7% 상승해 원화 자산에 대한 불안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100% 원화에 노출된 국내 부동산과 금융 자산 대신 달러 중심으로 자산을 재편하려는 움직임이 뚜렷하다는 전언이다.미국 자산 중에선 미국 인공지능(AI) 대형주 및 중형주와 고배당 상장지수펀드(ETF)의 선호도가 높다. 서울 강남의 한 자산관리(WM)센터는 고객에게 국내 주식 비중을 10%로 줄이고 미국 주식과 지수를 기초로 한 자산 비중을 70%로 늘리라고 추천하기도 했다. 강남권 프라이빗뱅커(PB)들이 미국 증시의 성장성을 여전히 낙관하고 있다는 얘기다. 최근엔 트럼프 수혜주로 꼽히는 테슬라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주가연계증권(ELS)도 강남권 PB의 추천 상품으로 거론된다.김 이사는 “유가증권시장 주가순자산비율(PBR)이 역사적 저점까지 내려가 있지만 고액 자산가들은 반등 국면이 확인되기 전까지 국내 주식 투자 비중 확대를 주저하고 있다”며 “

  • 3분기 ELS 발행액 9.4兆…미상환 발행잔액 작년보다 25.1%↓

    3분기 ELS 발행액 9.4兆…미상환 발행잔액 작년보다 25.1%↓

    한국예탁결제원은 올해 3분기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액이 9조4069억원이라고 7일 밝혔다. 작년 동기보다 액수가 5.2% 줄었고, 전 분기보단 8.1%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ELS 발행 종목 수는 3116종목으로 전년 동기(3945종목) 대비 21% 줄었다. 직전 분기(2850종목)와 비교하면 9.3% 늘었다.ELS는 특정 주식이나 지수에 연계된 파생결합증권이다. 작동 방식이 복잡하고 원금 손실 위험이 커 업계에서 고난도 금투상품으로 불린다.미상환 발행잔액은 48조14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1% 감소했다. 직전 분기보다는 5.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행 방식 면에서는 전체 발행액 중 공모가 차지하는 비중이 83.2%였고 사모는 16.8%로 나타났다. 기초자산 면에서는 국내외 지수를 바탕으로 하는 '지수형 ELS'가 전체 발행액의 60.4%(5조6781억원)를 차지해 가장 규모가 컸다. 국내외 주식을 기초 자산으로 하는 '종목형 ELS'는 2위로, 올 3분기 발행액의 36.8%(3조4626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미국 S&P 500과 유럽의 EURO STOXX 50 지수를 포함하는 ELS는 각각 이번 분기 발행액이 3조3428억원과 2조9746억원이었다.홍콩의 H지수와 일본의 NIKKEI 225지수를 포함한 ELS는 각각 3094억원과 1조1618억원어치가 발행됐다. 우리나라 코스피 200지수를 넣은 ELS는 4조6102억원이 새로 유통됐다.ELS 발행액이 가장 많은 3개 증권사는 신한투자증권(점유율 19.7%)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한국투자증권(15%), 교보증권(8.3%) 순이다.ELS 상환액은 올 3분기에 11조9543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보다 0.2%가 줄었고 전 분기 대비해서는 38.1% 감소했다. 상환 유형별로는 만기 상환이 6조3229억원, 조기상환이 4조8216억원이었다. 중도 상환은 8098억원으로 전체

  • 은행 ELS 판매 '전면 금지' 꺼낸 당국

    은행 ELS 판매 '전면 금지' 꺼낸 당국

    금융당국이 은행의 주가연계증권(ELS) 판매를 전면 금지하는 방안을 본격 검토하고 나섰다. 홍콩 H지수 ELS 대규모 손실 사태 등 관련 사고가 반복되자 판매 제도를 원점에서 다시 보겠다는 의도다. 지역별 거점 점포에 한해 판매를 허용하거나 지점 내 창구를 분리하는 등 비교적 강도가 낮은 방안도 선택지에 올렸다. 다만 고난도 상품 판매 규제와 관련해 학계와 금융업권 간 의견이 분분해 당국은 명확한 입장을 쉽게 정하지 못하고 있다. 거점 점포 판매 방안도 제시금융위원회는 5일 서울 여의도동 금융보안교육센터에서 금융감독원, 학계, 업계, 소비자계 등이 참여한 가운데 ‘H지수 ELS 대책 마련 공개 세미나’를 열었다. 판매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각계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서다.이정두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주제발표에서 은행의 ELS 등 고난도 금융상품 판매를 개선하는 방안을 세 가지로 제시했다. △은행의 고난도 상품 판매 전면 금지 △지역별 거점 점포에서만 판매 △점포 내 별도 창구에서만 판매 등이다. 세 가지 모두 은행의 ELS 판매가 현재보다 까다로워지는 방안이다. 형식상으로는 금융연구원이 발표한 것이지만 실제로는 금융당국 의중이 담긴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첫 번째 방안은 상품 구조가 복잡하고 20% 이상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는 상품의 은행 판매를 원천 금지하는 내용이다. 2019년 파생결합펀드(DLF) 불완전판매 사태 이후에도 5대 글로벌 지수 연계 ELS 판매 등은 허용했는데,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전면 금지가 불가피해졌다는 시각이 담겨 있다.두 번째 지역별 거점 점포에서만 판매를 허용하는 것은 별도 건물에 있고, 일정 기간 이상 고난도

  • 홍콩 ELS 사태 1년…민간과 머리 맞댄 당국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대규모 손실 사태가 발생한 지 1년 만에 금융당국이 고위험상품 판매 제도 개선을 위해 간담회를 열었다. 하지만 은행·증권 등 업권은 물론 당국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려 실제 제도 개선까지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 나온다.김병환 금융위원장은 28일 남영운 서울대 교수 등 주요 대학 소비자학과 교수 7명과 금융소비자 보호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 ELS 등 은행 고위험상품 판매 제도 개선과 관련한 학계의 의견을 듣기 위해서다. 금융위는 다음달 공청회를 열어 각 금융업권, 학계, 소비자단체 등의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당국이 사태 1년이 지났는데도 의견 수렴만 거듭하는 것은 제도 개선을 둘러싼 의견 차이가 여전해서다. 최대 20% 이상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는 고위험상품을 은행에서 판매하는 것을 허용할지, 허용한다면 판매 창구 또는 지점을 분리할지 등이 쟁점이다. 고령층 등에겐 판매를 원천 금지하는 방안도 거론된다.일각에서는 안전한 예·적금 상품을 주로 취급하는 은행이 고위험상품을 판매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모바일 앱 등을 통해 주식 투자가 쉬운 여건인데도 금융소비자가 은행을 찾는 것은 안정적으로 자산을 불리기 위해서라는 이유에서다.소비자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은행 판매를 제한하면 고령층이 더 위험한 상품에 눈을 돌릴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날 간담회에서 교수들은 “복잡해진 금융상품 판매 환경에서 소비자의 합리적 의사결정이 어려워졌다”고 진단하며, 단순한 규제 추가 대신 판매 관행을 개선할 ‘세련된 정책 수단’ 도입을 당부했다. 금융회사가

  • '짠물 이자' 예금보다 낫네…원금 지키는 ELB 뜬다

    '짠물 이자' 예금보다 낫네…원금 지키는 ELB 뜬다

    한국은행이 38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예금 금리 하락 가능성이 높아졌다. 여러 변수 탓에 금리 인하 속도가 가파르진 않겠지만, ‘짠물 이자’ 시대가 재차 찾아올 것이란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다. 투자자들은 예금 이자보다 높은 상품을 찾기 위해 분주해졌다. 원금 손실 위험이 큰 주가연계증권(ELS)을 피해 원금은 보장하되 예금 이자보다 높은 수익을 가져다주는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LB)로 눈을 돌린 이들이 올 들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이유다. ELS 사태로 ELB에 눈뜬 투자자들13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 들어 9월 말까지 발행된 ELB는 총 15조6420억원어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 8조6817억원에서 1년 새 80.1% 급증했다. ELB는 특정 지수나 주가에 의해 수익률이 결정되는 상품이다. ELS와 마찬가지로 지수나 종목이 투자 대상이 된다. 대신 원금을 제외한 이자 등의 수익률만 기초자산 가격을 따라간다. 주로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국공채에 투자하고 일부를 위험자산에 투자해 원금보장형 ELS라고도 불린다.올초 시작된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HSCEI) ELS 손실 사태가 투자자들을 ELB로 이끌었다. 자칫 원금까지 잃을 수 있는 ELS와 달리 ‘원금 보장’이란 장점이 부각되면서다. 실제 ELB 발행이 급증한 최근 1년간 ELS는 발행액이 23조1408억원에서 12조929억원으로 50% 가까이 뚝 떨어졌다.최근 판매를 시작한 키움 제764회 ELB는 S&P500지수가 만기일까지 3% 이상 하락할 경우 최대 연 6.7% 수익을 얻는 구조로 짜여 있다. 만기 때까지 하락률이 3%에 못 미칠 경우 원금만 지급된다. 기초 지수가 크게 하락하면 원금 손실이 나는 ELS보다 수익률은 낮지만 원금을 지킬 수 있다. 예금보

  • 지수 대신 종목에 투자…'홍콩 악몽' 딛고 부활한 ELS

    “ELS 팬들은 여전히 떠나지 못하고 있어요. 홍콩 H지수 ELS를 제외하고는 모두 상환에 성공했습니다.”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악몽에 외면받던 ELS 투자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H지수 ELS를 제외한 상품들이 수익을 안겨주면서다. 은행 창구에서 사라졌던 ELS 문의도 늘어나는 추세다. 한 시중은행 자산관리 담당 부행장은 “예금 금리가 하락하는 상황에서 플러스 알파 수익을 원하는 고객들이 ELS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3분기 ELS 발행액은 4조19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8.8% 증가했다. 홍콩 ELS 사태로 내리막을 걷다 반등한 것. 지난해 4분기 6조6500억원에서 올 1분기 4조500억원으로 급감한 ELS 발행액은 2분기엔 4조원을 밑돌았다.대신 ELS 투자 패턴이 변화하고 있다. 홍콩 H지수처럼 지수형 상품에 투자하는 ELS 대신 ‘종목형’ 상품을 찾는 고객이 늘어나면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지수형 ELS 발행액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44.9% 감소한 9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종목형 ELS는 81.8% 증가한 8조원에 달했다. H지수와 코스피200 같은 지수가 아니라 삼성전자, 테슬라 등 종목의 등락에 베팅하고 있는 셈이다. 지난 7월부터 발행금액 상위 기초자산 목록에 테슬라가 포함된 것이 대표적이다. 올 들어 줄곧 S&P500, 유로스톡스50, 코스피200, 닛케이225, H지수 등 지수형 상품이 상위권에 포진해왔다.다만 종목형은 지수형보다 변동성이 큰 고위험 상품으로 분류된다. 15일까지 청약을 받는 한국투자증권의 ‘TRUE ELS 제17406회’는 SK하이닉스와 엔비디아를 기초자산으로 해 만기까지 최초 기준가 대비 35% 아래로 떨어지지 않으면

  • 금융위 "홍콩 ELS 손실액 4조6000억원…평균배상비율 31.6%"

    금융위 "홍콩 ELS 손실액 4조6000억원…평균배상비율 31.6%"

    홍콩H지수 연계 주가연계증권(ELS) 불완전 판매 사태와 관련한 은행권과 증권사 등 판매사들의 평균 배상비율이 31.6%인 것으로 집계됐다. 손실이 확정된 계좌를 기준으로 손실금액은 4조6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금융위원회는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업무현황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금융위에 따르면 H지수 ELS에 투자했다가 ELS 만기 손실이 확정돼 자율배상에 동의한 소비자들이 판매사들로부터 자율배상 받은 손실금액 대비 비율은 지난달 13일 기준 평균 31.6%였다. 홍콩H지수 연계 ELS 계좌 중 만기 손실이 확정된 계좌는 17만건이다. 이중 소비자가 자율배상에 동의한 계좌는 13만9000건이었다. 만기손실 확정 계좌의 81.9% 수준이다. 손실이 확정된 계좌의 원금은 10조4000억원, 손실금액은 4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투자금의 44.2%가량이 날아간 셈이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이날 국정감사 인사말에서 "최근 ELS 사태와 관련해 피해자에 대해 자율배상 등 보호조치를 시행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도 마련 중"이라고 했다. 금융당국은 앞서 ELS 판매사인 일부 은행 등에 현장검사를 실시하고 지난 3월엔 자율 배상을 위한 분쟁조정기준안을 발표했다. H지수 ELS를 판매하는 과정에서 각종 불완전판매 사례가 발각된 만큼 향후 재발방지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말 기준 은행의 홍콩 H지수 ELS판매 금액은 15조4000억원, 증권사의 판매 금액은 3조4000억원이었다. 이날 금융위는 기업 가치제고(밸류업) 프로그램도 계속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다음달까지 밸류업 지수 연계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하도록 하고, 내년 5월엔 밸류업 프로그램 우수참여

  • 홍콩 ELS 여파…파생결합증권 발행 3조 줄어

    올해 상반기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이 전년보다 3조원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로 투자 수요가 줄어든 결과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상반기 파생결합증권(ELS·DLS) 발행액이 27조5000억원으로 작년 상반기보다 3조7000억원 줄었다고 27일 발표했다. 상환액은 39조4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3조9000억원 불었다. 상환액이 발행액을 웃돌며 지난 6월 말 파생결합증권 잔액은 지난해 말보다 13조8000억원 줄어든 80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상반기 ELS 발행액은 18조3000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3조6000억원 줄었다. 6월 말 ELS 발행 잔액은 50조7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16조3000억원 감소했다.김익환 기자

  • 홍콩 H지수 반등…ELS 투자자, 손실 회복하나

    홍콩 H지수 반등…ELS 투자자, 손실 회복하나

    홍콩 H지수가 급등하면서 이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주가연계증권(ELS)이 손실 구간에서 속속 벗어나고 있다. 이달 중순까지만 해도 2000억원어치 이상이 손실 구간에 있었지만 이후 H지수가 올라 대부분 위기에서 탈출했다. 중국 정부의 대규모 부양책 발표 뒤 증권가는 홍콩 H지수 ELS 발행액을 다시 늘리는 분위기다.25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2021년 10월 20~26일, 11월 16일(모두 6거래일) 발행된 H지수 ELS는 모두 4459억원어치다. 국내 잔존 ELS(2023년 말 기준)의 51%가 ‘노녹인(no knock-in)형’인 점을 감안하면 이 중 약 2300억원어치가 노녹인형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상품은 H지수가 월 저점을 찍은 지난 11일 손실 구간에 들었다. 노녹인형 ELS는 기초자산값이 발행 당시(3년 전) 대비 35% 초과 하락한 상태에서 만기를 맞으면 손실을 보는데, 당시 발행된 상품은 11일까지 H지수 하락폭이 이 수준을 넘었다. 이후 H지수가 반등해 이들 상품은 모두 손실 구간에서 벗어났다. H지수는 이달 12~23일 6.80% 올랐고, 24일에는 중국 정부와 인민은행이 내놓은 대규모 부양책에 힘입어 하루 만에 5.08% 급등했다.이 영향으로 손실 구간에 들었던 상품의 H지수 하락폭은 25~27%로 줄었다. 손실 조건인 ‘35% 초과 하락’에서 비교적 멀어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노녹인형 상품은 대부분 은행 창구에서 판매됐는데, 이 경로로 ELS에 투자한 사람은 고령층이 많다”며 “이번 지수 반등으로 투자자와 은행들이 한시름 덜었다”고 했다.증권사가 주로 판매한 녹인형 H지수 ELS는 이번 증시 반등과 무관한 것으로 파악된다. 지수가 최고점을 기록한 2021년 상반기에 발행된 상품들은 만기가 지나 모두 손실 확정으로

  • "야근해도 수당 못 줘" 통보에…금감원 MZ 직원 '부글부글'

    금융감독원이 직원들에게 올해 하반기에는 야근과 주말 근무 수당을 주기 어렵다고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배정된 관련 예산을 상반기에 상당 부분 소진했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많은 업무량에 보상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젊은 직원 이탈이 가속화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지난 5일 각 부서에 시간 외 근무 수당을 제한적으로만 지급하겠다고 안내했다. 휴일에는 꼭 필요한 때만 근무하고, 시간 외 근무 대가로는 수당 대신 대체 휴가를 신청하라는 게 주요 내용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올 들어 시간 외 근무를 신청한 인원과 시간 외 근무 규모가 늘면서 관련 수당 예산이 예년 대비 빠르게 소진됐다”고 설명했다.상반기 금감원 직원의 시간 외 근무량은 전년 동기보다 16%가량 증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위기, 티메프(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 등 주요 사안이 줄줄이 터진 영향이다. 핀테크와 가상자산 등 금융시장 신규 분야가 많아지면서 임직원이 작년보다 100명가량 증가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시간 외 근무 수당 예산을 추가로 배정받기도 쉽지 않다. 각종 절차에 걸리는 최소 기간이 있고 금감원 예·결산을 통제하는 금융위원회 등이 쉽사리 승인을 내주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 많다. 한 금감원 직원은 “일이 많기 때문에 주말까지 근무하는 것인데, 그에 대해 휴가를 신청하라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상반기 금감원에선 20~30대 직원 13명이 퇴사했다. 금감원 사상 20~30대가 가장 많이 나간 작년 한 해 기록을 이미 상반기에 채웠다. 비슷한 학력&mid

  • "야근해도 수당 없다"…'신의 직장' 직원들 부글부글 [금융당국 포커스]

    "야근해도 수당 없다"…'신의 직장' 직원들 부글부글 [금융당국 포커스]

    금융감독원이 올 하반기엔 직원들에게 야근 수당을 주기 어렵다는 방침을 정했다. 올들어 금융시장에서 주요 사안이 잇따르면서 직원들의 추가 근무가 급증한 탓에 올해 배정된 시간외 근무수당 관련 예산이 동났기 때문이다. 금감원 안팎에선 이미 진행중인 젊은 직원 이탈이 가속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금감원 시간외근무 수당 예산, 상반기에 다 털었다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5일 직원들에게 더이상 야근 수당을 주기 어렵다는 취지의 내부 방침을 각 부서에 안내했다. 꼭 필요한 경우에만 시간외 근무를 하고, 시간외 근무를 한 경우에도 수당 대신 대체휴가를 신청하라는 게 주요 내용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해 일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자는 취지에서 야근을 줄여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차원의 안내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시간외 근무는 법적으로 금전 보상이 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선 휴가 보상을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며 "올해는 시간외 근무 예산이 빠르게 소진돼 예산상의 제약이 있다 보니 휴가 보상을 할 수 있다고 안내한 것이지 임의로 휴가 보상을 강제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올해분으로 배정한 초과근무수당 관련 예산을 상반기 중 거의 소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인건비 예산에서 급여 등 반드시 금전으로 지급해야 하는 항목만큼의 금액을 뺀 나머지 예산으로 초과근무수당 등을 지급한다. 금감원 안팎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금감원 직원들의 시간외 근무량은 전년동기 대비 16%가량 늘었다. 올들어 태영건설을 비롯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 홍

  • "홍콩 사태 떠오른다"…두려움에 떠는 'ELS 개미'

    "홍콩 사태 떠오른다"…두려움에 떠는 'ELS 개미'

    글로벌 증시가 요동치며 주가연계증권(ELS) 투자자들이 패닉에 빠졌다. 홍콩 H지수 ELS에서 발생한 대규모 손실 사태가 코스피200지수, 닛케이225지수 등 다른 기초자산 ELS에서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부 전문가가 예측하는 주요 주가지수의 바닥이 관련 ELS 상품의 손실을 야기할 정도로 낮기 때문이다. ‘H지수 손실 사태’ 데자뷔6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발행 ELS 중 글로벌 주요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상품의 미상환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33조8596억원이다. 미상환액을 기초자산에 따라 구분해 보면 S&P500지수 ELS가 10조4381억원으로 30.8%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유로스톡스50지수(30.0%), 코스피200지수(16.8%), 홍콩 H지수(16.2%), 닛케이225지수(6.2%) 등이 뒤를 이었다.이들 주가지수는 최근 증시 조정으로 고점 대비 10~20% 정도 떨어졌다. 최근 3년 내 고점 대비로 홍콩 H지수가 38.70%로 하락폭이 가장 컸다. 이어 코스피200지수가 고점 대비 21.13% 주저앉았고 닛케이225지수(-17.88%), 유로스톡스50지수(-10.38%), S&P500지수(-8.49%) 등도 큰 하락폭을 보였다.ELS는 크게 ‘녹인(knock-in)형’과 ‘노녹인(no knock-in)형’으로 구분된다. 녹인형은 일반적으로 기초자산 주가지수의 값이 발행 당시 대비 50% 하락하면 손실 범위에 들어온다. 이들 상품은 손실 구간까지 여유가 있는 상태다.문제는 노녹인형이다. 이 유형 상품은 기초자산 주가지수가 발행 당시 대비 35% 하락하면 손실 범위에 들어온다. 만기 때 기초자산 값이 그에 못 미치면 발행일 대비 하락폭이 곧 손실폭이 된다. 이미 대규모 손실 사태가 발생한 홍콩 H지수를 제외하고 고점 대비 하락폭이 가장 큰 코스피200지

  • 올 상반기 ELS 발행 '반토막'

    올해 상반기 주가연계증권(ELS) 발행 금액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예탁결제원이 24일 발표한 ELS(주가연계채권도 포함) 집계 현황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ELS 발행액은 18조3279억원으로 작년 하반기(40조9300억원)보다 55.2% 급감했다. ELS에 묶여 있는 자금을 뜻하는 ELS 미상환 잔액은 50조7457억원으로 작년 하반기보다 24.4% 줄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23.4% 감소했다. 금융권의 ELS 불완전판매 논란이 거세진 여파로 풀이된다.ELS는 특정 주식이나 지수에 연계된 고위험 금융상품이다. 올해 초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에 연계된 ELS가 대규모 손실을 내면서 불완전판매 논란이 일었다.기초자산별로는 국외 및 국내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지수형 ELS가 전체의 50.4%(9조2431억원)로 가장 비중이 컸다. 국내외 주식에 연계된 종목형 ELS가 43.8%로 뒤를 이었다. 국외 지수에 기반한 ELS 발행은 대폭 줄었다. 홍콩H지수가 포함된 ELS는 올해 상반기 4350억원어치 발행돼 직전 반기보다 81.7% 감소했다.일본 닛케이225지수에 연계된 ELS 발행액(1조6373억원)은 전 반기 대비 76.4% 줄었다. 미국 S&P500지수에 기반한 ELS도 6조477억원으로 작년 하반기보다 50.7% 줄었다.ELS 발행 증권사는 신한투자증권이 올해 상반기 발행액의 14.2%를 차지해 점유율 1위였다. 한국투자증권(12.1%), 하나증권(12.1%), NH투자증권(8.0%), 삼성증권(7.3%)이 그 뒤를 이었다. ELS 상환 금액은 34조8855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30.7% 늘었다.전예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