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작년 테슬라 기반 ELS 45%는 '원금손실'…증권가선 "ELS 시장 곧 바닥 찍을 것"

    작년 테슬라 기반 ELS 45%는 '원금손실'…증권가선 "ELS 시장 곧 바닥 찍을 것"

    증시 침체 여파로 작년 4분기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액이 3분기보다 20%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테슬라 주가가 폭락하면서 이를 기반으로 작년에 발행된 ELS 절반 가량은 원금 손실 위기에 처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전체적인 조기상환 규모는 늘어나고 있어 ELS 시장이 곧 바닥을 확인하고 반등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4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10~12월) ELS 발행액은 4조4016억원으로 3분기 발행액(5조6595억원)보다 22.2% 감소했다. 발행 종목 수도 3분기 2792개에서 4분기 2488개로 줄었다.ELS 발행액은 지난해 증시 침체로 7월 1조1202억원까지 크게 감소했다가 9월 글로벌 증시가 잠시 회복세를 보이면서 2조7402억원까지 늘어났다. 그러나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12월 1조3373억원까지 다시 줄어들었다.특히 작년 하반기 들어 테슬라 주가가 급락하면서 이를 기반으로 한 ELS들이 대거 녹인(원금 손실 위험) 구간에 들어서자 ELS 발행도 함께 줄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테슬라를 기초자산으로 발행된 ELS는 9180억원에 달한다. 테슬라 주가 하락으로 이 가운데 45%에 해당하는 4130억원에서 이미 녹인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정인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AMD, 엔비디아 등을 기반으로 발행된 ELS도 30%는 녹인 구간에 진입했다”며 “이들 종목 자체보다 테슬라와 함께 발행되면서 대규모 녹인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다만 ELS 조기상환 규모만 보면 4분기 6조1383억원이 조기 상환돼 3분기(5조575억원)보다 오히려 늘어났다. ELS가 조기 상환되면 투자자들은 만기보다 이른 시기에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고, 증권사 입장에

  • '시진핑 유탄' 맞은 홍콩증시…ELS 투자자들 잠 못 이룬다

    '시진핑 유탄' 맞은 홍콩증시…ELS 투자자들 잠 못 이룬다

    홍콩 주식시장이 급락했다. 홍콩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삼은 주가연계증권(ELS)의 원금 손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ELS란 기초자산이 되는 자산이 정해진 구간에서 움직이면 약속된 수익을 지급하지만 기준선을 이탈할 경우 원금 손실이 발생하는 상품이다.24일 오후 5시 기준 홍콩H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7.19% 내린 5120.94에 거래되고 있다. 홍콩H지수는 올 들어서만 36.6% 하락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0년 임기 제한을 깨고 장기 집권에 나서자 외국인 투자자들이 홍콩증시에서 대거 이탈한 영향이다.국내에서 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판매된 ELS 규모는 12조원에 달한다. 올 1월 H지수가 지난 10년 저점인 8700선까지 하락하자 가입자가 급증했다. 홍콩 주식시장이 더 떨어지기 어렵고, 이에 따라 수익을 낼 확률이 높다고 판단한 투자자가 많았기 때문이다.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공모 ELS 가운데 손실 발생 기준선이 5000선 위에 있는 상품의 비중은 53%(5조6820억원)에 달한다. H지수가 5200선 밑으로 떨어지면서 이들 상품 대부분이 손실 발생 구간에 진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다만 ELS는 만기가 3년이라 손실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 만기 때 발행 가격 대비 70~80% 이상으로 기초자산 가격이 회복되면 원금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작년 1월 발행된 ELS는 만기가 1년6개월 정도 남았다.박의명 기자

  • "손실구간 대거 진입"…홍콩증시 급락에 ELS 투자자들 '조마조마'

    GLOBAL

    "손실구간 대거 진입"…홍콩증시 급락에 ELS 투자자들 '조마조마'

    홍콩 주식시장이 급락했다. 홍콩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삼은 주가연계증권(ELS)의 원금 손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ELS란 기초자산이 되는 자산이 정해진 구간에서 움직이면 약속된 수익을 지급하지만 기준선을 이탈할 경우 원금손실이 발생하는 상품이다.24일 오후 4시 기준 홍콩H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7.06%% 내린 5127.83에 거래되고 있다. 홍콩H지수는 올 들어서만 36.6% 하락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0년 임기 제한을 깨고 장기 집권에 나서자 외국인 투자자들이 홍콩 증시를 대거 이탈한 영향이다. 국내에서 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판매된 ELS 규모는 12조원에 달한다. 지난 1월 H지수가 지난 10년 저점인 8700선까지 하락하자 가입자가 급증했다. 홍콩 주식시장이 더 떨어지기 어렵고, 이에 따라 수익을 낼 확률이 높다고 판단한 투자자가 많았기 때문이다.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공모 ELS 가운데 손실 발생 기준선이 5000선 위에 있는 상품의 비중은 53%(5조6820억원)에 달한다. H지수가 5200선까지 급락하면서 이들 상품 대부분이 손실 발생 구간에 진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ELS는 만기가 3년이라 손실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 만기 때 발행 가격 대비 70~80% 이상으로 기초자산 가격이 회복되면 원금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작년 1월 H지수가 고점(1만2000포인트)을 찍었을 때 발행된 ELS는 만기가 1년6개월 정도 남았다. ELS는 지수가 일정 기간 정해진 범위에서 움직일 경우 연 6~10% 수준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수익을 낼 가능성이 높지만 손실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손실 규모가 커지는 것이 특징이다. 만기 상환 조건에 따라 최대 100% 손실이 날 수 있다. 박

  • STOCK

    증시 부진에…3분기 ELS 발행액 급감

    국내외 증시 부진의 영향으로 올해 3분기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액이 2분기에 비해 30%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미상환 발행 잔액은 2.4% 늘어났다.18일 한국예탁결제원이 3분기 ELS(ELB 포함) 발행금액을 집계한 결과 2분기 대비 31.6% 감소한 7조9194억원이었다. 지난해 3분기(11조6024억원)와 비교하면 31.7% 감소했다. 발행 종목도 직전 분기 3946종목에서 3264종목으로 줄었다.3분기 ELS 미상환 발행 잔액은 68조7442억원으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 대비 2.4% 늘었다. 지난해 3분기(53조1107억원)와 비교하면 29.4% 늘었다.ELS 발행액은 올해 들어 감소하는 추세다. 1분기 12조391억원, 2분기 11조5725억원, 3분기 7조9194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 국내외 증시가 부진한 데다, 지난 3월 중국 홍콩H지수 급락으로 ELS 투자 손실 사례가 늘면서 수요가 줄어든 까닭이다.3분기 주요 기초자산별 ELS 발행 규모를 보면 해외지수는 S&P500이 5조790억원으로 가장 컸다. 이어 유로스톡스50(4조9731억원) 홍콩H지수(1조1169억원) 닛케이225(6401억원) 순이었다. 코스피200지수는 3조4931억원 규모였다.배태웅 기자

  • 글로벌 증시 부진에 3분기 ELS 발행액 31% 뚝…미상환액 2.4% ↑

    글로벌 증시 부진에 3분기 ELS 발행액 31% 뚝…미상환액 2.4% ↑

    국내외 증시 부진의 영향으로 올해 3분기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액이 2분기에 비해 30%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미상환 발행잔액은 2.4% 늘어났다.18일 한국예탁결제원은 3분기 ELS(ELB 포함) 발행금액을 집계한 결과 2분기 대비 31.6% 감소한 7조9194억원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지난해 3분기(11조6024억원)와 비교하면 31.7% 감소했다. 발행종목 수도 직전분기 3946종목에서 3264종목으로 줄었다.3분기 ELS 미상환 발행잔액은 68조7442억원으로 집계됐다. 직전분기 대비 2.4% 늘었다. 지난해 3분기(53조1107억원)와 비교하면 29.4% 늘었다.ELS 발행액은 올해 들어 감소 추세다. 1분기 12조391억원에서 2분기 11조5725억원, 3분기 7조9194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 국내외 증시가 부진한데다, 지난 3월 중국 홍콩H지수 급락으로 ELS 투자 손실 사례가 늘면서 수요가 줄어든 까닭이다.3분기 주요 기초자산별 ELS 발행규모를 보면 해외지수의 경우 S&P500이 5조790억원으로 가장 발행금액이 컸다. 이어 유로스톡스50(4조9731억원), 홍콩H지수(1조1169억원), 니케이225(6401억원) 순서였다. 코스피200 지수는 3조4931억원 규모였다.ELS 조기상환 규모는 2분기에 비해 늘어났다. 3분기 ELS 조기상환 규모는 5조574억원으로 직전분기 대비 45.1% 증가했다. 반면 만기상환 규모는 1조449억원으로 60.2% 감소했다. 통상적으로 ELS 조기상환 규모가 커졌다는 것은 투자에 성공한 투자자가 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7~8월 베어마켓랠리(약세장 속 상승세)가 펼쳐지며 글로벌 증시가 안정세를 보인 영향으로 풀이된다.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

  • STOCK

    "조기상환 받아 바로 재투자"…되살아난 ELS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액이 4개월 만에 증가했다. 조기 상환 금액이 재투자로 이어진 영향이다. 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하진 않을 것이란 기대가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3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8월 1일부터 30일까지 ELS 발행액은 1조4189억원이었다. 전달 발행액(1조1202억원)보다 늘었다. 지난 4월 3조8197억원이던 발행액은 7월까지 계속 줄었다.ELS 발행액이 늘어난 원인으로 조기 상환 금액 증가가 꼽힌다. ELS 투자자들은 조기 상환받은 자금을 재투자하는 경우가 많다. 그동안 글로벌 증시가 약세를 보이면서 조기 상환 규모가 줄자 ELS 발행액도 같이 감소했다. 4월 1조7891억원이던 조기 상환 금액은 7월 5133억원으로 줄었다.최근 분위기가 반전됐다. 8월 조기 상환액은 1조7453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글로벌 증시가 약세를 보인 올해 초 발행된 ELS의 조기 상환 시기가 8월부터 도래하기 때문이다. 최종 만기 이전에도 지수가 사전에 설정한 수준 밑으로 떨어지지 않으면 조기 상환받을 수 있다. 상환 시기는 통상 6개월마다 돌아온다. 전균 삼성증권 연구원은 “약세장 속에 발행된 ELS 물량의 조기 상환 시기가 도래했다”며 “2, 3, 4월 대비 주가지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8, 9, 10월 조기 상환 물량이 이전보다 늘어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증시가 더 이상 폭락하지 않을 것이란 기대도 반영됐다. 일반적으로 주가지수가 절반 아래로 떨어지지만 않으면 ELS는 수익을 낼 수 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증시가 이미 많이 하락한 상태라 원금 손실 위험성은 이전보다 낮아졌지만 수익률은 예금보다 높다”고 했다. 증권사에서 판매하는 ‘스텝다운 지수형 ELS’의 연수익률은

  • ELS 발행액 4개월 만에 반등…"하반기 불확실성 해소가 관건"

    ELS 발행액 4개월 만에 반등…"하반기 불확실성 해소가 관건"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액이 4개월 만에 증가했다. 조기 상환 금액이 재투자로 이어진 영향이다. 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하진 않을 것이란 기대감도 작용했다. 3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전날까지 ELS 발행액은 1조4189억원이었다. 지난달 발행액(1조1202억원)보다 늘었다. 지난 4월 3조8197억원이었던 발행액은 지난달까지 계속 줄었다.주가연계펀드(ELF) 설정액도 늘어났다. 국내 937개 ELF 937에 1개월 간 3421억원이 순유입됐다. 1주 간 순유입 금액은 750억원이다. 1주와 1개월 사이 각각 425억원, 5172억원이 순유출된 국내 주식형 펀드와 다른 모습이다. ELS 발행액이 늘어난 원인으로 조기 상환 금액 증가가 꼽힌다. ELS 투자자들은 조기 상환받은 자금을 재투자하는 경우가 많다. 그동안 글로벌 증시가 약세를 보이면서 조기 상환 규모가 줄자 ELS 발행액이 같이 감소했다. 올해 4월 1조7891억원이었던 조기 상환 금액은 지난달 5133억원으로 줄었다. 최근 분위기가 반전됐다. 이달 조기상환액은 1조7453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글로벌 증시가 약세였던 올해 초 발행된 ELS의 조기상환 시기가 8월부터 시작하기 때문이다. 최종 만기 이전에도 지수가 사전에 설정한 수준 밑으로 떨어지지 않으면 조기 상환을 받을 수 있다. 상환 시기는 통상 6개월마다 돌아온다. 전균 삼성증권 연구원은 “약세장 속 발행됐던 ELS 물량의 조기상환 시기가 도래했다”며 “2, 3, 4월 대비 주가 지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8, 9, 10월 조기 상환 물량이 이전보다 늘어날 것으로 본다”고 했다.증시가 더 이상 폭락하지 않을 것이란 기대도 반영됐다. 일반적으로 주가 지수가 절반 밑

  • 쌀 때 들어간 ELS…조기상환으로 화답

    올 들어 조기상환 실패가 이어지며 인기가 시들해진 주가연계증권(ELS)이 최근 ‘반전 조짐’을 보이고 있다. 약세장에서 발행한 ELS들이 조기상환 조건을 충족한 사례가 늘고 있어서다.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이달 ELS 조기상환액은 2639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ELS 조기상환 규모가 5133억원에 그친 것을 고려하면 이미 지난달의 절반을 넘어선 셈이다. ELS는 특정 주가지수나 종목이 일정 수준 밑으로 떨어지지 않으면 비교적 고금리 이자를 주는 파생상품이다. 통상 만기는 3년인데 6개월마다 조기상환일이 도래한다. 이날 주가가 일정 범위에 들면 상환받을 수 있는 구조다.글로벌 증시가 급락하면서 ELS 조기상환액은 크게 줄었다. 4월 1조7891억원에 달하던 ELS 조기상환액은 5월 6880억원, 6월 5804억원, 7월 5133억원으로 계속 감소했다. ELS 발행금액도 4월 3조8197억원에서 지난달 1조1202억원으로 줄었다.하지만 이달부터 ELS 조기상환액이 늘어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올 들어 발행된 ELS 중 상당수가 2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글로벌 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했을 때 나온 상품들이기 때문이다.최근 증시는 베어마켓 랠리(약세장 속 상승세)를 보이면서 회복하는 분위기다. 홍콩 항셍지수는 3월 저점(18,415)보다 높은 20,000선을 회복했다. 닛케이225 지수도 3월 저점인 24,717을 넘겨 28,250선까지 상승했다.정인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S&P500 지수가 상승세를 보이면서 6개월 전 주가의 95%에 근접하고 있어 8~9월은 조기상환액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배태웅 기자

  • 인기 시들한 ELS, 활기 되찾을까…"8~9월 조기상환 급증할 것"

    인기 시들한 ELS, 활기 되찾을까…"8~9월 조기상환 급증할 것"

    글로벌 증시가 약세를 보이면서 한동안 조기상환 규모가 급감했던 주가연계증권(ELS)이 최근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올해 들어 약세장에서 발행된 ELS가 조기상환 시기를 맞으면서 상환 조건을 달성하고 있어서다.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8월 ELS 조기상환액은 2639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7월 ELS 조기상환 규모가 5133억원에 그친 것을 고려하면 이미 지난달의 절반 이상이 조기상환 된 셈이다. 8월 중 발행액(3140억원) 대비 상환 비율은 83.9%였다.ELS는 특정 주가지수나 종목이 일정 수준 밑으로 떨어지지 않으면 비교적 고금리 이자를 주는 파생상품이다. 최종 만기 이전에도 별도로 설정한 기준가격을 넘기면 조기 상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수의 ELS는 6개월마다 조기상환 기회가 온다.올해 들어 글로벌 증시가 약세를 보이면서 ELS 조기상환 규모는 크게 줄었다. 1월 1조3533억원, 2월 1조5544억원, 3월 9713억원, 4월 1조7891억원으로 1조원 내외를 유지하다가 5월 6880억원, 6월 5804억원, 7월 5133억원으로 급격히 감소했다. 조기상환에 실패한 사례가 속출하면서 ELS발행 금액도 4월 3조8197억원에서 지난달 1조1202억원까지 줄었다.하지만 이달부터 ELS 조기상환 규모가 늘어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조기상환을 앞두고 있는 ELS 중 다수가 올해 글로벌 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했을 시기 발행된 상품들이기 때문이다. 특히 2월 중반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면서 이 시기 발행된 ELS는 기준가격이 크게 낮아졌다. 국제 증시가 베어마켓 랠리(약세장 속 상승세)를 보이면서 회복하고 있다는 점도 근거로 꼽힌다. 다수의 지수형 ELS는 1차 조기상환의 조건으로 '현재가가 기준가격의 95% 이상'이라는 조건

  • 증시 급락에 상반기 ELS 미상환 발행 잔액 67조원…26%↑

    증시 급락에 상반기 ELS 미상환 발행 잔액 67조원…26%↑

    글로벌 증시가 하락세를 거듭하면서 주가연계증권(ELS)의 조기 상환 규모도 급격히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3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6월말 기준 ELS 미상환 발행잔액은 67조1383억원으로 1년 전(53조3287억원) 대비 25.9% 증가했다. 지난해 말(57조6284억원)과 비교하면 16.5% 늘었다.  올 상반기(1~6월) ELS 총 상환금액은 14조380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7.1%, 지난해 하반기(7~12월) 대비 55.7% 각각 급감했다.ELS는 주가지수 등을 기초 자산으로 삼아 수익률이 결정되는 파생상품이다. 지수가 일정 수준 내에서 유지될 때 수익률이 보장된다. 최근 글로벌 증시가 급락하면서 조기 상환에 실패한 ELS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ELS 발행금액은 크게 줄었다. 올 상반기 ELS 발행금액은 23조6116억원으로 전년 동기(35조5810억원) 대비 33.6% 감소했다. 지난해 하반기(36조5966억원) 대비로는 35.5% 줄었다. 발행종목수는 7935종목으로 전년 동기(8752종목) 대비 9.3% 감소했다.전체 발행 금액 중 공모가 21조3505억원(90.4%), 사모가 2조2611억원(9.6%)을 차지했다. 공모 발행 금액은 작년 상반기 대비 31.7%, 직전 반기 대비로는 36.3% 감소했다. 사모 발행 금액은 각각 47.7%, 26.9% 감소했다.기초자산 유형별로는 국내외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삼는 지수형 ELS가 17조5596억원(74.4%), 국내 개별주식이 기초자산인 국내주식연계 ELS가 4조1751억원(17.7%)이었다.유로스톡스50과 S&P500지수가 기초자산인 ELS는 각각 직전 반기보다 1.4%, 9.7% 감소한 16조849억원, 16조21억원 규모로 발행된 것으로 나타났다.홍콩H지수(3조8967억원), 일본 닛케이225지수(2조9695억원), 홍콩 항셍지수(76억원)가 기초자산인 ELS 발행 금액도 각각 45.7%, 32.0%, 94.0% 감소했다.국내

  • ELS 조기상환 '3분의 1 토막'…원금 까먹은 상품 속출

    STOCK

    ELS 조기상환 '3분의 1 토막'…원금 까먹은 상품 속출

    국내 증시가 하락세를 보이면서 특정 주가지수와 종목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주가연계증권(ELS)의 손실 위험이 커지고 있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주요 주식의 주가가 작년 대비 크게 떨어지면서 원금 손실이 확정된 ELS도 속출하고 있다. ◆조기 상환 규모 ‘뚝’26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이달 들어 지난 24일까지 일정 조건을 충족해 조기 상환된 ELS는 4907억원으로 집계됐다. ELS 조기상환액은 1월 1조5333억원, 2월 1조5544억원, 3월 9713억원, 4월 1조7891억원에 달했다. 하지만 국내외 증시 약세로 지난달 6880억원으로 줄어든 뒤, 이달 들어 감소폭이 더 커졌다.ELS는 특정 지수나 종목이 일정 수준 밑으로 떨어지지 않으면 비교적 고금리 이자를 주는 파생상품이다. 최종 만기 이전에도 중간 평가를 거쳐 별도로 설정한 기준가격을 넘기면 조기 상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조기상환액이 급감한 것은 원금 손실 가능성이 커진 ELS가 그만큼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기까지 정해진 기준을 넘기지 못하거나, 만기 전이라도 녹인배리어(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주가 기준)에 진입하면 원금이 손실될 수 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2021년 7월 1일~12월 31일) 발행된 ELS 가운데 66개가 녹인배리어에 진입한 것으로 파악됐다.정인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올해 1월부터 글로벌 증시가 떨어졌고 기초자산이 되는 지수·주가가 낮아져 조만간 조기상환 금액이 다시 늘 수도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하락에 원금 손실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 AMD, 메타플랫폼 등 종목을 기초자산으로 삼은 ELS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더 커졌다고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종목형 ELS는 만기 때 가격

  • "변동성 커진 場…고배당株·리츠로 피신하라"

    STOCK

    "변동성 커진 場…고배당株·리츠로 피신하라"

    투자 난도가 계속 높아지고 있다. 미국 금리 인상에 우크라이나 전쟁, 중국 봉쇄령까지 잇따른 악재에 변동성은 커졌고 타격을 받지 않은 자산군을 찾기 어려워졌다. 한국경제신문은 5일 고액자산가들의 자산을 관리하는 국내 주요 프라이빗뱅커(PB) 및 자산 배분 전문가 6명에게 현재 고객들에게 추천하고 있는 포트폴리오를 물었다. ‘인컴자산’으로 피난공통적인 조언은 흔들리는 시장에서 ‘안전띠’를 매라는 것이었다. 고배당주,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 등 인컴형 자산 비중을 늘리라는 조언이 대표적이다. 상품 중에서는 25년 이상 배당을 늘려온 미국 배당성장주에 투자하는 ‘한국투자미국배당귀족펀드’와 경제적 해자가 높은 미국 기업에 투자하는 ‘밴에크 모닝스타 와이드 모우트(MOAT) ETF’가 가장 많은 추천을 받았다.염정주 신한금융투자 청담금융센터장(상무)은 전체 포트폴리오를 가치주와 인컴형 자산 위주로 꾸렸다. 성장주는 투자 대상에서 제외했다. 염 상무는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에 대비하기 위해 인컴형 자산과 가치주 비중을 확대해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며 “자산뿐 아니라 통화도 분산 투자하는 것이 변동성 장세에선 큰 힘이 된다”고 말했다.리츠 상품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6명 중 절반이 5~6월 가장 수익률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품군으로 리츠를 꼽았다. 조혜진 NH투자증권 프리미어블루 강남 이사는 “리츠는 고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인플레이션을 따라갈 수 있는 투자 자산”이라며 ‘신한서부티엔디리츠’와 ‘이리츠코크렙’을 추천했다. 매력

  • "원금도 못 건지나"…반토막 난 넷플릭스에 '좌불안석'

    "원금도 못 건지나"…반토막 난 넷플릭스에 '좌불안석'

    넷플릭스(NFLX) 주가가 반토막나면서 관련 주가연계증권(ELS) 투자자들이 떨고 있다. 증권사들은 넷플릭스를 기초로 발행한 ELS가 원금손실구간인 '녹인(knock in)'에 진입했다며 잇따라 경고하고 나섰다.22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최근 1년 동안 넷플릭스를 기초자산으로 한 ELS는 총 1146억원어치 발행됐다. ELS는 주가가 만기일 일정 범위 안에 들 것인지 말 것인지를 두고 증권사와 투자자가 벌이는 내기와 같다. 보통 만기는 3년인데 반년마다 조기상환일이 도래하고, 이날 주가가 일정 범위 안에 들면 상환을 받을 수 있는 구조다. ELS는 주식보다 위험이 낮지만 은행 예·적금보다 기대 수익률이 높아 '국민 재테크 상품'으로 불린다.문제는 넷플릭스의 주가가 반토막나면서 원금손실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이다. 21일(현지시간) 넷플릭스는 전거래일 대비 3.52% 떨어진 218.22달러에 장을 마쳤다. 19일 장 마감 후 월가 예측을 크게 밑도는 실적을 발표하면서 20일 하루에만 35.12%나 주가가 떨어졌다.'오징어게임' 등 콘텐츠 흥행에 힘입어 작년 11월 700달러를 상회했던 주가는 반토막 이하로 떨어진 상태다. 손실을 결정짓는 녹인 구간이 보통 발행 당일 지수 대비 50% 전후인 점을 감안하면 지난해 하반기 발행됐던 넷플릭스 연계 ELS의 상당수가 자금이 묶일 수밖에 없는 구조다. 물론 녹인구간에 진입했다고 반드시 원금 손실이 발생하는 건 아니다. 다만 만기 상환까지 보유해야 할 가능성이 커지고, 만기 상환일에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손실이 확정된다.증권사들은 최근 넷플릭스 연계 ELS가 녹인구간에 들어섰다고 잇따라 알리고 있다. NH투자증권은 지난 21일 넷플릭스와 연계된 ELS 12종

  • 홍콩H지수 7% 넘게 폭락…19조 몰린 ELS '녹인 공포' 커졌다

    홍콩H지수 7% 넘게 폭락…19조 몰린 ELS '녹인 공포' 커졌다

    홍콩H지수가 7000선이 붕괴돼 주가연계증권(ELS) 투자자들이 긴장하고 있다. 원금 손실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H지수가 7000선 밑으로 떨어진 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증권가에선 수많은 악재에 둘러싸인 H지수가 안정을 찾으려면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14일 오후 4시45분 현재 홍콩H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7.27% 떨어진 6547.09를 기록했다. H지수가 7000선 밑으로 떨어진 건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3월 이후 처음이다.중국의 코로나19 확산,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지정학적 위기 고조, 미·중 분쟁 격화 우려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지난 13일 중국 선전시는 코로나19 확산을 이유로 주민에게 외출금지령을 내리고 도시를 봉쇄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경기 둔화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또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글로벌 경기를 끌어내릴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미국 증권감독 당국이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일부를 퇴출 예비명단에 올리는 등 미·중 분쟁이 지속되고 있는 것도 부담이다. 홍콩증시에 상장된 관련 종목의 주가는 곤두박질치고 있다.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장중 10%가 넘는 급락세를 보였다.문제는 H지수와 연계된 ELS의 손실 여부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기준 홍콩 주식시장과 연계된 ELS 잔액은 18조9000억원에 달했다. ELS는 원금 손실 구간을 뜻하는 녹인 구간이 대부분 5500선 이하로 설정돼 있다. 아직 녹인 구간 도달까진 여유가 남았다. 그러나 녹인이 설정돼 있지 않은 ELS 중 원금 손실 우려가 커진 상품이 줄줄이 나오고 있다. 7억1900만원이 모인 대신 Balance ELS 1852회의 경우 녹인은 설정돼 있

  • "시장 기대 수준 높아져" 파생결합사채 수수료 받기로 한 한국신용평가

    "시장 기대 수준 높아져" 파생결합사채 수수료 받기로 한 한국신용평가

    한국신용평가가 오는 4월부터 파생결합사채 신용평가 수수료를 신설한다. 신용평가 시장의 성장이 정체되면서 신용평가사들이 수수료 체계 현실화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다.4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한국신용평가는 오는 4월부터 파생결합사채(ELB·DLB) 신용평가 수수료 체계를 신규 도입한다.한국신용평가는 "이번 파생결합사채 수수료 체계 신규 도입은 시장 성숙에 따른 자본시장의 높은 기대 수준과 서비스 요구 증가를 반영한 결정"이라며 "적합한 수수료 체계 운영과 공시 시스템을 갖추려고 한다"고 설명했다.파생결합사채는 2013년 5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기존 주식연계증권(ELS)과 파생결합증권(DLS) 중 원금 보장형 상품의 경우 사채권으로 분류하게 됐다. 발행 기업의 신용도에 연동돼 발행되고 있다. 감독당국은 2014년 2월 파생결합사채 발행 때 적격 외부 신용평가사로부터 신용평가 등급을 받도록 규정을 정비했다. 파생결합사채 시장은 퇴직연금 시장이 성장하면서 발행액과 평가 횟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한국신용평가는 파생결합사채 발행액과 수수료는 회사채 연간 발행 한도별 수수료 체계에 합산하지 않을 방침이다. 한국신용평가는 파생결합사채의 기본 수수료를 총자산 기준으로 장기 신용등급과 동일하게 부여하기로 했다. 약정 기간 내에선 장기 신용등급 본 평가 때 기본 수수료를 면제한다. 파생결합사채 발행 규모에 따라 발행액 구간별로 수수료도 차등 부과한다. 1조원 이하는 2000만원, 2조원 이하는 3000만원, 3조원 이하는 4000만원, 4조원 이하는 5000만원, 4조원 초과는 6000만원이다. 정기 수수료는 기본수수료의 30%를 부과한다.증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