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독] 에코프로비엠·금양 피크 쳤나…자사주 파는 임원들 잇따라
에코프로비엠과 금양 고위임원들이 지난달 27일 주가 급락 직전 자사주들을 잇달아 장내매도한 것으로 드러났다. 2차전지주 과열 우려가 불거진 가운데 주요 관계자들이 자사주를 급히 처분하면서 주가가 고점에 달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에코프로비엠의 임원 4명은 지난달 27~28일(결제일 기준) 사이 자사주 5790주를 장내매도했다고 공시했다. 임원 4명이 처분한 주식은 약 26억원어치다. 결제일과 매매 체결일이 2거래일 차이나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로는 가장 주가가 급등하던 25~26일에 주식을 팔아치운 셈이다.연구자원담당인 서준원 전무는 보유 중인 6000주 중 4000주(18억원 어치)를 지난 25일 장내 매도했다. 김홍관 전무도 같은 날 1000주(4억5425만원 어치)를 처분했다. 박지영 상무와 이경섭 상무는 다음날인 26일 각각 700주(3억6400만원 어치), 90주(4959만원 어치)를 장내매도했다.박 상무는 지난달 17~18일에도 이틀에 걸쳐 1000주(2억8000만원 어치) 가량을 매도한 바 있다. 이 상무 역시 11~12일에 걸쳐 1000주를 매도해 2억9000만원가량을 현금화했다.에코프로비엠의 관계사인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김병훈 대표도 지난 26일 에코프로비엠 2만5000주를 장내매도했다. 주당 처분단가는 49만6200원으로 약 126억원어치다. 다른 에코프로비엠 임원들도 지난달 11~18일까지 자사주를 잇달아 대량으로 처분한 바 있다. 최문호 에코프로비엠 사장은 지난달 13일 2800주(약 7억8380만원 어치)를 장내매도했다. 방정식 에코프로비엠 부사장도 지난달 11일과 18일에 나눠 각각 900주, 1200주를 현금화했다. 처분 금액은 총 6억2000만원 어치다.에코프로비엠 관계자는 “최근 주식을 판 임원들의 경우
-
SKT "자사주 3000억 매입"…내년에 2000억 소각키로
SK텔레콤은 약 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고, 이 중 2000억원어치를 소각하기로 했다고 27일 공시했다.SK텔레콤은 전날 이사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결정했다. 이번에 소각하는 주식은 보통주 429만1845주로 총발행 주식 수의 약 2%에 해당한다. 소각을 위한 자기주식 취득 예정 기간은 이날부터 내년 1월 26일까지다. 소각 예정일은 내년 2월 25일이다.이와 함께 보통주 1주당 830원의 2분기 배당을 다음달 14일까지 지급할 예정이다. 배당 총액은 1813억원으로 배당률은 1.7% 수준이다. 회사 관계자는 “주주환원정책을 강화한다는 방침에 따라 자사주 매입과 소각을 결정했다”며 “선진화한 주주 환원 정책을 통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앞장설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승우 기자
-
자사주 매입 나선 동원그룹 대표들
동원그룹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이 자사주 매입에 나섰다. 올해 들어 코스피지수가 15% 가까이 오르는 와중에 동원그룹 상장사 주가는 10~20% 하락할 정도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자 CEO들이 주주가치 제고에 나선 것이다.동원그룹은 동원산업, 동원F&B, 동원시스템즈 대표들이 지난 10~18일 자사주 총 8100주를 추가 매입했다고 20일 발표했다. 총투자금액은 2억8000만원이다. 4일 동원산업의 박문서 대표(각자대표)와 김주원 이사회 의장이 자사주를 매입한 후 이달 들어 두 번째다.민은홍 동원산업 사업부문 대표가 13일 보통주 2000주를, 김주원 의장이 10일과 12일 보통주 2600주를 장내 매수했다. 김성용 동원F&B 대표(보통주 2500주)와 장성학 동원시스템즈 소재부문 대표(보통주 1000주)도 이 기간에 자사주를 사들였다.이달 들어 그룹 주요 대표들이 매입한 자사주는 총 1만1400주, 4억1000만원어치다. 동원그룹 관계자는 “회사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확신을 보여주고 주주가치를 실질적으로 제고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조치”라고 설명했다.동원그룹 주요 상장사 주가는 올해 들어 하락 곡선을 그렸다. 동원산업과 동원F&B 모두 올해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늘어날 것이란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가 있는데도 주가는 연초 대비 각각 20.0%, 13.14% 떨어졌다.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6배 수준에 그쳤다.알루미늄 양극박, 배터리 캔 등 2차전지 사업을 하는 동원시스템즈는 최근 증시를 뜨겁게 달구는 2차전지 랠리에서마저 주목받지 못했다.동원산업은 자사주 매입과 함께 소각으로 주당 가치를 높일 예정이다. 다음달 1일 자사주 350만 주를 소각하는 데 이어 나머지 1046만245주도 5년 이내에 단계적으로
-
아세아제지 "내년 1월까지 자사주 150억 취득"
골판지 제조기업 아세아제지가 주주 가치 제고와 주가 안정을 위해 내년 1월까지 15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취득한다고 17일 공시했다. 이번 자사주 매입은 신탁 계약 방식으로 NH투자증권을 통해 진행된다. 계약 기간은 내년 1월 16일까지 6개월이다. 앞서 아세아제지는 소액주주들의 주주환원 요구에 따라 지난 12일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을 공시한 바 있다. 2026년까지 매년 단계적으로 ▲현금 배당 확대 실시 ▲자기주식 취득 ▲자기주식 소각 ▲주식(액면)분할 등이 골자다.아세아제지는 앞으로 총 400억원의 자기주식을 취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3월부터 취득한 50억원에 더해 이번에 추가로 150억원을 매입하고, 2024년에는 200억원어치를 더 사들일 예정이다.자사주는 순차적으로 소각할 예정이다. 내년에는 올해 취득한 자기주식 수량의 75% 이상 소각한다. 2025년에는 2023년과 2024년에 취득한 자기주식 중 미소각 수량의 75% 이상을 소각한다. 미소각 자기주식은 2026년에 전량 소각할 예정이다.자사주 취득과 소각으로 주식 유동성이 부족해 적정 가치를 받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 액면분할도 추진한다. 내년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현재 1주 액면가 5000원을 1000원으로 분할하는 안건을 상정해 처리할 계획이다.아세아제지 측은 “안정적 재무구조를 기반으로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주주 친화 정책을 적극 수립하고, 장기 성장을 위한 투자와 시장의 기대치에 부응하는 업계 상위 수준의 주주환원 정책을 통해 주주가치를 제고할 계획”이라고 했다. 최형창 기자 calling@hankyung.com
-
셀트리온헬스케어, 자사주 추가 매입 결정…올해 누적 750억원
셀트리온헬스케어는 6일 이사회를 개최해 25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추가 매입하기로 결정했다. 7일부터 내달 6일까지 장내매수를 통해 총 38만 주의 자사주를 매입할 예정이다. 취득 예정 금액은 약 250억 원 규모다.셀트리온헬스케어는 지난 2월과 3월에 이어 올해 세 번째로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다. 이번 매입이 완료되면 올해에만 누적 750억원 규모인 121만5000주의 자사주를 취득하게 된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지난해에도 두 차례에 걸쳐 총 85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취득했다. 이와 함께 현금 및 주식을 동시에 배당했다.셀트리온헬스케어 관계자는 “사업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음에도 주가 수준이 여전히 저평가됐다고 판단해 추가적인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다”며 “앞으로도 회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기업 및 주주가치를 높이기 위한 책임경영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인혁 기자 hyuk@hankyung.com
-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1.7억원 들여 자사주 5000주 매수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이 23일 자사주 5000주를 매수했다. 총 매입액은 1억7175만원이다.신한금융은 이날 진 회장이 장내에서 신한금융 주식 5000주를 주당 3만4350원에 매수했다고 공시했다. 이로써 진 회장이 보유한 신한금융 주식은 1만3937주에서 1만8937주로 늘었다.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
-
'8만원→12만원' 주가 더 뛰나…3억 풀베팅한 '36년 LG맨'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1987년 어느 날. 부산대 기계공학과 학생인 조주완은 면접을 보기 위해 서울로 상경했다. 당시 금성사(현 LG전자) 면접을 위해 들른 여의도 LG트윈타워 규모에 놀랐다. "트윈타워에 반했다"고 했다. 그는 면접에 합격해 입사한 이후 미국 캐나다 독일 호주 등에서 근무하다 2019년 본사로 복귀했다. 2021년에는 LG전자 사장이 됐다.36년 동안 LG전자에 몸담으면서 회사 흐름을 꿰뚫고 있는 그가 올들어 회사 주식 3억원어치를 매입했다. 회사 주가가 최근 큰 폭 올랐지만, 상승 여력이 더 남은 것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1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조 사장은 지난 13일 LG전자 주식 1000주를 1억2350만원에 매입했다. 주당 매입가격은 12만3500원이다. 앞서 지난 3월 29일에도 회사 주식 2000주를 2억2720만원에 매입한 바 있다. 당시 주당 매입가격은 11만3600원이었다.올들어서만 3억5070만원어치 주식을 사 모은 것이다. 현재 조 사장이 보유한 LG전자 주식은 총 5373주다. 전날 종가를 적용하면 6억7000만원어치다.조 사장은 2019년에 회사 주식 861주를 사들인 이후 3년 동안 매입에 나서지 않았다. 4년 만인 올들어 매입을 재개하고 나섰다. 최고경영자의 자사주 매입은 기업·주주가치 부양과 책임경영에 대한 의지로 받아들여진다. 회사 흐름을 훤히 아는 최고경영자(CEO)가 주식을 사들인 데 대해 앞으로 주가와 실적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는 평가도 있다.이 회사 주가는 지난 2일 8만6400원에 마감했다. 이후 오름세를 이어가 현재는 12만원대에서 움직이고 있다. 올들어서만 40%가량 오른 것이다. 증권업계에서는 하반기에도 LG전자의 추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분석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이 회사 vs(전장부품) 사업부의
-
'자사주 매입'이 오히려 毒 됐나…BoA, 936억달러 쓰고도 주가 하락
미국 대형 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BoA)가 지난 5년 동안 자사주 매입에 936억달러(약 120조2000억원)를 쏟아부었지만, 막상 이 기간 주가는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자사주 매입이 주가를 부양하는 효과가 있다는 통념과는 다른 결과다. 자본을 가지고 수익을 창출하는 은행의 경우 자사주 매입이 늘 주주들에게 이익이 되는 건 아니라는 평가다.12일(현지시간) 마켓워치는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을 인용해 S&P500 기업 중 최근 5년간 자사주 매입액이 큰 상장사들과 이들의 주가 추이를 보도했다. 최근 5년간 자사주 매입 규모가 가장 큰 기업은 애플로, 3936억달러(약 505조5000억원)를 투입했다. 이어 구글 모회사 알파벳(1806억달러), 마이크로소프트(MS·1215억달러), 메타(1034억달러), 오라클(1026억달러) 순이었다. BoA는 936억달러로 6위에 올랐다.그런데 주가에서는 희비가 갈렸다. 애플 주가는 최근 5년 동안 279% 상승했다. 알파벳과 MS 주가는 각각 116%, 221% 상승했다. 메타 주가는 42%, 오라클은 140% 올랐다. 그러나 BoA는 이 기간 주가가 2% 떨어졌다. 자사주 매입액 상위 6개 기업 중에서 BoA 주가만 ‘나 홀로’ 뒷걸음질했다.이는 BoA가 금융회사라 자사주 매입 효과가 일반 상장사와는 다르게 나타나서라는 분석이다. 비금융 상장사는 자사주를 매입하면 유통주식 수가 줄어 주당순이익(EPS)이 늘어나 주가 부양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자기자본이 중요한 은행은 자사주 매입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평가다. 마켓워치는 “은행에 자본은 수익의 원천”이라고 설명했다. 딕 보브 오데온캐피털그룹 애널리스트는 “은행이 자사주를 매입하려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자산을 매각해야 하므로 자사
-
'자사주 소각 의무화'…기업 "재산권 침해" vs 학계 "통제 강화 필요"
금융감독당국의 상장 법인의 자기주식(자사주) 제도 개선 움직임을 두고 기업과 학계 등의 의견이 뚜렷하게 엇갈리는 모양새다. 학계에선 자사주 소각 강제, 보유 비율 규정 등까지 제안이 나온 반면 국내 최대 기업인 모임인 대한상공회의소, 상장사 모임인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등은 “기업의 재산권 침해 소지가 있다”고 맞서고 있다. 금융위 “기업들, 자사주 소각에 소극적…'문제'”지난 5일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서울 여의도동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상장법인의 자기 주식 제도 개선’ 세미나에 참석해 “시장에선 자사주에 대해 ‘효과적 주주가치 제고 수단’이라는 평가와 ‘대주주 경영권 방어 수단’이라는 평가가 서로 엇갈려 공존한다”며 “주주 보호와 기업의 실질적 수요를 균형있게 고려해 개선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금융위가 현행 자사주 제도의 문제점으로 보고 있는 점은 크게 세 가지다. 먼저 인적분할 과정에서 대주주가 자사주에 대한 신주 배정을 허용받아 신설 회사 지배력을 키우는 이른바 ‘자사주 마법’이다. 이를 통하면 대주주가 추가 출연을 하지 않고도 경영권을 확대할 수 있다. 우호 기업간 자사주를 맞교환하면 사실상 본 기업의 의결권이 부활하는 효과가 나 일반 주주의 영향력이 희석된다는 점도 문제라고 보고 있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 기업들이 자사주 소각에 소극적이라는 점도 지적했다. 학계는 ‘자사주 강제 소각’ 등 제안이날 학계에선 기업의 자사주 매입·보유·처분 등에 대해 지금보다 훨씬 강한 규제를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
-
"자사주 제도에 기업 수요 반영"…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5일 상장회사의 자기주식(자사주) 제도 개편과 관련해 “주주 보호와 기업의 실질적 수요를 균형 있게 고려해 개선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김 부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상장법인의 자기주식 제도 개선’ 세미나에서 “시장에선 자사주에 대해 효과적 주주가치 제고 수단, 대주주 경영권 방어 수단이라는 엇갈린 평가가 공존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부위원장의 이날 발언은 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하는 법 개정 논의 과정에 나온 것이어서 주목 받았다. 금융위가 자사주 규제를 강화할 방침을 밝힌 가운데 자문기구인 금융발전심의회는 최근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금융위에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이에 대해 경제계에선 포이즌필(신주인수선택권), 차등의결권 등 기업들의 경영권 방어 제도 개편도 함께 디뤄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금융위는 이날 세미나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이해관계자 의견을 수렴해 하반기 자사주 제도 개선안을 발표할 계획이다.선한결 기자
-
컴투스, 180억 자사주 매입…"주가 올려야"
컴투스가 주가를 끌어올리기 위해 자사주를 매입 후 소각한다.컴투스는 18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신탁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공시했다. 신규로 매입할 자사주 중 전체 발행 주식의 1%에 해당하는 12만8665주를 연내 소각한다.이번 조치는 지난 11일 발표한 ‘주주가치 제고 정책’의 일환이다. 컴투스는 2023년부터 직전 3개년 별도 기준 평균 영업현금흐름(OCF)의 33%를 재원으로 마련해 △주주 배당 실시 △자사주 매입 △매입 자사주의 50% 소각을 진행하기로 했다. 이 방침은 2025년까지 해마다 진행한다.컴투스 측은 “기업 성장과 주주가치 극대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심도 깊은 주주환원정책을 고민해왔다”며 “안정적이고 예측가능한 주주가치 제고 정책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컴투스는 올해 투자 성과 등을 반영해 총 605억 원의 주주가치 제고 정책 재원을 특별 배정했다. 올해 이미 진행한 155억원의 배당과 119억원 어치 자사주 매입을 실시했다.최근 컴투스 주가는 연일 하락세다. 이날 오후 2시55분 기준 컴투스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2.42% 하락한 6만4400원이다.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
800억으로 100조원대 광산 확보?…자사주 매각 앞둔 금양에 무슨 일이
‘배터리 아저씨’ 박순혁 이사가 소속된 금양이 몽골 광산개발 회사 투자 계획을 공시했다. 자사주 매각을 앞두고 호재 공시로 주가 부양에 나선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금양은 몽골 엘스테이 광산 개발권을 소유한 몽라(Monlaa)의 지분 60%를 6000만달러(약 793억원)에 인수하는 양해각서(MOU)를 맺었다고 지난 10일 공시했다. 금양은 공시에서 3년간 예상 영업익이 총 5344억원이라고 밝혔다. 금양 관계자는 몽골의 광물탐사 전문회사 리아피슬라주르 에르데네를 인용해 “해당 광산에 리튬금속 기준 36만t(70조원), 텅스텐 65만t(22조원), 몰리브덴 20만t(12조원), 철 3300만t(9조원), 아연 200만t(6조원) 등 총 118조원 가치의 광물이 매장돼 있다”고 말했다.11일 금양은 장중 한때 22.65%까지 상승했다. 종가는 전일 대비 18.12% 뛴 6만7800원이었다. 거래량은 전날보다 7배 많은 549만3080주였다.박 이사는 그동안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투자금을 확보하고 공매도에 대비하기 위해 자사주를 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다음달 4일 예정된 코스피200 편입 후 공매도 표적이 될 우려가 있기에 자사주를 매각해 주가를 누를 필요가 있다”고 했다.박 이사는 이날 기자와의 통화에서 “당초 몽골 광산개발사가 중국과 같이 하려던 사업을 금양이 어렵게 갖고 온 것”이라며 “국내 2차전지 기업들이 리튬이 부족해서 난리인데 이를 확보했으니 칭찬받을 일”이라고 말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이복현 금감원장이 밝힌 대로 2차전지 테마주를 중심으로 불공정거래 혐의 종목을 주시 중”이라고 했다.배성재 기자
-
최현만 미래에셋證 회장, 자사주 2만9000주 매입
미래에셋증권은 최현만 회장이 자사주 2만9000주를 매입했다고 26일 공시했다.최 회장은 지난 21일부터 이날까지 자사주를 장내 매수했다. 최 회장이 보유한 자사주는 32만9628주에서 35만8629주로 늘었다. 지분율은 0.05%에서 0.06%로 증가했다.미래에셋증권 측은 최 회장이 책임 경영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자사주를 매입했다고 설명했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
-
우리금융, 1000억원 자사주 소각…지주사 출범 이후 처음
우리금융지주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1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소각한다. 자사주 소각은 2019년 지주사 체제 출범이후 처음이다.우리금융은 21일 이사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자사주 취득, 소각을 결의했다.이번 결정은 주주환원 정책을 통해 주주들에게 신뢰 받는 금융그룹을 만들겠다는 임종룡 회장의 의지가 반영됐다고 우리금융은 설명했다.우리금융은 오는 24일부터 6개월에 걸쳐 신탁계약을 통해 자사주를 취득하고, 매입을 완료한 뒤 전량 소각할 계획이다.이번 자사주 매입·소각으로 우리금융은 올해 현금배당을 포함한 총주주환원율 30% 수준 달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우리금융은 지난 3월 정관개정을 통해 분기배당에 대한 기대감도 높였다.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
김기홍 JB금융 회장, 자사주 2만株 또 매입
김기홍 JB금융지주 회장(사진)이 지난 10~11일 자사주 2만 주를 추가 매입했다. JB금융은 김 회장이 회사의 장기적인 성장을 확신하고 책임 경영 의지를 강조하기 위해 자사주를 매입했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취임 직후인 2019년 5월부터 이번 매입까지 모두 다섯 차례 매수를 통해 12만500주의 자사주를 보유하게 됐다.김 회장은 국내 7개 상장 은행 금융지주 최고경영자(CEO) 가운데 가장 많은 자사주를 갖고 있다. 김태오 DGB금융 회장(5만 주)과 빈대인 BNK금융 회장(3만1885주) 등 지방금융 지주는 물론 윤종규 KB금융 회장(2만1000주)과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1만3917주),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1만132주) 등 4대 금융지주 CEO와 비교해서도 많다. 지난달 취임한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은 아직 자사주를 매입하지 않았다.김보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