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권사 2분기 순익 2.8조…현대차·다올·한양 '약진'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등 증권사들이 증시 활황에 힘입어 지난 2분기에도 호실적을 거뒀다. 상대적으로 부진한 중소형사도 상장지수펀드(ETF) 관련 운용 성과 등의 수혜를 톡톡히 봤다.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증권사 60곳의 당기순이익은 총 2조8502억원으로 집계됐다. 전 분기보다 16.7% 증가한 수치다. 1년 전과 비교하면 60% 급증했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3.1%로, 전 분기 대비 0.4%포인트 상승했다.전체 수수료 수익은 3조8507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14.4% 증가했다. 주식 거래대금이 포함된 수탁수수료가 17.6% 늘어난 1조9037억원으로 파악됐다. 기업금융(IB) 부문은 채무보증과 인수합병(M&A) 거래 증가에 힘입어 전 분기 대비 14.5% 늘어난 1조809억원에 달했다.자기매매손익은 3조2444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3.4% 증가했다. 증권사가 보유한 주식·채권·파생상품을 직접 운용해 얻은 수익이다. 현대차증권 다올투자증권 한양증권 등 중소형사의 약진이 돋보였다. 대형사(자기자본 1조원 이상 20곳)의 자기매매손익은 2조8260억원으로, 전 분기와 비슷했으나 중소형사는 4158억원으로 34.1% 급증했다. ETF 등 펀드 관련 수익이 크게 늘었다.박주연 기자
-
ETF 늘리고 수수료 인하…은행 퇴직연금 경쟁
은행권의 퇴직연금 고객 유치전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퇴직연금에서 거래할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을 대폭 늘려 개인투자자의 관심을 끌려는 시도가 줄을 잇는 분위기다. 국내 은행의 퇴직연금 ETF 잔액은 올 들어서만 3조5000억원 이상 불어났다. 은행들은 연이어 고액 자산가의 개인형퇴직연금(IRP) 수수료를 없애는 등 저렴한 수수료를 내세운 영업 경쟁에 한창이다. ◇은행 퇴직연금 ETF, 8兆 눈앞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국내 은행 퇴직연금의 ETF 잔액은 7조8809억원으로 지난해 말(4조2345억원)보다 86.1% 급증했다. 하나(2조1053억원), 신한(1조9097억원), 우리(1조2459억원), 국민(1조2142억원) 등 4대 은행의 증가세가 가팔랐다.퇴직연금으로 매매할 수 있는 ETF를 빠르게 늘린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 나온다. 7월 말 기준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은행은 각각 150~200개의 ETF 상품을 퇴직연금용으로 취급 중이다. 미래에셋증권(874개) 등 대형 증권사와 격차가 크지만,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ETF 상품을 다양화하면서 거래 편의성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개인뿐 아니라 법인 고객을 상대로도 이런 변화를 강조해 영업 중”이라고 설명했다.은행들은 이 같은 전략을 앞세워 퇴직연금 규모를 불려가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6월 말 국내 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총 235조5616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9조7932억원(증가율 4.3%) 늘었다. 확정급여(DB)형이 3394억원 줄었음에도 ETF 투자가 가능한 확정기여형(DC형·2조4058억원)과 IRP(7조7268억원)가 증가한 덕분이다.증권사 퇴직연금 적립금(112조6121억원)도 DC형과 IRP에서 증가한 데 힘입어 올 들어 8조6864억원
-
금감원장, MBK 정조준한 뒤 "국민연금과 협력 강화" 지시
금융감독원이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MBK파트너스에 대한 재조사에 나서며 제재 절차에 착수했다. 2015년 홈플러스 인수 과정에서 발행된 상환전환우선주(RCPS)를 핵심 쟁점으로 삼아, 국민연금을 사실상 전면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모양새다. 투자자 보호와 사모펀드(PEF) 운용 행태 개선이라는 명분이지만, 과도한 규제로 인해 국내 PEF 시장 자체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이찬진 금감원장은 지난달 26일 정기 임원회의에서 “국민연금과 협업을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국민연금이 소액주주 권리 강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주주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발언도 덧붙였다. 국민연금 주무 부처인 보건복지부도 이 같은 발언 사실을 공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정기 임원회의는 금감원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통상 기관 운영과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다. 내부 회의 발언이라 해도 기관장이 직접 국민연금과의 공조를 공개 지시한 것은 의미가 크다. 홈플러스 인수 자금의 일부를 책임졌던 국민연금이 피해자로 부각될수록 MBK의 불건전 행위 입증은 수월해질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금감원이 주목하는 핵심은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 인수 당시 발행한 RCPS다. RCPS는 만기 상환권과 보통주 전환권이 결합된 증권으로, 채권과 주식의 성격을 동시에 가진다. MBK는 2015년 홈플러스 인수 자금 마련을 위해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RCPS를 발행했고, 국민연금은 여기에 5826억원을 투자했다. 조건은 만기 5년에 배당 3%, 만기이자율 연 복리 9%로 저금리 기조 속에서 ‘파격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문제는 올해 2월 홈플
-
금융위, 5개 증권사 발행어음 인가 심사 지속 결정
금융위원회가 증권사 5곳(삼성·메리츠·신한투자·하나·키움)에 대한 4조 원 이상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 지정 및 발행어음 업무 인가 심사를 진행한다. 금융감독원이 일부 증권사에 대해 심사를 중단해야한다는 의견을 냈지만,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29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안건소위원회는 전날 회의에서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발행어음 인가 심사 관련 중간 경과보고를 받은 뒤 이같이 결정했다.앞서 금감원은 키움증권을 제외한 삼성·메리츠·신한투자·하나증권에서 사법 리스크가 있는 만큼 심사를 중단해야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자본시장법 시행령 등에 따르면 금융투자업 인가등록 심사시 본인 또는 대주주 대상의 형사소송이나 금융위·검찰 등 조사·검사가 진행되는 경우에는 관련 절차가 끝날 때까지 심사를 중단할 수 있다. 심사재개 여부는 6개월마다 검토한다.그러나 금융위원회는 정부의 정책 목표인 모험자본 공급 확대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5곳 모두 심사를 이어가기로 했다. 향후 제재 수위에 따라 심사 중단 여부를 다시 판단하겠다는 취지다.금융위의 판단에 따라 금감원은 바로 5개사에 대한 인가 심사를 이어가게 된다. 금융위가 모험자본 공급에 대한 의지를 내보이면서 증권사에서도 기대가 높은 상황이다. 발행어음 발행이 가능한 자기자본 4조원 이상 종투사로 인가받은 증권사는 2017년 이후 없었다.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지난 27일 증권선물위원회 정례회의에서 “증선위는 시장 검사자인 동시에 시장의 파트너”라며 “자본시장을 통해 적극적인 모험자본 공급이 이뤄질 수 있도록
-
새마을금고 '깜깜이 공시' 사라진다
다음달부터 전국 1267개 새마을금고의 경영 현황을 한눈에 비교·분석할 수 있다. 새마을금고의 ‘깜깜이 공시’로 금융소비자의 정보 접근이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행정안전부와 새마을금고중앙회가 통합 공시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하면서다.▶본지 2024년 6월 13일자 A1, 8면 참조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이르면 다음달 초 ‘새마을금고 통합재무정보시스템’을 선보일 계획이다. 시스템에선 1267개 단위 금고의 순이익, 고정이하여신비율, 유동성 비율 등 정보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금고별 실적과 특정 금고의 실적 추이를 시계열로 분석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새마을금고는 다른 상호금융기관과 마찬가지로 반기별로 실적을 공개하는데, 다음달 초 오픈하는 시스템에선 2012년부터 올해 상반기 실적까지 공개된다.지금까지 새마을금고는 일반 금융회사와 달리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경영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다. 각 단위 금고의 실적을 비교하기 위해선 새마을금고중앙회 홈페이지에서 일일이 공시를 열어야 해 정보 접근성이 크게 떨어졌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금감원의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준하는 통합 공시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말했다.다른 업권과 비교해 미비한 공시 항목도 보완하기로 했다. 각 단위 금고가 매 반기 공개하는 정기공시 항목에 공시 책임자, 비업무용 부동산 보유 현황, 리스크 관리 현황 등이 새로 담길 예정이다.서형교 기자
-
5개월만에 이례적 재조사…금감원, '저인망 훑기'로 MBK 압박
금융당국이 검찰 수사가 진행되는 와중에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에 대한 재조사를 결정한 건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새 정부 출범 이후 검찰 인사·특검 파견 등이 겹치며 수사가 정체된 사이 당국이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주도로 MBK 압박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홈플러스 인가 전 인수합병(M&A)에는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된다. 2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날 오전 종로구 MBK파트너스 사무실에 조사 인력을 보내 공동 현장 조사를 벌였다. 지난 3월 홈플러스 기업회생 신청과 유동화 전단채(ABSTB) 발행 경위 등에 대한 검사에 착수한 지 5개월 만이다. 당시 금감원은 홈플러스 경영진이 신용등급 하락을 예상하고 전단채를 발행하는 등 회생 신청을 사전에 기획한 정황을 발견했다며 김병주 회장을 비롯한 MBK 관계자들을 긴급조치(패스트트랙) 방식으로 검찰에 통보했다.홈플러스 전단채 사기발행 혐의는 현재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이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3부는 지난 4월 MBK 서울 사무실과 홈플러스 본사, 관계자 자택 등을 압수수색했다. 국세청과 공정거래위원회도 MBK를 '정조준'했다.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은 세무조사를 벌였고, 공정거래위원회도 MBK와 홈플러스, 롯데카드 간 부당 내부거래 의혹을 파헤쳤다. 사실상 검찰을 포함한 국내 거의 모든 사정기관이 MBK를 조사했다.온갖 사정기관이 훑고간 뒤 금융당국이 동일 사안·대상자에 대해 재조사를 벌이는 건 수장의 강력한 의지가 없으면 불가능한 일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찬진 금감원장은 최근 임원회의에서 'MBK 관련
-
역대급 쪼개기 발행에 수상한 '부동산·CB' 맞거래까지 [로봇개 의혹②]
고스트로보틱스테크놀로지가 2023년 1400억원 넘는 자금을 조달한 건 이례적인 일이다. 자본금 1억원의 신생 비상장사가 이런 거액을 끌어모은 것 자체가 전례를 찾기 어렵다. 로봇 원천 기술을 가진 것도 아니었고, 미국 고스트로보틱스과 3년간 국내 총판 계약을 맺었을 뿐이었기 때문이다. 고스트로보틱스테크놀로지가 넉넉한 실탄을 가지고 인수한 코스닥 기업에서도 수상한 자금흐름이 포착된다. 한 주얼리 업체는 이 코스닥 기업에 부동산 자산을 넘기는 대신 전환사채(CB) 투자에 나섰다. 매각은 주변 시세보다 훨씬 높은 가격에 이뤄졌다.금융감독원은 고스트로보틱스테크놀로지 관련 자본시장법 위반 조사를 진행했다. 하지만 불법 자금모집을 도운 핀플루언서만 집중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스트로보틱스가 6개월 동안 17차례나 쪼개서 사모 전환사채(CB)를 발행해 전형적인 공모 규제 회피한 혐의가 있지만 제대로 조사가 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복현 금감원장 시절, 로봇개의 대통령실 공급 관련 김건희 여사가 등장하는만큼 ‘봐주기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주얼리 업체의 수상한 투자2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고스트로보틱스가 2023년 케이알엠(옛 다믈멀티미디어) 인수하면서 주요 투자자로 제모피아인베스트가 등장한다. 주얼리 도소매업체이자 부동산 투자사로 지난 정부 시절 급성장한 회사다. 2023년 7월 제모피아인베스트는 케이알엠 CB 140억원치를 인수하고, 이와 별개로 고스트로보틱스테크놀로지한테서 케이알엠 CB 150억원어치를 추가로 사오기도 했다. 고스트로보틱스테크놀로지한테서 가져온 CB 전환가는 5689원으로 당시
-
[단독] '금융소비자보호원 신설'…반대 입장 내비친 이찬진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사진)이 금감원에서 소비자보호 기능을 분리해 금융소비자보호원을 신설하는 조직개편안에 반대 입장을 내비쳤다. 이재명 대통령 최측근으로 알려진 이 원장이 이 같은 입장을 금감원 내부에 공유하면서 금융감독체계 개편 논의가 당분간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 원장은 최근 일부 금감원 임직원에게 “금감원에서 금소원을 분리하는 건 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해 적절하지 않다”는 취지로 언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4일 취임한 이 원장이 금융당국 조직 개편과 관련해 목소리를 낸 건 이번이 처음이다.이 원장은 내부 직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금소원을 분리하면 소비자 보호 기능이 오히려 약화할 수 있다고 우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감독과 소비자 보호 업무가 완전히 단절되면 업권별 소비자 보호 이슈에 대한 직원들의 이해도와 전문성, 장악력 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조직이 분리되면 소관 기관이 모호해져 소비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금감원 안팎의 지적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새 정부 출범 후 국정기획위원회는 금감원의 금융소비자보호처를 떼어내 금소원을 신설하는 내용의 조직 개편을 논의해왔다. 금융 소비자 권익 확대를 위해선 독립된 조직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다. 이 원장은 국정기획위 사회1분과장으로 활동했다.이 대통령의 사법연수원 동기이자 변호인 출신인 이 원장이 신임 금감원장으로 부임한 이후 그동안 금융권에선 조직 개편 가능성을 놓고 해석이 분분했다. 이 원장이 취임사에서 “소비자보호처의 업무체계 혁신과 전문성·효율성 제고에 힘쓰겠다”고 강조한 것
-
4년째 결론 못낸 홍콩 ELS 과징금…금감원, 이르면 내달 제재심 연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취임 후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불완전판매와 관련한 은행권 과징금 부과 절차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2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르면 다음달 홍콩 H지수 ELS 판매 은행에 과징금을 부과하는 안건을 제재심의위원회에 부의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르면 다음달, 늦어도 하반기 중 제재심에 올리기 위해 각 검사국에서 조치안 작성을 서두르는 중”이라고 밝혔다.홍콩 H지수 ELS 사태는 은행권의 고위험 상품 불완전판매로 소비자가 대규모 손실을 본 사건이다. 2020년 말께부터 이뤄진 이 상품 판매에 대한 과징금 부과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상태다. 올해 말부터 일종의 공소시효에 해당하는 제척기간(판매 후 5년) 만료를 앞두고 있어서다. 이에 금융위는 지난달 정례회의를 통해 금융소비자보호법상 모호한 과징금 부과 기준을 수수료가 아니라 투자 원금(판매액)의 50% 이내로 봐야 한다며 방향을 제시했다.과징금 결정 과정에서 금융당국이 은행권의 자율 배상을 얼마나 참작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5대 은행의 H지수 ELS 판매액은 총 15조원이 넘는다. 은행별로는 국민은행이 8조1972억원으로 가장 많다. 신한은행과 농협은행이 각각 2조4000억원과 2조2000억원, 하나은행 2조원, 우리은행 400억원 수준이다. 현행법상 최대 과징금 규모가 총 8조원에 달하는 셈이다.다만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령 등에 따르면 피해 배상 정도 등에 따라 과징금 경감이 가능하다. 은행권은 1조3000억원 규모의 자율 배상을 실시했다. 향후 열리는 제재심에서 은행권은 치열한 법리 다툼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과징금은 금감원 제재심 이후 금융위에서 최종 확정한
-
7월 기업 직접금융 조달 28조원...주식 발행금액 11배 급증
지난달 기업들이 주식 및 회사채 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이 28조원을 넘어서며 전월보다 크게 늘었다. 조(兆) 단위 유상증자 등이 이뤄지며 주식 발행금액이 급증한 영향이다.2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7월 기업 직접금융 조달 실적’에 따르면 기업이 발행한 주식 및 회사채 공모 발행금액은 28조2484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달 대비 4조2943억원(17.9%) 증가했다.주식 발행금액은 4조8135억원으로 전월 대비 4조4212억원(1127%) 급증했다. 전월 대비 기업공개(IPO)가 4142억원(444.2%), 유상증자는 3조9070억원(1412.9%) 증가했다. 대한조선 IPO(공모금액 4000억원)을 비롯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2조9188억원), 포스코퓨처엠 유상증자(1조1070억원) 등 대규모 거래가 반영되며 증가세가 가팔랐다.회사채 발행금액은 지난달 23조4349억원으로 전월 대비 1269억원(0.5%) 감소했다. 금융채 발행은 증가했지만 일반회사채 및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이 감소한 영향이다.일반 회사채는 2조9780억원으로 4480억원(13.1%) 감소했고, ABS도 1조950억원으로 1조6726억원(60.4%) 줄었다. 금융채는 19조3619억원으로 전월 대비 1조9937억원(11.5%) 증가했다.일반 회사채의 경우 차환 목적의 회사채 발행 비중이 93.%로 전월 대비 35.8%포인트(p) 상승했다. 운영자금과 시설자금 목적 발행 비중은 각각 7%와 0%에 불과했다.7월말 기준 전체 회사채 잔액은 725조5888억원으로 전월 대비 5조3744억원(0.7%) 증가했다. 일반 회사채 상환금액(3조6160억원)이 발행금액(2조9780억원을 초과해 순상환이 이뤄졌다.상반기 기업어음(CP) 및 단기사채 발행금액은 138조8654억원으로 전월 대비 14조9945억원(13%) 증가했다. CP 발행금액는 46조4985억원으로 18.9% 늘었고, 단기사채
-
2분기 보험사 연체율·부실채권비율 급등
‘홈플러스 사태’ 영향으로 올해 2분기 보험회사의 기업대출 연체율과 부실채권 비율이 모두 급등했다.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보험회사 대출채권 잔액은 265조4000억원으로, 전분기 말 대비 2조4000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가계대출이 134조4000억원, 기업대출이 131조원이다.기업대출 연체율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6월 말 기준 보험회사 대출채권 연체율은 0.83%로, 전분기 말 대비 0.17%포인트 올랐다. 기업대출 연체율이 0.85%로 전분기 말 대비 0.25%포인트 급등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80%로 전분기 말 대비 0.01%포인트 소폭 상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기 회복 지연 및 홈플러스 연체 발생 등으로 연체율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했다.고정이하여신 비율은 1.0%로 전분기 말 대비 0.08%포인트 상승했다.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다.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로 해당 대출채권이 전액 고정으로 분류된 영향으로 풀이된다.신연수 기자
-
5년간 증권사 전산사고 429건, 금감원 "재발 않도록 전사적 대응"
금융감독원이 증권업계에 주식 거래 인프라의 안전성을 높여달라고 당부했다. 최근 잇따른 전산사고로 인한 투자자 불안을 해소하고 자본시장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서다.금융감독원은 25일 서울 여의도 본원 강당에서 증권사, 금융투자협회, 금융보안원 등 약 150명이 참석한 가운데 ‘자본시장 거래안전성 제고’ 워크숍을 개최했다.이번 행사는 전산사고에 따른 투자자 피해를 방지하고, 시장 불신을 해소하기 위한 거래 안전성 강화 방안 등 주요 이슈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서재완 금융투자 담당 부원장보는 모두발언에서 “반복되는 전산사고는 투자자 보호 실패로 이어지고, 증권사의 평판 리스크와 자본시장 불신을 초래하는 엄중한 사안”이라며 “거래 안전성 확보를 위해 CEO 등 경영진의 각별한 관심과 전사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금감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증권사에서 발생한 전자금융사고는 429건에 달했다. 2020년 66건에서 2024년 100건으로 늘어나 매년 발생건수가 증가하는 추세다.특히 금융권 전자금융사고 피해액 294억6000만원 가운데 증권사에서 비롯된 금액이 262억5000만원(89%)으로 집게됐다. 사고 대부분은 프로그램 오류나 시스템 성능 부족에서 비롯됐다.금감원은 대규모 전산장애, 불충분한 IT 내부통제, 고위험군 증권사 관리 미흡, 개인정보 보호 실패 등을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꼽았다.대응 방안으로는 리스크에 따라 맞춤형 대응수단을 적용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구체적으로 △상시감시 강화 △신속 정보 공유 △IT 감사 가이드라인 정착 △고위험사 집중 관리 △적시 검사·제재 △자율시정 체계 활성화 등을 제시했다. 이어 KB증권과
-
금융 상장사, XBRL 주석 제출 완료…금감원 "정보 접근성 향상"
금융업 상장사들이 올해부터 적용된 '국제표준전산언어(XBRL) 기반 주석 공시'를 기한 내 모두 제출했다. 금감원은 외국인 투자자들이 금융사의 영문 주석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투자 접근성이 좋아질 것으로 바라봤다.금융감독원은 XBRL 주석 제출 대상으로 편입된 개별자산총액 10조원 이상 금융업 상장사 28곳이 제출기한 내에 정상 제출했다고 24일 밝혔다.이번에 XBRL 주석을 제출한 곳은 KB·신한·우리·하나금융지주 등 금융지주 4곳과 중소기업은행·카카오뱅크 은 2곳이 포함됐다. 미래에셋증권·한국투자증권 등 10개 증권사, 삼성생명·한화생명 등 생명보험사 4곳, 삼성화재·현대해상 등 손해보험사 7곳, 삼성카드 등도 대상이다.XBRL은 기업의 재무 정보를 구조화된 데이터 형태로 수집·유통해 쉽게 재무 정보를 작성·분석하도록 개발한 국제표준 전산언어다. 금융업에 적용된건 이번이 처음이다. 내년부터는 자산 2조원 이상 금융사도 XBRL 주석을 제출해야 한다.비금융업의 경우 자산규모 2조원 이상인 상장사부터 2023년도 사업보고서부터 재무제표 주석을 XBRL로 제출했다. 올해 자산 5000억원 이상인 상장사로 제출 대상이 확대됐다.금감원은 “금융업 첫 XBRL 주석 공시는 기업의 적극적 참여와 금감원 및 유관기관의 교육 및 시범제출 지원 등으로 원활하게 시장에 안착했다”고 평가했다.금감원은 금융업 상장사가 XBRL 주석을 미리 제출할 수 있는 시범 제출 시스템을 운영했다. 제출한 XBRL 주석에 대해 상세한 피드백을 제공해 미흡사항을 보완했다는 설명이다. 일부 금융업 상장사는 회계법인 등 별도 도움 없이 XBRL 주석을 직접 작
-
[단독] "韓 밸류업 의지 있나"…글로벌 IB 대거 방한
JP모간, 모건스탠리 등 글로벌 투자은행(IB) 관계자가 다음달 대거 한국을 찾는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 4대 금융지주 회장 등과 연쇄 회동하기 위해서다. 최근 국민성장펀드와 배드뱅크 출자, 교육세율 인상 등 금융권을 향한 정부의 전방위적 압박에 따른 영향과 시장 상황을 점검할 것으로 알려졌다.19일 금융권에 따르면 JP모간과 모건스탠리가 해외 투자자 수십 명을 이끌고 다음달 말 한국을 찾는다. 이들은 양종희 KB금융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과 만나기로 했다. 주요 생명보험사 및 손해보험사 최고경영자(CEO), 최고재무책임자(CFO) 등과도 만날 예정이다. 금융회사뿐만 아니라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당국 고위 관계자와 면담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매년 초 글로벌 IB의 정례적인 방한과 달리 이번처럼 9월에 대규모 해외 투자자들이 방한하는 것은 이례적”이라며 “정부의 압박 수위가 높아지자 이에 따른 리스크를 직접 확인하기 위해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해외 투자자 사이에서 이재명 정부의 금융권 압박을 두고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규모 채무 탕감부터 전례 없는 교육세율 기습 인상까지 금융사의 수익성과 경쟁력을 약화하는 조치가 잇달아 튀어나오면서다.외국인 지분율이 높은 금융지주사는 이미 비상 상황이다. 관련 영향과 향후 대응 방안을 묻는 국내외 투자자의 질의가 쏟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4대 금융지주의 한 임원은 “향후 이익·자본 비율 감소치부터 최근 임명된 금융감독 수장에 대한 우려 등 구체적인 질문이 빗발쳐 대응에 애를 먹고 있다&r
-
이찬진 "상생지수 도입해 모험자본 활성화"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은 취임 일성으로 금융사들의 중소기업 지원을 계량화한 ‘중소기업 상생지수’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정부의 핵심 금융 정책인 ‘생산적 금융’을 뒷받침하기 위해 모험자본을 통한 자금 공급을 확대하겠다는 취지다. ‘비금융 전문가’라는 시장의 우려에 대해선 “시장의 불안정을 초래할 만한 어떠한 액션도 당장 나오진 않을 것”이라고 했다. ◇가계부채와의 전쟁 선포14일 취임한 이 원장은 감독 방향에 대해 “모험자본 공급 펀드 중소기업 상생지수 등을 도입해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모험자본 공급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중기 상생지수는 은행들이 대출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에 얼마나 기여했는지 평가하는 것이 핵심이다. 여신 확대를 유도해 중소기업의 성장을 돕겠다는 취지다. 여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도 최근 금융권의 국정과제 참여 유도를 위해 상생지수 도입을 제언한 바 있다. 은행별 중소기업 대출을 비교하는 것에 대해 일각에서 ‘줄 세우기’ 비판이 제기되고 있지만, 취임 첫 목표로 상생지수를 꺼내든 셈이다.이재명 대통령이 ‘패가망신’을 언급하며 근절하겠다고 한 주가조작에 대해선 “시장 질서와 공정을 훼손하는 행위에는 무관용 원칙으로 엄정히 대응하겠다”고 잘라 말했다. 또한 “최근 국회에서 통과된 상법 개정안의 성공적인 안착을 지원해 대주주와 일반주주 모두의 권익이 공평하게 존중받을 수 있는 질서를 잡아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새 정부 출범 후 이어져 온 ‘가계부채와의 전쟁’도 지속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는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