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MBK, 코웨이 지분 3700억어치 매각

    국내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가 코웨이 보유지분(31.2%) 가운데 일부인 3700억원어치를 매각한다.1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코웨이홀딩스는 이날부터 16일 주식시장 개장 전까지 코웨이 주식 378만438주(5.0%)를 시간외 대량매매(블록딜) 방식으로 팔기 위해 기관투자가를 상대로 수요예측에 나섰다. 코웨이홀딩스는 MBK파트너스가 코웨이를 인수하기 위해 설립한 특수목적회사(SPC)다.매각 예정 가격은 이날 종가(10만5000원) 대비 3.8~6.7% 할인된 9만8000~10만1000원이다. 총 3705억~3818억원 규모다. 매각 주관사는 골드만삭스가 단독으로 맡았다.MBK파트너스는 블록딜 이후 1년 동안 코웨이 지분을 매각하지 않기로(록업) 블록딜 투자자에게 약속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지분매각이 성공하면 MBK파트너스가 보유한 코웨이 지분은 31.2%에서 26%가량으로 낮아진다.MBK파트너스는 2013년 1월 코웨이 지분 30.9%를 1조1900억원에 인수한 바 있다. 2013년 이 회사를 인수한 MBK는 2015년 재매각에 나섰지만 무산됐다. 하지만 실적이 향상되는 추세를 보여 올 들어서만 주가가 18.91% 오르는 등 몸값이 치솟고 있다.김익환/임도원 기자 lovepen@hankyung.com

  • '2조 베팅' MBK, 대성산업가스 품는다

    '2조 베팅' MBK, 대성산업가스 품는다

    국내 2위 산업용 특수가스 제조업체 대성산업가스를 국내 최대 사모펀드(PEF) MBK파트너스가 인수한다.1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대성산업가스 매각주관사인 골드만삭스가 추진하고 있는 경매호가방식(프로그레시브) 입찰에서 MBK파트너스가 2조원(부채 7500억원 포함)에 육박하는 인수가를 제시해 경쟁자인 미국계 사모펀드 텍사스퍼시픽그룹(TPG)을 따돌렸다. 매각 측은 이르면 이번주 MBK파트너스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계약서 작성을 위한 세부 협상에 들어갈 전망이다.매각 대상은 골드만삭스 계열 사모펀드인 골드만삭스PIA(48.45%)와 대성합동지주(40%) 등이 보유한 대성산업가스 지분 100%다.대성산업가스는 철강 석유화학 반도체 액정표시장치(LCD) 등 전방 산업에 산업용 가스를 제조·공급하는 회사다. 2015년 매출 5811억원에 영업이익 539억원을 올렸다. 현금창출능력을 나타내는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지난해 15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지난해 말 41억달러(약 4조8000억원) 규모의 4호 아시아 펀드를 조성한 MBK파트너스는 이달 초 본입찰에 참여한 TPG와 퍼시픽얼라이언스그룹(PAG) 등 해외 대형 사모펀드들을 제치고 대성산업가스를 인수해 다시 한 번 존재감을 과시했다. MBK파트너스는 2015년 영국 테스코로부터 홈플러스를 7조2000억원에 사들이는 등 국내 조(兆)단위 바이아웃(경영권 인수) 거래를 휩쓸고 있다. IB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사모펀드들의 국내 대형 바이아웃 시장 진입을 차단하기 위해 MBK파트너스가 또 한번 통 큰 베팅을 했다”고 평가했다.40억달러 규모로 아시아 7호 펀드를 조성하고 있는 TPG는 한국에서 조단위 투자 능력을 출자자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이번 인

  • MBK, 4조 규모 4호 PEF 추진…동북아 대표 운용사 꿈꾼다

    MBK, 4조 규모 4호 PEF 추진…동북아 대표 운용사 꿈꾼다

    국내 최대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MBK파트너스가 3조~4조원 규모 신규 펀드 조성 작업(펀드레이징)에 착수했다. MBK가 투자금 유치에 성공하면 15조원 안팎의 자산을 운용하는 동북아 대표 PEF 운용사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상된다.☞이미지 크게보기◆4만여명 ‘관리’하는 39명의 운용역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김병주 회장 등을 비롯한 MBK 경영진은 해외 펀드투자자(LP)를 대상으로 4호 펀드 투자금을 유치하겠다는 의사를 타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펀드 규모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내부적으로 3조~4조원 수준이 거론되고 있다. 본격적인 투자금 유치 활동은 이르면 올 연말부터 시작할 전망이다.이런 상황은 MBK의 해외 LP들이 국내 LP에게 MBK의 과거 투자 실적 및 향후 전략 등에 대해 평판 조회를 하는 과정에서 국내에 알려졌다. MBK 측 관계자는 “60% 안팎인 3호 펀드 자금 소진율이 70%를 넘어서면 4호 펀드 조성 작업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사전 마케팅 활동에 나선 것으로 해석했다. 2013년 26억7000만달러(약 3조원) 규모 3호 펀드를 조성한 지 약 3년 만에 새로운 펀드를 설립하는 것이다.MBK가 4호 펀드 조성에 성공하면 운용자산 15조원 안팎의 동아시아 대표 PEF 운용사로 발돋움하게 된다. 2005년 설립된 MBK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 지역의 대기업 경영권을 인수하는 바이아웃(경영권 매매) PEF 운용사를 표방하고 있다. MBK가 지난 3년간 국내에서 인수한 기업만 하더라도 ING생명(1조8000억원), 홈플러스(7조6800억원), 두산공작기계(1조3600억원) 등 총 10조8400억원(대출 포함)에 이른다.MBK에 따르면 MBK 운용 인력은 39명에 불과하다. 이런 소수의 운용역이 총 24개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