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우·위츠, IPO 추진…증권신고서 제출
2차전지 부품업체인 성우와 전력업체인 위츠가 나란히 코스닥 시장 상장 작업에 착수했다. 성우는와 위츠는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시장 입성 절차에 본격 절차에 본격 돌입했다고 12일 발표했다. 1992년 설립된 성우는 원통형 이차전지 부품, 에너지저장장치(ESS) 부품, 차량용 전장부품을 생산하고 있다.성우는 2016년부터 글로벌 기술정보(IT) 기업에 무선 이어폰용 초소형 원통형 배터리 부품 'S4623'을 공급하고 있다. 2018년부터는 글로벌 전기차 기업에 '탑캡 어셈블리' 부품을 공급 중이다.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은 1466억원이다.성우는 이번 기업공개(IPO)에서 300만주를 공모할 예정이다. 희망 공모가액은 2만5000원~2만9000원이다. 예상 시가총액은 3761억~4363억원이다. 수요예측은 10월 10~16일, 일반 청약은 21~22일 진행한 뒤 같은 달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상장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전력전송 솔루션 기업 위츠도 이날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한 본격적인 공모 절차에 돌입했다. 희망 공모가 범위는 5300원~6400원, 시가총액은 658억~794억원이다. 오는 10월 28일부터 11월 1일까지 기관 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 공모가를 확정한 뒤 11월 7일과 8일 이틀 동안 공모주 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상장 주관사는 신한투자증권이다.배정철 기자 bjc@hankyung.com
-
노브랜드, K2·네파 아웃도어 제조업체 260억에 인수
올해 5월 증시에 입성한 글로벌 의류 제조업자개발생산(ODM)업체 노브랜드가 사모펀드(PEF) 운용사 이스트브릿지파트너스로부터 아웃도어 의류업체인 유니코글로벌아이앤씨(이하 유니코)를 인수한다. …노브랜드는 10일 이사회를 열고 유니코 지분 100%(주식 45만8000주)를 인수하는 안건을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인수금액은 회사가 보유한 현금으로 마련한다. 인수 예정일은 다음달 2일이다. 노브랜드 관계자는 취득 목적에 대해 "아웃도어 업체 인수로 실적을 끌어올리고, 새 고객사를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1994년 출범한 노브랜드는 유명 패션 브랜드의 의류 디자인과 생산을 담당하는 ODM 기업이다. 자체적으로 의류를 디자인하고 원단을 개발해 납품한다. 월마트와 타깃 등 유통업체의 패션 자체브랜드(PB) 상품을 생산 중이다. 갭과 H&M, 리바이스 등 글로벌 패션 브랜드까지 다양한 의류 제품도 공급하고 있다. 2020년부터 패션기업 F&F와 손잡고 MLB의 의류를 생산한다. 올 상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으로 각각 2732억원, 131억원을 올렸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 180% 증가했다. 이 회사는 지난 5월 코스닥에 상장하는 과정에서 신주를 발행해 168억원을 조달했다. 상장 자금을 활용해 이번 인수를 진행한 것으로 풀이된다. 유니코는 2016년 사모펀드(PEF) 운용사 이스트브릿지파트너스가 700억원에 인수했다. 2005년 출범한 유니코는 등산복과 스포츠용 의류 등을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생산한다. K2 아이더 네파 등에 납품하고 있다. 콜롬비아 엘엘빈 잭울프스킨 등 글로벌 기업에도 제품을 공급 중이다. 베트남 하노이 외곽에 공장을 운영 중이다.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으
-
동국제약 자회사 동국생명과학,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승인
동국제약 자회사 동국생명과학이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한 승인을 받았다.동국생명과학은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상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상장 예비 심사에서 승인을 받았다고 30일 밝혔다. NH투자증권이 대표 주관사, KB증권이 공동 주관사다.이 회사는 2017년 5월 동국제약에서 조영제 사업 부문이 물적분할해 설립됐다. 엑스레이(X-ray) 조영제 ‘파미레이(Iopamidol)’와 MRI 조영제 ‘유니레이(Gd-DOTA)’가 주요 제품이다.조영제는 영상진단 검사 또는 시술을 앞두고 특정 조직이나 혈관이 잘 보일 수 있도록 투여하는 약물이다. 동국생명과학이 국내 조영제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국내 조영제 시장은 지난해 말 기준 약 5000억원 규모다. 고령화 사회 진입으로 만성질환이 증가하면서 조영제 시장은 그 규모가 더욱 커질 것으로 동국생명과학은 전망했다.동국생명과학은 조영제 원료 합성부터 완제품 생산까지 가능한 국내 유일한 곳이다. 이 밖에 초음파, 이동형 CT, 유방 촬영기 등 영상 진단 장비와 인공지능(AI) 사업 등을 하고 있다.이번 상장을 통해 확보한 자금을 토대로 AI, 바이오로직스, 체외 진단 등 성장성이 큰 의료기기 시장에 대한 진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바이오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신약 파이프라인 확보, 인공지능(AI) 사업 협력 강화 등을 통해 글로벌 헬스케어 선도기업으로 도약하겠단 목표다.박재원 동국생명과학 대표는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영상진단의학에 대한 수요도 함께 늘면서 조영제에 대한 중요성도 더불어 높아지고 있다”며 “동국생명과학은 앞으로 종합 영상진단 분야에서 선두기업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할
-
듀켐바이오,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청구서 제출
듀켐바이오가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청구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했다고 27일 밝혔다. 코넥스에서 코스닥으로 이전 상장을 위한 절차를 본격화한다.이번 코스닥 이전 상장은 기업 가치 제고와 자금조달 및 주식 유동성 확보를 위해 추진됐다.듀켐바이오는 2009년부터 방사성의약품 제조소를 운영했다. 2014년 코넥스에 진출하며 시장 확대를 위한 인프라와 인력을 구축하고 제품군을 확대하며 기업 가치를 높일 수 있는기반을 다져왔다.그동안 꾸준히 제조 시설과 유통망 구축에 집중한 듀켐바이오는 현재 우수 의약품 제조·관리 기준(GMP) 제조소를 포함해 전국에 국내 최다인 12곳의 방사성의약품 제조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치매, 파킨슨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 진단제, 암 진단제 등 경쟁력 있는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실제 실적 또한 꾸준히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듀켐바이오의 매출액은 2021년 109억원, 2022년 324억원, 2023년 347억원이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38.7% 증가한 52억원을 기록했다.특히 치매 진단 방사성의약품 분야에서는 시장점유율 90%이다. 올해 에자이와 바이오젠의 레켐비 국내 승인에 이어 일라이릴리의 도나네맙까지 글로벌 시장에 등장했다. 듀켐바이오는 각 신약의 국내 임상 과정에 진단제를 공급하기도 했다. 치매 치료제 공급이 본격화되면 방사성의약품 진단제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여기에 최근 방사성의약품 연구개발(R&D) 전문기업을 인수하면서 신약 개발을 위한 역량 강화에도 본격적으로 나섰다. 듀켐바이오는 최근 방사성의약품 R&D 전문기업 ‘라디오디앤에스랩스’ 지분 100%를 인수했다. 기존
-
'전기차 충전' LS이링크, 코스닥 상장예심 청구...연내 상장 목표
LS그룹의 전기차 충전소 자회사 LS이링크가 코스닥 시장 상장 작업에 착수했다. LS이링크는 22일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한 상장 예비 심사를 청구했다.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다. 주관사 선정 과정에서 거론된 예상 기업가치는 5000억~8000억원이다.이 회사는 전기차 배터리(EV) 충전소를 운영하는 기업이다. 지난 2022년 전기차 배터리 충전 인프라 구축 및 운영을 위해 LS와 E1이 공동 투자해 설립됐다. LS와 E1이 나란히 지분 50%를 보유하고 있다.액화석유가스(LPG) 공급 업체인 E1이 보유한 전국 350여개 충전소를 기반으로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확장하고 계열사인 LS일렉트릭에서 생산하는 전기차 충전기를 사용하는 등 LS그룹의 시너지를 키우겠단 계획이다.LS이링크는 대규모 전력이 필요한 대형 운수·화물 등 기업(B2B) 고객을 중심으로 전기차 충전사업을 하고 있다. 고객의 사용환경에 맞춰 천장형 충전기, 전력 분배와 순차 충전을 자동 제어하는 충전 관제 시스템 등 다양한 충전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현재 전국 120여 곳에 버스 운수회사 및 전국 단위의 물류 기업을 대상으로 전기차 배터리 충전 인프라를 구축했다.설립 2년 만에 흑자를 달성했다. 지난해 매출은 280억원, 영업이익은 13억원이다. 올해 상반기에는 매출 195억원, 영업이익 22억원을 올리며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이번 상장 공모 구조는 전량 신주 발행으로 진행한다. 공모 자금은 기술력 강화와 글로벌 사업 진출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북미 대형트럭 시장 진입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해외 사업 확장에 나선다. 도심항공모빌리티(UAM), 항만 무인이송장비(AGV), 전기추진 선박 등 전기차 배터리 충전 시장
-
상장 첫날 유라클, 장중 57% 뜀박질…보합 마감
모바일 플랫폼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유라클이 코스닥 상장 첫 날 보합에 마감했다. 장중 57%까지 뜀박질했지만 상승 폭을 전부 반납했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라클은 이날 공모가인 2만1000원에 마감했다. 2만79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해 장 초반 57.14% 오른 3만3000원까지 치솟았지만 장 마감 전에 상승세를 모두 반납했다. 유라클은 앞서 기관 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에서 경쟁률 1065.8대 1의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 공모주를 배정받은 뒤 일정 기간 보유하겠다고 약속하는 의무보유확약 비율은 0.55%를 기록했다. 올해 신규 상장된 종목 중 가장 낮은 수치로, 해당 기업의 주식을 장기간 보유하지 않겠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기관 투자가들은 첫날 주식을 대량 매도하면서 주가 변동성이 컸다. 이날 기관 투자가들은 총 85만7152주(250억원)를 순매도했다. 2001년 설립된 유라클은 기업에 최적화된 모바일 앱 개발, 운영,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표 제품은 모바일 앱 개발 플랫폼 '모피어스'다. 모피어스를 통해 하나의 소스로 안드로이드와 iOS용 앱을 동시에 개발할 수 있다. 현대자동차그룹, LG, SK 등 1000개 이상의 고객사를 두고 있다. 지난해 매출액은 457억4595만원, 영업이익은 30억9992만원이다. 유라클은 일반 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에서 1080.4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고 청약증거금은 약 2조1300억원이 몰렸다. 배정철 기자 bjc@hankyung.com
-
스팩 상장 실패 피아이이, 코스닥 직상장 나서
국내 메가스팩(SPAC) 1호 상장을 도전했다가 실패한 2차전지 기업 피아이이가 코스닥 직상장에 나섰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피아이이는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했다. 신주 550만주가 발행될 예정이다. 심사 일정을 고려해 내년 초에 코스닥 시장 입성을 노리고 있다. 피아이이는 작년 하나증권의 첫 대형 스팩으로 시장의 관심을 모았다. 하나금융25호스팩와 합병해 코스닥 시장에 우회 상장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스팩은 비상장기업과 합병을 목적으로 코스닥에 상장하는 ‘페이퍼 컴퍼니’다. 당시 4000억원에 이르는 기업가치를 제시했지만, 고평가 논란으로 합병 반대에 부딪혔다. 이후 몸값을 다섯 차례 내려 기업가치 2703억원에 마지막 상장을 시도했으나 이 역시 실패로 돌아가 상장 계획을 철회했다. 당시 공모 규모 100억원대 소형스팩과 비교해 대형스팩이 시장에서 인기가 없었던 점이 영향을 미쳤다. 골프 시뮬레이터 기업 크리에이츠도 NH투자증권의 대형스팩인 NH스팩20호와 합병할 예정이었으나 ‘고평가’ 논란으로 스팩 주주와의 갈등을 빚으면서 상장에 실패했다. 피아이이는 이번에 삼성증권으로 주관사를 바꿔 코스닥 시장 직상장을 노린다. 스팩 합병 방식과 달리 직상장은 기업이 상장 과정에서 공모가를 시장에서 직접 평가받아 고평가 논란을 줄일 수 있다. 작년 매출 858억원, 영업이익 55억원으로 흑자를 기록한 만큼 기술특례 방식이 아닌 일반 상장 방식으로 코스닥 상장에 도전한다는 계획이다. 피아이이는 2차전지 배터리 결함을 찾는 비전 검사·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영상처리, 딥러닝 기술
-
스마트폰 오디오 반도체 국산화…아이언디바이스 상장 임박
“스마트폰 오디오 반도체 국산화, 이제 시작될 것입니다.”박기태 아이언디바이스 대표(사진)는 지난 7일 서울 강남 본사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미국과 중국이 장악한 오디오반도체 시장에서 한국의 저력을 보여주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다음 달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는 이 회사는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오디오용 반도체를 설계하는 팹리스 기업이다. 현재 글로벌 유력 스마트폰 업체에 오디오앰프 칩을 납품하고 있다. 제한된 전원 환경에서 고음질을 제공하는 칩이다. 아이언디바이스는 지난달 10일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상장 절차에 돌입했다. 총 공모주식 수는 300만주, 희망 공모가액은 4900원~5700원을 제시했다.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은 희망 공모가 상단 기준 778억원 수준이다.아이언디바이스는 삼성전자의 비메모리 관련 연구개발(R&D)를 수행하던 부천사업장 출신 인력들이 모여 설립됐다. 오디오반도체 시장은 대기업이 하기에 작아 기회가 있다고 생각해 2008년 회사를 창업했다.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스마트파워앰프가 주력 제품이다. 오디오 관련 칩 설계 기업은 국내에 아이언디바이스가 유일하다. 매출의 90%가 이곳에서 나온다. 미국의 시러스로직과 텍사스트인스트루먼트, NXP의 오디오 사업부를 인수한 중국의 구딕스가 주요 경쟁사다. 이 중 시러스로직은 애플에 독점 납품 중이다. 그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품질 이력을 쌓으면 향후 매출이 크게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스마트폰 오디오 반도체 시장은 점차 커지고 있다. 과거보다 칩 사용량이 2배 이상 늘어나면서다. 과거 1개만 들어갔던 오디오 반도체칩이 현재 고사양 모델에는 2~3개 들어간다
-
OLED 부품 강자 파인원, 상장 추진
파인원은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를 증착(물체 표면에 얇은 막을 입히는 일)하는 공정에서 핵심 부품으로 쓰이는 마그넷 플레이트를 최초로 국산화한 기업이다.이 부품은 OLED 수율을 높이기 위해 디스플레이 화소를 구성하는 파인메탈마스크(FMM)가 처지는 것을 막는다. 일본기업 도키가 독점한 틈새를 비집고 파인원은 국내외 디스플레이 기업에 6세대 증착기용 마그넷 플레이트를 납품하고 있다. 이 부품과 관련한 특허도 9건 출원했다.파인원은 지난해 개발에 성공한 2차전지용 전자석 탈철기(EMF)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EMF는 2차전지 주요 소재인 양극재에서 불순물로 발생하는 철을 제거하는 장비다. 발화, 폭발 등 사고를 줄이기 위해 필수적으로 쓰인다. 파인원은 1년6개월의 연구를 통해 특허로 출원한 마그넷 기술을 EMF에 녹여냈다. 자력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최소화한 게 대표적이다.고재생 파인원 대표(사진)는 지난 12일 “파인원의 강점인 마그넷 기술을 응용할 수 있는 2차전지, 반도체 등의 분야에서 사업군을 넓혀가고 있다”며 “타사의 동일한 제품과 비교해 성능을 최대 40% 개선했다”고 설명했다.디스플레이 매출을 늘리기 위해 중국에 공장을 짓는 등 글로벌 시장 공략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현지 공장 인근에 연구소를 추가로 지어 OLED, 2차전지 분야뿐 아니라 반도체산업에 필요한 핵심 부품을 개발하는 파인원의 전초기지를 구축하겠다는 게 고 대표의 구상이다.파인원의 지난해 매출은 672억원이다. 회사가 설립된 2018년과 비교해 연평균 112%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고 대표는 “올해 연매출 1000억원을 달성하는 게 목표”라며 “사
-
블랙야크 2세 회사…코스닥에 우회상장
강태선 BYN블랙야크 회장의 장남이 운영하는 안전용품 업체인 블랙야크아이앤씨가 스팩(SPAC·기업인수목적법인)을 통해 코스닥시장에 우회상장한다. 블랙야크아이앤씨가 BYN블랙야크그룹의 첫 번째 상장사가 될 전망이다.블랙야크아이앤씨는 지난 17일 한국거래소에 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했다. 미래에셋비전스팩1호와 합병 상장하는 방식이다. 블랙야크아이앤씨와 스팩의 합병 비율은 1대0.5227657이다. 합병 후 시가총액은 990억원이다. 블랙야크아이앤씨는 BYN블랙야크와 직접적인 지분 관계는 없다. 하지만 강태선 블랙야크 회장의 장남인 강준석 비와이엔블랙야크 사장(사진)이 지분 65.15%를 보유 중이다. 차녀인 강연순 씨가 28.13%를 쥐고 있다.블랙야크아이앤씨는 산업용 안전화·안전복 등을 생산해 블랙야크에 납품하는 업체다.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52억원, 81억원을 기록했다. 2022년(매출 281억원, 영업이익 54억원)에 비해 실적이 큰 폭 향상됐다.BYN블랙야크 오너일가는 승계 구도를 일찌감치 굳혔다. 블랙야크는 경영전략과 브랜드 사업 등 2본부 체제로 운영 중이다. 장남 강준석 사장은 지난 2월 부사장에서 사장으로 승진하면서 그룹의 경영전략을 맡게 됐다. 장녀인 강주연 사장은 지난 2010년 블랙야크에서 인적분할된 동진레저(브랜드 ‘마운티아’)를 운영 중이다. 현재 74세인 강 회장의 승계 작업이 구체화하는 분위기다. 강 회장의 BYN블랙야크 지분은 78.94%로 지난 2022년 84.96% 대비 6.02%포인트 줄었다.아웃도어 열풍이 한풀 꺾이면서 BYN블랙야크의 실적도 주춤해지고 있다. BYN블랙야크 지난해 매출은 3353억원으로 2022년(3770억원)에 비해 11.1%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11억원
-
'블랙야크 2세 회사' 블랙야크아이앤씨, 코스닥 우회상장
강태선 BYN블랙야크 회장의 장남이 운영하는 안전용품 제조기업 블랙야크아이앤씨가 스팩(SPAC·기업인수목적법인)을 통해 코스닥시장에 우회상장한다. 블랙야크아이앤씨가 BYN블랙야크그룹의 첫 상장사가 될 전망이다. 블랙야크아이앤씨는 지난 17일 한국거래소에 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했다. 미래에셋비전스팩1호와 합병 상장하는 방식이다. 블랙야크아이앤씨와 스팩의 합병 비율은 1대0.5227657이다. 합병 후 시가총액은 990억원이다. 블랙야크아이앤씨는 BYN블랙야크와 직접적인 지분 관계는 없지만, 오너 2세가 최대주주다.블랙야크아이앤씨는 블랙야크의 산업용 안전화와 안전복 등을 제조하는 업체다. 지난해 매출액은 352억100만원, 영업이익은 80억6200만원을 기록했다. 지난 2022년 매출 281억2355만원, 영업이익 54억3153만원 대비 수익성이 개선됐다. 강태선 블랙야크 회장의 장남인 강준석 비와이엔블랙야크 사장(사진)이 지분 65.15%를 보유했다. 차녀인 강연순씨가 28.13%를 보유하고 있다. BYN블랙야크는 일찌감치 승계 구도를 정해놨다. 블랙야크는 △경영전략 △브랜드 사업 등 2본부 체제로 운영하고 있다. 장남 강준석 사장은 지난 2월 부사장에서 사장으로 승진하면서 그룹의 경영전략을 맡게 됐다. 장녀인 강주연 사장은 지난 2010년 블랙야크에서 인적분할된 동진레저(브랜드 ‘마운티아’)를 운영하고 있다. 강 회장은 현재 74세로 본격적인 승계를 준비하고 있다. 강 회장의 BYN블랙야크 지분율은 78.94%로 지난 2022년 84.96% 대비 6.02% 감소했다. 블랙야크아이앤씨와 달리 BYN블랙야크의 수익성은 점차 떨어지는 추세다. 아웃도어 열풍이 감소한 영향이다. BYN블랙야크 지난해
-
'내시경 지혈재' 넥스트바이오메디컬, 8월 코스닥 상장 추진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이 코스닥 상장 절차를 본격 추진한다. 회사는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11일 밝혔다.넥스트바이오메디컬은 이번 상장에서 총 100만주를 공모한다. 공모예정가는 2만4000원~2만9000원으로 전체 공모예정금액은 240억 원~290억 원이다. 이르면 7월1일~5일 수요예측을 진행하고 7월 10일~11일 청약을 거쳐 8월 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상장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2014년도에 설립된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은 세계 최초 △내시경용 지혈재 ‘넥스파우더’ △혈관 색전 미립구 ‘넥스피어’, △근골격계 통증 색전재 ‘넥스피어-F’ 개발해 치료재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넥스파우더는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및 신의료기술 선정, 유럽 CE-MDR 인증, 미국 FDA 인증을 통해 제품의 기술성과 혁신성을 인정받아 상용화에 성공했다. 2020년에는 글로벌 1위 의료기기 기업 미국 메드트로닉(Medtronic)과 해외 판권 계약을 체결해 전략적으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미국, 유럽 등 주요 수출국 총 29개국에 판매 중이며 2023년 기준 수출 비중은 88%에 달한다.관절염 통증 색전 치료재 ‘넥스피어-F(Nexsphere-FTM)를 개발 완료해 미국에서 임상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넥스피어-F’는 세계 최초 속분해성 관절염 통증 치료재로 피부 괴사와 색전 후 통증 등의 부작용을 야기하는 비분해성 제품 대비 우수한 통증 감소 효과와 안전성을 확보했다.회사의 매출액은 2022년 28억 원에서 2023년 49억 원으로 연평균 약 75% 상승했다. ‘넥스피어-F’로 근골격계 통증 색전 시장까지 진출한다면 매출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은 이번
-
그리드위즈 공모가 4만원…수요예측 경쟁률 124대1
에너지 기업 그리드위즈 공모가격이 희망 공모가 상단인 4만원에 결정됐다. 올해 수요 예측을 진행한 IPO 기업들은 거의 대부분 희망 공모가 상단을 초과한 바 있다. 그리즈위드와 HD현대마린솔루션만 공모가 상단을 뚫지 못했다. 기관 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이 부진한 결과다. 그리드위즈는 수요예측 결과 1098개 기관이 참여해 124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31일 밝혔다. 공모가격은 희망 공모가 상단인 4만원으로 책정했다. 수요예측 경쟁률 201대1을 기록한 HD현대마린솔루션보다 낮은 수준이다.1098개 기관 가운데 약 67.2%의 기관이 확정 공모가(4만원)를 초과한 가격을 제시했다. 희망 공모가 하단 미만을 제시한 기관도 전체 14%(84곳)를 차지했다. 확정 공모가를 기준으로 총 560억원을 모집한다.기관 수요예측에서는 저조한 성적표를 기록했다. 올해 기업공개(IPO)를 실시한 23개 기업 수요예측에는 약 2000여개의 기관이 참여했다. 수요예측 경쟁률은 600대~1000대1을 기록했다.그리드위즈는 전력 수요관리 기업이다. 전력거래소(KPX)가 전력 감축지시를 내리면 그리드위즈는 기업(빌딩)이나 공장 등에 감축이행에 참여하도록 하고, 감축 이행에 따라 받는 정산금(보상)을 고객사에게 지급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수료가 주 매출원이 되는 구조다.그리드위즈는 오는 다음달 3일~4일 이틀간 일반 투자자 대상 청약을 거쳐 14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상장 주관사는 삼성증권이다.배정철 기자 bjc@hankyung.com
-
'희토류 영구자석' 성림첨단산업, 코스닥 상장 초읽기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업체 성림첨단산업이 코스닥 시장 상장 작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2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성림첨단산업이 다음 달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한 상장 예비 심사를 청구할 예정이다.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이 회사는 1994년 공군승 대표가 설립한 국내 유일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업체다. 희토류 영구자석은 전기차용 구동 모터, 풍력발전과 같은 첨단산업 분야에 두루 사용되는 부품이다.미래 친환경 산업의 핵심 부품으로 꼽히지만, 희토류 영구자석은 전 세계 생산량 중 94%가 중국에서 생산된다. 국내 수요 역시 90% 이상이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성림첨단산업은 중국 법인에서 희토류 영구자석을 생산하고 있었으나 지난 2021년 유턴기업 지원(리쇼어링) 형태로 대구에 공장을 지었다. 일본과 무역 마찰, 미·중 갈등 등으로 촉발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국산화 흐름에 따른 전략이다.성림첨단산업이 국내에 자리를 잡으면서 한국은 일본, 중국에 이어 세계 3번째로 희토류 영구자석을 자체 생산하는 국가가 됐다.지난해 말 기준 현대차그룹 자동차 부품 계열사인 현대비앤지스틸이 지분 18.7%를 보유하고 있다. 피에스제1호사모투자합자회사를 통해서도 지분 18.3%를 갖고 있다. 현대비앤지스틸은 피에스제1호PEF 지분 66%를 소유하고 있다.현대비앤지스틸이 2022년 5월 약 460억원을 투자해 성림첨단산업 보통주 지분을 매입할 당시 성림첨단산업의 기업가치는 약 2800억원으로 평가됐다. 자동차 부품 수직계열화를 위한 투자다.성림첨단산업은 값비싼 희토류 사용량을 적게 쓰면서도 영구자석을 만드는 기술을 갖고 있다. 성림첨단산업과 현대차가 함께 개발한 중희
-
'액셀러레이터 1호 상장' 결국 무산
액셀러레이터(AC) 1호 상장을 노렸던 씨엔티테크가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에서 미승인 통보를 받았다.29일 업계에 따르면 씨엔티테크는 다음주 중 상장 자진 철회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지난 26일 열린 한국거래소 코스닥위원회 예비심사에서 상장 승인을 받지 못했다. 전화성 씨엔티테크 대표는 “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할 때 안정적인 수익성을 보여주기 위해 푸드테크 사업을 강조했는데 이 전략이 실패했다”고 밝혔다. 씨엔티테크는 AC와 함께 외식업 주문 중개 플랫폼 사업을 병행 중이다.AC는 극초기 창업 기업을 발굴해 시드 자금을 투자하고 해당 기업을 육성하는 회사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에 등록된 AC는 461개사에 이른다. 씨엔티테크는 최근 2년간 기업 158곳에 투자해 국내 AC 중 투자 건수가 가장 많았다.AC 업계는 상장에 도전해 번번이 고배를 마시고 있다. 지난해 블루포인트파트너스가 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했다가 금융감독원의 거듭된 정정 요구에 상장을 자진 철회했다. 퓨처플레이도 프리IPO(상장 전 지분 투자)까지 받았지만 상장 시기를 아직 잡지 못했다.고은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