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몸값 19兆 카카오뱅크, 8월 코스피 입성…상장 시 금융지주사 3위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6월28일(15:4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카카오뱅크가 8월 5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 인터넷 은행으로서는 국내 첫 기업공개(IPO)사례다. 공모가 상단 기준 예상시가총액은 19조원. 상장시 KB금융(23조7400억원), 신한지주(21조5700억원)에 이어 단숨에 금융지주사 3위에 오르게 된다. 상장시 금융업계의 판도 변화가 예상된다. 카카오뱅크는 28일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유가증권시장 상장 일정을 공식화했다. 희망공모가격은 3만3000~3만9000원, 예상시가총액은 15조6783억원 ~ 18조5289억원에 달한다. 희망가격 기준 공모 규모는 2조1598억~2조5525억원이다. 이 회사는 7월 9~21일 국내외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 공모가격을 확정한 뒤 같은 달 26~27일 일반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상장 예정일은 8월 5일이다. 카카오뱅크는 글로벌 인터넷 은행의 평균 주가순자산비율(PBR) 7.3배를 적용해 기업가치를 27조원 대로 산정했다. 비교 기업은 미국 디지털 모기지 금융서비스 회사인 로켓컴퍼니(PBR 4.6배)를 비롯해 인터넷 은행인 브라질 팍세그루(8.8배), 러시아 TCS그룹 홀딩(8.0배), 스웨덴 노르드넷 AB(7.6배) 등이 선정됐다. 이들은 이자 수익이 전체 영업수익의 30% 이상이고 이자와 수수료 수익을 내고 있다.증권업계 관계자는 "기존 은행들의 PBR이 1배 미만인데 비해 인터넷 은행은 기업가치를 높게 평가 받는다"며 "지점이 없어 저비용 구조로 운영되고 플랫폼을 통해 대규모의 젊은 고객들이 유입돼 매출과 이익이 급격히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카카오뱅크에 이어 카카오페이도 이날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하
-
'숨고' 운영사 브레이브모바일, 320억원 규모 시리즈 C 투자 유치 [마켓인사이트]
서비스 매칭 플랫폼 숨고를 운영하는 브레이브모바일이 320억 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를 유치했다.14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이번 투자에는 IMM인베스트먼트, 스트롱벤처스, TBT(티비티),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등 기존 투자사와 함께 KDB산업은행, 레이크우드파트너스, 위벤처스, 아이비엑스파트너스 등 신규 투자사가 참여했다. 누적 투자금액 500억원 수준이다.숨고는 1000여 가지 서비스의 전문가와 고객을 연결하는 플랫폼이다. 이사, 청소, 인테리어, 반려동물 훈련 등 홈 서비스부터 과외, 스포츠, 심리상담, 디자인, IT 개발 등 전문영역에 이르기까지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높여가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홈, 리빙 분야 수요 확대와 비대면 문화 확산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0% 넘게 매출이 늘었다. 올 2월에는 선호도를 기반으로 이용자를 자동으로 매칭해주는 ‘바로견적’ 서비스를 출시했다.조석영 IMM인베스트먼트 매니저는 “숨고는 다양한 영역에 걸쳐 성장 중인 국내 유일한 서비스 매칭 플랫폼”이라며 “매년 빠른 성장성과 확장성을 보여주고 있어 지속적으로 후속 투자에 참여하고 있다”고 밝혔다.김로빈 브레이브모바일 대표는 “숨고는 다양한 서비스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수평적 시장(Horizontal market)을 추구한다”며 “소상공인과 프리랜서가 비즈니스를 성공으로 이끌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숨고의 비전”이라고 말했다.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이 기사는 06월14일(15:0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
文정부 들어 2배로 늘어난 국민연금 실업 크레딧 [마켓인사이트]
문재인 정부 들어 4년 만에 실업자들의 국민연금 보험료를 일정 기간 지원해주는 실업크레딧 지출 규모가 2배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소규모 사업주와 소속 근로자의 사회보험료(국민연금·고용보험)를 지원하는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 규모도 2배 이상 증가했다.8일 한국경제신문이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실업크레딧 지원 인원이 2017년 34만 1230명에서 2020년 60만 6833명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지원 금액은 540억원에서 1074억원으로 폭증했다.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 사업 역시 같은 기간 지원대상 146만명 지원액 4286억원에서 240만명, 지원액 1조 867억원으로 증가했다.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각 사업의 지출 규모가 모두 2배 가량 늘어난 셈이다.실업크레딧은 구직급여 대상자의 국민연금 보험료 75%를 인당 12개월까지 지원해주는 제도로 2016년 8월부터 시행돼왔다. 재원 가운데 25%를 국민연금 기금운용 여유자금에서, 나머지를 고용보험 및 국비로 충당한다. 두루누리는 노동자 10명 미만 사업장과 월평균 보수가 220만원 미만인 노동자에게 정부가 국민연금 및 고용보험료 80%를 지원하는 제도다. 재원은 전액 고용노동부 예산에서 집행된다.정책적인 보험료 지원을 통해 실업자나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 등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한다는 것이 정부가 이 제도들을 도입한 취지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여파로 직장을 잃거나 경영난에 빠지면서 국민연금 납부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지원해 연금 납부 공백을 줄이고, 소외 계층의 노후 안정성을 확보한다는 것이다.실업크레딧과 두루누리 사업 지출 규모가
-
코로나발 거품 논란 속 투자, 괜찮은 걸까? [임락근의 머니톡]
▶임락근 기자세계 각국이 마이너스 성장도 하고 어렵잖아요. 이 위기를 극복해보고자 적극적인 정책을 펴면서 통화량도 엄청나게 늘어나고 있고 국가의 재정적자도 늘어나고 있는데요?▷홍춘욱 EAR리서치 대표저는 낙관하는 쪽에 서있죠. 왜냐하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교훈 때문입니다. 사회는 우당탕탕 발전하는 것 같아요. 발전은 하는데 우여곡절은 있다 이렇게 말씀을 드리고 싶은 거죠.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전세계 경제가 다 어려웠지만 유럽이 잃어버린 10년이라고 부를 정도로 지난 10년 간 경제성장률이 1%도 안 됐어요. 일본과 비슷한 수준의 성장률이에요. 유럽이 왜 그렇게 고생했나 따져보면 두 가지였거든요.첫 번째가 그리스, 스페인, 이탈리아, 포르투갈, 아일랜드로 이어지는 연쇄적인 금융위기를 겪었잖아요. 그 과정에서 중앙은행이 대응을 잘 못했어요. 그때 중동 지역의 자스민 혁명으로 국제원유 가격이 일시적으로 올랐어요. 물가가 조금 오른다고 유럽 중앙은행이 금리를 3번 올렸어요. 안 그래도 경제가 어려워서, 특히 돈을 빌려서 못 갚는 게 재정위기인 건데, 불 난 집에 부채질을 했죠. 경제가 회복되기 전에 너무 빨리 금리를 인상한 건 경제를 망가뜨릴 수 있는 거죠.두 번째는 재정이었는데. 독일이 1920년대 하이퍼인플레이션을 겪으면서 트라우마가 있어서 유럽을 이끄는 리더로서 재정 긴축을 요구했어요. 그 결과가 이탈리아, 스페인에서 벌어진 코로나 사태로 인한 노인들의 떼죽음 아니겠어요? 영상 보셨잖아요. 냉동실에 시체를 보관할 수밖에 없을 정도로. 재정지출을 삭감하게 되면 어려운 사람들이 피해를 보잖아요. 선진국이라고 차마 말할 수 없을 정
-
청약통장, 혜택 보려면 매달 얼마나 넣어야 할까 [정연일의 청약ABC]
최근 취업에 성공한 20대 A씨는 매달 주택청약종합저축 통장에 4만원을 넣고 있다. 별도의 수입이 없던 대학생 시절부터 매달 이 액수를 꼬박꼬박 저축했다. 이제 고정 수입이 생겨 청약통장 납입금을 높일 생각이다. 하지만 얼마나 넣는 것이 좋을지 판단이 서지 않는다. 주변에 물어보니 적은 액수라도 매달 넣는 게 좋다는 쪽과 무조건 많이 넣는 게 좋다는 쪽으로 의견이 갈린다. 청약통장에는 매달 얼마씩 넣는 것이 좋을까. 주택청약종합저축은 매달 2만~50만원 사이에서 자유롭게 납입금을 정할 수 있는 상품이다. 금리는 가입기간 1년 경과 시 연 1.5% 수준이고, 2년이 경과하면 연 1.8%를 받을 수 있다. 다만 아파트 청약에 당첨되거나 통장을 해지하지 않으면 저축액을 찾을 방법이 없어 매달 너무 많은 금액을 넣으면 목돈이 묶일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대부분 청약통장에 매달 최소 10만원씩 넣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LH(토지주택공사)나 SH(서울주택도시공사), 경기주택도시공사 등이 건설하는 공공아파트는 매월 10만원씩 150회를 넣은 이가 가장 높은 가점을 받도록 돼 있기 때문이다. 만약 10만원보다 적은 돈을 불입하면 2만원이든 10만원이든 똑같이 1회차를 소요한 것이 된다. 이 경우 공공아파트 청약에서 순위가 밀리게 된다. 공공아파트를 청약받으려는 경우 10만원보다 적은 돈을 매달 내는 것보다는 차라리 월별 저축액을 0원으로 설정하는 편이 더 나을 수도 있다. 납입하지 않은 회차에 대해서는 추후 은행에 가서 밀린 회차에 돈을 넣어달라고 요청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민영아파트 청약에서는 청약저축 납입 횟수는 중요하지 않다.가입 기간과 예치금액만 고
-
취업난인데…기업 두 곳 중 한 곳 "원하는 인재 못 뽑았다"
취업난이 심각하지만 정작 기업 두 곳 가운데 한 곳은 지난해 목표로 잡은 인력을 뽑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맘에 드는 인재가 없다는 이유 때문이다. 취업사이트 사람인이 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2019년 채용 현황’을 조사해 6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채용을 한 기업(275개사) 중 절반이 넘는 50.9%가 ‘계획한 만큼 인원을 채용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채용을 못한 이유로 ‘적합한 인재가 없어서’(63.6%,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지원자가 너무 적어서’(42.1%), ‘묻지마 지원이 많아서’(19.3%), ‘합격자가 입사를 포기해서’(17.9%), ‘입사자가 조기 퇴사해서’(15.7%) 등이 뒤를 이었다. 직무별로는 ‘영업·관리’(22.9%, 복수응답), ‘제조·생산’(20.7%), ‘서비스’(18.6%), ‘연구개발’(14.3%), ‘IT/정보통신’(12.9%) 등에서 인원을 못 뽑은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기획·전략’(1.4%), ‘광고·홍보’(2.9%), ‘구매·자재’(4.3%), ‘인사·총무’(5%), ‘디자인’(5%) 등은 상대적으로 채용 실패율이 적었다. 어렵게 채용을 했더라도 1년 이내 조기 퇴사율도 높았다. 지난해 채용을 한 기업 중 1년 이내 조기 퇴사자가 발생한 기업은 73.8%에 달했다. 이들 기업의 작년 전체 입사자 중 27%는 1년이 채 안돼 회사를 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유로 응답기업의 절반(53.3%)은 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인력난을 겪는 까닭은 ‘작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