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끼린 위안·루블화 쓰자"…中·러 '달러 패권' 견제
중국과 러시아가 미국 달러 대신 자국 통화를 활용한 무역 결제를 늘리고 있다. 미국이 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달러를 제재 무기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6일 중국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러시아의 가스 기업 가즈프롬 산하 정유회사인 가즈프롬네프트는 이달부터 중국과 러시아를 오가는 항공기 급유 비용을 달러 대신 위안화와 루블화로 받기 시작했다. 가즈프롬네프트는 중국 내 34개 공항에서 항공유 급유 사업을 하고 ...
-
'부동산·암호화폐' 숨통 조이자, 中 주식 거래 180조원 넘었다
중국 투자자들의 자국 주식 거래량이 급증하고 있다. 정부가 부동산, 암호화폐 등 기타 투자처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CNBC는 3일 금융 정보업체 윈드인포메이션 자료를 인용해 지난 7월 말 이후 중국 본토주식(A주)의 하루 거래량이 1조위안(179조7900억원)을 넘어섰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 2년간 하루 평균 8400만위안에 달했던 거래량을 2배가량 웃도는 규모다. 상하이 증시의 거래...
-
中 헤지펀드 "월가보다 3배 더 줄게"…신입 초봉 3억4700만원
고급인력 유치를 위한 미중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호황을 누리고 있는 중국 헤지펀드가 월스트리트보다 3배 높은 임금을 제시했다. 데이터 안보 등이 향후 쟁점으로 부상하며 이런 현상이 더 가속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은 1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헤지펀드사인 유비퀀트가 월가보다 3배 높은 30만달러(약 3억4700만원)를 신입사원 초봉으로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77억달러를 운용하고 있는 링줜자산도 임금 인상 계획을 밝...
-
[마켓인사이트] 한스바이오메드, 사모펀드서 150억 유치
▶ 마켓인사이트 9월 1일 오전 11시24분 임플란트 등 인체조직이식재 개발업체인 한스바이오메드가 투자유치금 150억원을 활용해 중국 사업 확대에 나선다.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노앤파트너스는 한스바이오메드에 150억원을 투자한다고 1일 밝혔다. 한스바이오메드가 발행한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인수하는 방식이다. BW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투자자가 정해진 가격에 발행회사의 신주를 사들일 권리가 붙은 채권이다. 노광근 노앤파트너스 대...
-
한스바이오메드, 150억원 투자 유치하며 중국 사업 확대 나서
임플란트 등 인체조직이식재 개발업체인 한스바이오메드가 150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하며 중국 사업 확대에 나선다. 국내에선 사모펀드(PEF)로부터 150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하는 한편, 중국 사업 확장을 위해 현지 의료장비 유통 1위 업체와 합작법인을 세우기로 했다. 1일 사모펀드 운용사 노앤파트너스는 한스바이오메드의 성장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해 15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한스바이오메드가 발행한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인수하는 방식이다. B...
-
시진핑 "반독점 강화, 사회주의 시장경제 개선 위한 요구" [강현우의 중국주식 분석]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공동부유'를 촉진하기 위해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투자 대가 조지 소로스는 시 주석이 시장경제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혹평했다. 31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전날 열린 중앙전면개혁심화위원회 회의에서 "반독점을 강화하고 공정경쟁 정책을 심화하는 것은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를 개선하기 위한 내재된 요구"라고 말했다. 이어 "공동부유를 촉진한...
-
중국 8월 제조업 PMI 18개월 만에 최저…'경기 위축' 임박 [강현우의 중국주식 분석]
중국 기업들의 경기 전망을 보여주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18개월 만에 최저치로 내려갔다. 서비스업 PMI는 하강 국면으로 들어갔다. 중국의 경기 둔화 흐름이 빨라질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31일 중국의 8월 제조업 PMI가 50.1을 나타냈다고 발표했다. 전월 50.4에서 내려간 것은 물론 로이터통신의 시장 예상치 50.2에도 미치지 못했다. 지난해 2월 35.7 이후 18개월 만의 최저치다. PMI는 기...
-
대신PE, 중국 전기차기업 투자 추진
대신프라이빗에쿼티(PE)가 중국 지리자동차의 전기차 브랜드인 폴스타에 투자한다. 19일 인베스트조선에 따르면 대신PE는 폴스타 투자를 위해 출자에 나설 기관투자가들 모집하고 있다. 폴스타가 발행 예정인 전환사채(CB)를 사들이는 식으로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발행금액은 약 2000억원 수준으로 거론된다. 폴스타는 중국 지리자동차와 스웨덴 볼보가 함께 생산하는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본사는 스웨덴 예테보리에 있으며 주요 생산설비는 중국에 ...
-
美, 中 사모펀드의 매그나칩 인수에 제동 거나
미국 정부가 중국계 사모펀드(PEF)의 매그나칩반도체 인수에 대한 검토를 시작했다. 중국의 반도체 기술력 강화를 경계해 미국이 이번 인수에 제동을 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31일 중국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매그나칩반도체는 최근 미국 재무부로부터 중국계 PEF 운용사인 ‘와이즈로드캐피털’ 등이 인수하기로 한 계획과 관련한 안내문을 제출하고 미국 외국인투자위원회(CFIUS)의 검토를 받으라는 내용을 담은 이메일...
-
'파산설' 중국 화룽자산운용...국내 금융권 '노심초사'
≪이 기사는 05월04일(08:2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 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중국의 대형 금융사 화룽자산운용이 파산설에 휩싸이면서 국내외 채권 업계와 자금조달을 준비중인 기업들의 불안감 커지고 있다. 중국의 NPL(부실채권) 자산관리회사 화룽자산운용이 발행해 놓은 역외 채권만 약 220억달러에 달한다. 골드만삭스 자산운용, 블랙록, 애버딘, CS자산운용 등 미국·유럽 자산운용사들 뿐만 아니...
-
상장 앞둔 크래프톤, 실적 정점 찍었나…불안한 중국 매출
≪이 기사는 11월20일(16:1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 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인기 게임 ‘배틀그라운드’ 개발사인 크래프톤이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실적 개선세가 둔화하고 있다. 회사 측은 최소 30조원대 기업 가치로 상장하기를 희망하지만 실적 정점 논란을 잠재우지 못하면 눈높이를 낮춰야 할 것으로 보인다. 크래프톤은 지난 18일 제출한 분기보고서를 통해 올해 3분기 매출이 3...
-
CJ대한통운, 기업가치 1兆 CJ로킨 매각 추진
CJ대한통운이 중국 냉동·냉장 물류 계열사인 CJ로킨(옛 룽칭물류)을 매각한다. 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CJ대한통운과 국민연금은 현재 CJ로킨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현지 물류기업과 글로벌 사모펀드(PEF) 등을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CJ로킨은 중국 전역에 48개 거점과 100만㎡ 규모 물류센터를 기반으로 1500여개 도시를 잇는 운송망을 갖춘 대형 물류기업이다. CJ대한통운은 2015년 9월 ...
-
IMM 인베스트먼트, 중국 최대 민간 수처리 회사에 4000만 달러 투자
≪이 기사는 04월23일(18:1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 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IMM인베스트먼트가 중국 민간 최대 수처리 업체에 투자했다. 경기 변동에 부침이 없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분야일 뿐 아니라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 관련 수요가 늘고 있는 개발도상국으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라는 판단이다. 2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IMM인베스트먼트는 중국 민간 수처리 업체 유나이티드워터코퍼레이션...
-
무디스도 韓 성장률 또 낮춰…“1.4% 그칠 것”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사태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1.4%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확산되며 장기화 조짐을 보이자 국내외 주요 기관이 잇달아 성장률 전망치를 내리고 있다. 무디스는 9일 발간한 ‘글로벌 거시경제 전망’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1.4%로 하향 조정했다. 지난달 17일 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1...
-
[마켓인사이트]KMW, 中 ZTE 최고 파트너사로 꼽혀
≪이 기사는 11월15일(11:1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 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휴대폰 안테나 및 부품업체 KMW가 중국 휴대폰 업체 ZTE의 최고 파트너사로 꼽혔다. KMW는 ZTE가 최근 중국 선전에서 연 ‘2019 글로벌 파트너스데이’에서 최고 대상에 해당하는 ‘글로벌 엑셀런트 파트너 어워드(Global excellent partner award)’를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