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중국발 매도는 오전까지…오후 반등한 미 증시, 이유는?
25일(현지 시각) 중국 증시가 폭락하며 유럽 증시까지 1.5~2.1%까지 끌어내렸습니다. 미국 증시도 하락세로 출발했습니다. 중국의 수도인 베이징마저 봉쇄될 것이란 우려 속에 선전 증시는 6.08% 폭락했고 상하이종합지수는 5.13%, 홍콩 항셍지수는 3.73% 내렸습니다. 베이징 시 당국은 차오양구 등 일부 지역에서 전수 PCR 검사를 시행하고, 관리통제구역을 설정해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했습니다. 미 중앙은행(Fed)의 공격적 긴축 ...
-
中 게임시장 다시 열렸지만 글로벌기업들 여전히 '울상'
중국이 8개월 만에 온라인 게임 신규 판호(판매 허가) 발급을 재개했다. 하지만 외국 게임의 중국 시장 진출은 여전히 암울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해외 게임 스트리밍이 규제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하고, 가상사설망(VPN) 등을 이용해 우회할 수 있는 경로 자체가 사실상 막혔기 때문이다. 24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중국 국가라디오텔레비전총국(광전총국)은 지난 15일 허가받지 않은 온라인 게임의 스트리밍을...
-
상하이증시, 中증시 혼조…4월 제조업 PMI 주목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인 22일 중국 증시는 미국의 긴축 우려와 중국 당국의 경기 부양 기대가 엇갈리며 혼조세로 마감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0.23% 오른 3086.92, 선전성분지수는 0.29% 내린 11,052.70으로 장을 마쳤다. 이번주에는 오는 29일 발표 예정인 4월 차이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관심을 끈다. 차이신 제조업 PMI는 중소기업과 수출기업까지 포함하는 민간 중심 경기 지표다. 차이신 제조업 PMI는 지난달 상하...
-
[북셸프] 美·中 사이 '애증의 역사' 200년
담배 자동 생산기계가 세상에 나온 건 1881년 미국에서다. 사람이 분당 4개비 만들던 걸 분당 200개비, 1시간에 1만2000개비나 생산할 수 있게 됐다. 이 소식을 들은 노스캐롤라이나의 ‘담배 왕’ 제임스 듀크는 큰 소리로 “지도를 가져와. 여기가 담배를 팔아야 할 곳이다!”라고 소리쳤다. 그가 가리킨 곳은 중국이었다. ‘인구 4.3억명’이란 설명이 붙어 있었다. 당시 미국...
-
中성장 둔화 조짐에 투자 발 빼는 외국인들
자본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의 중국 국채 매도세가 거세졌다. 미국이 중국보다 국채 금리가 높아져 중국 국채에 투자할 메리트가 줄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2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홍콩에서 나온 데이터를 인용해 지난달 외국인 투자자들이 176억달러(약 21조원) 상당의 중국 국채를 매도했다고 전했다. 지난 2개월 동안 중국 채권 매도액은 1930억위안(약 36조9400억원)에 달한다. 중국 경제 성장률이 둔화하며 투자 유인이...
-
미·중 채권 수익률 역전에…中채권 투매 행렬
자본시장에 중국 채권 매도세가 거세졌다. 투매하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급증해서다. 미국의 채권 수익률이 중국 채권 수익률을 역전하자 투자자들이 차익거래를 늘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2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즈(FT)는 홍콩의 채권 연계 투자프로그램에서 나온 데이터를 인용해 지난달 외국인 투자자들이 176억달러(약 21조원) 상당의 중국채권을 매도했다고 전했다. 지난 2개월 동안 중국 채권 매도액은 1930억위안(약 36조 9400억원)에 달한...
-
나스닥 덮친 러·中 쇼크…테슬라 실적 '신중론' 솔솔 [황정수의 실리콘밸리나우]
테슬라가 20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1분기 실적을 공개합니다. 관심사는 중국 공장 가동 중단이 2분기 실적에 미치는 영향입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원자재 가격 상승 등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도 예상됩니다. 크레디트스위스는 테슬라 생산량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습니다. 테슬라에 대해 긍정적인 관점을 제시해온 웨드부시는 1분기 주당순이익(EPS)가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에 못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넷플릭스 1분기 총 가입자가...
-
코로나에 얼어붙은 中 부동산…건설사들 "돈줄 마른다"
코로나19로 인해 중국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자 중국 건설사가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부동산 거래액이 줄어 현금이 돌지 않자 파산 위기에 내몰린다는 분석이 나온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의 신규 주택 거래액은 전달 대비 29% 빠졌다. 지난해 7월 이후 저점을 찍은 것. 7개월 동안 집값이 폭락하며 건설사들 부채 부담을 가중했다. 지브 앙 UOB카이히안 애널리스트는 “과거엔 신규 주택 ...
-
中 1분기 4.8% 성장…"2분기엔 악화"
중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이 시장 예상을 웃도는 4.8%로 집계됐다. 1~2월 인프라 투자 확대가 3월부터 전국에 확산한 봉쇄 여파를 상쇄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2분기 성적표는 악화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소매판매가 19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하는 등 주요 경제지표가 3월부터 꺾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8일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27조178억위안(약 5219조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8% 증가했다...
-
예상 웃돈 중국 1분기 성장률…봉쇄 영향은 2분기부터 본격화 전망
중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이 시장의 예상을 웃도는 4.8%로 집계됐다. 1~2월 인프라 투자 확대가 3월부터 전국에 확산한 봉쇄 여파를 상쇄했다는 분석이다. 소매판매가 19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하는 등 주요 경제지표가 3월부터 꺾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2분기 성적표는 악화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소비는 3월부터 마이너스로 중국 국가통계국은 18일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27조178억위안(약 5219조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
-
"중국은 너무 위험"…'늦기 전에' 손 떼는 전세계 큰손들
글로벌 투자자들의 자본이 잇따라 중국을 이탈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정부의 독단적인 행정과 러시아와의 밀월관계 등 중국 시장과 결부된 리스크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이 미국 사모펀드로부터 조달한 투자액은 지난 1~3월 14억 달러(약 1조 7200억원)에 그쳤다. 2018년 이후 가장 낮은 실적이다. 중국 주식을 비롯해 채권, 뮤추얼 펀드 등 금융 시장 전반에서 자본 유출이 가속화됐다고 블...
-
"상하이 봉쇄로 중국 4월 GDP 3% 하락"…홍콩중문대 분석
상하이 봉쇄 장기화로 중국의 4월 국내총생산(GDP)이 2.5~3%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의 금융·물류 허브에 단행된 강력한 이동통제가 다른 도시들로 확산하면서 중국 경제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란 관측이다. 1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마이클 쑹 홍콩중문대 경제학 교수는 중국 전역의 트럭 물동량을 기반으로 한 모델을 활용해 이 같은 분석을 도출했다. 홍콩중문대와 칭화대 등 5개 대학은 2019년 ...
-
상하이증시, 中 1분기 GDP 발표…시장 "4.5% 성장"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인 15일 중국 증시에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무산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상하이종합지수는 0.45% 오른 3211.54, 선전성분지수는 0.56% 하락한 11,648.57로 장을 마쳤다.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이날 정책금리인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 금리를 전월과 동일한 수준으로 동결했다. 이에 따라 오는 20일 발표 예정인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도 동결될 가능성이 커졌다. 시장의 관심은 18일 발표되는 1분...
-
기준금리 인하 머뭇거리는 중국…미·중 금리차 축소 부담됐나[강현우의 중국주식 분석]
과감한 경기부양 정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커지는 가운데 중국이 4월 기준금리는 동결 또는 소폭 인하하겠다는 방침을 시사했다. 미·중 금리 차이 축소에 따른 외화 유출 우려에 금리 인하 카드를 유보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 대신 4개월 만에 지급준비율을 내려 경기를 뒷받침하기로 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5일 정책자금인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자금 1500억위안을 시중 은행에 공급했다. 금리는 전월과 같은 연 ...
-
코로나 봉쇄 풀리자…'中 빅테크 ETF' 반등
중국 빅테크 기업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가 12일 일제히 반등했다.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방역 정책을 완화한다고 발표한 게 영향을 미쳤다. 12일 ‘TIGER 차이나항셍테크 ETF’는 1.66% 오른 5815원에 장을 마감했다. 지난 6일부터 4거래일 연속 하락하다가 상승 반전했다. 홍콩 항셍테크지수를 추종하는 이 ETF는 알리바바, 샤오미, 텐센트 등에 투자한다. ‘중국판 나스닥’으로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