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마켓인사이트] 10년 만에 문 열리는 부동산신탁… 미래에셋·한투·NH 등 '출사표'

    [마켓인사이트] 10년 만에 문 열리는 부동산신탁… 미래에셋·한투·NH 등 '출사표'

    ▶마켓인사이트 9월26일 낮 12시2분부동산신탁업의 신규 진입이 10년 만에 허용된다. 전문가로 구성된 ‘금융산업 경쟁도 평가위원회’가 “부동산신탁업은 신규 진입을 통해 경쟁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고 결론 내렸기 때문이다. 부동산신탁은 부동산의 관리, 임대, 개발 등을 위탁받아 운영하는 일종의 종합 부동산 서비스업으로 최근 부동산 시장 활황에 힘입어 수익성이 크게 좋아졌다. 은행 중심 금융지주회사와 증권사뿐 아니라 비금융회사도 부동산신탁업에 뛰어들 채비에 나서 인가를 따내기 위한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부동산신탁, 경쟁 충분치 않아”금융위원회는 26일 금융산업 경쟁도 평가위원회를 통해 부동산신탁업 경쟁도를 평가한 결과 “부동산신탁은 경쟁이 충분하지 않은 시장으로 경쟁도를 높이기 위한 진입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인 금융산업 진입규제 개편을 위해 지난 7월 외부 전문가 11명으로 구성된 금융산업 경쟁도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업권별 경쟁도를 평가해왔다.부동산신탁 시장은 2009년 이후 신규 진입 없이 11개 업체가 유지돼왔다. 시장집중도를 측정하는 허핀달-허슈만지수(HHI)를 보면 차입형 토지신탁의 경우 2478로 생명보험(994), 증권(752)보다 각각 2.5배, 3.3배 장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입형 신탁은 부동산 위탁 개발·운영을 하면서 투자나 금융 주선을 통해 자금 조달까지 맡는 업태다. 한국토지신탁, 한국자산신탁 등 대형 4개사가 과점하고 있다.단순히 토지를 위탁 관리하는 관리형 토지신탁의 HHI도 1236으로 다른 금융업보다 높았다. 이에 따라 금융위는 부동

  • [단독] 신한금융 'M&A 본색'… 아시아신탁도 품는다

    [단독] 신한금융 'M&A 본색'… 아시아신탁도 품는다

    ▶마켓인사이트 9월7일 오후 3시15분오렌지라이프(옛 ING생명) 인수를 확정한 신한금융그룹이 이번에는 국내 6위 부동산 신탁회사인 아시아신탁을 품는다. 가파르게 성장하는 부동산 신탁시장에 진출해 은행과 시너지를 내는 동시에 오렌지라이프 인수로 되찾게 된 ‘리딩 금융그룹’ 자리를 확고히 다지려는 포석이다.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신한금융은 아시아신탁 인수를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막판 협상을 하고 있다. 최대주주인 정서진 아시아신탁 부회장과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지분 79.15%가 인수 대상이다. 가격은 2500억원 안팎으로 추산된다. 인수가 마무리되면 아시아신탁은 신한금융의 15번째 자회사가 된다. IB업계 관계자는 “신한금융이 조흥은행과 LG카드를 인수한 지 10여 년 만에 다시 인수합병(M&A) 시장에서 보폭을 넓히고 있다”고 말했다. 한영회계법인과 법무법인 태평양이 신한금융의 인수자문사를, 김앤장 법률사무소가 아시아신탁의 매각주관사를 맡고 있다.정영효/김대훈 기자 hugh@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 조용병과 김병주의 '뚝심 대결'… 세 번의 결렬 끝에 2.3조 빅딜 성사

    [마켓인사이트 ] 조용병과 김병주의 '뚝심 대결'… 세 번의 결렬 끝에 2.3조 빅딜 성사

    ▶마켓인사이트 9월6일 오전 6시11분지난 7월30일 오전 7시30분 서울 소공로 더플라자호텔.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과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마주 앉았다. 지난해 8월 신한금융이 MBK에 오렌지라이프(당시 ING생명) 인수를 제안한 지 1년 만에 양측 회장이 처음 만나 담판을 벌이는 순간이었다.◆1년간 피 말리는 협상신한금융이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잃은 지난 4월30일 이후 금융권에선 신한의 ‘인수 불발’을 기정사실화했다. 이날 두 회장 간 담판은 3개월간 양측이 극비리에 물밑 작업을 이어온 결과물이었다.신한금융과 MBK 실무자 모두 이날 결과를 낙관하고 있었다. 가격차는 230억원. 2조3000억원에 달하는 거래 규모를 감안하면 미세조정에 불과한 숫자였다. 하지만 1시간 반 뒤 협상장을 떠나는 두 회장의 표정은 굳어 있었다. 주당 4만9600원(배당금 주당 2600원 포함)을 제시한 조 회장에 맞서 김 회장은 5만600원에서 한발도 물러서지 않았다. 거래 자문사 관계자는 “투자업계 베테랑답게 정교한 수치로 무장한 김 회장에 맞서 ‘숫자가 화두가 되면 밀릴 수 있다’고 판단한 조 회장은 일상적인 화제로 일관하다가 막판 3분가량을 남기고 금액 얘기를 꺼냈을 정도로 주도권 싸움이 팽팽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협상은 다시 안갯속으로 빠져들었다.그로부터 나흘 뒤 신한금융에 날벼락 같은 소식이 전해졌다. KB금융이 MBK에 새로운 가격을 포함한 인수 제안을 넣은 것이다. 주당 5만원을 웃도는 수준이었다. 신한과 MBK 간 협상은 세 번째 결렬 위기를 맞았다.◆보험업계 최대 M&A 성사첫 번째 결별 위기는 지난 4월 말이었다. 당시 신한금융이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잃자 기다렸다

  • [단독] 신한, 10년 만에 '大魚 사냥'…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의 '리딩금융그룹' 재탈환 승부수

    [단독] 신한, 10년 만에 '大魚 사냥'…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의 '리딩금융그룹' 재탈환 승부수

    ▶마켓인사이트 8월13일 오후 7시15분신한금융그룹의 ING생명 인수는 ‘리딩금융그룹’ 자리를 재탈환하기 위해 절치부심해온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사진)의 승부수라는 평가다. 신한금융은 2007년 LG카드(현 신한카드)를 사들인 이후 10여 년 만의 ‘빅딜’을 통해 KB금융그룹에 내준 1위 자리를 되찾을 수 있게 됐다.◆조용병 회장의 승부수신한금융은 조 회장이 취임한 지난해 KB금융지주에 1등 금융그룹 자리를 내줬다. KB금융은 2015년과 2016년 잇달아 인수한 LIG손해보험(현 KB손해보험), 현대증권(현 KB증권)이 효자 노릇을 하며 지난해 3조3000억원에 달하는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렸다. 실적 개선뿐 아니라 손해보험 4위, 증권 5위 자회사를 거느리게 되면서 명실상부한 종합금융그룹 모습을 갖췄다.2007년 LG카드를 당시 국내 인수합병(M&A) 사상 최고가인 6조7000억원에 사들인 이후 이렇다 할 인수 실적이 없었던 신한금융과 대비되는 행보였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10년간 대형 M&A 실적이 없었던 신한금융은 성장동력 부재의 한계를 실감할 수밖에 없었다”고 전했다.신한금융은 지난해 1월 주가가 5년 만에 처음으로 KB금융에 따라잡혔다. 6월에는 6년 만에 시가총액 또한 역전됐다. 현재 KB금융(약 21조3655억원)과 신한금융(약 20조1772억원)의 시가총액 격차는 1조원 넘게 벌어져 있다.설상가상으로 지난해 말에는 신한금융 주가가 3위 하나금융지주에 밀리는 굴욕을 당했다. 신한금융 주가가 하나금융을 밑돈 건 2012년 8월 이후 5년4개월 만이다.◆리딩금융그룹 재탈환1등 금융지주 자리를 놓고 한 치의 양보 없는 경쟁을 벌이는 신한금융과 KB금융의 승부는 또다시 M&A에 의해 갈리게 됐다.

  • [단독] 신한금융, 2조4000억원에 ING생명 인수한다

    [단독] 신한금융, 2조4000억원에 ING생명 인수한다

    ▶마켓인사이트 8월13일 오후 7시15분신한금융그룹이 국내 6위 생명보험사 ING생명을 약 2조4000억원에 인수한다. KB금융그룹에 넘긴 ‘리딩 금융그룹’ 자리를 되찾기 위한 신한금융의 승부수가 결실을 맺게 됐다. 1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신한금융은 ING생명 지분 59.15%를 인수하기로 대주주인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와 합의했다. 주당 인수가격은 약 5만원, 총 2조4000억원 규모로 알려졌다. 국내 보험업계 인수합병(M&A) 사상 최대 규모다.신한금융그룹은 ING생명 인수 안건을 오는 16~17일 이틀 동안 열리는 이사회에 보고할 계획이다.신한금융이 ING생명 인수를 마무리하면 당기순이익 면에서 KB금융을 제치고 1위 금융그룹 자리를 재탈환한다. 신한금융은 2011년 은행권이 공동으로 국제회계기준(IFRS)을 도입한 이후 줄곧 1등 금융그룹을 지켜오다가 지난해 처음으로 KB금융에 자리를 내줬다. 신한금융은 작년 하반기 1조288억원의 순이익을 거둬 1조4517억원을 올린 KB금융에 밀렸다. 올 상반기도 KB금융(1조9152억원)은 신한금융(1조8171억원)을 눌러 1위 자리를 굳혀가는 모습이었다.신한금융이 연간 3400억원의 순익을 내는 ING생명을 사들이면 KB금융을 제칠 전망이다. 은행과 카드에 집중돼 있는 사업구조도 다양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기록한 2조9177억원의 당기순이익 가운데 은행과 카드 비중이 90.8%에 달할 정도로 편중됐다는 지적을 받아왔다.정영효 기자 hugh@hankyung.com

  • 신한지주, 영구채로 8600억원 실탄 조달

    신한금융지주가 국내외에서 잇달아 영구채(신종자본증권)를 발행한다. 최근 대규모 수요를 확보한 데 힘입어 해외 영구채 5억달러(약 5600억원) 발행을 확정한 데 이어 국내에서도 3000억원어치를 발행하기로 했다. 자본확충을 통해 넉넉한 투자 실탄 확보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신한금융지주는 오는 29일 3000억원 규모 영구채를 국내에서 공모 발행할 계획이다. 30년 만기에 5년 후 발행회사가 조기상환권(콜옵션)을 행사할 권리가 붙는 구조가 유력하다. 22일께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수요예측(사전 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KB증권과 삼성증권이 채권 발행실무를 맡고 있다.이 회사는 해외에서도 국내 금융지주사 최초로 영구채 형태의 조건부자본증권(코코본드)을 발행해 5억달러를 조달한다. 전날 수요예측 결과 20억달러(약 2조2500억원)이 넘는 매수주문이 들어온 데 힘입어, 연 5.875%의 금리로 채권 발행을 확정지었다. 처음 투자자들에 제시한 희망금리(연 6.25%)보다 0.375%포인트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하게 됐다. 영구채는 만기가 정해져 있지만 발행회사의 선택에 따라 만기를 늘릴 수 있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받는 채권이다. 발행회사가 청산하면 투자자가 원리금을 상환받는 순위가 뒤로 밀려 일반 회사채보다 신용도가 낮고 금리가 높은 게 일반적이다. 신한금융지주는 단숨에 약 8600억원의 자본을 확보하면서 지난 6월 말 14.9%인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을 15% 이상으로 높일 수 있게 됐다. 그룹 전체의 투자여력도 한층 강해질 전망이다. 신한금융지주의 지난 6월 말 기준 이중레버리지비율(자회사 출자총액/자기자본)은 120%대로 금융당국 기준치

  • [마켓인사이트] 삼성 계열 생보부동산신탁 인수전… 신한금융·현대산업개발 등 '격돌'

    [마켓인사이트] 삼성 계열 생보부동산신탁 인수전… 신한금융·현대산업개발 등 '격돌'

    ▶마켓인사이트 3월27일 오후 3시45분신한금융지주와 현대산업개발 등 5곳이 삼성그룹 계열 부동산신탁회사인 생보부동산신탁 지분 50% 인수전에서 맞붙었다. 매각 가격은 1300억원 안팎으로 예상된다. 거래가 성사되면 삼성그룹은 부동산신탁사업에서 완전히 철수하고, 신한금융이나 현대산업은 새로 진입하게 된다.2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삼성생명은 삼성증권을 매각주관사로 선정해 계열사인 생보부동산신탁 지분 50%를 매각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생보부동산신탁은 1998년 삼성생명과 교보생명이 5 대 5 지분으로 설립했다. 이 가운데 삼성생명 보유지분 50%가 매물로 나온 것이다. 올초 예비입찰에는 10여 곳의 국내 금융회사와 건설사, 사모펀드(PEF) 운용사, 부동산개발회사 등이 참여했다.매각주관사인 삼성증권은 이 가운데 신한금융과 현대산업개발 등 5곳을 적격인수후보(쇼트리스트)로 선정해 ‘경쟁호가방식’(프로그레시브딜)으로 최종 입찰을 할 예정이다.부동산신탁사업은 부동산 소유자로부터 수수료를 받고 부동산의 관리·처분·개발을 위탁받는 것을 말한다. 수익성이 높아 ‘황금알을 낳는 거위’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국내 11개 부동산신탁회사가 지난해 거둔 순이익은 전년보다 28.7% 늘어난 5061억원으로 사상 최고치였다.삼성과 교보생명의 공동경영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생보부동산신탁은 ‘사업확장에 매우 보수적’이라는 평가를 받으면서도 업계 중위권을 유지해왔다. 인수에 성공한 신한금융이나 현대산업이 토지신탁(개발신탁)같이 수익성이 높은데도 리스크가 크다는 이유로 생보부동산신탁이 손대지 않은 영역까지 진출하면 업계 1위인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