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용 프린터 전문기업 유니젯, 산은서 90억원 투자 유치
산업용 잉크젯프린터 장비제조 전문기업 유니젯이 KDB산업은행으로부터 총 90억원을 유치했다.유니젯은 전환사채(CB) 발행을 통해 KDB산업은행으로부터 30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전환사채는 제2회 기명식 무보증 이권부 사모전환사채로 전환가격 기준 기업가치(Post Value)는 330억원으로 평가됐다. 이와 별도로 평택 진위3산단 내 공장 신설을 위한 시설자금 용도로 60억원을 대출받아, KDB산업은행으로부터 총 90억원의 자금을 유치하게 됐다.유니젯은 지난 11월 VR(가상현실)과 AR(증강현실)용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마이크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박막봉지 잉크젯 설비 생산능력(CAPA)을 늘리기 위해 85억원을 투자해 경기도 평택에 본사 신축공장을 착공했다.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마이크로 OLED용 잉크젯 설비 생산과 인공치아 제작을 위한 세라믹소재 3D 프린터 시장에 진출을 위해 쓸 예정이다.유니젯은 첨단세라믹 소재부품 개발기업인 엠오피(M.O.P)와 공동으로 DLP(Digital Light Processing)방식의 3D 프린터를 개발하고 공정 최적화를 마쳤으며 내년 4월 정식 런칭을 위해 프리미엄 사양으로 3D 프린터를 제작하고 있다.김석순 유니젯 대표는 “내년에는 매출 100억원을 달성할 전망”이라며 “신규 세라믹소재 3D 프린터 시장에 진출하여 추가 성장동력도 확보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앞서 유니젯 지난해 12월 아르게스 프라이빗에쿼티(PE)와 에이원PE로부터 112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었다.박시은 기자 seeker@hankyung.com
-
[단독] 두산건설 매각 완료…두산 '재무약정 연내졸업' 초읽기
▷마켓인사이트 11월19일 오후1시44분두산그룹의 핵심 자회사인 두산건설이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큐캐피탈파트너스 컨소시엄에 2580억원에 매각됐다. 두산그룹이 구조조정을 위해 내놓은 마지막 매물이 팔리면서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채권단과 맺은 재무구조 개선 약정도 졸업을 눈앞에 두게 됐다.1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두산그룹은 이날 오후 이사회를 열어 두산중공업이 보유한 두산건설 지분 100% 중 54%를 큐캐피탈 컨소시엄에 매각하는 안건을 의결한 뒤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컨소시엄은 큐캐피탈과 스카이레이크에쿼티파트너스, 우리PE, 유진자산운용-신영증권PE부문으로 구성됐다.두산건설이 매각되면서 두산그룹의 자구계획도 마무리 수순에 접어들었다. 두산그룹은 앞서 지난해 6월 산은 등으로부터 3조원의 긴급 자금을 지원받는 약정을 체결한 뒤 클럽모우CC, 네오플럭스, 두산타워, 두산솔루스, ㈜두산 모트롤BG, 두산인프라코어 등을 잇따라 매각했다. 남은 채무 잔액은 약 7000억원 수준이다. 산은은 두산건설 매각계획서를 면밀히 검토한 뒤 연내 조기 졸업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현재로서는 두산그룹이 역대 최단 기간에 재무구조 개선약정을 조기 졸업할 가능성이 유력하다. 최근 10년 내 조기 졸업에 성공한 사례는 2014년 산은과 약정을 체결했던 동국제강이 유일하다. 동국제강은 약정 체결 2년 만에 이를 해지했다. 과거 금호그룹은 기한 내 경영 정상화에 실패해 약정에 따라 아시아나항공을 처분해야 했다.큐캐피탈은 국내 중소·중견기업 경영권 인수를 전문으로 하는 운용사다. 치킨 프랜차이즈 제너시스비비큐(BBQ), 노랑통닭, 영풍제지, 큐로CC, 가공목재
-
[단독] 두산건설, 큐캐피탈 컨소에 매각 계약 체결
두산그룹 자회사인 두산건설이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큐캐피탈파트너스 컨소시엄의 품에 안긴다. 매각이 성사되면서 두산그룹은 지난해 6월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채권단과 맺은 재무구조 개선약정 조기졸업 초읽기에 들어갔다.1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두산그룹은 이날 오후 이사회를 열어 두산중공업이 보유한 두산건설 지분 100% 중 54%를 큐캐피탈 컨소에 매각하는 안건을 의결한 뒤 주식매매계약(SPA)를 체결했다. 컨소시엄은 앵커 투자자인 큐캐피탈과 함께 스카이레이크에쿼티파트너스, 우리PE, 유진자산운용-신영증권PE부문으로 구성됐다. 두산그룹의 부동산 개발 자회사인 디비씨(DBC)는 이들이 설립하는 특수목적법인(SPA)에 1200억원을 투입해 중순위 출자자로 참여한다. 전체 거래금액은 2580억원이다. FI가 투입하는 금액은 큐캐피탈 900억원, 스카이레이크 300억, 유진-신영PE 180억원이다. 나머지 지분 46%는 두산중공업이 보유할 예정이다. 양측은 연내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신고를 마친다는 계획이다.두산건설 매각은 지난해 대우산업개발과의 협상이 무산된 지 1년3개월 만이다. 최근 건설경기 호황에 힘입어 실적이 크게 개선된 점이 매각 성공으로 이어지게 됐다는 분석이다. 두산건설의 올 3분기 기준 누적 영업이익은 543억원으로, 전년 동기(238억원) 대비 두 배 이상으로 증가했다.두산그룹의 자구계획도 마무리 수순에 접어들었다. 두산그룹은 앞서 산은 등으로부터 3조원의 긴급자금을 지원받는 약정 체결 이후 클럽모우CC, 네오플럭스, 두산타워, 두산솔루스, ㈜두산 모트롤BG, 두산인프라코어 등 우량자산을 잇따라 매각했다. 남은 채무 잔액은 약 7000억원 수준
-
산은 "쌍용차 신규 대출, M&A서 고려돼선 안돼" 의견서 제출
KDB산업은행이 쌍용자동차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에디슨모터스의 '신규 대출'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담은 의견서를 서울회생법원에 제출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대출을 조건으로 회생 전 인수합병(M&A)을 진행할 경우 다른 후보와의 공정성 문제도 거론될 수 있다는 내용을 담는 등 부정적 입장을 강력하게 피력한 것이다.9일 산업은행 관계자는 "에디슨모터스가 쌍용차에 대한 신규 대출을 요구하면서 쌍용차 M&A 입찰에 응한 것으로 이해된다"며 "산은은 에디슨모터스와 쌍용차 M&A에 대해 사전에 일절 접촉한 적이 없고 우협이 선정되기도 전에 특정 입찰참여자와 접촉하는 것은 가능하지도 않다는 내용의 의견서"라고 설명했다.의견서에는 "에디슨모터스가 요구한 신규 대출을 입찰 제안 조건으로 인정한다면 이는 입찰 안내서에 명시된 입찰 무효 사유이자 확약서를 위반한 무효 입찰 제안으로 인정될 위험이 크기 때문에 이 대출 조건은 M&A 입찰에서 결코 고려돼서는 안된다"는 내용도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이같은 내용의 의견서는 지난달 말 서울회생법원에 제출됐다. 이에 대해 서울회생법원 관계자는 "에디슨모터스가 처음 입찰할 때 산은의 담보대출을 조건으로 건 것은 사실이지만 이후 조건을 철회하라는 법원의 제안대로 M&A 양해각서(MOU)에는 해당 조건을 뺐다"며 "이같은 사실을 산은에도 충분히 설명했고 계약 진행에는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산은이 대출을 해주고 말고는 산은이 알아서 할 일이지 그게 M&A 조건이 될 수도 없고 돼서도 안된다"는 취지의 설명이다.실제로 에디슨모터스는 쌍용차와 M&A를 위한 MOU
-
KDB산업은행이 에디슨모터스에 '발끈'한 이유는?
"에디슨모터스에 8000억이나 대출해주면서 경영권도 못 가질 거면 KDB산업은행이 진작에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 개선)을 하든 다른 방법을 썼겠지, 여기까지 왔겠나."(IB업계 관계자)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쌍용자동차의 인수합병(M&A)을 두고 시작부터 잡음이 나오고 있다.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이 "산은에 평택 부지를 담보로 대출해달라고 요청했고 응당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힌 데 대해 산은측이 강도 높은 비판을 내놓으면서다. 이에 에디슨모터스는 2일 쌍용차와 M&A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면서 '산은 대출 조건'을 제외한 것으로 알려졌다.에디슨모터스는 이날 인수대금의 5%인 155억원을 계약금으로 납부하고 쌍용차의 정밀실사를 시작했다. 최종 인수 가격과 거래 조건 등은 협의 후 확정할 계획이다. 무엇보다 MOU에서 '산은 대출' 조건이 빠진 배경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앞서 에디슨모터스는 서울회생법원에 제출한 회생계획안에 "산은이 평택 공장 부지를 담보로 7000억~8000억원의 담보대출을 해주는 조건으로 인수하겠다"는 내용을 담았었다. 우협 선정 이후 강영권 에디슨모터스 대표는 "예전에 마힌드라가 쌍용차 인수할 때도 산은이 지원해줬는데 국내 기업이 인수한다는데 지원을 해줘야 마땅하지 않겠냐"며 "이미 산은에 대출 요청을 했다"고 밝힌 바 있다.이에 대해 산은은 이례적으로 보도해명자료를 내고 "쌍용차는 현재 법원 및 회사 주관하에 회생 인가
-
쌍용차 새 주인 윤곽, 20일 드러난다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쌍용자동차의 새 주인 윤곽이 20일 드러날 예정이다. 서울회생법원은 이번 인수전에 참여한 후보 회사들이 재보완해서 제출한 입찰제안서를 검토 중으로, 20일 오후에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여부를 결정지을 방침이다.1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쌍용차 매각 본입찰에 참여한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은 기존에 써냈던 2851억원의 인수금액보다 1000억원가량 증액한 금액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쟁 후보인 이엘비앤티 컨소시엄이 5050억원을 써내면서 차이가 크다는 데 착안해 부족한 자금을 채우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일각에서는 에디슨모터스측이 추가로 재무적투자자(FI)를 통해 250억원 가량 충당했고 나머지를 KDB산업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으려는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이에 대해 산은측은 "전혀 아는 바가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엘비앤티의 인수 능력에 대해 의문을 갖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에디슨모터스가 "우리가 인수할 테니 산은이 대출해달라"고 '배짱'을 부리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대목이다.IB업계에서는 양측 후보 모두 자금력이 충분치 못하다고 법원이 판단할 경우 재매각으로 결정할 가능성도 크다고 보고 있다. IB업계 관계자는 "지금 써 낸 인수가격은 쌍용차의 차입금 상환에 다 들어가는 돈이고 결국 인수 후 회사가 제대로 돌아갈 수 있는 운전자금이 필요한 것"이라며 "인수 이후가 더 문제인데 과연 두 후보 중 누가 충분한 자금을 확보했는지 의문이 든다"고 했다.만약 법원이 재입찰하기로 결정할 경우 매각에 걸리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적자가 더 많아지는 등 기업 회생에 더 많은 돈이 들게
-
산업은행, 공사채 15억달러 역대 최저 가산금리로 발행
산업은행이 역대 최저 금리(가산금리 기준)15억 달러 규모 공사채 발행 발행에 성공했다고 19일 발표했다.채권 만기는 3년 3개월 만기물 7억 달러 5년 6개월물 5억 달러 10년물 3억 달러 등으로 구성됐다. 각국 중앙은행, 국제기구 등 국가·국제기관급(SSA) 등이 투자자의 42%를 차지했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채권의 일종인 그린본드로 발행하는 3년 3개월물은 국내 기관 최초로 3개월 미 달러 리보 기준으로 마이너스 가산금리(-0.07%포인트)로 결정됐다.산은은 이달 초 역대 최저 가산금리를 달성한 외평채 10년물을 벤치마크로 활용, 금리 상승 시기임에도 장기 외화자금을 안정적으로 저리에 조달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그린본드로 조달한 자금은 산은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채권 관리체계에 따라 2차전지와 재생에너지 관련 사업 등 그린뉴딜사업에 쓰인다.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
이동걸 "대우건설 매각, 적법하게 진행됐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이 대우건설 매각에 대해 절차가 공정하고 적법했다는 의견을 밝혔다.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재매각 논란을 다시 한번 일축한 것으로 풀이된다.이 회장은 15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산업은행 국정감사에서 대우건설 졸속 매각 논란에 대해 “최대한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했다고 본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대우건설의 최대주주인 KDB인베스트먼트는 대우건설의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중흥건설을 최종 선정했다. 그러나 본입찰을 한 차례 마감한 뒤 재입찰을 진행한 데다 중흥건설의 인수 조건 조정 요청을 받아들여 매각 가격이 낮아진 점이 논란이 됐다.이 회장은 이에 대해 “KDB인베스트먼트 입장에서는 (중흥건설의) 수정 제안을 고려하든지 무효 처리해야 하는데 이를 감안해 조정이 이뤄진 것으로 생각한다”며 “무효 처리하는 게 불합리하다는 판단이 있었던 것으로 본다면 최대한의 매각가를 달성했다는 점에서 성공적”이라고 답했다.대한항공과의 기업결합 심사가 진행 중인 아시아나항공에 대해서는 독자 생존이 불가능하다고 못박았다. 그는 “올해 초 코로나19 재유행으로 무산됐지만 항공기 제조사 에어버스 측에서 면담 요청을 해왔다”며 “통합사의 경쟁력이 높아진다는 것은 기종 도입이나 여러 가지 측면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또 다른 대형 인수합병(M&A) 건인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 건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회장은 “기업결합 심사가 지연된 것은 죄송하다”며 “매각 가부가 결정될 때까지는 (현대중공업과의 합병에) 매진하겠다”고 답했다. 두 기업에 대한 결
-
산업은행, 국내 최초 녹색구조화채권 발행…"ESG 채권시장의 외연 확대"
산업은행이 국내 최초로 녹색구조화채권 발행에 성공했다.산업은행은 12일 친환경 프로젝트 지원을 위한 원·외화 녹색구조화채권을 잇따라 발행했다고 발표했다.300억원어치 원화채권 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은 오염 방지와 관리, 에너지 효율 향상 등 녹색 친환경 사업에 사용될 예정이다. 자금 배분 내역과 환경 개선 기여도 관련 정보는 매년 외부기관의 검토를 거쳐 공개할 방침이다.2000만달러(한화로 약 240억원) 규모의 외화채권 발행을 통해 마련한 자금은 재생 에너지와 전기 자동차용 2차전지 설비투자에 쓸 예정이다.산업은행은 2018년 국내 최초로 녹색채권을 발행한 이후 매년 ESG(환경·사회·지배구조)채권을 상시 발행하고 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이번 녹색구조화채권은 중도 상환이나 전환이 불가능한 기존 3~5년 만기 위주의 일반 채권과 다른 형태"라며 "평소에는 이자 지급이 없지만 상환 때 원금과 이자를 지급하고 일정 기간 이후부터 조기 상환할 권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다양한 기관투자가들이 투자할 수 있도록 채권 구조를 짜 ESG 채권시장의 외연을 확대했다는 게 산업은행의 평가다.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
'완판 행진' 국민참여 뉴딜펀드, 1000억원 규모로 2차 출시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9월10일(10:1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한국산업은행과 한국성장금융은 2021년 국민참여 뉴딜펀드의 2차 출자사업을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2차 출자사업은 상반기 1차 출자사업 당시 출시 1주일 만에 완판을 기록한 국민참여 뉴딜펀드를 1000억원 규모로 추가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내달 말 총 8개 위탁운용사를 선정할 예정이다.국민참여 뉴딜펀드는 국민자금 800억원과 재정 200억원으로 총 1000억원 규모로 조성된다. 국민자금과 재정은 복수의 자펀드(8개사 예정)에 출자돼 분산투자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주로 상장기업의 신주나 비상장기업의 지분인수, 메자닌 등에 투자한다. 재정(200억원)이 펀드에 후순위 재원으로 출자되면서 총 조성금액의 20%까지 위험을 우선 분담해 높은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4년간 중도환매가 불가능하며, 상장을 통한 거래는 가능하나 거래시장이 활성화돼 있지는 않다. 성장금융 관계자는 “4월부터 투자가 시작된 2000억원 규모의 국민참여 뉴딜펀드는 8월말까지 약 54%의 소진율을 보이고 있고, 연말까지 약 80%의 투자가 예상된다”며 "이번에 뉴딜펀드를 추가로 조성하면서 뉴딜 분야의 상장기업과 상장예비기업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기대된다”고 말했다.2차 국민참여 뉴딜펀드는 11월말 또는 12월초 출시돼 최대 2주간 판매될 예정이다. 국민의 접근성 확대를 위해 온라인 판매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
“나도 유망 2차전지주” 신흥에스이씨 1000억 투자유치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9월08일(10:1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2차전지 관련 부품업체인 신흥에스이씨가 1000억원을 투자받는 데 성공했다. 산업은행과 주요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이 큰 폭의 성장세를 기대하고 러브콜을 보냈다.신흥에스이씨는 지난 7일 이사회를 열고 전환우선주 133만8688주를 발행하기로 결정했다. 오는 10월14일 JKL파트너스, 스틱인베스트먼트, 동운인베스트먼트, 산업은행을 상대로 주식을 발행해 1000억원을 조달할 예정이다. 전환우선주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투자자가 의결권이 있는 보통주로 바꿀 수 있는 우선주다.전환우선주 발행가격은 주당 7만4700원으로 보통주(7일 8만8800원)보다 15.8% 낮다. 투자자들은 내년 10월14일부터 1 대 1 비율로 전환우선주를 보통주로 바꿀 수 있다. 전환청구권 행사가 가능해지는 시점에 보통주 주가가 전환우선주 발행가격을 웃돌기만 하면 원금 이상의 수익을 거둘 수 있다. 신흥에스이씨는 전환우선주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을 설비투자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이 회사는 설립 초기엔 소형전지 부품을 주로 만들다가 차츰 전기차 등에 쓰이는 중대형전지 부품으로 사업영역을 넓히고 있다. 배터리 폭발 방지장치인 캡 어셈블리와 CID(Current Interrupt Device) 등이 주력 제품이다. 삼성SDI를 주요 고객으로 두고 있다. 신흥에스이씨는 최근 전기차시장의 가파른 성장세로 늘어난 제품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능력을 키우고 있다.이 회사는 2차전지주 투자열기가 뜨거웠던 지난해엔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았지만, 올 들어선 가파른 주가 상승세로 주목받고 있다. 올해에만 주가가 85.9% 뛰었다. 특히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
'품고'운영사 두손컴퍼니, IMM 등으로부터 216억 투자 유치
서비스형 풀필먼트 ‘품고’를 운영하는 두손컴퍼니가 216억 원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이번 투자는 IMM인베스트먼트, 산업은행, 닷커넥트, 에스앤에스인베스트먼트, 메가인베스트먼트, 원익투자파트너스에서 주도했다. 기존 투자사인 위벤처스, 퓨처플레이, 비하이인베스트먼트, 신한대체투자운용도 다시 참여했다. 회사의 누적 투자금은 320억 원이다.품고는 2015년에 시작된 풀필먼트 서비스이다. 자체 개발한 ‘핸디봇’ 시스템을 통해 물류 최적화와 수요예측 등의 AI 기술을 구현함으로써, 급성장하고 있는 풀필먼트 업계의 디지털화를 리드하고 있다.지난 6월 기준 품고센터를 통해 월 100억 원 이상이 거래되고 있으며, 이러한 성과를 인정 받아 페덱스(FedEx)의 단독 풀필먼트사로 선정되기도 했다. 특히 기존 주주였던 네이버가 이번 투자에 다시 참여하면서, 지난 7월 오픈한 네이버 풀필먼트 얼라이언스(NFA)를 시작으로 40만 스마트스토어 셀러와의 파트너십 강화가 기대되고 있다.이번 투자를 리드한 IMM인베스트먼트 심사역은 “한국형 풀필먼트 서비스를 선도하고 있는 두손컴퍼니의 물류 경쟁력과 성장성을 높이 평가해 이번 투자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품고가 스몰 비즈니스 대상의 물류 운영 노하우와 서비스 설계의 강점을 두고 고속 성장하고 있는 만큼 스몰 비즈니스에 특화된 커머스 벨류체인 전반의 SCM(Supply Chain Management) 확장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두손컴퍼니 박찬재 대표는 “품고가 만들어가고 있는 서비스형 풀필먼트 분야는 이제 막 태동하는 단계이다. 세계 5위 수준의 한국 이커머스 시장에서 혁신을 만들어 세계로 나아가겠다”며, “
-
점입가경…'진흙탕 싸움' 된 WCP CB 인수전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8월19일(15:4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KDB산업은행과의 계약이 종결되지 않아 계약 이행을 위한 통상적 가처분 신청을 한 것이다." (이베스트-BEV신기술조합 관계자)"이미 WCP의 우선매수권 행사에 따라 전환사채(CB)를 넘겼다고 이베스트조합측에 공문을 보냈지만 이를 무시한 것이다."(KDB산업은행 관계자)전기차 배터리 분리막 전문업체 WCP(더블유씨피)의 전환사채(CB) 매매를 놓고 KDB산업은행(산은)과 이베스트-BEV신기술조합(이베스트조합)의 공방이 점입가경이다. 앞서 산은이 보유한 WCP의 CB 800억원어치를 인수하겠다는 계약을 체결했던 이베스트조합은 이 CB의 우선매수권을 가진 WCP의 권리 행사로 계약이 무산될 위기에 처하자 서울중앙지방법원에 CB 처분금지 가처분 신청을 했다. 그 결과 법원으로부터 가처분 신청 인용을 받았다며 산은이 계약을 이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선 것.이베스트조합측은 19일 "재판부가 산은이 전환사채의 양도, 질권설정 등 일체의 처분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고 주문한 것"이라며 "현재 산은과 우리 조합과의 계약 효력은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산은측은 "8월5일에 구두로 우선매수권에 따라 CB 매각이 완료됐다는 통보를 했고 11일에 이메일로 공문을 보내 이베스트조합측도 메일을 확인했다"며 "왜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했는지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했다.하지만 이베스트조합측은 "산은으로부터 전환사채 실물 양도에 관한 명확한 답변을 공문으로 회신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이달 9일에 가처분 신청을 했고 11일에 이메일을 받았
-
점입가경…'진흙탕 싸움' 된 WCP CB 인수전
"KDB산업은행과의 계약이 종결되지 않아 계약 이행을 위한 통상적 가처분 신청을 한 것이다." (이베스트-BEV신기술조합 관계자)"이미 WCP의 우선매수권 행사에 따라 전환사채(CB)를 넘겼다고 이베스트조합측에 공문을 보냈지만 이를 무시한 것이다."(KDB산업은행 관계자)전기차 배터리 분리막 전문업체 WCP(더블유씨피)의 전환사채(CB) 매매를 놓고 KDB산업은행(산은)과 이베스트-BEV신기술조합(이베스트조합)의 공방이 점입가경이다. 앞서 산은이 보유한 WCP의 CB 800억원어치를 인수하겠다는 계약을 체결했던 이베스트조합은 이 CB의 우선매수권을 가진 WCP의 권리 행사로 계약이 무산될 위기에 처하자 서울중앙지방법원에 CB 처분금지 가처분 신청을 했다. 그 결과 법원으로부터 가처분 신청 인용을 받았다며 산은이 계약을 이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선 것.이베스트조합측은 19일 "재판부가 산은이 전환사채의 양도, 질권설정 등 일체의 처분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고 주문한 것"이라며 "현재 산은과 우리 조합과의 계약 효력은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산은측은 "8월5일에 구두로 우선매수권에 따라 CB 매각이 완료됐다는 통보를 했고 11일에 이메일로 공문을 보내 이베스트조합측도 메일을 확인했다"며 "왜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했는지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했다.하지만 이베스트조합측은 "산은으로부터 전환사채 실물 양도에 관한 명확한 답변을 공문으로 회신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이달 9일에 가처분 신청을 했고 11일에 이메일을 받았는데 내용도 이상하다"는 게 이베스트조합측 입장이다. 조합측 관계자는 "통상 채권
-
AI 스타트업 머니브레인…산은 등서 400억 시리즈B 유치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7월23일(08:1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인공지능(AI) 기술 전문기업 머니브레인이 400억원대 시리즈B 투자를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KDB산업은행 스케일업금융일이 100억원을 출자하며 이 투자를 주도했다. 주요 투자자로는 사모펀드(PEF) 운용사 노앤파트너스, IMM인베스트먼트와 엔베스터, KDB캐피탈 등 신규 투자자들과 포스코기술투자, L&S벤처투자 같은 기존 투자자들이 참여했다. 이번 투자금은 머니브레인의 인공지능 기술 고도화 및 신규 사업 진출 등에 쓰일 예정이다.2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머니브레인은 최근 투자자들과 주식인수 계약서를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400억원어치의 상환전환우선주(RCPS)를 신규 발행하는 방식이다. 산은이 100억원, 각 투자자들이 50억~100억원가량씩 참여해 총 400억원을 모으는 데 성공했다. 이번 투자로 산은은 머니브레인의 지분 5.3%를 보유하게 됐다. 신규 투자자들의 지분을 합치면 20%에 달한다.머니브레인은 기존에 투자했던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100억원가량을 추가로 모집해 총 500억원을 채운다는 계획이다. 투자 전 기준 기업가치는 1500억원대. 이번 투자금을 합치면 약 2000억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게 된다. 2019년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을 때의 기업가치는 350억원 수준이었다. 당시 71억원어치 시리즈A에는 포스코기술투자, KB인베스트먼트, IDG캐피탈 등이 참여했다.이번에 참여한 한 투자사 관계자는 "머니브레인의 차별화된 AI 기술력은 성장성이 큰 데다 향후 기업공개(IPO)로 큰 수익률을 거둘 수 있을 것"이라며 "해외 시장 진출이 성공하면 몇 배의 수익률도 기대할 수 있다"

![[단독] 두산건설 매각 완료…두산 '재무약정 연내졸업' 초읽기](https://img.hankyung.com/photo/202111/01.28041466.3.jpg)
![[단독] 두산건설, 큐캐피탈 컨소에 매각 계약 체결](https://img.hankyung.com/photo/202111/01.28106969.3.jpg)




!['완판 행진' 국민참여 뉴딜펀드, 1000억원 규모로 2차 출시 [마켓인사이트]](https://img.hankyung.com/photo/202109/ZK.27448332.3.jpg)
![“나도 유망 2차전지주” 신흥에스이씨 1000억 투자유치 [마켓인사이트]](https://img.hankyung.com/photo/202109/01.27434490.3.jpg)
![점입가경…'진흙탕 싸움' 된 WCP CB 인수전 [마켓인사이트]](https://img.hankyung.com/photo/202108/AD.25371982.3.jpg)

![AI 스타트업 머니브레인…산은 등서 400억 시리즈B 유치 [마켓인사이트]](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01.27013204.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