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차전지 불패…지아이텍에 기관 자금 42조 몰려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10월08일(16:2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2차전지 코팅업체인 지아이텍의 공모주에 기관투자가 자금 약 42조원이 몰렸다. 경쟁률이 2000 대 1을 넘을 정도로 치열한 매수경쟁이 벌어졌다.지아이텍은 코스닥시장 상장에 앞서 지난 5~6일 진행한 수요예측에 1756개 기관이 참여해 약 42조원의 주문을 넣었다고 8일 공시했다. 경쟁률은 2068 대 1이었다. 참여 기관 중 1500곳 이상이 희망 공모가격(1만1500~1만3100원) 최상단 이상으로 주문을 넣었다. 일정기간 주식을 팔지 않겠다고 약속한 기관은 적은 편이었다. 427곳이 짧게는 15일, 길게는 6개월 동안 주식을 보유하겠다는 확약을 걸었다.지아이텍은 기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해 공모가격을 희망범위 최상단보다 높은 1만4000원으로 확정했다. 최종 공모가격 기준 공모 규모는 378억원, 예상 시가총액은 1102억원이다.기관들은 지아이텍이 2차전지 시장의 가파른 성장세와 함께 실적을 늘려갈 것으로 기대하고 적극적으로 청약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1990년 설립된 지아이텍은 2차전지와 수소전지를 코팅하는 슬롯다이와 디스플레이 생산공정에 쓰이는 슬릿노즐을 만들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삼성디스플레이 등을 고객으로 두고 있다. 이 회사의 지난해 매출은 172억원으로 전년보다 95.4% 늘었다. 영업이익은 52억원으로 같은 기간 879.6% 증가했다.기관 수요예측을 성공적으로 마친 지아이텍은 오는 12일부터 이틀간 일반청약을 진행한다. 모집물량은 81만주다. 상장 주관사인 미래에셋증권을 통해 청약할 수 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1등 펀드매니저가 '10월 사야할 주식' 정리해줍니다 [허란의 경제한끼]
경제한끼는 내 자산을 지키는 든든한 인터뷰 콘텐츠입니다. 유튜브 채널 한경 글로벌마켓에서 '허란의 여의도나우'로 먼저 만날 수 있습니다.10월 주식시장은 지루한 박스권을 탈피하고 상승할 수 있을까요? 이 달은 미국 테이퍼링 이슈와 국내 2차 백신접종이 마무리되는 시점과 대형주 실적시즌이 겹치는 시즌이 겹치는 중요한 타이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코스피 박스권에 갇힐까?이한영 DS자산운용 주식운용본부장은 지난 28일 유튜브채널 한경 글로벌마켓 ‘허란의 여의도나우’에서 10월 주식시장 상승을 억제하는 요인은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이슈를 꼽았습니다. 그러면서도 “정치권의 합의가 이뤄지기까지 1~2주 잡음이 이어질 수는 있겠지만 지금껏 그래온 것처럼 어쨌든 해결될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테이퍼링과 피크아웃 논란에 대해서는 “같은 상황을 놓고도 경기가 피크아웃인데 테이퍼링을 할 것이냐, 체력이 좋으니 테이퍼링 한다는 논리가 엎치락뒤치락하면서 주식시장이 지지부진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본부장은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까지 시장이 지루하게 기다리는 동안 피크아웃 논란이 소화되면서 변동성이 얼마나 잦아드느냐가 10월 시장의 관전 포인트”라고 말했습니다. 코스피 상승 요인은? 코스피 상승 요인으로는 10월 중순부터 시작되는 대형주 실적시즌을 꼽았습니다. 이 본부장은 “9월 1일 월간 수출입동향 데이터가 나오면서 외국인이 순매수로 돌아섰다”며 “코스피 반등은 기업실적이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10월은 테이퍼링 이슈와 2차 백신접종
-
2차전지 화재 막는 1등 공신… 이틀 새 27% 오른 켐트로스
2차전지의 화재를 방지해주는 첨가제 제조 사업 부문이 부각되면서 켐트로스가 강세다. 30일 켐트로스는 2.77% 오른 1만67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틀 만에 27% 상승했다. 접착제용 폴리머 생산기업이던 켐트로스는 2012년부터 노트북, 스마트폰 배터리용 첨가제를 생산, 납품해왔다. 배터리용 첨가제는 충전 용량, 과충전 방지, 난연성, 배터리 수명 등을 개선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2차전지 전해액 중 구성 비율은 3.6%로 낮지만 원가는 약 26%를 차지하는 핵심 원료다. 증권가에서 주목하고 있는 건 지나친 온도 상승으로 인해 배터리 화재를 막아주는 기술을 적용한 첨가제다. 최근 전세계서 전기차 배터리 화재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2차전지에 대한 안전성 논란이 불거지고 있기 때문이다. GM은 미국, 우크라이나 등에서 잇따라 화재 사고를 일으킨 전기차 쉐보레 볼트EV를 전량 리콜하고 생산을 중단하기로 했다. 현대차도 올초 2만5000여대의 코나EV를 리콜한 데 이어 지난 7월 출시된 G80 전동화 모델 177대도 리콜 조치했다. 최지영 교보증권 연구원은 "켐트로스가 생산하고 있는 첨가제는 배터리 충방전 때 온도 상승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며 "2차전지 업계의 가장 큰 걸림돌인 배터리 폭발로 인한 화재를 막아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켐트로스의 2차전지용 접착제는 전해액 제조기업인 솔브레인, 동화기업 등에 납품되고 있다. 올 상반기 기준 첨가액 매출은 전체 매출액의 16.6%(3716억원) 수준이지만 매출 비중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완공된 첨가제 제조용 3공장은 연간 200억원의 추가 매출을 올릴 수 있는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
-
뜨거운 2차전지주 인기…원준 공모주에 기관들 63兆 주문[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9월17일(17:4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2차전지 소재 제조용 장비 등을 만드는 원준의 공모주에 기관투자가 자금 약 63조원이 몰렸다. 경쟁률이 1400 대 1을 넘을 정도로 치열한 매수경쟁이 벌어졌다.원준은 지난 15~16일 진행한 수요예측에 기관 1466곳이 참여해 약 63조원의 주문을 냈다고 17일 밝혔다. 경쟁률은 1464 대 1이었다. 참여 기관 대부분이 희망 공모가격(5만2000~6만원) 최상단 이상으로 주문을 넣었다. 일정기간 주식을 팔지 않겠다고 약속한 기관도 적지 않았다. 참여 기관의 44.3%가 짧게는 15일, 길게는 6개월 동안 주식을 보유하겠다는 확약을 걸었다.원준은 이 같은 결과를 반영해 공모가격을 희망가격보다 높은 6만5000원으로 확정했다. 전체 공모 규모는 653억원, 공모 직후 시가총액은 3253억원이다. 이 회사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생산설비 확대와 인수합병(M&A), 연구개발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기관들은 원준이 2차전지 시장과 함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고 적극적으로 베팅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준은 2008년 설립된 첨단소재 열처리 전문기업이다. 2차전지의 핵심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 생산과정에 사용되는 장비인 소성로 제작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 받고 있다. 소성로 외에도 탄소섬유, 연료전지, 전고체전지 등 다양한 첨단소재 열처리 분야로 사업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이 회사는 올 상반기 매출 162억원, 영업이익 47억원을 냈다.기관 수요예측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원준은 오는 27일부터 이틀간 일반청약을 받는다. 모집할 주식은 총 25만1202주다. 상장 주관사인 NH투자증권을 통해 청약할 수 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엔켐, 증권신고서 제출…코스닥 시장 상장 절차 돌입
≪이 기사는 09월17일(10:5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전해액 제조 기업 엔켐이 코스닥 상장을 위해 금융감독원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공모 절차에 착수했다고 16일 밝혔다. 대표 상장주관은 대신증권이, 공동주관은 신한금융투자가 맡았다.2012년 설립된 엔켐은 2차전지의 4대 핵심소재(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 중 하나인 전해액 생산 전문 기업이다. 2차전지 및 EDLC(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용 전해액과 고기능성 전해액 첨가제를 개발, 생산하고 있다. 2차전지용 전해액이 적용되는 여러 전방산업 중 엔켐은 주로 기술 난이도가 높은 전기차용 전해액 생산 및 연구개발에 주력했다. 국내 최초 전기차용 전해액 개발에 성공했고 이를 상용화했다.엔켐은 2차전지용 전해액 제조사 중 세계 최초로 글로벌 주요 배터리 거점인 한국, 미국, 중국, 유럽에 생산 및 영업 체제를 구축했다. 엔켐은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등 글로벌 베터리 업체의 생산 공장과 1시간 이내 거리에 공장을 건설해 전해액을 최단시간 내 최상의 상태로 공급할 수 있게 글로벌 최적 생산 시스템을 구축했다. 2013년 매출액 20억원에서 시작해 2020년엔 매출액 1372억 원을 달성, 해당기간 매출액의 연평균 성장률은 83%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013년 적자에서 2020년 147억원을 달성했다.이번 상장을 통해 226만2625주를 공모한다. 공모예정가는 3만원~3만5000원으로 총 공모금액은 약 678억~792억원 수준이다. 수요예측은 10월 15일~18일 진행되며, 10월 21일~22일 청약을 거쳐 11월 초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엔켐은 이번 IPO를 통해 확보한 공모 자금을 해외 지역별 공장 증설 및 CA
-
이성제 원준 대표 "한국 넘어 글로벌 No.1 열처리 솔루션 기업될 것"
≪이 기사는 09월14일(05:5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해외 업체들에 비해 납품실적, 기술력, 연구개발(R&D) 등에서 전혀 뒤쳐지지 않습니다. 국내 열처리 솔루션 업체 매출 규모 1위에서 더 나아가 한국 국가대표 장비회사가 되겠습니다." 코스닥 상장을 앞둔 첨단소재 열처리 솔루션기업 원준의 이성제 대표이사는 "상장 후 해외 시장에 본격 진출해 글로벌 NO.1 열처리 솔루션 업체가 되겠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2008년 설립된 원준은 첨단 소재를 생산하기 위한 필수 공정인 열처리 솔루션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열처리란 원재료에 고온의 열과 특정 가스를 공급해 원하는 특성을 가진 소재를 생산하는 공정이다. 국내 업체 중 2차전지 양극재 생산용 열처리 장비인 RHK(Roller Hearth Kiln) 소성로를 가장 많이 제작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소재 생산 공정에 대한 EPC(설계·조달·시공) 솔루션도 제공하고 있다. 이 대표는 원준이 그동안 일본, 독일 등 해외 업체에 의지하던 열처리 솔루션 시장을 국산화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2차전지 양극재 부문에서는 매출액 면에서 일본 업체와 비등한 수준으로 올라왔다"면서 "작년에는 일본에서 전량 수주했던 2차전지 음극재 열처리 장비를 처음으로 수주하며 시장도 확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원준의 강점으로 전체 인원의 60%에 달하는 R&D 전문 인력을 꼽았다. 그는 "해외 열처리 업체 중 연구개발에 집중하는 곳은 거의 없다"면서 "인지도가 적은 우리 회사로서는 고부가가치 기술을 개발 및 설계해서 부가가치 창출하는게 경쟁력 확보
-
이성제 원준 대표 "한국 넘어 글로벌 No.1 열처리 솔루션 기업될 것"
≪이 기사는 09월14일(05:5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해외 업체들에 비해 납품실적, 기술력, 연구개발(R&D) 등에서 전혀 뒤쳐지지 않습니다. 국내 열처리 솔루션 업체 매출 규모 1위에서 더 나아가 한국 국가대표 장비회사가 되겠습니다." 코스닥 상장을 앞둔 첨단소재 열처리 솔루션기업 원준의 이성제 대표이사는 "상장 후 해외 시장에 본격 진출해 글로벌 NO.1 열처리 솔루션 업체가 되겠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2008년 설립된 원준은 첨단 소재를 생산하기 위한 필수 공정인 열처리 솔루션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열처리란 원재료에 고온의 열과 특정 가스를 공급해 원하는 특성을 가진 소재를 생산하는 공정이다. 국내 업체 중 2차전지 양극재 생산용 열처리 장비인 RHK(Roller Hearth Kiln) 소성로를 가장 많이 제작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소재 생산 공정에 대한 EPC(설계·조달·시공) 솔루션도 제공하고 있다. 이 대표는 원준이 그동안 일본, 독일 등 해외 업체에 의지하던 열처리 솔루션 시장을 국산화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2차전지 양극재 부문에서는 매출액 면에서 일본 업체와 비등한 수준으로 올라왔다"면서 "작년에는 일본에서 전량 수주했던 2차전지 음극재 열처리 장비를 처음으로 수주하며 시장도 확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원준의 강점으로 전체 인원의 60%에 달하는 R&D 전문 인력을 꼽았다. 그는 "해외 열처리 업체 중 연구개발에 집중하는 곳은 거의 없다"면서 "인지도가 적은 우리 회사로서는 고부가가치 기술을 개발 및 설계해서 부가가치 창출하는게 경
-
커지는 수주 모멘텀에 2차전지주 줄줄이 상승세
국내 2차전지 소재·장비주가 수주 기대감을 바탕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양극재 소재 업체인 에코프로비엠이 10조원 규모의 대형 수주를 이뤄낸 후 2차전지 관련주의 수주 릴레이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증권업계에서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13일 양극재 생산업체인 엘앤에프는 16.29% 오른 14만99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양극재 수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경쟁사인 에코프로비엠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수준) 매력이 부각됐다. 이날 2차전지주는 수주 기대감이 퍼지면서 줄줄이 상승했다. 동박 업체인 일진머티리얼즈도 7.67% 오른 8만2800원에 거래를 끝냈다. 전해액 업체인 천보(6.30%)와 후성(3.73%)도 나란히 상승했다. 분리막 업체인 SK아이이테크놀로지(3.33%)와 양·음극재 업체인 포스코케미칼(2.60%)까지 올랐다. 동박 업체 SKC도 장중 6% 넘게 올랐다가 1.15% 오른 17만5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SKC는 최근 5거래일간 16.22% 뛰었다. 중국 배터리 업체인 CATL이 화재 문제에 휩싸이면서 국내 배터리 밸류체인에 대한 관심이 커진 영향도 있었다. 최근 노르웨이 홀멘에서 CATL이 생산한 배터리가 탑재된 푸조 차량이 불에 타며 안정성 문제가 불거지고 있기 때문이다. 당분간 2차전지 소재주를 둘러싼 수주 기대는 계속될 전망이다. 이르면 올해 연말 폭스바겐발 대규모 배터리 발주도 예정돼있다. SKC는 오는 24일 파이낸셜 스토리데이를 열고 양·음극재 사업에 대한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현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SKC는 내년초 완공 예정인 동박 6공장 일정을 앞당겨 연내 가동을 시작할 것"이라며 "에코프로비엠의 수주 이후 소
-
잇따른 전기차 리콜…'2차전지 검사장비 끝판왕' 떠오르는 기업
전기자동차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면서 전기차 사고나 리콜도 같이 늘어나 안전성이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증권업계에서는 2차전지 배터리 검사 장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관련 업체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내다봤다.리서치업체 밸류파인더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2차전지 배터리 전공정(전극·조립·활성화·모듈 및 팩) 비전검사장비를 생산하는 엔시스를 "2차전지 검사장비 끝판왕"이라고 표현하며 대표 수혜주로 꼽았다. 비전검사장비는 외부의 용접 과정에서 천공(핀홀)이 찢어졌는지 미세한 부분까지 체크하고 폭 혹은 두께가 일정한지를 확인하는 외관 검사 장비다. 올해 4월 코스닥시장에 입성한 엔시스는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에 남품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에는 전극 공정 비전검사장비를, 삼성SDI에는 조립·활성화·모듈공정 비전검사장비를 공급한다. 최근 연이은 전기차 폭발사고와 GM과 LG화학의 대규모 리콜 사태 등으로 배터리 안전성 이슈가 불거지면서 배터리 셀업체들은 새로운 검사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충헌 밸류파인더 대표는 "엔시스는 유럽과 미국 셀업체와도 접촉하며 다른 고객사 확보에도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향후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면 추가적인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엔시스는 상장할 때 공모자금 210억원을 포함해 현재 약 300억원의 현금성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에는 고객사인 LG에너지솔루션의 해외법인 확장에 맞춰 엔시스도 미국에 해외법인 설립을 진행 중이다. 밸류파인더는 목표가로 3만원을 제시했다. 2만원
-
“나도 유망 2차전지주” 신흥에스이씨 1000억 투자유치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9월08일(10:1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2차전지 관련 부품업체인 신흥에스이씨가 1000억원을 투자받는 데 성공했다. 산업은행과 주요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이 큰 폭의 성장세를 기대하고 러브콜을 보냈다.신흥에스이씨는 지난 7일 이사회를 열고 전환우선주 133만8688주를 발행하기로 결정했다. 오는 10월14일 JKL파트너스, 스틱인베스트먼트, 동운인베스트먼트, 산업은행을 상대로 주식을 발행해 1000억원을 조달할 예정이다. 전환우선주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투자자가 의결권이 있는 보통주로 바꿀 수 있는 우선주다.전환우선주 발행가격은 주당 7만4700원으로 보통주(7일 8만8800원)보다 15.8% 낮다. 투자자들은 내년 10월14일부터 1 대 1 비율로 전환우선주를 보통주로 바꿀 수 있다. 전환청구권 행사가 가능해지는 시점에 보통주 주가가 전환우선주 발행가격을 웃돌기만 하면 원금 이상의 수익을 거둘 수 있다. 신흥에스이씨는 전환우선주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을 설비투자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이 회사는 설립 초기엔 소형전지 부품을 주로 만들다가 차츰 전기차 등에 쓰이는 중대형전지 부품으로 사업영역을 넓히고 있다. 배터리 폭발 방지장치인 캡 어셈블리와 CID(Current Interrupt Device) 등이 주력 제품이다. 삼성SDI를 주요 고객으로 두고 있다. 신흥에스이씨는 최근 전기차시장의 가파른 성장세로 늘어난 제품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능력을 키우고 있다.이 회사는 2차전지주 투자열기가 뜨거웠던 지난해엔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았지만, 올 들어선 가파른 주가 상승세로 주목받고 있다. 올해에만 주가가 85.9% 뛰었다. 특히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
포스코케미칼 회사채 수요예측에 6배 청약 몰리며 흥행
포스코케미칼 회사채에 발행 예정액의 6배 가까운 투자금이 몰렸다. 포스코 그룹 차원에서 친환경 신사업으로 확대하는 전기차 2차전지 소재 부문이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케미칼이 전날 1200억원 규모 회사채 발행을 예정하고 실시한 수요예측에 7100억원의 주문이 몰렸다. 800억원 규모를 발행하는 3년 만기물에 4400억원, 400억원을 모집한 5년물에는 2700억 원이 몰렸다. 자금이 충분히 확보돼 발행규모를 최대 2000억원으로 증액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KB증권,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신한금융투자, 키움증권이 대표 주관 업무를 맡았다.수요가 몰린 덕분에 발행금리는 회사의 기존 발행채권 시세(민평금리)에 비해 소폭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자들은 급성장하는 2차전지 사업 부문의 전망이 밝다고 평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한국기업평가는 포스코케미칼의 회사채를 신용등급 'AA-'에 등급 전망은 '안정적'으로 평가했다. 작년 1조5662억원의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한 데 이어 올 상반기에만 9472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2차 전지 소재 부문의 가파른 성장세가 매출 증가를 이끌었다. 올해초 대규모 유상증자를 실시한 덕분에 부채비율(상반기 말 기준) 47.8%에 불과하다.철강 생산 필수재인 내화물 전문기업 포스코켐텍이 전신인 포스코케미칼은 2차 전지 소재 등 미래 소재기업으로 변신에 성공했다. 2010년 전지 음극재 생산을 시작한 뒤 2019년 양극재를 생산하던 포스코ESM을 합병하고 포스코케미칼로 간판을 바꿔달았다.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삼성SDI 등 주요 배터리 제조사들이 고객이다.
-
예비 2차전지株 원준, 10월 증시 입성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8월24일(16:5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2차전지 소재 제조용 장비 등을 만드는 원준이 오는 10월 국내 증시에 입성한다. 상장 과정에서 몸값을 최대 3000억원으로 인정받을 전망이다.원준은 24일 금융감독원에 상장 계획을 담은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 희망 공모가격은 5만2000~6만원으로 제시했다. 공모규모는 최대 602억원, 예상 시가총액은 최대 3002억원이 될 전망이다. 예상 상장시기는 오는 10월 초다.원준은 2008년 설립된 첨단소재 열처리 전문기업이다. 2차전지의 핵심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를 비롯한 각종 첨단소재 생산에 필요한 열처리 장비 등을 만들고 있다. 특히 양극재와 음극재 생산과정에서 사용되는 장비인 소성로 제작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 회사는 2차전지뿐만 아니라 탄소섬유, 연료전지, 전고체전지 등 다양한 최첨단소재 열처리 분야로 사업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올 상반기 매출 162억원, 영업이익 47억원을 냈다.원준은 다음달 15~16일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수요예측을 진행해 공모가를 확정할 예정이다. 일반청약은 9월 27~28일 진행한다. 상장 주관사인 NH투자증권을 통해 청약할 수 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2차전지 전극용 제품 제조 지아이텍,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통과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8월20일(09:1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2차전지 전극용 초정밀 제품 전문 제조기업 지아이텍이 코스닥 상장을 위해 본격 시동을 걸었다.20일 지아이텍은 전날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상장 주관은 미래에셋증권이 맡았다. 하반기 내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1990년 설립된 2차전지 및 수소전지 제조의 코팅 공정 필수 제품인 슬롯다이와 디스플레이 생산 공정 중 PR(감광액) 도포의 핵심 제품인 슬릿노즐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자체 특허 등을 기반으로 한 설계기술 및 제품 제작기술을 보유하고 있다.지아이텍은 슬롯다이 시장 선도주자로 업계 최초 인라인(In-line) 공정을 도입했다. 인라인 공정이란 고객사의 니즈에 맞게 제품설계, 가공, 연마, 검사 등의 제작공정까지 한 번에 이뤄지는 원스톱(One-stop) 공정이다. 이를 통해 설계부터 납품까지 짧은 시간 내 진행 가능하며 납기 단축으로 고객 만족도가 높다. 2017년 신공장 이전 및 클린룸 설치로 품질 관리를 위한 설비 구축을 마쳤다. 이러한 우수 생산 인프라를 토대로 다수의 제품 제작 관련 특허기술을 보유하게 됐다. SK이노베이션, LG에너지솔루션, 노스볼트 등 2차전지 글로벌 메이저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다. 안정된 재무구조도 갖췄다. 2018년 88억원이던 매출액은 2020년 172억 원까지 성장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5억4000만원에서 52억9000만원으로 879.6% 성장률을 보였다.지아이텍 이인영 대표이사는 “앞으로 수년간 2차 전지 제조사들이 생산능력 확충을 계획하고 있어 최소 2~3년간은 안정적으로 제품 납품이 가능할 것”이라며 “이번 IPO
-
이엔플러스, 바른전자 지분 120억원에 매각.."2차 전지 공장 증설"
이엔플러스가 바른전자 지분 30%을 120억원에 에스맥에 매각한다. 매각 자금은 기존 소방차 사업과 2차전지 소재 및 방열 소재 대량 생산을 위한 생산능력(CAPA) 확장에 사용될 예정이다.이엔플러스는 보유 중인 바른전자 지분 약 30%(2240만주)를 에스맥에 매각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매각을 기점으로 이엔플러스는 그래핀 소재 사업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이엔플러스는 이번 매각을 통해 확보된 자금으로 나노 탄소나노튜브(CNT), 2차전지 양극과 음극 도전재, 방열 소재 등 소재 산업 생산능력 확장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공장 증설은 연간 2500t 규모로 진행될 예정으로 매출액 600억원까지 발생 가능한 규모다. 신소재 설비 증설이 마무리되면 올해 말부터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다.이엔플러스는 이미 지난해 5월 1차 투자를 단행해 전라북도 김제시에 그래핀 신소재 연구소 설립 및 생산설비를 구축한 바 있다. 확충된 생산시설을 기반으로 꾸준히 연구개발을 진행한 결과 올해 초 CNT를 직접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또 국내외 2차전지 업체 및 IT 기업들과 다양한 샘플테스트를 진행하는 등 전기차 배터리에 적용 가능한 그래핀 기반 2차전지 소재 개발에 주력해왔다.이엔플러스 관계자는 “전기차 관련 소재 사업에 주력한 결과 국내 완성차 업체에 사출을 공급하는 국림피엔텍과 전기차에 적용 가능한 경량화 부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라며 “최근에는 그래핀 배터리 완제품을 개발해 제품 상용화를 시작하는 등 관련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라고 말했다.그는 이어 “관련 사업부문 강화를 위해 그래핀 신소재 연구소를 신소재 사업본부로 격상하고 삼성SDI에서 2차전지 마케팅 그룹장을
-
2차전지로 빠르게 보폭 넓히는 한솔케미칼, 850억원어치 시설 투자 결정
한솔케미칼이 대규모 시설 투자를 결정하면서 2차전지 소재 업체로 빠르게 변신하고 있다.10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한솔케미칼은 11일부터 내년 말까지 신규 시설 투자에 850억원을 집행한다. 2차전지용 실리콘 음극재 양산 설비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한솔케미칼 관계자는 "2차전지 소재 관련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상업생산을 위한 목적"이라고 말했다.국내 신용평가사인 나이스신용평가는 지난 6월 한솔케미칼의 신용등급을 A+로 한 단계 상향 조정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가전 등 전방산업의 업황에 따라 개별 부문의 실적 변동이 있긴 하지만 다각화된 사업 구조와 연구개발을 통해 영업수익성이 좋아지고 있어서다.김성진 나이스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점진적인 설비 증설에 기반한 기존 사업의 실적 개선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2차전지 소재, 반도체용 특수가스 등 신규 사업의 안정화에 힘입어 매출·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창출능력이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