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P 배터리 특허 사용권 취득 기업…中 양극재 1위 디나노닉에 주목하라
지난 10월 BYD, CATL이 테슬라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수주했다는 뉴스가 보도됐다. 실제 수주를 받았는지를 현시점에서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보도된 수주 규모(총 55GWh)는 올 8개월 동안 CATL이 테슬라에 공급한 배터리의 12배 수준이다. 이 물량은 테슬라가 글로벌 시장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테슬라가 지난해 9월 ‘배터리 데이’에서 LFP 배터리 가능성을 언급한 이후 폭스바겐, 포드, 벤츠, 현대자동차 등 많은 글로벌 완성차 기업이 LFP 배터리를 언급하기 시작했다. 엔트리 모델 등 주행가능거리가 길지 않은 모델에 LFP 배터리를 사용하겠다는 것이다.시장의 관심은 글로벌 LFP 배터리 점유율 1, 2위인 CATL과 BYD 외 중소형 2차전지 기업의 수주도 확대될 수 있을까다. CATL과 BYD의 매우 적극적인 생산능력 확대, 트랙 레코드 등을 고려할 때 낙수효과가 두 회사 이하 기업까지 미칠 가능성은 낮다. 글로벌 LFP 배터리산업 내 1~5위 기업의 생산능력 계획을 살펴보면, 올해 LFP 배터리 생산능력 1위인 CATL과 2위인 BYD는 2025년에도 1위와 2위를 유지할 것이다. 즉 경쟁구도의 변화는 없다.글로벌 LFP 배터리 대부분이 중국에서 생산되는 것과 달리 정작 중국은 LFP 배터리 특허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 수출을 하면 특허 사용료를 내야 하므로 LFP의 가장 큰 장점인 가격경쟁력이 사라진다.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컨소시엄과의 소송을 통해 중국에서는 LFP 특허가 무효화됐다. 중국에서는 특허 사용료 없이 생산이 가능하다. 그러나 중국 외 지역으로의 수출은 별개다. 양극재 업체가 특허 사용료를 내야 하므로 해외 수출 시 LFP 배터리의 가격경쟁력이 사라진다.그런데 중국 양극재 기업 중 특허 사용권을
-
일진머티리얼즈,스틱으로부터 1조 투자받아 글로벌 지위 높인다
국내 동박 생산 업체인 일진머터리얼즈가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스틱인베스트먼트로부터 1조600억 원 규모의 투자금 유치 작업을 마무리했다. 일진머티리얼즈는 유럽 및 미국에서 거점을 확보해 글로벌 2차 전지 생산 선도업체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겠다는 계획이다.스틱은 30일 일진머터리얼즈가 글로벌 동박 생산 거점의 컨트롤 타워로서 설립한 국내 지주사에 총 1조600억 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스틱은 국내 지주사에 4000억, 유럽 신설 법인에 6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참여한다. 일진은 앞서 2019년에도 스틱으로부터 동남아 거점으로 말레이시아에 신설한 법인에 3000억 원을 투자받아 2개 생산 라인을 증설한 바 있다.이번에 확보한 자금은 말레이시아를 비롯해 주로 유럽, 미국 생산 시설에 사용할 예정이다. 말레이시아에 2개 라인 추가 증설, 유럽에 4개 라인, 미국에 2개 라인 증설에 투입된다. 이를 통해 일진은 오는 2025년까지 해외에 14개 라인을 확보해 총 14만톤 이상의 전지용 일렉포일 생산 능력을 갖추겠다는 계획이다. 유럽 법인은 2025년까지 6개 라인에서 총 6만톤까지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이번 투자는 스틱 스페셜시츄에이션펀드 2호 출자자를 중심으로 새로 결성한 5600억 원 규모 공동투자 펀드로 집행한다. 공동투자펀드는 국민연금, 교직원공제회, 행정공제회, 군인공제회, 우정사업본부, 과학기술인공제회, 신협중앙회 등이 참여했다. 인수금융도 5000억 원 규모로 투입된다. KDB산업은행과 KB은행이 대표주선하고 신한은행이 공동 주선했다.스틱은 중장기적으로 2차전지 동박시장을 선도하는 일진머터리얼즈의 시장 지위에 주목했다. 산업도 성장하고 있는데다 이미 생
-
[단독] 상장 한 달도 안된 엔켐, 950억 BW 발행 추진
▶마켓인사이트 11월 25일 오후 3시2차전지 전해액 제조업체인 엔켐이 신주인수권부사채(BW) 발행을 통해 약 1000억원을 조달한다.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지 한 달도 안 돼 자금 조달에 또 나서는 것이다.2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엔캠은 950억원 규모의 BW 발행을 추진하고 있다. BW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투자자가 정해진 가격에 발행회사의 신주를 사들일 권리가 붙은 채권이다.사채발행 방법은 사모로, 국내 주요 기관투자가들이 참여한다. 2차전지 관련 기업 주가가 급등하면서 기관들의 경쟁이 치열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 측은 조만간 금리와 신주인수권 행사가격 등 구체적인 발행 조건을 공시할 예정이다.증권가는 엔켐이 또다시 대규모 자금 조달에 나선다는 점에서 주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달 코스닥 상장으로 950억원을 공모한 데 이어 BW 발행까지 완료하면 두 달 만에 약 2000억원을 조달한다. 다음달 1일부터 의무보유확약 기간이 풀린 주식들이 시장에 나온다는 점도 주가에 악재다. 기관에 배정된 공모주 중 의무보유확약기간 1개월인 물량은 12만7880주(0.8%)이며 △3개월(47만413주·3.1%) △6개월(42만444주·2.8%) 등 기관 보유 물량이 꾸준히 시장에 풀리게 된다.회사 측은 조달한 자금을 전해액 공장 건립과 설비 확충 등에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엔켐은 전기차용 리튬이온배터리에 들어가는 전해액을 전문적으로 생산하고 있다. 현재 연 6만5000t의 전해액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조지아 공장 가동으로 연말 생산능력이 8만5000t으로 늘어난다. 2022년엔 헝가리 공장과 중국 장강 공장이 가동되면서 12만5000t, 2025년에는 총 22만5000t의 생산능력을 보유할 것으로
-
美 리비안 관련주?…2차전지 장비주 엠플러스 주목
2차전지 장비주인 엠플러스가 내년도 실적 개선 기대를 받고 있다. 주요 수요처인 SK이노베이션의 장비 투자가 내년에 급격히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장비 수요처가 다각화하고 있는 점도 긍정적이다.엠플러스는 지난 19일 코스닥시장에서 전날과 같은 1만39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시가총액은 1596억원이다. 이 회사는 올 1월 1만7650원으로 사상 최고가를 기록한 뒤 박스권에 머물렀다가 코로나19로 장비 수주에 차질이 생기면서 실적이 일시적으로 악화됐다. 지난해 전년 대비 266.9% 증가한 10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가 올 3분기까지 누적 영업손실 59억원을 기록 중이다.엠플러스는 2차전지 핵심 공정인 조립공정에 특화된 장비를 생산한다. 롤 형태의 극판을 단판극판으로 만드는 노칭기, 노칭된 단판극판을 분리막 사이에 놓고 일정한 두께로 쌓아 올리는 스태킹기를 비롯해 조립공정에 필요한 5개 세부 공정 장비를 턴키(일괄 수주) 방식으로 공급할 수 있다. 조립공정 전체를 다루는 국내 유일한 업체다.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자회사인 SK온 매출 비중이 가장 크다. 구체적인 비중은 알려져 있지 않다.일각에서는 엠플러스를 미국 전기차 업체 리비안 관련주로 보고 있다. 리비안 관계자가 지난 7월 방한했을 때 엠플러스 본사를 방문하기도 했다. 엠플러스 관계자는 “장비 공급을 협의 중인 회사는 여럿이지만 비밀 유지 계약 때문에 어디인지는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고윤상 기자
-
IBK투자증권, 2차전지株 원준 지분 5% 블록딜
IBK투자증권이 2차전지 소재 제조용 장비업체인 원준 지분 약 5%를 시간외매매(블록딜)로 처분했다. 2대 주주의 블록딜 여파로 이날 원준 주가는 급락했다.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IBK투자증권은 이날 원준 주식 25만주를 블록딜로 매각했다. 지난달 20일 장내에서 2만3107주를 판 지 한 달만에 다시 투자금 회수에 나섰다. 이번 블록딜 거래가격은 한 주당 10만7670원이다. 이번 거래로 IBK투자증권은 269억원을 손에 쥐었다. 지분율은 19.06%에서 14.08%로 낮아졌다.원준은 2008년 설립된 첨단소재 열처리 전문기업이다. 2차전지의 핵심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 생산과정에서 쓰는 장비인 소성로 제작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소성로 외에도 탄소섬유, 연료전지, 전고체전지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영역을 넓히고 있다. 올 상반기 매출 162억원, 영업이익 47억원을 냈다. 이 회사는 꾸준한 성장세를 앞세워 지난달 7일 성공적으로 코스닥시장에 입성했다. 상장한 지 2주만인 지난달 20일엔 공모가격(6만5000원)보다 두 배 이상 높은 13만9500원까지 뛰었다. 2대주주인 IBK투자증권이 보유 지분을 대거 팔면서 원준 주가는 크게 하락했다. 이날 오후 세 시 기준 원준은 코스닥시장에서 전날 대비 8.28% 내린 10만96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중 한때는 10.96% 떨어지기도 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2차전지 소재기업 플루오린코리아, 코스닥 상장준비 착수
반도체 및 2차전지 소재기업인 플루오린코리아는 한국투자증권을 상장 주관사로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회사는 앞으로 한국투자증권과 상장 전략과 공모 일정 등을 조율할 계획이다. 목표로 한 코스닥시장 입성시기는 2023년이다.2005년 설립된 플루오린코리아는 반도체 제조공정에 쓰이는 특수가스인 불소(F2)가스와 육불화황(SF6)가스, 2차전지용 전해액 첨가제 등을 만들고 있다. 첨단소재 제조기업인 케이엔더블유가 모회사다. 플루오린코리아는 지난해 매출 774억원, 영업손실 31억원을 냈다. 오범석 플루오린코리아 대표는 “2차전지 전해액 첨가제 매출을 늘리고 탄소배출권 사업 규모도 키워 상장시점에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것”이라며 “상장을 통해 확보한 자금은 반도체와 2차전지 소재 분야 설비투자와 품질경영 등을 위한 투자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SKIET 2대주주 '프리미어', 지분 4.4% 블록딜…처분 금액은 4650억~5389억 추정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의 2대주주인 사모펀드(PEF) 프리미어파트너스가 보유 지분 일부를 시간외매매(블록딜)로 처분한다. 거래 규모는 4650억~5389억원으로 예상된다.1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프리미어파트너스는 이날 장 마감 후 SKIET 주식 282만3372주를 블록딜로 팔기 위한 수요예측에 들어갔다. 수요가 많으면 최대 313만7080주까지 처분할 계획이다. 주식 매각가격 범위는 16만4700~17만1800원으로 정해졌다. 이날 종가(17만9000원)보다 4~8%가량 낮은 수준이다. 크레디트스위스와 JP모간이 블록딜 주관을 맡았다. 매각을 마치면 프리미어파트너스의 지분율은 8.8%에서 4.4% 안팎으로 낮아진다.프리미어파트너스는 이번 블록딜로 투자 1년2개월 만에 200% 넘는 수익률을 올리게 됐다. 이 회사는 지난해 9월 상장 전 지분 투자를 통해 3000억원에 SKIET 주식 627만4160주를 사들였다.김진성 기자
-
원익피앤이, 사업 확대 위해 엔에스 인수
원익피앤이가 사업 확대를 위해 엔에스를 인수한다.6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원익피앤이는 다음달 말 2차전지 공정 자동화 장비 제조 기업 엔에스의 주식 437만7443주를 약 595억원에 양수한다. 사업 구조 다각화와 영역 확대를 위한 목적이다. 주식 인수 후 원익피앤이의 엔에스 지분율은 38.02%로 최대주주가 된다.원익피앤이는 2차전지 제조를 위한 충방전장비와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 전원공급 장치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자회사인 피앤이시스템즈를 통해 충전 인프라 사업도 함께 하고 있다.전원공급 장치는 전류를 제어해 안정적이고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장비다. 발전소나 각종 산업 용도에 사용되는 장비다. 2차전지 후공정 장비와 전원공급 장치 제품군은 모든 장비가 개별 고객사의 용도에 따라 제작되는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수적이다.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
소부장 투자 보폭 넓히는 미래에셋벤처투자
미래에셋 계열 벤처캐피털(VC) 미래에셋벤처투자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분야 투자에서 보폭을 넓히고 있다. 최근 산업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2차전지, 배터리, 반도체 등의 분야에 공격적인 투자로 성과를 내고 있다는 평가다.28일 벤처캐피털(VC) 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벤처투자는 배터리 진단 전문기업 민테크의 시리즈 B 라운드에 투자금을 집행할 계획이다. 이번 라운드의 투자금 규모는 100억원 이상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5월 45억원 규모 시리즈 A 라운드에 이어 약 1년 6개월 만의 투자 라운드다. 지난 라운드 때 20억원을 투자한 미래에셋벤처는 팔로온(후속 투자)을 이어갈 방침이다. 이번 투자에는 기존 투자자들 뿐만 아니라 대기업이 전략적투자자(SI)로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2015년 설립된 민테크는 배터리를 진단·검사할 수 있는 기술을 갖고 있다. 고유의 배터리 진단 기술을 기반으로 배터리의 제조 공정에서 안전성 평가 설비나 배터리 사용 중 실시간 진단, 재사용 베터리 평가 등 다양한 사업 모델을 전개하고 있다.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면서 배터리 검사 시장도 덩치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에는 GS에너지와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과 관련한 전략적 제휴를 맺기도 했다. 미래에셋벤처가 15억원을 투자한 솔리드아이오닉스도 눈여겨 볼 소부장 포트폴리오 중 하나다. 이 회사는 전고체전지의 핵심인 고체전해질을 개발하고 있다. 서울대 무기재료공학 박사 출신 신동숙 대표가 이끌고 있다. 현대자동차·삼성기술원 등 국내외 주요 2차전지 및 전기차 제조사에 유상샘플을 공급 중이며, 내년부터 본격적인 매출 증대가 예상된다는 게 업계 전망이다.
-
'배터리株' 엔켐, 공모 흥행…청약 증거금 16조 몰렸다
2차전지의 핵심 재료인 전해액을 생산하는 엔켐이 공모주 일반청약에서 16조원의 증거금을 모았다. 지아이텍 일진하이솔루스 등 2차전지 관련 공모주들이 상장 후 일제히 주가가 오르면서 일반 투자자가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22일 대신증권에 따르면 전날부터 이틀간 시행된 엔켐 공모 청약 경쟁률이 평균 1275.12 대 1로 마감했다. 대표 주관을 맡은 대신증권은 1310.73 대 1, 공동 주관을 맡은 신한금융투자는 1132.67 대 1의 경쟁률을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증거금은 16조4575억원이 몰렸다. 엔켐은 청약 첫날인 지난 21일 통합 경쟁률은 73.6 대 1, 증거금은 약 9500억원이 들어왔다.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한 수요예측 흥행이 일반 공모 흥행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엔켐은 지난 18일 마감한 수요예측에서 1647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올해 상장사 중 11번째로 높은 경쟁률이었다. 이 결과를 반영해 공모가격을 희망범위(3만~3만5000원) 상단보다 20% 높은 4만2000원으로 확정했다. 기관투자가에 배정된 124만4443주 가운데 의무보유확약 주식은 108만819주로, 기관 의무보유확약비율도 86.85%로 높았다. 기관 의무보유확약비율이 높으면 상장 후 물량 부담이 적다.증권업계는 2차전지 관련 공모주의 주가 흐름을 본 투자자들이 엔켐의 성장세를 기대하고 청약에 뛰어든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 올 들어 상장한 2차전지 소재주인 △와이엠텍(공모가 대비 이날 종가 기준 주가 상승률·38.7%) △원준(83.1%) △일진하이솔루스(113.4%) △지아이텍(125%) 등이 일제히 주가가 올랐다.2012년 설립된 엔켐은 2차전지 핵심 중간재료인 전해액을 제조한다. 전해액은 2차전지의 충·방전 과정에서 양극과 음극을 오가는 이온을 이동시키는
-
뜨거운 2차전지 인기…엔켐 공모주에 16조 몰려
2차 전지 전해액 제조사 엔켐이 공모주 일반청약에서 16조원의 증거금을 모았다. 지아이텍·일진하이솔루스 등 2차 전지 관련 공모주가 상장 후 일제히 주가가 오르면서 일반 투자자들이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22일 대신증권에 따르면 전날부터 이틀간 진행된 엔켐 공모 청약 경쟁률이 평균 1275.12 대 1로 마감됐다. 대표 주관을 맡은 대신증권은 1310.73 대 1, 공동 주관을 맡은 신한금융투자는 1132.67 대 1의 경쟁률을 보인 것으로 각각 집계됐다. 증거금은 16조4575억원이 몰렸다. 엔켐은 청약 첫날에도 1조원 가까운 증거금이 들어왔다. 첫 날인 21일 통합 경쟁률은 73.6 대 1, 증거금은 약 9500억원이다. 기관 투자가들을 대상으로 한 수요예측 흥행이 일반 공모 흥행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엔켐은 지난 18일 마감한 수요예측에서 경쟁률 1647 대 1을 보였다. 올해 상장사 중 11번째로 높은 경쟁률이었다. 이 결과를 반영해 공모가격을 희망범위(3만~3만5000원) 상단보다 20% 높은 4만2000원으로 확정했다.기관 의무보유확약비율도 86.85%로 높았다. 기관에 배정된 주식 수는 124만4443주이고, 이 중 의무보유확약 수량은 108만819주다. 증권업계는 2차 전지 관련 공모주의 주가 흐름을 본 투자자들이 엔켐의 성장세를 기대하고 청약에 뛰어들었다고 분석했다. 올해 신규 상장한 2차전지 소재주인 와이엠텍(공모가 대비 이날 종가 기준 주가 상승률·38.7%), 원준(83.1%), 일진하이솔루스(113.4%), 지아이텍(125%) 등이 공모가 기준 일제히 상승한 상태다. 2012년 설립된 엔켐은 2차 전지 핵심 중간재료인 전해액을 만든다. 전해액은 2차 전지 충·방전 과정에서 양극과 음극을 오가는 이온을 이동시키는 운송
-
참치캔서 2차전지로…'어장 넓힌' 동원시스템즈 질주
‘대한은박지’(2012년) ‘한진피앤씨’·‘테크팩솔루션’(2014년) ‘엠케이씨’(2021년).동원참치용 캔과 김 포장재를 만들던 동원시스템즈가 지난 9년간 소리없이 사들인 회사들이다. 조점근 사장(사진)이 대표를 맡은 이듬해부터 공격적인 인수합병(M&A)에 나설 수 있었던 원동력은 “잘나갈 때 다음 어장(漁場)을 준비하라”는 김재철 동원그룹 명예회장의 독려 덕분이었다. 김 명예회장은 “본업만 하는 것도 망하고, 본업을 버리는 자도 망한다”며 계열사 대표들에게 포트폴리오 다양화와 신사업 발굴을 강조했다. 포장재 전문 계열사로 남아선 미래가 불투명하다고 생각한 조 사장은 치밀하게 변신을 준비했다. 통조림 캔을 만들던 회사가 불과 10년 만에 2차전지 소재 전문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배경이다. 참치캔 포장재 회사의 소리없는 대변신동원시스템즈는 1977년 오리온광학이라는 이름의 카메라 조립회사로 출발했다. 렌즈와 현미경, 카메라 등을 만들어 팔다가 일본 업체에 밀려 경쟁력을 잃자 1993년 식품 포장재 사업에 뛰어들었다. 가공식품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서 포장재 사업은 매년 성장세를 이어갔다. 참치 통조림 캔을 만들고, 조미김에 들어가는 투명 트레이를 만들어 납품했다. 2010년대 초반까지는 포장재 사업 규모가 1000억원 수준인 평범한 포장재 전문 회사였다.변화를 시작한 건 2012년부터다. 포장재 사업으로도 충분히 실적을 내고 있었지만 다음 어장이 필요했다. 조 사장은 공격적인 M&A로 어장 발굴에 나섰다. 대한은박지, 한진피앤씨, 테크팩솔루션 등 포장재 분야에서 내로라하는 기업을 연이어 인수했다. 시장에선 동원시
-
2차전지·신재생에너지, ETF 상위권 '싹쓸이'
코스피지수가 조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2차전지와 신재생에너지 상장지수펀드(ETF)는 질주를 이어가고 있다.17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최근 3개월(지난 14일 기준) 국내 주식형 ETF 수익률 1위는 미래에셋TIGER2차전지테마 ETF로 19.95% 수익을 올렸다. 2위는 수익률 16.64%를 기록한 삼성KODEXK-신재생에너지액티브 ETF였다. 3위는 수익률 14.61%의 삼성KODEX 2차전지산업 ETF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는 8.46% 하락했다.2차전지 ETF가 강세인 이유는 조정장에서도 소재 관련주들이 상승세를 지속했기 때문이다. 미래에셋TIGER2차전지테마 ETF와 삼성KODEX 2차전지산업 ETF의 편입 비중 상위 종목은 SK아이이테크놀로지, 포스코케미칼, SKC,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등이다.삼성KODEXK-신재생에너지액티브 ETF는 신재생에너지와 2차전지 관련주를 섞어서 편입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관련주로는 한화솔루션, 씨에스윈드, OCI, 천보 등을 보유하고 있다. 2차전지 종목으로는 에코프로비엠, SKC, 엘앤에프 등을 담고 있다.수익률 4위는 미래에셋TIGER여행레저 ETF(7.58%)였다. 코로나19 백신 접종률 제고로 주요 편입 종목이 일제히 상승하면서 초과 수익률을 달성했다. 편입 비중 상위 종목은 아시아나항공, 호텔신라, 한진칼, 강원랜드, 파라다이스 등 리오프닝 관련주다.5위부터는 선두권과 수익률이 큰 차이로 벌어졌다. 5위인 삼성KODEX보험은 5.95%, 6위 미래에셋TIGER퓨처모빌리티액티브는 5.93% 수익률을 기록했다. 키움KOSEF고배당, 미래에셋TIGER코스피고배당 등 배당주 ETF도 4~5%대 수익률을 올렸다.박의명 기자
-
회사가 '버린 사업' 들고나와 100배 매출…전해액 강자 엔켐
“우리 사업부가 완전히 없어진답니다. 이제 어떡합니까.”2008년 제일모직에서 수석연구원으로 2차전지 전해액을 개발하던 오정강 엔켐 대표는 청천벽력 같은 말을 들었다. 자신이 몸담은 전해액 담당 부서가 안료 제조사인 욱성화학에 매각된다는 소식이었다. 7년 동안 매달린 전해액 국산화 연구도 자칫 차질을 빚을 뻔한 순간이었다. 오 대표는 당시 ‘어떻게든 전해액 연구를 계속 이어가고 싶다’는 생각만 했다고 한다. ○전기차 미래 보고 창업전해액은 2차전지 내 리튬이온의 이동을 담당하는 매개체다. 양극재·음극재·분리막 등과 함께 2차전지의 4대 핵심 소재다. 배터리 생산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다. 전기차가 상용화된 지금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리지만 당시 우리나라 전기·전자 분야 대기업엔 ‘미운 오리새끼’였다. 스마트폰용 배터리에 주로 쓰이다보니 시장 규모가 작았고 수익성도 낮았다. 당시 제일모직이 매출 100억원도 안 되는 사업을 정리하고 아웃소싱을 택한 것은 사업상 당연한 결정이었다.하지만 오 대표의 생각은 달랐다. 전기차 시대가 올 것이라고 확신했다. 그렇게 되면 고용량 배터리가 필요하고 여기에 들어가는 전해액 수요도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판단했다. 오 대표는 “지금 팔리는 것이 아니라 미래에 팔릴 제품을 만들어보자고 결심했다”고 했다. ○“기회가 오기 전 준비하자”오 대표는 2011년 사표를 내고 이듬해 1월 자본금 10억원으로 충북 제천에 공장을 세웠다. 전 직장 동료들도 속속 참여했다. 생산한 전해액을 들고 배터리 제조사들을 찾아다녔지만 성과는 없었다. 당시 국내 2차전
-
식지않는 2차전지 인기…지아이텍에 17조원 몰렸다 [마켓인사이트]
2차전지 코팅장비를 만드는 지아이텍이 상장을 위해 진행한 일반청약에 16조원이 넘는 증거금이 쏟아졌다. 경쟁률이 3000 대 1에 가까웠을 정도로 치열한 매수경쟁이 벌어졌다.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아이텍이 지난 12일부터 이날까지 진행한 일반청약에 증거금 16조8305억원이 들어왔다. 경쟁률은 2968 대 1이었다.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에 이어 흥행에 성공했다. 이 회사는 지난 6일 마친 수요예측에선 2068 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투자자들은 지아이텍이 2차전지 시장의 가파른 성장세를 타고 실적을 늘릴 것으로 기대하고 적극적으로 청약에 뛰어든 것으로 전해진다. 1990년 설립된 지아이텍은 2차전지와 수소전지를 코팅하는 슬롯다이와 디스플레이 생산에 사용되는 슬릿노즐 등을 제조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 삼성디스플레이 등이 주요 고객이다. 지아이텍의 지난해 매출은 172억원, 영업이익은 52억원으로 2019년보다 각각 95.4%, 879.6% 늘었다.성공적으로 공모절차를 마무리한 지아이텍은 오는 21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공모가격(1만4000원) 기준 시가총액은 1102억원이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