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증권 유상증자 청약율 99.17%
≪이 기사는 12월04일(18:0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SK증권의 655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위해 진행한 청약 결과 99.17%의 청약율을 기록했다.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SK증권이 유상증자를 위해 지난 3일부터 이날까지 기존 주주들과 우리사주조합을 상대로 벌인 청약 결과 발행 예정인 신주(1억1611만주)에 조금 못 미치는 1억1514만5248주에 해당하는 매수주문이 들어왔다. 신영증권이 발행 주관을 맡았다.최대주주인 사모펀드 운용사(PEF) J&W파트너스는 배정받은 물량(1819만2587주)보다 많은 2183만여주, 우리사주조합은 배정물량(2322만2000주)만큼 청약했지만 일반 소액주주들의 주문이 배정물량에 다소 못 미친 것으로 전해진다. 이 증권사는 오는 6~7일 일반 투자자들을 상대로 실권주 96만4752주에 대한 청약을 진행할 계획이다. J&W는 초과청약에 나서며 SK증권 지분율을 기존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됐다. 현재 18.97%인 지분율은 18.93%로 변동될 전망이다. J&W는 지난 7월 SK㈜로부터 SK증권 지분 10.0%를 인수한 후 10월엔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SK증권 주식 3636만3000주를 사들여 지배력을 더욱 강화했다. SK증권은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마련한 자금을 내년 2월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600억원 규모 차입금을 상환하는 데 사용할 계획이다. 자본 확충으로 재무안전성 지표인 순자본비율(NCR)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증권사의 지난 9월 말 기준 NCR은 238.19%로 600%대인 업계 평균에 못 미치고 있다.SK증권은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전날보다 0.28% 내린 700원에 장을 마쳤다. 지난 2개월간 30%가량 하락하며 한 때 600원대 초반까지 주저앉
-
코센, 기습 유증 결정에 주가 18% 추락
스테인리스 강관 제조업체인 코센이 180억원 규모 유상증자에 나선다. 발행주식 수의 70%가 넘는 신주 물량이 대거 쏟아진다는 소식에 회사 주가는 이날에만 18% 추락했다.코센은 내년 1월22일 18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하기로 결정했다고 29일 공시했다. 이번 증자는 기존 주주들이 우선 청약에 참여할 수는 있으나 신주인수권은 받지 못하는 주주 우선 공모방식으로 진행된다. 현재 발행주식 수(4173만2387주)의 73%에 달하는 신주(3060만주)가 발행될 예정이다. 한화투자증권이 대표주관을 맡고 있다.이번 유상증자에서 신주 예정 발행가격은 전날 종가(1020원) 대비 430원 낮은 590원으로 결정됐다. 이 회사는 그동안의 주가를 바탕으로 내년 1월9일 발행가격을 확정할 방침이다. 코센은 유상증자로 조달한 자금의 상당부문인 136억원을 인수합병(M&A) 실탄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나머지는 운영자금 등으로 쓸 예정이다. 코센은 1974년 설립된 스텐인리스 강관 제조업체로 전북 부안에 본사를 두고 있다. 최근엔 태양광 발전과 케이블카 운영 사업에도 뛰어들면서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다. 지난 1~3분기 매출은 41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 영입이익은 6억원으로 18.2% 감소했다. 유상증자 발표 이후 회사 주가는 크게 떨어졌다. 코센은 이날 코스닥시장에서 전날보다 18.43% 추락한 832원에 장을 마감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바이오인프라생명과학, 공시 위반으로 약 4억원 과징금
바이오인프라생명과학이 증권신고서 제출 의무를 위반했다는 이유로 3억8480만원의 과징금을 내게 됐다.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28일 정례회의에서 바이오인프라생명과학이 2014년부터 2015년까지 네 차례 유상증자를 하는 과정에서 모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았다면서 이같은 조치를 내렸다. 바이오인프라생명과학은 이 당시 총 343명에게 청약을 권유해 121억9000만원을 모집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바이오인프라생명과학은 2015년 5월 유상증자를 할 때 전매 제한조치를 취하지 않아 모집에 해당되는데도 증권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았다”며 “앞으로도 기업경영의 투명성 확보와 투자자 보호를 위해 기업들의 공시의무 준수 여부를 면밀히 감독할 것”이라고 말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카카오게임즈, 게임개발사업 프렌즈게임즈에 넘긴다
카카오게임즈가 자회사인 프렌즈게임즈에 게임개발사업을 넘긴다. 카카오게임즈는 다음달 30일 게임개발사업을 프렌즈게임즈에 양도하기로 결정했다고 8일 공시했다. 양도가격은 676억원이다. 프렌즈게임즈는 양수 예정일에 카카오게임즈에 신주 454만9952주를 발행하는 유상증자를 하는 방식으로 게임개발사업 인수자금을 납부할 계획이다.카카오는 이번 거래를 통해 게임개발사업을 프렌즈게임즈로 한 데 모을 계획이다. 카카오게임즈 관계자는 “사업조직을 일원화해 핵심 자회사인 프렌즈게임즈의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네오디안테크놀로지, 10억원 규모 유상증자
코스닥기업인 네오디안테크놀로지가 유상증자를 통해 10억원을 조달한다.네오디안테크놀로지는 다음달 19일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지엔씨파트너스를 상대로 신주 51만4138주를 발행하는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한다고 31일 공시했다. 신주 발행가격은 한 주당 1945원으로 기준주가보다 10% 할인됐다. 증자 규모는 10억원이다.네오디안테크놀로지는 1998년 설립된 소프트웨어 개발회사로 서울 서초구에 본사를 두고 있다. 2007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최근 실적은 부진하다. 이 회사는 지난 상반기 8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지난해에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매출은 18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5% 감소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중앙오션, 유상증자로 10억원 조달
코스닥 선박부품업체인 중앙오션이 유상증자로 10억원을 조달한다.중앙오션은 다음달 6일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박근호·방경이·정미옥씨를 상대로 신주 35만3980주를 발행하는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한다고 30일 공시했다. 신주 발행가격은 한 주당 2825원으로 기준 주가 대비 10% 할인된 수준이다. 증자 규모는 10억원이다.중앙오션은 1999년 설립된 선박 기자재 제조업체로 2001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서울 강남구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공장은 경남 창원에 있다. 이 회사는 지난해 7월초부터 올 6월말까지 8억6000만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전년에 이어 적자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40억원으로 12.8% 감소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중앙오션, 유상증자로 10억원 조달
코스닥 선박부품업체인 중앙오션이 유상증자로 10억원을 조달한다.중앙오션은 다음달 6일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박근호·방경이·정미옥씨를 상대로 신주 35만3980주를 발행하는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한다고 30일 공시했다. 신주 발행가격은 한 주당 2825원으로 기준 주가 대비 10% 할인된 수준이다. 증자 규모는 10억원이다.중앙오션은 1999년 설립된 선박 기자재 제조업체로 2001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서울 강남구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공장은 경남 창원에 있다. 이 회사는 지난해 7월초부터 올 6월말까지 8억6000만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전년에 이어 적자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40억원으로 12.8% 감소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車 내장재업체 두올산업, 투자조합에 매각
자동차 내장재 제조업체인 두올산업이 투자조합에 매각됐다.두올산업은 17일 위드윈투자조합38호를 상대로 신주 549만4505주를 발행하는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했다. 증자 규모는 약 100억원이다. 이번 증자를 통해 위드윈투자조합38호는 두올산업 지분 28.37%를 확보해 이 회사 최대주주에 올랐다. 기존 최대주주인 IHC의 지분율은 37.26%에서 23.34%로 낮아졌다.위드윈투자조합38호는 오는 30일엔 IHC(23.34%), 두올물산(0.85%), 정용자씨(0.77%) 보유 지분 전량을 추가로 매입해 두올산업 지분율을 53.33%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1993년 설립된 두올산업은 자동차용 카페트를 전문적으로 제조하고 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등에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2005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지난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자동차 내장재 제조업체인 두올과 계열관계다.최근 실적은 부진하다. 두올산업의 지난 상반기 매출은 18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5%, 영업이익은 13억원으로 46.5% 감소했다. 최대주주 변경 소식에 회사 주가는 크게 뛰고 있다. 두올산업은 이날 오전 9시30분 기준 코스닥시장에서 전날보다 12.43% 오른 5700원을 기록하고 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자본확충 나선 SK증권, 1100억원 유상증자
SK증권이 11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단행한다. 자본 확충과 함께 새 대주주인 J&W파트너스의 지배력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다.SK증권은 오는 22일과 오는 12월11일 두 차례에 걸쳐 총 11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한다고 12일 공시했다. 이달 말엔 J&W파트너스를 상대로 신주 3636만3000주를 발행해 300억원을 조달하며, 12월엔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800억원을 마련할 계획이다. J&W파트너스가 연말 SK증권 유상증자에 참여해 배정받은 1161만1000주를 전부 사들이면 현재 10.0%인 지분율은 16.79%로 높아진다. 지난 6월 말 기준 225.7%인 순자본비율(NCR)도 상승할 전망이다. SK증권 관계자는 "자산건전성을 개선해 'A'로 떨어진 신용등급을 다시 올리고 영업부문에서도 자본 투하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말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삼우엠스, 유증·CB로 80억 조달
스마트폰 부품업체인 삼우엠스가 유상증자와 전환사채(CB) 발행을 통해 80억원을 마련한다. 삼우엠스는 운영자금 조달 위해 오는 19일 이은주씨를 상대로 신주 242만9149주를 발행하는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한다고 10일 공시했다. 신주 발행가격은 주당 1235억원으로 전체 증자규모는 30억원이다. 이 회사는 다음달 30일에도 송진영씨를 상대로 3년 만기 CB 50억원어치를 발행할 계획이다. CB 표면금리는 연 0%, 만기 수익률은 연 4%로 결정됐다. 송진영씨는 내년 11월부터 해당 CB를 주당 1407원에 삼우엠스 신주로 바꿀 수 있다. 지난 8일 이 회사 종가(1504원)보다 997원 낮은 수준이다.삼우엠스는 2001년 설립된 스마트폰 부품업체로 대구에 본사를 두고 있다. 스마트폰 케이스와 모바일 지문인식 모듈 등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 2005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지난 8월 최대주주인 코스닥기업 크루셜텍이 경영권을 강문현씨한테 넘기면서 주인이 바뀌었다. 최근 실적 악화를 겪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 상반기 126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작년부터 적자를 쌓고 있다. 매출은 745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남동발전, 현대에코에너지에 36억 투자
한국남동발전이 현대건설의 자회사인 현대에코에너지에 36억원을 투자한다.현대에코에너지는 지난 20일 설비투자금 조달을 위해 남동발전을 상대로 신주 72만2000주를 발행하는 유상증자를 했다고 27일 공시했다. 신주 발행가격은 한 주당 5000원, 전체 증자 규모는 36억원이다. 이번 유상증자로 남동발전은 현대에코에너지 지분 19%를 확보했다. 최대주주인 현대건설의 지분율은 100%에서 81%로 떨어졌다. 현대에코에너지는 현대건설이 작년 7월 세운 태양광 발전회사로 충남 서산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 현재 서산 부석면에 있는 약 100만㎡ 규모 간척지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짓고 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한진重 발전계열사 별내에너지, 770억원 유상증자
한진중공업그룹 발전 계열사인 별내에너지가 유상증자로 770억원을 조달했다.별내에너지는 19일 대주주인 대륜E&S를 상대로 신주 15만4000주를 발행하는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했다. 신주 발행가격은 한 주당 50만원으로 증자로 조달하는 자금은 총 770억원이다. 별내에너지는 한진중공업그룹이 2007년 설립한 발전 계열사로 경기 남양주와 양주에서 집단에너지 및 지역 냉난방 사업을 하고 있다. 한진중공업그룹의 정점인 한진중공업홀딩스의 자회사인 대륜E&S가 지분 100%를 들고 있다. 지난해 매출 475억원, 영업이익 53억원을 기록했다.한진중공업그룹은 한때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대륜E&S와 별내에너지, 대륜발전 매각을 동시에 추진하기도 했다. 하지만 매각이 좀처럼 성사되지 않자 직접 이들 발전 계열사들의 자금조달을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쪽으로 전략을 바꾸었다. 세 발전계열사는 올 들어 유상증자와 상환전환우선주(RCPS) 발행, 대출채권 유동화 등을 통해 잇달아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지난달 한진중공업이 보유 중인 별내에너지(50%)와 대륜발전(40.88%) 지분 전부를 대륜E&S로 넘기면서 발전 계열사간 지분 관계도 대륜E&S가 별내에너지와 대륜발전을 거느리는 구도로 변경됐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아이리버, 700억 유상증자…SKT가 650억 출자
≪이 기사는 07월27일(11:3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SK그룹의 음향기기 계열사인 아이리버가 7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단행한다.아이리버는 다음달 10일 주주인 SK텔레콤과 SM엔터테인먼트를 상대로 신주 799만867주를 발행하는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한다고 27일 공시했다. 신주 발행가격은 한 주당 8760원으로 전날 종가(9470원)보다 710원 싸다.700억원의 증자금액 중 최대주주 SK텔레콤(지분율 45.90%)이 650억원, 2대주주 SM엔터테인먼트(17.16%)가 50억원씩 출자하기로 했다. 이들은 이번에 사들이는 신주를 앞으로 한국예탁결제원에 1년간 보호예수해야 한다. 아이리버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운영자금 및 신기술 개발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지난해 SM엔터테인먼트를 아이리버 2대주주로 유치한 이후 정보기술(IT)과 콘텐츠 융합에 힘을 싣고 있다. SK텔레콤은 당시 SM엔터테인먼트의 콘텐츠 제작 계열사인 SM C&C의 723억원 규모 유상증자에 참여해 650억원을 투자하면서 SM그룹과 상호 지분관계를 맺었다. 시장에선 아이리버가 만드는 이어폰, 헤드셋 등 음향기기와 SM그룹의 스타 콘텐츠가 결합한 마케팅이 활발히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우리들휴브레인, 유증·CB로 400억 조달
≪이 기사는 07월05일(16:3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유가증권시장 의료기기업체인 우리들휴브레인이 유상증자와 전환사채(CB) 발행을 통해 400억원을 조달한다.우리들휴브레인은 다음달 6일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스노우월드투자조합을 상대로 신주 343만531주를 발행하는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한다고 5일 공시했다. 신주 발행가격은 한 주당 2915원으로 이번 증자로 조달하는 금액은 약 100억원이 될 전망이다. 이 회사는 CB 발행을 통해서도 300억원을 조달한다고 같은 날 공시했다. 다음달 아람코리아를 상대로 100억원어치를 찍은 뒤, 9월 곤엔터프라이즈와 에프아이티테크놀로지를 상대로 100억원어치씩 발행하기로 했다. CB 표면금리는 모두 연 3%, 만기수익률은 연 5%로 결정됐다. 각 투자자들은 내년 9월부터 해당 CB를 한 주당 3343원에 우리들휴브레인 신주로 전환할 수 있다.우리들휴브레인은 2009년 우리들제약의 메디컬(의료기기)사업을 인적분할해 세운 회사다. 의료기기를 비롯해 의약품, 운동기구 판매 등을 주력사업으로 하고 있다. 지난 1분기 매출은 9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3.8% 증가했지만 18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분할 이후 8년 여간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갑자기 내놓은 대규모 자금조달 계획에 주가는 출렁였다. 우리들휴브레인은 5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전날 대비 300원(-7.89%) 내린 3500원에 장을 마쳤다. 향후 신주 발행에 따른 유통주식 물량 증가로 기존 주주들의 보유한 주식가치가 희석될 것이란 우려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서울개인택시복지법인, 116억원 규모 유상증자
서울특별시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이 최대주주인 LPG충전소 운영업체 서울개인택시복지법인이 유상증자를 통해 100억원 이상을 조달한다.서울개인택시복지법인은 다음달 26일 일반 공모방식으로 116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한다고 19일 공시했다. 신주 2302만4900주를 한 주당 520원에 발행한다. 다음달 9일부터 11일까지 일반 투자자들을 상대로 청약을 진행할 계획이다.이 회사는 유상증자로 조달한 자금을 모두 LPG 충전소 매입에 사용할 계획이다. 서울개인택시복지법인은 비영리법인인 서울특별시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이 지난해 3월 세운 회사로 LPG충전소 및 주유소 운영사업을 하고 있다. 서울특별시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이 지분 83.6%, 소액주주 1856명이 나머지 지분 16.4%를 들고 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