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라인·삼성생명 빌딩 담은 NH올원리츠, 1000억원 투자유치 추진

    라인·삼성생명 빌딩 담은 NH올원리츠, 1000억원 투자유치 추진

    네이버 계열사인 라인플러스와 삼성생명 등이 임차하는 빌딩 등을 담은 'NH올원리츠'가 상장 전 투자유치(프리 IPO)에 나선다. 최근 몸값이 뛰는 수도권 사무용빌딩과 물류센터에 간접투자하는 리츠임을 고려하면 여러 기관들로부터 '러브콜'을 받을 전망이다.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NH농협리츠운용은 최근 NH올원리츠에 대한 프리 IPO에 참여할 기관들을 모집하기 시작했다. 다음달까지 1000억원을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NH올원리츠는 성남 분당스퀘어와 서울·수원 엠디엠타워, 이천 도지물류센터를 기초자산으로 삼고 있다. 프리 IPO가 마무리되면 국내 증시 상장을 통해 추가로 1000억원가량을 더 조달할 계획이다. 예상 상장시기는 오는 10월이다.분당스퀘어는 모바일 메신저 ‘라인’을 운영하는 라인플러스와 모바일게임 ‘애니팡’ 개발업체인 선데이토즈 등을 임차인으로 두고 있다. 최근 라인플러스가 임차기간을 7년 더 연장하는 계약을 체결하면서 더욱 안정적인 임대수익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서울 당산과 수원 인계에 있는 엠디엠타워는 삼성생명, 삼성화재 등 삼성그룹 금융 계열사들이 임차하고 있다. NH올원리츠에 가장 최근 편입된 도지물류센터는 수도권 물류거점 중 하나인 이천에 자리잡고 있다. 삼성전자 가전제품 운송을 대행하는 하나로티앤에스와 동원그룹 물류 계열사인 동원로엑스가 임차 중이다. NH농협리츠운용은 이 자산들로부터 얻는 임대수익을 바탕으로 리츠 투자자들에 연 6%대 배당수익률을 제공할 예정이다.리츠에 담긴 부동산이 모두 국내 대체투자시장에서 인기가 높은 자산임을 고려하면 많은 기관들이 이번 프리 IPO에 참여

  • NH아문디운용, 대구 삼성생명빌딩 매입

    NH아문디자산운용이 대구 삼성생명 빌딩을 인수했다.20일 파이낸셜뉴스에 따르면 NH아문디자산운용은 최근 대구 덕산동에 있는 삼성생명 빌딩을 2000억원에 매입했다. 이 건물은 대구에서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동성로 초입에 있다. 대구 지하철 1·2호선이 지나는 반월당역과 지하로 연결돼 있다. 마켓인사이트 뉴스룸 insihgt@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삼성생명, 1000억원대 분당·안양 부동산 처분한다

    [마켓인사이트] 삼성생명, 1000억원대 분당·안양 부동산 처분한다

    ▶마켓인사이트 8월12일 오후 1시25분삼성생명이 경기 분당서현빌딩(사진)과 안양평촌빌딩 등 총 1000억원 규모의 건물을 매각하기로 했다.12일 부동산금융업계에 따르면 삼성생명은 다음달 초 서현빌딩과 평촌빌딩을 매각하기 위한 입찰을 부동산 운용사와 법인 등을 대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두 건물은 삼성생명이 해당 지역의 영업을 관할하는 거점 빌딩으로 지난해 매각을 추진했다가 철회했으나 다시 매물로 내놓은 것이다. 서현빌딩은 수도권 전철 분당선 서현역 인근의 연면적 1만3815㎡짜리 건물이다. 삼성생명 분당·서현·판교지점 등이 입주해 있고, 인근 분당 사옥과도 가깝다. 평촌빌딩은 안양시 비산동에 있는 1만1982㎡ 규모의 빌딩이다. 평촌·범계·의왕지점 본부가 있다.삼성생명은 2015년 이후 국내 부동산을 대거 처분하고 있다. 2016년 서울 태평로 사옥을 부영그룹에 팔았고, 각 지역 영업의 거점이 되는 빌딩들도 ‘세일앤드리스백(매각 후 재임차)’ 방식 등으로 속속 매각하고 있다.삼성생명은 두 건물과는 별도로 서울당산빌딩, 수원인계빌딩, 부산범천빌딩, 부산초량빌딩, 광주금남로빌딩, 광주콜센터빌딩 등 6개 빌딩의 일괄 매각도 추진하고 있다. 딜로이트안진이 매각을 주관한다. 부동산금융업계에선 총 8개의 건물 매각을 통해 삼성생명이 4000억원 전후의 현금을 손에 쥘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삼성생명은 최근 2000억원대로 평가되는 서울 삼성동 빌딩 매각을 추진하다가 철회하기도 했다. 최근 서울 강남 부동산 시장이 달아올라 ‘추후 매각’을 선택했다는 분석이다.부동산금융업계 관계자는 “국제회계기준(IFRS) 변화 등에 대비해 국내 보험사들

  • [마켓인사이트] 삼성생명·화재, 1.3兆 삼성전자 지분 '블록딜' 흥행 대박

    [마켓인사이트] 삼성생명·화재, 1.3兆 삼성전자 지분 '블록딜' 흥행 대박

    ▶마켓인사이트 5월31일 오후 4시50분삼성생명과 삼성화재가 금산분리법을 준수하기 위해 보유 중이던 삼성전자 주식 총 2700만 주(지분율 0.43%)를 주식시장에서 매각해 1조3163억원을 현금화했다. 삼성전자의 전날 종가(4만9500원)보다 1.5% 할인한 4만8750원에 전량을 파는 데 성공했다.이 같은 할인율은 거래 규모 10억달러(약 1조1000억원) 이상의 시간외 대량매매(블록딜)로는 한국에서는 2010년 이후, 아시아·태평양에서는 2012년 이후 가장 낮은 것이다.3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삼성생명과 삼성화재는 이날 개장 전 보유하고 있던 삼성전자 주식 2298만 주(지분율 0.38%)와 402만 주(0.06%) 등 총 2700만 주를 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했다.▶본지 5월31일자 A1, 14면 참조아·태 지역 기관투자가가 매각 주식의 61%를, 미국과 유럽 기관투자가가 각각 26%와 13%를 사들였다. 45일간 지분을 매각하지 않는 조건이 붙었다. 매각주관사를 맡은 골드만삭스와 JP모간은 투자자 모집에 나설 때만 해도 최대 2.4%의 할인율을 제시했지만 해외 기관투자가에게 인기가 높아 할인율이 낮아졌다. 할인율이 2.4%에서 1.5%로 떨어지면서 삼성생명과 삼성화재는 122억원을 더 벌어들였다.할인율은 블록딜에 나선 매각주관사가 기관투자가를 끌어들이기 위해 매각 가격을 일부 깎아주는 것이다. 할인율이 낮을수록 회사가 벌어들이는 금액은 많아진다. 그러나 매각 규모가 클수록 거래 성사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할인을 많이 해주는 게 일반적이다. IB업계 관계자는 “이탈리아발 글로벌 금융불안 등으로 주식시장이 크게 움츠러든 상황에서도 블록딜이 성공한 것은 삼성전자의 투자 매력이 그만큼 높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블록

  • 삼성생명, 삼성중공업 유상증자 참여한다

    ≪이 기사는 03월22일(17:4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삼성생명이 삼성중공업의 1조4088억원 규모 유상증자에 참여해 400억원에 가까운 자금을 투입한다. 삼성그룹 계열사 중 첫 번째로 출자의사를 밝혔다.삼성생명은 다음달 13일 삼성중공업이 구주주들을 상대로 진행하는 유상증자 청약에 참여해 신주 666만6074주를 인수하기로 결정했다고 이날 공시했다. 예정 신주 발행가격이 한 주당 5870원인 것을 고려하면 총 391억원을 투입할 전망이다. 삼성생명은 현재 삼성중공업 주식 1264만2988주(3.24%)를 들고 있는 핵심주주로 삼성그룹 계열사 중에선 삼성전자(16.91%) 다음으로 지분이 많다. 삼성전기(2.29%)가 그 다음으로 지분이 많고 삼성SDI(0.40%) 제일기획(0.13%) 삼성물산(0.12%) 등 다른 계열사들은 조금씩 지분을 나눠들고 있다. 투자은행(IB)업계에선 다른 삼성 계열사들도 차례로 유상증자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삼성 계열사들이 참여하지 않으면 다른 주주들의 투자심리가 꺾일 가능성이 높아서다. 삼성그룹 계열사와 삼성중공업 임직원을 제외한 일반 주주들이 가진 삼성중공업 지분은 74.99%다.  앞서 삼성중공업이 지난 12~15일 우리사주조합을 상대로 진행한 청약에는 6004만주의 매수주문이 몰렸다. 우리사주조합에 배정된 물량(4800만주)보다 25%가량 많은 수준이다.삼성중공업은 다음달 9일 유상증자 신주 발행가격을 확정할 예정이다. 같은 달 12~13일 구조주 청약, 17~18일 실권주 일반공모 청약을 거쳐 5월4일 신주 2억4000만주를 상장할 계획이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