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인사이트]우리은행, 우리금융지주 지분 2.7% 매각
≪이 기사는 03월22일(16:1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우리은행이 보유 중이던 우리금융지주 지분 2.7%를 시간 외 대량매매(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했다. 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보유하고 있던 우리금융지주 지분 2.7%(1834만6782주)를 이날 장이 시작되기 전에 블록딜 방식으로 전량 매각했다. 해외 기관투자가들이 지분을 받아갔다. 미국과 아시아, 유럽 등 전 세계 주요 기관투자가들이 매각 물량의 3배가 넘는 약 8460억원어치 청약에 참여해 매각이 성공적이었다는 게 우리은행 측 설명이다. 이번 거래로 해외 투자자의 우리금융지주 지분율은 지난 2월13일(재상장일) 27.5%에서 30.2%로 2.7% 포인트 높아졌다. 그간 우리금융지주 주가 상승의 걸림돌이었던 ‘대기물량 부담’(오버행 이슈)이 해소된 것은 향후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성공적인 지분 매각은 우리금융지주의 경영 실적 및 향후 기업가치 상승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반영한다”며 “우리은행과 우리금융지주의 국제결제은행(IBS) 자기자본비율이 각각 0.18% 포인트, 0.10% 포인트 상승하는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
-
롯데지주, 롯데케미칼 자회사로 편입…지배구조 개편 박차
롯데그룹 지주회사인 롯데지주가 호텔롯데와 롯데물산이 보유한 롯데케미칼 지분을 사들인다.롯데지주는 10일 시간외매매 방식으로 호텔롯데가 보유한 롯데케마칼 주식 434만6818주 중 410만1467주를, 롯데물산 보유 주식 1071만8818주 중 386만3734주를 사들였다고 공시했다. 총 796만5201주에 해당하는 물량으로 인수가격은 2조2274억원이다. 이번 거래로 롯데지주는 롯데케미칼 지분 23.24%를 확보해 이 회사 최대주주가 됐다.롯데지주 관계자는 “지배구조 개편으로 경영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롯데지주는 이날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보통주 1165만7000주를 소각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오는 12월25일 자사주 소각이 완료되면 이 회사 보통주 물량은 1억1656만6237주에서 1억490만9237주로 줄어든다. 롯데지주는 다음달 21일 감자를 위한 주주총회를 열 예정이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SG고려, SG충방 지분 6.67% 매각
≪이 기사는 08월31일(10:2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SG고려가 자회사 SG충방 지분을 또 한 번 매각한다.SG충방은 31일 최대주주인 SG고려가 회사 지분 300만주(6.67%)를 시간외매매 방식으로 매각한다고 이날 공시했다. 매각가격은 주당 2117원으로 전날 종가(2490원)보다 373원 싸다. 이번 거래로 SG고려는 63억5000만원을 확보할 전망이다. SG고려의 SG충방 지분율은 55.06%에서 48.39%로 낮아진다. SG고려는 지난 3월에도 시간외매매로 SG고려 주식 200만주(4.45%)를 매각해 약 79억원을 마련했다. 최근 6개월 동안에만 자회사 지분 11.12%를 처분했다.SG충방은 1954년 설립된 자동차 부품업체로 자동차용 시트, 시트커버 등을 제조하고 있다. 1976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 지난 상반기 매출은 748억원, 영업이익은 2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2%, 187.0% 증가했다. 최대주주가 잇달아 보유 지분을 매각한 여파로 주가는 계속 내리막을 걷고 있다. 이날 10시20분 기준 SG충방은 유가증권시장에서 전날보다 75원(-3.01%) 내린 2415원에 거래되고 있다. SG고려가 보유 지분을 팔기 직전인 지난 3월2일(4805원) 대비 49.73% 떨어졌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삼성생명·화재, 1.3兆 삼성전자 지분 '블록딜' 흥행 대박
▶마켓인사이트 5월31일 오후 4시50분삼성생명과 삼성화재가 금산분리법을 준수하기 위해 보유 중이던 삼성전자 주식 총 2700만 주(지분율 0.43%)를 주식시장에서 매각해 1조3163억원을 현금화했다. 삼성전자의 전날 종가(4만9500원)보다 1.5% 할인한 4만8750원에 전량을 파는 데 성공했다.이 같은 할인율은 거래 규모 10억달러(약 1조1000억원) 이상의 시간외 대량매매(블록딜)로는 한국에서는 2010년 이후, 아시아·태평양에서는 2012년 이후 가장 낮은 것이다.3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삼성생명과 삼성화재는 이날 개장 전 보유하고 있던 삼성전자 주식 2298만 주(지분율 0.38%)와 402만 주(0.06%) 등 총 2700만 주를 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했다.▶본지 5월31일자 A1, 14면 참조아·태 지역 기관투자가가 매각 주식의 61%를, 미국과 유럽 기관투자가가 각각 26%와 13%를 사들였다. 45일간 지분을 매각하지 않는 조건이 붙었다. 매각주관사를 맡은 골드만삭스와 JP모간은 투자자 모집에 나설 때만 해도 최대 2.4%의 할인율을 제시했지만 해외 기관투자가에게 인기가 높아 할인율이 낮아졌다. 할인율이 2.4%에서 1.5%로 떨어지면서 삼성생명과 삼성화재는 122억원을 더 벌어들였다.할인율은 블록딜에 나선 매각주관사가 기관투자가를 끌어들이기 위해 매각 가격을 일부 깎아주는 것이다. 할인율이 낮을수록 회사가 벌어들이는 금액은 많아진다. 그러나 매각 규모가 클수록 거래 성사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할인을 많이 해주는 게 일반적이다. IB업계 관계자는 “이탈리아발 글로벌 금융불안 등으로 주식시장이 크게 움츠러든 상황에서도 블록딜이 성공한 것은 삼성전자의 투자 매력이 그만큼 높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블록
-
3일간 65% 급등한 현대로템… 모건스탠리PE, 9.7% 블록딜
외국계 사모펀드(PEF)인 모건스탠리프라이빗에쿼티(PE)가 현대로템 지분을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로 처분했다. 현대로템이 남북경협 수혜주로 주목받으면서 최근 3거래일 동안 주가가 1만2900원(65.5%) 급등하자 투자자금 회수에 나선 것이다. 이번 거래로 모건스탠리PE는 2304억원을 현금화했다.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모건스탠리PE는 이날 현대로템 주식 823만 주(지분율 9.7%)의 블록딜에 성공했다. 이날 현대로템 종가(3만2600원)에 할인율 14.1%를 적용한 2만8000원에 매각했다. 주관사는 씨티글로벌마켓증권이 맡았다. 이번 거래로 모건스탠리PE의 현대로템 지분율은 24.8%에서 15.1%로 낮아졌다.지난달 27일 남북한 정상회담이 열리기 전만 해도 이번 블록딜 대상 지분의 가치는 1444억원(지난달 26일 종가 1만9700원 기준)이었다. 그러나 회담 후 연일 주가가 뛰며 며칠 만에 지분 가치가 치솟았다. 단기간에 주가가 뛰었지만 외국계 기관투자가 사이에서 남북 정상회담 수혜 기업에 대한 수요가 몰리면서 흥행, 블록딜 규모를 733만주에서 823만주로 늘렸다.모건스탠리PE는 2006년 유상증자 및 한진중공업의 보유 지분 인수에 참여하며 현대로템의 2대 주주로 올라섰다.이고운/이동훈 기자 ccat@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OCI 오너家, 지분 1400억 규모 SK실트론에 '블록딜'
▶마켓인사이트 4월26일 오전 8시40분3세 경영자인 이우현 OCI 사장과 가족들이 OCI 지분 일부를 SK실트론 등에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로 처분해 약 1400억원을 현금화했다. 상속세 납부를 위한 매각인 것으로 증권업계는 보고 있다.26일 OCI에 따르면 이 사장과 그의 모친 김경자 송암문화재단 이사장, 여동생인 이지현 OCI미술관 관장은 보유하고 있던 OCI 주식을 지난 25일 블록딜했다. 이들은 지난해 별세한 이수영 회장의 유가족이다.이 사장은 보유 주식의 17.6%에 해당하는 25만7466주를 매도했다. 김 이사장은 보유 지분의 59.5%인 29만655주를, 이 관장은 42.3%에 해당하는 33만392주를 팔았다. 25일 OCI 종가(15만8000원)를 기준으로 하면 이 사장은 407억원, 김 이사장은 460억원, 이 관장은 522억원 정도를 확보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번 거래로 이 사장의 OCI 지분율은 6.12%에서 5.04%로 축소됐다.증권업계에서는 OCI 블록딜에 매수자로 들어온 SK실트론이 우군 역할을 톡톡히 했다는 평가다. 통상 블록딜은 시장에서 거래된 종가에 할인율을 적용한 가격으로 거래된다. 그러나 SK실트론은 종가인 15만8000원을 주고 47만6987주를 754억원에 취득했다. 이 사장 가족이 매물로 내놓은 지분의 절반 이상을 SK실트론이 좋은 가격에 받아준 셈이다.SK실트론 측은 “양사의 협력 강화를 위한 지분투자”라고 밝혔다. SK실트론의 주력 사업인 반도체 웨이퍼의 원재료인 폴리실리콘 확보를 위해 OCI 지분 투자를 결정했다는 설명이다.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
-
테마섹, 1兆 규모 셀트리온‧헬스케어 지분 ‘완판’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이 보유 중인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 지분 약 1조원어치를 매각하는 데 성공했다.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테마섹은 전날 보유하고 있는 셀트리온 주식 224만주(1.79%)와 셀트리온헬스케어 주식 290만주(2.10%)를 시간외 대량매매(블록딜) 방식으로 국내외 기관투자가들한테 매각했다. 골드만삭스와 씨티글로벌마켓증권이 주관을 맡았다.한 주 당 거래가격은 6일 종가에서 9% 할인된 수준으로 셀트리온 주식은 33만6700원에, 셀트리온헬스케어는 10만8654원에 팔렸다. 총 매각 금액은 셀트리온이 7407억원, 셀트리온헬스케어가 3151억원이다. 전날 셀트리온은 유가증권시장에서 0.94% 내린 37만원,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코스닥시장에서 1.96% 오른 11만9400원에 장을 마감했다. 거래를 마치면 테마섹이 보유한 셀트리온 지분은 12.48%, 셀트리온헬스케어 지분은 10.48%로 줄어든다. 그러나 테마섹은 여전히 주요 주주로서 영향력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테마섹은 현재 셀트리온홀딩스(지분율 20.08%)에 이은 셀트리온의 2대 주주(14.27%)다. 셀트리온헬스케어 지배구조에서도 서정진 회장(35.96%)과 원에쿼티파트너스(18.10%)에 이어 3대 주주(12.58%) 자리를 지키고 있다.테마섹은 2010년 5월 셀트리온 보통주 1223만 주를 총 2079억원(주당 1만7000원)에 인수했다. 2011년 8월에는 셀트리온헬스케어 상환전환우선주(RCPS)로 170억원어치를 매입했다. 테마섹은 셀트리온 투자에서 주당 1880~1945%가량의 수익률을 거둔 것으로 추산된다. 셀트리온헬스케어도 비슷한 수익률을 올린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CJ제일제당, 삼성생명 지분 전액 블록딜 성공
이 기사는 07월12일(10:5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CJ제일제당이 보유 중이던 삼성생명 지분을 전량 매각하는데 성공했다. 3000억원대 자금을 손에 쥐게 됨에 따라 또다른 인수·합병(M&A)에 나설 지 주목된다. 1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은 전날 장 마감 이후 삼성생명 보유 지분 298만5850주에 대핸 시간 외 대량매매(블록딜)에 나서 이날 장 시작 전까지 모두 처분하는데 성공했다. 매각 가격은 전일 종가(12만3500원)에서 3%할인된 11만9800원에 결정됐다. 전일 할인율 밴드는 2~4%로 제시된 바 있다. 씨티글로벌마켓증권과 HSBC, BNP파리바가 매각 주관을 맡았다.CJ제일제당은 이번 이번 블록딜을 통해 보유 중인 삼성생명 지분을 모두 처분해 3577억원의 현금을 확보하게 됐다. CJ측은 지분 처분 이유를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다. IB 업계에서는 삼성생명 주가가 최근 많이 올랐다고 판단하고 투자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주식을 매각한 것으로 알려졌다.앞서 CJ제일제당은 2011년 삼성생명 지분을 취득했으며 2013년 300만주를 매각한 것을 시작으로 이번까지 세 차례에 걸쳐 지분을 매각해 1조원 가량을 현금화했다.CJ제일제당이 수천억원의 현금을 손에 쥐게 되면서 또 다른 전략적 기업 인수에 나설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지난해 브라질 농축대두단백(SPC) 업체인 셀렉타(3600억원)를 비롯해 러시아 만두 업체 라비올리를 인수하는 등 해외 M&A에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정소람 기자 ram@hankung.com
-
현대미포조선, 현대로보틱스 블록딜 성공..3500억여원 확보
이 기사는 06월22일(11:0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현대미포조선이 보유중이던 현대로보틱스 지분 전량을 매각해 3500억여원의 현금을 확보했다. 현대중공업 그룹 계열사 인적분할 이후 생겨난 순환출자 고리도 해소하게 되면서 지주사 전환 작업도 순항할 전망이다. 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현대미포조선은 전날 장 마감 이후 보유중이던 현대로보틱스 지분 96만540주(7.98%)에 대한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에 나서 이날 장 마감 전까지 모두 매각하는데 성공했다. 크레디트스위스(CS)와 NH투자증권이 매각을 주관했다. 전날 종가(39만1000원)에서 약 6.2% 할인율이 적용된 36만6700억원에 가격이 결정됐다. 당초 제시된 할인율 밴드(범위)는 1~7%였다.현대미포조선은 이번 블록딜을 통해 3522억원의 현금을 손에 쥐는 한편 새로 생겨난 순환출자 고리를 끊게 됐다. 현대중공업은 올해 4월1일 인적 분할을 통해 현대중공업 현대건설기계 현대일렉트릭 현대로보틱스 등 네 개 회사로 나뉘었다. 이 과정에서 ‘현대로보틱스→현대중공업→삼호중공업→현대미포조선→현대로보틱스’로 이어지는 새로운 순환출자 고리가 생겨났다. 공정거래법에 따르면 신규 순환출자 고리는 6개월안에 없애야 한다. 이때문에 현대미포조선은 이에 따라 이번 블록딜을 단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소람 기자 ram@hankung.com
-
IBK-케이스톤, 대우건설 지분 5.77% 블록딜 성공..할인율 8.9%
이 기사는 05월24일(10:2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IBK투자증권-케이스톤 파트너스 컨소시엄이 보유중인 대우건설 지분 일부 5.77% 매각에 성공해 1700억여원을 현금화했다. 2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전일 장 종료 후 에스이비티투자유한공사(SEBT Investment CO,.LTD)는 보유중인 대우건설 지분 2400만주(5.77%)에 대해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에 나서 전량 매각에 성공했다. 매각 가격은 할인율 8.9%가 적용된 7400원에 결정됐다. 당초 수요 예측에서 제시된 할인율(5~8.9%) 최 하단 수준이다. JP모간이 단독으로 매각 주관을 맡았다.SEBT는 IBK투자증권과 케이스톤파트너스가 손잡고 설립한 컨소시엄이다. 2012년 대우건설 지분 12.3%를 인수하면서 2대 주주 자리에 올랐다. 이후 지난달 보유지분 700만주(1.68%)를 매각한 것을 시작으로 이번에 두번째로 일부 지분을 처분했다. 이번 블록딜에 따라 컨소시엄은 1776억원의 현금을 손에 쥐게 됐다. 매각후 남은 보유 지분은 약 4.9%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
-
에스에프에이, 자사주 410억어치 블록딜 매각
이 기사는 05월23일(16:2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디스플레이 장비 업체인 에스에프에이가 자기주식 410억원어치를 매각한다. 2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에스에프에이는 이날부터 다음달 주식시장 개장 전까지 자기주식 48만9367주(2.73%)를 시간외 대량매매(블록딜) 방식으로 팔기 위해 기관투자가를 상대로 수요예측에 나섰다. 매각 예정 가격은 이날 종가(8만8500원) 대비 3~5% 할인된 8만4075~8만5845원이다. 총 411억~420억원 규모다. 매각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 단독으로 맡았다. 이 회사는 운영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이번에 블록딜로 자기주식을 전량 처분할 계획이다. 에스에프에이는 디스플레이 장비업체로 지난해 매출 1조3197억원, 영업이익 1208억원을 올렸다. 디스플레이 시장이 호조를 보이면서 실적도 급속도로 향상되는 추세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
위메이드, 카카오 블록딜 주당 8만3000원에 성공
이 기사는 04월06일(08:0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위메이드가 보유하고 있던 카카오 지분 전량을 블록딜로 처분했다.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위메이드는 이날 카카오 233만3270주(지분율 3.5%)를 주당 8만3000원에 매각했다. 총 1937억원 규모다. 전일 종가(8만5900원) 대비 할인율 3.4%가 적용됐다. 위메이드는 전일 할인율 1~3.7%로 기관투자가 수요예측에 나섰다.이번 블록딜은 미국을 제외한 지역의 기관투자가만 참여할 수 있는 REG S 방식으로 진행됐다. 매각 주관은 크레디트스위스가 맡았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
-
화승알앤에이, 화승인더스트리 420만주 블록딜로 매각
이 기사는 03월29일(18:0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화승알앤에이는 계열회사 화승인더스트리 주식 420만주를 420억8085만원에 처분하기로 결정했다고 29일 공시했다.처분 예정일자는 오는 30일이며 장 시작 전에 시간외대량매매(블록딜)를 통해 매각될 예정이다. 블록딜이 마무리되면 화승알앤에이의 화승인더스트리에 대한 지분율은 9.98%(552만주)로 낮아진다. 매각 주관은 SK증권이 맡았다.회사 관계자는 "투자자금을 회수하기 위해 블록딜을 진행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
-
모베이스 최대주주, 155억원 상당 지분 블록딜 매각
이 기사는 02월22일(15:4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코스닥 상장사 모베이스의 최대주주가 155억원 상당의 지분을 시간 외 대량매매(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했다.모베이스 최대주주인 손병준 이사는 22일 블록딜 방식으로 150만주(지분율 9.65%)를 매각했다고 공시했다. 처분 단가는 전날 종가(1만1250원) 대비 8.4% 할인된 1만350원으로 총 155억원 규모다. 이에 따라 손병준 이사의 지분율은 종전 40.43%에서 30.78%로 9.65%포인트 감소했다. 매각 주관은 신한금융투자가 맡았다.손병준 이사는 모베이스 창업자로서 대표이사를 맡아 왔다. 그러나 지난해 3월 김낙순 전 삼성전자 상무를 대표이사로 신규 선임한 후 대표이사에서 물러나 사내이사직만 유지하고 있다.손 이사가 10% 안팎의 지분을 판 것은 유통 주식 활성화를 위해서라는 분석이다. 지난 1월 기준 손 이사 부인(13.95%)을 비롯한 특수관계인을 합한 최대주주 지분율은 50%를 넘는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최대주주 측 지분율이 높아 유통 물량을 늘리기 위해 판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이날 블록딜 영향으로 모베이스 주가는 오후 3시 현재 전일 대비 8% 안팎 빠지고 있다.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
-
롯데케미칼, 자사주 블록딜 성공…유동성 2150억원 확보
이 기사는 02월22일(11:0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롯데케미칼이 자사주 전부를 22일 시간 외 대량매매(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했다.롯데케미칼은 이날 오전 자사주 58만3388주(지분율 1.70%) 전부를 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했다. 주당 매각 가격은 전일 종가(38만3500원) 대비 3.91% 할인된 36만8500원으로 총 2150억원 규모다. 국내 기관과 외국인이 모두 관심을 보인 가운데 외국인이 많은 수량을 가져간 것으로 알려졌다.롯데케미칼이 자사주를 판 것은 주식매수청구에 의해 취득한 자사주는 5년 이내 처분해야 하는 자본시장법 규정 때문이다. 이번에 처분한 자사주는 2012년 12월 옛 호남석유화학과 케이피케미칼이 합병할 때 주식매수청구로 취득한 물량이다.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