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단독] 스틱, 하이브 주식 8500억원 블록딜

    [단독] 스틱, 하이브 주식 8500억원 블록딜

       ≪이 기사는 06월28일(16:3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스틱인베스트먼트가 보유 중인 하이브 지분 약 8500억원어치를 시간외매매(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한다. 주가가 거듭 뛸 때 보유 지분을 모두 처분해 투자금을 회수하겠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2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스틱인베스트먼트는 이날 장 마감 후 보유 중인 하이브 주식 전량(286만6703주)을 블록딜로 매각하기 위한 수요예측에 돌입했다. 희망 매각가격 범위는 28만3000~29만6400원으로 정해졌다. 이날 종가(31만2000원) 대비 5~9%가량 낮은 수준이다. 희망가격 기준 거래규모는 8112억~8496억원이다.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이 주관을 맡았다.스틱인베스트먼트는 이번 블록딜로 하이브 투자금을 모두 회수할 전망이다. 이 회사는 지난해 10월 하이브가 상장한 이후 두 차례에 걸쳐 보유 주식 중 일부를 매각해 투자 회수 의지를 드러내왔다. 지금까지 총 59만6177주를 처분했다. IB업계에선 스틱인베스트먼트가 하이브 주가가 상승세를 타는 지금을 최적의 투자 회수시점으로 삼았다고 보고 있다. 하이브 주가는 지난해 말만 해도 16만원에 머물렀지만 올 들어서만 95% 뛰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대형 인수합병(M&A)을 통해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란 기대감이 주가를 밀어올리고 있다는 평가다. 하이브는 현재 아리아나 그란데, 저스틴 비버 등 유명 가수들을 거느린 미국 이타카홀디스 인수를 진행하고 있다. 인수금액만 10억5000만달러(약 1조1700억원)에 달한다. 이번 거래가 완료되면 하이브는 BTS 외에도 다양한 수익원을 갖추게 된다.하이브의 온라인 팬 커뮤니티 플

  • 유한양행, 엔솔바이오사이언스 주식 20만주 블록딜 처분 [마켓인사이트]

    유한양행이 엔솔바이오사이언스 주식 20만주(지분율 3.99%)를 지난 7일 블록딜로 처분했다고 15일 공시했다. 1주당 1만5200원으로 총 처분금액은 30억4000만원이다. 유한양행은 엔솔바이오사이언스의 2대주주다.유한양행이 보유한 엔솔바이오사이언스 주식은 101만860주(12.04%)에서 81만860주(8.05%)로 줄었다. 유한양행은 주식 처분 사유로 "자산 유동성을 높이기 위한 일부 주식 단순 처분"이라고 설명했다. 2011년 총 45억원을 투자해 취득한 엔솔바이오사이언스 지분 일부를 처분해 투자금의 상당부분을 회수한 셈이다. 엔솔바이오사이언스는 2001년 설립된 빅테이터 기반 펩타이드신약 개발 전문 업체다. 지난 2018년 코넥스 시장에 상장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이 기사는 06월15일(16:3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 김범수 의장 등 카카오 주식 5000억원 블록딜

    김범수 의장 등 카카오 주식 5000억원 블록딜

    김범수 카카오 의장과 카카오의 2대주주인 케이큐브홀딩스가 카카오 지분 5000억원어치를 시간외매매(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한다.1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김범수 의장과 케이큐브홀딩스는 이날 장 마감 후 보유 중인 카카오 주식 중 약 5000억원어치를 매각하기 위한 수요예측에 돌입했다. 현재 김 의장은 카카오 지분 14.1%, 케이큐브홀딩스는 11.2%를 보유하고 있다. 매각가격은 이날 종가(12만500원)보다 3.3~5.0% 낮은 주당 11만4500원~11만6500원으로 정해졌다. JP모건이 주관을 맡았다.김 의장과 케이큐브홀딩스가 대규모 블록딜에 나서면서 이날 급등했던 카카오 주가가 주춤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1주당 액면가격을 500원에서 100원으로 쪼개는 액면분할을 마치고 사흘 만에 거래를 재개한 카카오는 15일 전거래일 대비 7.59% 뛰었다. 장 초반 한 때는 18.30%까지 치솟을 정도로 매수세가 강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예보, 1530억원 규모 우리금융 지분 2% 블록딜

    예금보험공사가 우리금융지주 주식 1530억원어치를 시간 외 대량매매(블록딜)로 처분한다. 정부는 2022년까지 우리지주 지분 완전 매각을 목표로 하고 있다.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블록딜 주관사인 미래에셋증권과 삼성증권, JP모간증권은 국내외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장 마감 후 처분을 위한 수요예측을 진행한다. 매각 대상은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금융지주 보통주 1444만5354주(2.0%)다. 매각가 밴드 범위는 이날 종가인 1만600원에 할인율 0%~2.5%를 적용한 1만335~1만600원이다. 총 거래 규모는 1530억원에 이른다.이번 거래는 금융위원회가 2019년 발표한 ‘우리금융 잔여지분 매각 로드맵’의 일환이다. 금융위와 예보는 2019년 6월 남은 지분을 "한 번에 최대 10%씩 몇 차례에 나눠 3년 내 모두 팔겠다"고 발표했다. 블록딜 전 잔여지분은 17.25%다. 정부는 2019년 말 해외 투자자들을 접촉해 인수 의사를 타진하기도 했으나 특별한 성과를 얻지는 못했다.정부는 앞서 외환위기 후 금융사 구조조정 과정에서 12조8000억원 공적자금을 투입했다. 이후 2010년대 들어 여러 차례 우리금융을 통째로 매각하려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통매각이 어렵자 광주은행 등 지방은행과 우리투자증권 등 계열사를 순차적으로 팔고, 경영권 자체를 넘기는 매각(M&A) 대신 과점 주주를 찾아주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2016년 12월 IMM PE 등에 29.7%를 팔고, 이듬해 해당 주주들의 콜옵션 행사로 2.94%를 추가로 매각했다.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 SK, SK바이오팜 지분 11% 블록딜 성공

    SK가 SK바이오팜 지분 11% 가량을 매각하는 데 성공했다.SK는 24일 SK바이오팜 지분 860만주를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 형태로 매각했다고 공시했다. 전체 SK바이오팜 지분의 약 11%에 해당하는 물량이다.SK는 지난 23일 장 마감 후 860만주 지분 매각을 위한 투자자 모집에 나섰다. 주당 할인율은 23일 종가인 14만7500원을 기준으로 9~12%로 제시했다. 주당 매각가는 12만9800원~13만4300원이었다.투자자 모집 결과 할인율은 12%로 결정됐다. 주당 매각가는 12만9800원이다. 이번 딜로 SK㈜는 1조 1162억원 가량의 자금을 확보할 전망이다.매각 자금은 투자 재원으로 활용된다. 회사 측은 "투자 회수 재원을 성장 사업 투자에 다시 활용함으로써 투자 선순환 구조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잔여 지분에는 6개월의 보호예수 기간이 설정됐다. 이번 딜은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과 크레디트스위스가 주관했다.지난해 3분기말 기준 SK는 SK바이오팜 지분 75%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매각으로 지분율은 64% 수준으로 낮아지게 된다. 대주주 지위에는 변동이 없다.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 

  • 스틱, 한화시스템 주식 1568억원어치 처분

    사모펀드(PEF) 운용사 스틱인베스트먼트가 보유 중인 한화시스템 지분을 모두 처분해 투자금을 회수했다.2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스틱인베스트먼트는 이날 펀드 '헬리오스에스앤씨'를 통해 보유 중이던 한화시스템 지분 7.79%를 시간외매매(블록딜)로 매각했다. 1주당 매각가격은 1만8275원으로 이날 종가(1만9250원) 대비 5.0% 낮다.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과 NH투자증권이 블록딜 주관을 맡았다.스틱인베스트먼트는 이번 블록딜을 통해 약 1568억원을 확보했다. 2017년 2500억원을 투입해 한화시스템 주주가 된 지 약 3년 만에 투자금을 모두 회수했다. 스틱인베스트먼트는 2019년 한화시스템의 상장 과정에서 구주 매출로 약 2470만주를 처분해 3000억원을 먼저 회수했다. 이날 블록딜까지 합하면 한화시스템 지분 투자로 총 2068억원의 수익을 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두산 오너家의 '새옹지마'...석달 전보다 50% 높은값에 퓨얼셀 블록딜

    두산 오너家의 '새옹지마'...석달 전보다 50% 높은값에 퓨얼셀 블록딜

    두산그룹 오너일가가 가지고 있던 마지막 두산퓨얼셀 물량을 시간 외 대량매매(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한다.  5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등 두산퓨얼셀의 특수관계인인 두산그룹 오너 일가 10명은 이날 장 마감 후 크레디트스위스(CS) 창구를 통해 총 532만7270주(발행주식수의 8.1%)에 대한 수요 예측을 진행했다. 가격은 이날 종가(57,000원)에 9.6% 할인율을 적용한 51,528원으로 결정됐다. 대상 주식이 모두 이 가격에 팔린다고 할 경우 매각 규모는 2745억원이다. 거래는 6일 장이 열리기 전 진행된다.  앞서 박 회장 등은 작년 10월 보유하고 있는 두산퓨얼셀 지분 총 19.7%를 블록딜 방식으로 국내외에 처분하려 시도했으나 절반 가량(10.09%, 560만주) 밖에 매각하지 못했다. 당시 매각 단가는 10월5일 종가에 18% 할인율을 적용한 35,465원이었다. 당시 박 회장 등은 오너일가 보유 퓨얼셀 지분 중 23%를 두산중공업에 증여하고, 나머지 19.7%는 매각해서 주식담보대출 등에 상환할 계획이었다. 당시에도 19.7%를 전부 팔겠다기보다는 시장에서 수요 있는 만큼만 팔고 나머지는 추후 팔겠다는 계획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3개월이 지난 지금 증시가 상승세를 계속 타면서 매각가격은 3개월 전보다 45% 뛰었다. 박 회장 등으로서는 오히려 더 비싼 값에 보유주식을 처분할 수 있게 된 '새옹지마'가 된 셈이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 단독]예보, 4년만에 우리금융 지분매각 재개..최대 10% 입찰 예정

    [마켓인사이트 단독]예보, 4년만에 우리금융 지분매각 재개..최대 10% 입찰 예정

    예금보험공사가 우리금융 지분 매각을 재개했다. 2016년 IMM 프라이빗에쿼티(IMM PE)와 동양생명 등 과점주주들에게 지분을 나눠 판 지 4년 만이다.  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예보는 보유하고 있는 우리금융 잔여지분 17.25% 중 최대 10%를 매각하기 위해 JP모건과 삼성증권, 미래에셋대우증권을 매각주관사로 선임하고 수요 조사를 위한 티저레터를 지난달 국내외 잠재 인수후보들에게 보냈다.  한 매각 측 관계자는 "블록딜 형태로 살 투자자를 알아보는 중"이라며 "지분 10% 이내에서 원하는 수량과 가격을 적어내는 방식으로 입찰을 받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입찰 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앞으로 1~2개월 내에 주가 추이를 보고 적절한 시점을 골라 입찰을 실시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외환위기 후 금융사 구조조정 과정에서 12조8000억원 공적자금을 투입했다. 이후 2010년대 들어 여러 차례 우리금융을 통째로 매각하려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통매각이 어렵자 광주은행 등 지방은행과 우리투자증권 등 계열사를 순차적으로 팔고, 경영권 자체를 넘기는 매각(M&A) 대신 과점 주주를 찾아주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2016년 12월 IMM PE 등에 29.7%를 팔고, 이듬해 해당 주주들의 콜옵션 행사로 2.94%를 추가로 매각했다. 이제 남은 잔여지분은 17.25%다. 금융위와 예보는 지난해 6월 남은 지분을 "한 번에 최대 10%씩 2~3번에 나눠 3년 내 모두 팔겠다"고 발표했다. 작년 말엔 해외 투자자들을 접촉해 인수 의사를 타진하기도 했으나 특별한 성과를 얻지는 못했다.  그간 정부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라는 원칙을 내세운 탓에 우리금융 매각 시도는

  • SK E&S, 차이나가스홀딩스 지분 전량 블록딜..최대 1.9조 현금화

    SK E&S, 차이나가스홀딩스 지분 전량 블록딜..최대 1.9조 현금화

    SK E&S가 보유하고 있던 차이나가스홀딩스(CGH) 지분 15억달러어치를 16일 저녁 대규모 시간 외 대량매매(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했다. 이날 증권업계에 따르면 SK E&S는 씨티글로벌마켓증권과 크레디트스위스 창구를 통해 CGH 주식 5억3503만 주(10.25%)를 장외에서 매각하기 위해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투자 수요를 접수했다. 홍콩에 상장된 CGH의 이날 종가는 24.3홍콩달러(약 3800원)였는데, SK E&S는 종가 대비 9.5~13.0% 할인된 가격에 팔겠다고 제시했다. 주식을 다 팔면 SK E&S는 이번 거래로 최대 1조8600억원가량을 손에 쥔다. CGH는 중국의 3대 도시가스 민영회사 중 하나다. 중국 주요 도시 100여 곳의 대한 도시가스 공급 권한을 가지고 있다. SK그룹은 SK E&S와 SK가스를 통해 이 회사 지분 15%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SK가스가 보유했던 지분 4922만 주(0.99%)는 지난해 팔아서 1733억원을 확보했다. SK E&S는 작년 9월에도 보유하고 있던 지분 3.3%를 블록딜 형식으로 매각해 7868억원을 현금화했고, 이번에 남은 지분 전부를 매각한 것이다. SK E&S가 이 회사 주식을 취득할 당시 CGH 주가는 5홍콩달러 미만으로, 취득 원가는&n

  • [마켓인사이트]원에쿼티파트너스, 셀트리온헬스케어 3000억 규모 블록딜 나서

    셀트리온헬스케어의 2대 주주인 원에쿼티파트너스가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에 나섰다. 원에쿼티파트너스는 블록딜을 통해 3000억원을 현금화한다는 계획이다.2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원에쿼티파트너스는 이날 장 마감 후 셀트리온헬스케어 주식 550만주를 블록딜 처분하기 위한 수요예측에 돌입했다. 이날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종가(5만9200원) 대비 7~9%를 할인할 예정이다. 전량이 소화된다면 원에쿼티파트너스는 약 3000억원의 현금을 손에 쥐게 된다. 원에쿼티파트너스는 그동안 꾸준히 블록딜을 통해 셀트리온헬스케어 지분율을 낮춰 왔다. 지난해 9월과 올해 5월 두 차례에 걸친 블록딜로 약 8000억원을 현금화했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더캐피탈그룹, SK하이닉스 주식 1.1% 블록딜.. 시장 영향은

    [마켓인사이트]더캐피탈그룹, SK하이닉스 주식 1.1% 블록딜.. 시장 영향은

    ≪이 기사는 10월21일(05:0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미국 자산운용사 더캐피탈그룹이 지난 18일 장 마감 후 보유하고 있던 SK하이닉스 주식 1.1%(약 6200억원어치) 가량을 블록딜 방식으로 처분했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SK하이닉스 주식 거래량은 약 1363만 주로 장 마감 후 770여만 주, 전체 발행주식의 1.1%가량이 체결됐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 장 마감 후 주식을 매도한 쪽은 더캐피탈그룹이다. 거래창구는 CLSA증권으로 알려졌다. 다만 매수자가 누구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21일 개장 전 추가로 매매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더캐피탈그룹은 SK하이닉스의 최대주주인 SK텔레콤(20.07%)을 제외하면 국민연금(9.05%)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 9월27일 기준으로 SK하이닉스 주식 6.51%(4738만5009주)을 보유하고 있었다.더캐피탈그룹은 작년 9월에 처음으로 SK하이닉스 주식 5.05% 보유 사실을 알렸다. 올해 3월에는 이를 7.85%까지 확대했다. 이후 다시 단계적으로 줄여나가는 중이다. 이번 블록딜에 관해서 시장에서는 더캐피탈그룹이 지분 보유 공시 의무가 있는 5% 미만으로 지분율을 낮추려고 하는 것 아니냐고 해석하고 있다. 작년 9월에는 8만원대 초반이던 주가가 지난 6월 6만3000원대까지 떨어지는 등 부진한 흐름을 보이자 비중을 축소하려 한다는 해석도 있다. 시장의 관심은 이번 블록딜 이후 SK하이닉스 주가의 향방에 쏠리고 있다. 통상 블록딜 이후에는 할인율만큼 주가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21일 개장 직후 주가의 큰 폭 하락을 점치는 이들이 있다. 

  • [마켓인사이트]S&T모티브, 최대 498억원어치 자사주 매각

    [마켓인사이트]S&T모티브, 최대 498억원어치 자사주 매각

    자동차 부품업체 S&T모티브가 보유 중인 자사주의 상당물량을 매각한다. 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S&T모티브는 이날 장 마감 이후 자사주 50만~100만주 매각을 위한 수요예측에 돌입했다. 거래는 시간외매매(블록딜) 방식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KB증권이 주관을 맡았다.S&T가 이번에 내놓은 매각물량은 현재 보유 중인 자사주(135만8131주)의 36.8~73.6% 수준이다. 주식 매각가격은 이 날 종가(5만2500원)에서 5% 할인한 4만9875원이다. 100만주를 파는데 성공하면 약 498억원을 손에 쥘 전망이다. 이 회사는 이번 블록딜 이후 남는 자사주에 대해선 3개월간 보호예수를 적용하기로 했다. 추가 매도 가능성으로 인해 주가가 크게 하락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다.S&T모티브는 2002년 대우통신에서 인적분할해 설립된 자동차 부품 제조회사다. 자동차용 섀시, 전기장비, 에어백, 엔진, 변속기부품, 모터 등을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GM 등에 판매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매출은 4777억원, 영업이익은 3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3%, 47.1% 증가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단독]차이나가스 지분 3% 블록딜...SK E&S 7천억대 현금 손에 쥔다

    [마켓인사이트][단독]차이나가스 지분 3% 블록딜...SK E&S 7천억대 현금 손에 쥔다

    SK그룹 계열인 SK E&S가 차이나가스홀딩스(CGH) 주식 1억5850만 주(지분율 약 3%)를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로 처분한다. 이번 블록딜이 성사되면 SK E&S는 최대 7600억원의 현금을 손에 쥔다. 투자은행(IB)업계에서는 SK E&S가 이 현금을 어디에 사용할지에 주목하고 있다.5일 IB업계에 따르면 SK E&S는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차이나가스홀딩스 주식을 블록딜하기로 하고, 이날 홍콩증시 마감 후 기관투자가들을 대상으로 수요예측(사전청약)을 실시했다. 골드만삭스가 단독 주관사를 맡았다. 주당 예상 거래가격은 이날 차이나가스홀딩스의 종가(32.35홍콩달러·약 5000원)에 3.1~8.2%의 할인율을 적용한 29.7~31.35홍콩달러(약 4500~4800원)다. 전체 매각금액은 47억~50억홍콩달러(약 7200억~7600억원)다. 블록딜을 마치면 SK E&S의 지분율은 15%(올 상반기 말 기준)에서 12%로 낮아진다. 6일 홍콩증시 개장 전까지 거래를 마무리하며, SK E&S의 남은 지분은 향후 3개월 동안 보호예수하게 된다. 차이나가스홀딩스는 중국 3대 민영 도시가스업체로, 중국 26개 도시의 102만 가구에 천연가스를 판매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천연가스 사용 권장 정책 수혜 기업으로, 최근 실적이&nb

  • [마켓인사이트]롯데지주, BNK금융지주 주식 부산호텔롯데에 넘겨

    롯데지주가 보유하고 있는 BNK금융지주 주식을 모두 처분했다.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의 행위제한 규정을 지키기 위해, 롯데지주가 보유하고 있는 금융회사 지분을 정리하는 작업의 일환이다.   30일 롯데지주는 BNK금융지주 주식 899만3600주를 부산롯데호텔에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 처분했다. 매각가격은 603억원이다. 이번 거래로 롯데지주의 BNK금융지주 지분율은 0%가 됐다. 롯데지주는 지주사의 행위제한 규정을 맞추기 위해 금융회사 지분 처분을 진행하고 있다. 주요 금융 계열사였던 롯데카드는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MBK파트너스 등에, 롯데손해보험은 JKL파트너스에 매각키로 했다. 롯데그룹은 지주사 전환 2년이 되는 오는 10월까지 일반 지주회사의 금융회사 주식 소유를 금지한 공정거래법에 따라, 관련 거래를 마무리해야 한다.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레졸루션얼라이언스, 현대오토에버 지분 블록딜

    스탠다드차타드은행 계열의 투자회사인 레졸루션얼라이언스 코리아가 현대오토에버 지분을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해 투자금 일부를 회수했다. 레졸루션얼라이언스 코리아는 2015년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으로부터 현대오토에버 지분을 매수해 보유하고 있었다.  28일 레졸루션얼라이언스 코리아는 현대오토에버 주식 45만1500주를 지난 26일 블록딜 처분했다고 공시했다. 한 주당 매각가는 5만2000원으로, 총 234억7800만원을 현금화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블록딜로 레졸루션얼라이언스 코리아의 지분율은 7.1%에서 5.0%로 낮아졌다. 투자은행(IB) 업계에서는 레졸루션얼라이언스 코리아가 보유 지분을 추가로 블록딜하거나 장내매도해 투자금을 더 회수할 거라 예상하고 있다. 보호예수 기간이 지난 6월로 끝나, 지분 매각을 자유롭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레졸루션얼라이언스 코리아는 지난 2015년 정 회장의 현대오토에버 지분 전량(당시 지분율 9.7%)을 690억원에 매수했다. 당시 현대차그룹이 일감 몰아주기 논란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총수 일가의 지분율을 낮춰야 했던 상황이었다. 레졸루션얼라이언스 코리아는 현대오토에버의 유가증권시장 상장 과정에서 보유 주식 50만주를 공모가(4만8000원)에 구주매출, 240억원을 회수했다. 이번 블록딜 처분까지 합치면 투자금 중 475억원을 회수하는데 성공했다.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