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행 또 다른 위기 경고한 머스크 "상업용 부동산 대출부실 가장 심각"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사진)가 최근 불거진 은행 위기와 관련해 “상업용 부동산 대출의 부실 위험이 가장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금리 상승으로 인한 상업용 부동산 대출 연체와 부동산 경기 위축이 맞물려 지역은행의 또 다른 위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머스크 CEO는 27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에 자본시장 분석 자료를 제공하는 코베이시레터의 게시글을 게재하며 논평을 덧붙였다.코베이시레터는 “5년 안에 만기가 도래하는 상업용 부동산 담보대출 규모는 2조5000억달러(약 3250조원)가 넘는데 이는 역대 최대 규모”라며 “이에 비해 금리는 두 배 이상 올랐고 상업용 부동산 임대 비율은 60~70%에 불과하다”고 했다. 금리 상승으로 차입자의 채무불이행 위험이 커진 데다 코로나19 여파로 재택근무가 확산하면서 상업용 부동산의 평가가치가 추락한 점을 지적한 것이다.이는 곧 미국 지역은행의 유동성 위기로 다시 불거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 상업용 부동산 대출의 70%를 소규모 지역은행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코베이시레터는 “재융자 비용은 아주 높을 것이고 결국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글로벌 투자은행(IB) JP모간도 “상업용 주택담보 대출의 약 21%가 최종적으로 채무불이행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한편 미국 중앙은행(Fed)에서 은행권을 감독하는 마이클 바 부의장은 28일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 출석을 하루 앞두고 공개된 발언에서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은 부실 관리의 교과서적인 사례”라고 비판했다. SVB가 코로나19 사태 초기 늘어난 예금을 장기 국채에 투자
-
새로운 쩐주로 부상한 중국, IMF·미국 제치나
중국이 글로벌 대부 기관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자원은 풍족하지만, 자본이 빈약한 빈곤국에 대규모 차관을 제공하며 영향력을 키웠다는 설명이다. 국제통화기금(IMF)과 미국을 제치고 해외 차관을 가장 많이 빌려준 국가가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2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윌리엄&메리 대학교 산하 리서치 기관 에이드 데이터를 인용해 중국이 최근 몇 년 새 빈곤국들에 2400억달러 규모의 차관을 제공했다고 보도했다.NYT에 따르면 중국은 튀르키예, 아르헨티나, 스리랑카 등에 긴급 대출을 더 늘린 것으로 알려졌다. 주로 천연자원이 풍부한 자원 부국이거나 지정학적으로 전략적 요충지인 국가들이다. 상당수는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에 쓰일 돈을 중국으로부터 빌렸다.IMF와 에이드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은 2021년 405억달러 상당의 차관을 빈곤국에 제공했다. 2010년에는 해외 차관이 아예 없었다. 10여년 만에 글로벌 '쩐주'에 등극한 것이다. IMF는 2021년 부도 위기에 처한 국가에 총 685억달러를 대출했다. 미국의 경우 2002년 우루과이(15억달러) 이후 개발도상국에 차관을 제공한 적이 없다.달러화 강세와 고(高)금리 기조가 맞물리며 더 여러 국가가 중국에 손을 벌리는 모습이다. 경기침체로 인해 성장동력이 약화해 부채 상환 가능성이 더 낮아지고 있어서다. IMF는 우크라이나에 156억달러 규모의 차관을 제공하며 전쟁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일대일로(육상·해상 실크로드)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2013년 시 주석의 지시로 시작된 일대일로 프로젝트는 중국이 개발도상국에 대규모 인프라를 짓고 자본을 투자하며 경제·외교적
-
저축은행 PF 대출 자율협약 시행
금융당국이 여신 한도 규제를 일부 완화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의 부실화를 막기 위한 저축은행 업계의 정상화 지원을 유도하기로 했다.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 PF 대출 자율협약’을 이달 중 본격 시행한다고 7일 밝혔다. 대주단이 PF 사업장에 대한 만기 연장이나 추가 자금 지원, 채권 재조정 같은 정상화 방안을 신속하게 결정하도록 해 부실 리스크를 예방한다는 계획이다. 비교적 소규모 PF 대출을 주로 취급하는 저축은행 특성상 PF 사업장의 약 60%가 저축은행만으로 컨소시엄이 구성돼 있다는 점을 감안해 저축은행 업권만 참여하는 협약을 가동한다.금감원과 저축은행중앙회는 자율협약이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인센티브도 마련했다. 총신용공여의 20%까지만 PF 대출을 내줄 수 있다는 등의 여신한도 규제와 PF 사업자금의 20% 이상을 자기자본으로 조달할 수 있는 차주에 대해서만 PF 대출을 취급할 수 있다는 ‘자기자본 20% 룰’을 한시적으로 완화해주기로 했다. 한도 규제 등에 막혀 신규 자금 추가 공급이 막히는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해서다.임직원 면책 조항도 추가했다. 고의·중과실이 아닌 한 자율협약 의결을 거친 채권 재조정 및 신규 자금 지원 사업장 관련 대출이 향후 부실화하더라도 임직원을 제재하지 않겠다는 것이다.이인혁 기자
-
기준금리 동결에도 대출금리 '들썩'
최근 내림세를 나타내던 대출·예금 금리가 다시 들썩이고 있다. 지난달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연 4.25~4.5%→연 4.5~4.75%) 여파로 채권 금리가 반등한 영향이다.5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혼합형 금리(은행채 5년 만기 기준)는 연 4.41~6.522%로 집계됐다. 한 달 전인 2월 3일(연 4.13~6.64%)보다 최저금리가 0.28%포인트 상승했다. 지표금리인 은행채 5년 만기 금리가 0.589%포인트(연 3.889%→연 4.478%) 올랐기 때문이다.은행채 1년 만기를 기준으로 하는 신용대출 금리(연 5.42∼6.45%)도 같은 기간 최저금리가 0.27%포인트, 최고금리는 0.19%포인트 높아졌다. 은행채 1년 만기 금리가 0.391%포인트 상승한 결과다. 최근 1∼2주 채권 금리는 가파르게 올랐다. 미국의 긴축 기조가 예상보다 길어질 수 있다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면서다.지난해 11월 연 5%대에서 올해 초 연 3%대로 떨어진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도 최근 반등해 연 4%에 육박하고 있다.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연 3.65~3.9%다. 6영업일 전인 지난달 23일(연 3.55~3.7%)보다 하단은 0.1%포인트, 상단은 0.2%포인트 올랐다.이 또한 은행채 금리 상승과 무관하지 않다. 은행은 은행채를 발행하거나 예·적금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 은행채 금리가 오르자 은행들이 예금 금리를 소폭 올려 자금 조달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은행들이 예대금리차(예금 금리와 대출 금리의 차이)로 사상 최대 실적을 내고 ‘돈 잔치’를 벌인다는 정부의 비판이 예금 금리 상승에 영향을 줬다는 해석도 있다.예금 금리가 오르면서 코픽스(C
-
잇단 횡령에…저축은행 PF대출 통제 강화
최근 저축은행 업계에서 횡령이나 작업대출 등 금융사고가 잇따르자 금융당국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과 개인사업자 대출, 자금관리, 수신 등 4대 고위험 업무의 내부통제를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중앙회와 함께 금융사고 예방 및 내부통제 개선을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15일 밝혔다.금감원은 앞으로 PF 대출을 대상으로 영업과 심사, 송금, 사후관리 등 업무별로 담당자를 명확히 구분하는 직무분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지정계좌 송금제도 시행한다. PF 대출금은 사전에 등록한 지정계좌로만 입금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지정계좌 등록·변경 시 3단계 승인 절차를 거치도록 했다.부동산 급등기를 틈타 저축은행 5곳에서 1조2000억원대 작업대출이 이뤄진 개인사업자 대출 관련 내부통제 시스템도 강화한다. 저축은행에 진위확인이 어려운 서류가 제출된 경우 현장 방문 등의 추가 확인절차를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하고, 자금 용도 외 유용이 이뤄지지 않았는지 사후점검도 철저히 하도록 했다.그동안 전결권자가 송금할 때 본인의 전결금액 이하로 분할 송금하는 방식으로 돈을 빼내는 사례가 있었다. 금감원은 일정기간 누적 송금액 기준의 전결권을 신설해 분할 송금과 임의 송금을 억제하기로 했다. 고객 원장 변경을 위한 승인절차를 강화하고 수신업무 담당자에 한해 수신 관련 전산시스템 접근 권한을 부여하기로 했다.이인혁 기자
-
상하이 증시, 中 소비심리·산업생산 '찬바람'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인 9일 중국 증시는 정부의 특별국채 발생 결정과 물가지수 안정 등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0.30%, 선전성분지수는 0.98% 올랐다. 외국인 투자자는 지난주 65억위안(약 1조2200억원) 매수 우위를 보였다.오는 15일 중국 경기 현황을 보여주는 11월 주요 경제지표가 나온다. 11월까지 전국적인 코로나19 방역 통제를 지속했기 때문에 지표 부진이 이어졌을 것으로 관측된다. 월간 국내총생산(GDP) 격인 산업생산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 예상치는 3.8%다. 9월 6.3%에서 10월 5.0%로 떨어진 데 이어 하락세가 지속됐을 것이란 예상이다.내수경기를 나타내는 소매판매 증가율 예상치는 -3%다. 이 지표도 8월 5.4%에서 9월 2.5%로 내려가더니 10월에는 -0.5%로 5개월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추락했다. 방역 완화로 코로나19 감염 우려가 커지면서 소비심리는 당분간 냉각 상태가 이어질 전망이다. 11월 도시실업률 예상치는 5.6%로 10월 5.5%보다 소폭 상승한 것으로 관측됐다.기업들의 경기 전망을 읽을 수 있는 고정자산투자 증가율(1~11월 누적·전년 동기 대비) 예상치는 5.7%다. 이 역시 1~9월 5.9%, 1~10월 5.8%로 내려갔다.베이징=강현우 특파원
-
"복합 위기 온다"…달러 쟁여놓는 4대 은행
올 들어 3분기까지 국내 4대 시중은행의 외화 차입금이 15조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원화 가치 하락)하는 가운데 국내 기업의 외화 자금 수요가 증가하면서 은행들이 해외 금융회사에서 외화를 차입해 대출에 나섰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기업 외화 대출 수요 급증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3분기 기준 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외화 차입금 평균 잔액은 46조5285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31조4508억원)보다 47.9%(15조777억원) 급증한 규모다.외화 차입금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국민은행이었다. 올 3분기 국민은행의 외화 차입금 평균 잔액은 18조3630억원으로 전년(10조8137억원)보다 69.8% 늘었다. 이어 우리은행이 50.7%(6조8060억원→10조2581억원) 증가율을 기록했고, 신한은행(34.9%·6조5818억원→8조8835억원)과 하나은행(24.4%·7조2493억원→9조239억원)이 뒤를 이었다.전체 조달액 가운데 외화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도 커지고 있다. 3분기 국민은행의 전체 조달액(475조6670억원) 가운데 외화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3.9%로 지난해(2.5%)보다 1.4%포인트 증가했다. 우리은행(1.9%→2.6%), 신한은행(1.7%→2.1%), 하나은행(1.8%→2.1%) 등도 각각 0.7%포인트, 0.4%포인트, 0.3%포인트 늘었다.외화 차입금이 급증한 것은 기업의 외화 대출 수요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은행의 3분기 외화 대출금 평균 잔액은 23조2360억원으로 지난해(16조1048억원)보다 7조1312억원 증가했다. 외화 대출 증가는 ‘환율 급등’과도 무관하지 않다. 올초 1200원 안팎에 머물렀던 원·달러 환율은 점점 올라 9월 1445원50전까지 치솟았다.
-
[단독] '한전 나비효과'에 은행까지 돈가뭄…"200兆 풀어야 위기 넘겨"
시중은행이 한국전력에 대한 대출을 재개하면서 ‘블랙홀’처럼 시중자금을 빨아들이던 한전채 문제는 다소 진정될 전망이다. 문제가 풀린 건 아니다. 올해 30조원 이상의 영업적자를 낼 것으로 예상되는 한전의 자금 수요가 당분간 계속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자금경색에 대비해 미리 현금을 확보해두려는 기업들의 연말 자금 수요도 상당하다. 5대 금융지주는 연말까지 95조원의 유동성을 지원하기로 했지만, 은행채 발행과 예금금리 인상은 정부 요구에 따라 제동이 걸린 상태다. 은행들로선 자금 조달이 제한된 상황에서 돈을 풀어야 하는 이중고에 빠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기요금 억제의 ‘나비효과’21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한전은 올 들어 이달 10일까지 25조5000억원어치의 한전채를 찍었다. 지난해 연간 발행액(10조4300억원)의 두 배가 넘는 규모다. 대규모 물량이 쏟아지면서 AAA등급 한전채 금리는 연초 연 2.71%에서 이달 연 5.95%까지 치솟았다.문제는 ‘한전채 폭탄’ 여파로 회사채 시장에서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은 자금 조달이 어려워졌다는 점이다. 대규모 적자 늪에 빠진 한전의 위기가 마치 나비효과처럼 자금시장 경색으로 이어진 것이다.한전은 이미 올해 3분기까지 약 22조원의 영업적자를 냈다. 겨울철에 적자가 더 늘어나는 점을 감안하면 올해 연간 영업적자는 30조~35조원대에 달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자금 수요가 계속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 때문에 은행권 대출만으론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다.정부는 한전 적자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짜내고 있다. 하지만 전기요금을 대폭 인상하지 않는 한 적자 구조가 바뀌지
-
금융위 "저축은행, 다중채무자 대출 충당금 더 쌓아라"
저축은행 업계는 내년부터 다중채무자한테 실행된 대출에 대해 일반 차주보다 충당금을 최대 50% 더 쌓아야 한다. 특수목적법인(SPC)을 내세워 부동산 대출 비중 규제를 우회하는 관행에도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금융위원회는 저축은행 업계의 건전성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상호저축은행 감독규정 개정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먼저 다중채무자에 대한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규정을 마련하기로 했다. 5~6개 금융사에서 돈을 빌린 고객의 대출분에 대해 충당금 요적립률의 30%를, 7개 금융기관 이상 다중채무자 대출의 경우는 50%를 추가 적립하도록 할 방침이다.다른 2금융권은 이미 이 같은 규정이 마련돼 있다. 상호금융권은 5개 이상 금융기관의 대출을 갖고 있는 차주의 대출에 대해 130%의 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신용카드사도 복수의 카드사에서 카드론(장기카드대출)을 보유한 고객에 대해 충당금 130% 규제를 적용받고 있다. 지난 3월 기준 저축은행의 다중채무자(3개 이상 금융사) 대출 비율은 75.3%로 캐피털(59.6%), 카드(54.5%), 상호금융(35.3%) 등을 훨씬 웃돈다.부동산 관련 신용공여 규제도 한층 강화된다. 현재 저축은행은 신용공여 총액 대비 부동산 관련 업종 신용공여 비율이 50%를 초과할 수 없다. 건설업과 부동산업,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신용공여도 각각 30%, 30%, 20%를 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하지만 부동산 PF 대출 등의 과정에서 SPC 설립을 통해 이 같은 한도규제를 우회하는 경우가 간혹 발생했다. SPC는 통상 금융업으로 분류돼, 명목상 차주가 SPC인 경우 부동산 관련 신용공여로 잡히지 않기 때문이다. 금융위는 이에 명목상 차주가 아닌 실제 원리금 상환의무가 있는 실차주 기준
-
"정상 사업장엔 금융지원…PF發 위기 막아야"
건설업계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와 관련해 당국의 선제적 대응을 주문하고 나섰다. PF를 무조건 옥죄기보다 정상 추진 중인 사업장은 정책금융기관의 신용 보강을 통해 대출을 지원하고 부실채권은 신속하게 인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24일 건설동향 브리핑 자료를 통해 “부동산 PF 부실에 대비한 다각도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건산연은 올초부터 미국 금리 인상, 원자재 가격 상승, 분양시장 냉각으로 개발사업 여건이 급속도로 악화되면서 부동산 PF 대출 부실 우려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시중은행과 증권사 등 금융업계가 PF 대출을 꺼리거나 최소 연 10% 이상 고금리를 요구하면서 상황이 급속도로 악화됐다는 것이다.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위축됐던 부동산 PF 잔액은 2014년부터 다시 빠르게 증가했다. 2013년 말 35조2000억원이었던 대출 잔액은 올 6월 말 112조2000억원에 달했다. 김정주 건산연 경제금융연구실장은 “상대적으로 강한 규제를 받아온 은행권의 부동산 PF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지만 제2금융권은 저금리 기조에 대체 수익원으로 부동산 PF 대출을 크게 확대해 왔다”고 설명했다.특히 본PF 전에 토지 매입 등 사업 인허가 이전 단계에서 필요한 돈을 당겨쓰기 위해 실행하는 ‘브리지론’ 부실화를 가장 우려했다. 본PF에서 들어온 돈으로 브리지론을 상환하는 구조인데 본PF 대출이 막혀 브리지론을 갚지 못하면 대규모 부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김 실장은 “전국 800여 곳 사업장이 브리지론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대부분 브리지론에서 본PF로 넘어가지 못한 상태”라고 말했다.이 같
-
금감원 "태양광 대출·펀드 누적 22.7조…연체율은 높지 않아"
2017년부터 현재까지 취급·실행된 태양광 관련 대출과 펀드 규모가 22조7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이후 태양광 관련 신용공여가 늘긴 했지만 아직까지 건전성은 양호한 수준이라는 게 금융당국 입장이다.금융감독원은 7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금융권 태양광 대출·펀드 집계 결과(잠정)’를 발표했다. 국무조정실이 지난달 정책자금 운영실태 표본조사 결과를 공개한 이후 태양광 대출·펀드 관련 부정·부실 우려가 커지자, 금감원이 새마을금고를 제외한 모든 금융권을 상대로 전수조사를 한 결과를 내놓은 것이다.2017년 1월부터 지난 8월까지 취급된 태양광 관련 누적 대출액은 16조3000억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사가 자체 자금으로 돈을 빌려주는 일반자금대출이 14조70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에너지공단 추천을 받아 신재생에너지 시설물 제조·설치 업체에 대출해주는 정책자금대출이 1조5000억원, 기타 대출은 1000억원이었다.기관별로 따지면 상호금융권이 7조2000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은행(7조원), 보험(1조9000억원), 여신전문금융사(1300억원), 저축은행(700억원) 등 순서였다. 상호금융권 중에선 농협이 4조6500억원, 신협 1조7900억원, 수협 7400억원 등 순서로 태양광 대출 취급액이 많았다.태양광 대출을 가장 많이 내준 은행은 국민은행(1조8747억원)이었다. 이어 전북은행(1조3686억원), 신한은행(8823억원), 광주은행(7938억원) 등 순서였다. 상위권에 랭크된 지방은행이 많다는 점이 눈에 띄었다.같은 기간 태양광 관련 누적 펀드 설정액은 6조4000억원으로 나타났다. 31개 자산운용사가 총 111개 사모펀드로 6조4000억원을 설정했다. 대출과 펀드 공히 2018년 이
-
"믿을 건 현금뿐"…SK하이닉스 차입금 4.7조, LG화학 2.3조 늘어
SK그룹의 배터리 계열사인 SK온은 지난 7월 금융회사와 1조5997억원 규모의 차입 계약을 체결했다. 배터리 생산능력 확충을 위한 설비투자와 회사 운영자금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다. 올해 3분기 HDC현대산업개발(1700억원)을 비롯해 KCC건설(500억원) LX하우시스(500억원) 등도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았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高) 현상’으로 경기 하강 속도가 빨라지자 기업들이 유동성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내 상장사 차입금 16.9%↑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화학 현대자동차 기아 삼성물산 SK이노베이션 LG전자 고려아연 HMM 등 한국을 대표하는 10개 상장사의 올해 6월 말 총차입금(별도 기준)은 68조2662억원으로, 작년 6월 말보다 9조8505억원(16.9%) 증가했다.SK하이닉스 총차입금은 15조6580억원으로 이 기간 4조7627억원 늘었다. 현대차도 7조7838억원으로 8799억원 증가했다. 사실상 ‘무차입 경영’을 이어온 고려아연 총차입금도 4904억원으로 불어났다.대기업은 물론 중견기업도 차입금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 지난 7~9월 하림그룹 계열사인 팜스코(350억원)와 AK네트웍스(300억원), 페이퍼코리아(198억원), 대동스틸(150억원) 등은 금융사와 각각 차입한도 계약을 잇따라 체결했다.국내 기업들이 올 들어 8월까지 조달한 자금은 총 114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로 자금 수요가 컸던 2020년 1~8월(117조4000억원)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다.기업들은 자금 조달 방안으로 회사채보다 은행 대출을 선호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8월 말 은행권 기업대출 잔액은 1146조1000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80조4000억원(7.6%) 증가했다. 은행 대출이 급격
-
[단독] 神도 부러워하는 公기관 '황제대출'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 증가로 가계의 근심이 커지는 가운데 공공기관 직원들은 연 0~3%대 저금리로 주택자금 대출 혜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황제 대출’ 관행에 대한 비판을 의식해 정부가 지난해 규제 지침을 내놨지만 상당수 공공기관은 이마저도 무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23일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이 기획재정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공기관의 주택자금 사내대출 규모는 문재인 정부 출범 첫해인 2017년 2065억원에서 지난해 3349억원으로 62.2% 증가했다. 대출받은 인원은 4437명으로 31.3% 늘었고, 1인당 평균 대출액은 6113만원에서 7547만원으로 23.5% 증가했다.기재부가 지난해 7월 ‘공공기관의 혁신에 관한 지침’을 마련하고 공공기관 대출 특혜 옥죄기에 나섰지만 소용없었다. 한국은행의 ‘은행 가계자금 대출금리’보다 낮은 금리로 주택자금을 빌려줄 수 없도록 못박았으나, 지난해 말 기준 공공기관 주택자금 사내 대출 프로그램 124개 중 122개가 이보다 낮은 금리를 제시했다.연 0%대 금리 상품도 12개였다. 지난해에만 공공기관 직원 1328명이 0%대 금리로 대출을 받아갔다. 총 693억5000만원 규모로, 지난해 신규 주택자금 대출 금액(3349억원)의 20%에 달한다.이 같은 황제 대출은 공공기관 경영 부실이 악화하는 가운데 이뤄졌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지난해 공공기관 347곳의 부채 총액은 583조원에 이르러 사상 최대치를 나타냈다. 송 의원은 “공공기관들의 사내 대출 특혜 잔치는 결국 일반 국민의 부담으로 돌아오는 만큼 공공기관 혁신을 위한 조치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고재연 기자
-
"대출사업 집중하는 美 중소 은행株 유망"
미국 은행주들이 미국 중앙은행(Fed)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 정책의 수혜주로 떠오르고 있다. 대형은행보다는 중소은행주에 투자하라는 조언이다. 은행들이 대출 금리를 올리면 대출 사업이 주 수입원인 중소 은행들의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중소형 은행 수익성 개선될 것”14일(현지시간) 투자전문매체 마켓워치는 “대형은행 대신 대출 사업을 주 수익원으로 하는 중소은행에 주목하라”고 권고했다.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은행들이 대출 금리를 올리면 대출 사업이 주 수입원인 중소은행들의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은행의 수익성을 결정하는 핵심 지표는 순이자마진(NIM)이다. NIM은 대출 금액에서 자금조달 비용을 뺀 나머지를 운용자산으로 나눈 값이다. 대출 금리와 예금 금리 간 격차가 커질수록 은행 수익이 증가하고 NIM이 높아진다.마켓워치는 팩트셋이 시행한 애널리스트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올 3분기부터 내년 2분기까지 1년간 NIM이 가장 많이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 은행 20곳을 선정했다. 1위 은행으로는 텍사스에 본사를 둔 코메리카가 꼽혔다. 코메리카는 NIM이 지난 2분기 2.74%에서 내년 2분기 3.74%로 1.0%포인트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엠앤티뱅크(0.96%포인트 상승), 뱅크퍼스트(0.75%포인트), 뱅코프(0.70%포인트)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들 은행 20곳의 NIM 예상 상승폭은 모두 0.47%포인트를 웃돌았다.금리 인상은 통상 은행주에 호재로 여겨진다. 하지만 올해 Fed가 금리를 세 차례 올렸음에도 미국 은행들의 주가는 오히려 하락했다. 미국 주요 은행 종목의 주가를 반영한 S&P 은행 셀렉트 산업 지수는 이날 기준으로 연초 대비 14% 떨어졌다. 경
-
中 최대 부동산 개발업체 굴욕…상반기 순익 94% '폭삭'
중국 최대 부동산개발업체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의 올 상반기 이익이 작년 같은 기간의 24분의 1로 쪼그라들었다. 회사 측은 중국 부동산시장이 내년 여름에야 반등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비구이위안은 31일 올 상반기 매출 1623억위안, 순이익 6억1200만위안을 거뒀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1%, 순이익은 94% 감소했다. 핵심 사업인 주택판매 금액은 1851억위안으로 40%가량 줄었다.비구이위안은 홍콩 증시 상장사다. 주가는 이날 6%가량 급락했다. 올 들어 현재까지 65% 빠졌다.모빈 비구이위안 최고경영자(CEO)는 “참혹한 실적을 내 주주들에게 죄송하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 중국 부동산산업은 역사상 최악의 겨울을 보내고 있다”며 “내년 여름께면 시장 상황이 나아질 것”으로 전망했다.광둥성 포산에서 출범한 비구이위안은 같은 광둥성 기업인 헝다와 자주 비교되는 기업이다. 3·4선 도시에 대규모 중소형 아파트 단지를 조성하는 사업 방식은 비슷하다. 하지만 헝다가 무리한 차입으로 자동차, 생수 등에 사업을 확장한 것과 달리 비구이위안은 본업에 충실해 재무 리스크가 적은 것으로 평가돼 왔다.베이징=강현우 특파원